KR100312010B1 - 비료및농약의서방성을증가시킨서방제및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료및농약의서방성을증가시킨서방제및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010B1
KR100312010B1 KR1019980022904A KR19980022904A KR100312010B1 KR 100312010 B1 KR100312010 B1 KR 100312010B1 KR 1019980022904 A KR1019980022904 A KR 1019980022904A KR 19980022904 A KR19980022904 A KR 19980022904A KR 100312010 B1 KR100312010 B1 KR 100312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tained release
resin
coating layer
release agent
impreg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248A (ko
Inventor
이병근
Original Assignee
배명숙
이지연
이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숙, 이지연, 이병근 filed Critical 배명숙
Priority to KR101998002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01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6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layered or coated with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8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layered or coated with wax or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40Fertilisers incorporated into a matrix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침제(matrix)로서 폐지 등을 포함한 펄프를 활용하여 여기에 비료나 농약 등의 유효성분을 함침시킨 후, 1차 수지피복층과 2차 유황피복층을 형성하여 함침제 중에 함침된 유효성분의 서방성을 증대시킨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을 증가시킨 서방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을 증가시킨 서방제는, 비료 및 농약의 유효성분을 함침시킨 함침제의 표면에 수지피복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지피복층의 표면에 유황피복층을 더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서방성이 우수한 서방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의하여 농업에서의 노동력 절감, 환경오염의 예방 및 우수한 시비효과와 약효 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을 증가시킨 서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비료, 농약 또는 기타 농업용제의 유효성분을 서서히 방출하는 서방성(slow release ; 완효성이라고도 함)을 갖는 서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침제(matrix)로서 폐지 등을 포함한 펄프를 활용하여 여기에 비료나 농약 등의 유효성분을 함침시킨 후, 1차 수지피복층과 2차 유황피복층을 형성하여 함침제 중에 함침된 유효성분의 서방성을 증대시킨 서방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폭발적 증가에 의해 발생되는 환경오염과 더불어, 화학공업의 발달로 인해 생겨나는 환경오염의 심각성은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정도에 이르러, 오늘날 모든 화학공업의 발달은 환경오염을 감소시키는 조치를 수반하지 않고는 달성할 수 없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학공업의 한 분야인 농화학분야에서도 환경오염의 방지대책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거기에 더해 노동력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지 않을 수 없다.
농화학분야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비료와 농약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식량증산과 더불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문제인 것이다. 즉, 식량증산을 위하여는 다량의 비료와 농약의 사용이 요구되며, 이는 환경오염을 악화시키고, 그 결과 보다 많은 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는 식량증산은 물론 정상적인 식량생산도 어려워지는 폐단을 낳고 있다.
특히, 비료와 농약의 사용은 경작현장에서 노동력이나 기타 자동화된 농기구를 사용하여 원형 그대로 또는 그 희석액 등을 그대로 시비, 살포함으로써 강우,바람 등에 의해 쉽게 유실되어 이들 농약 및 비료의 효과적, 경제적 사용이 불가능함은 물론 유실된 비료나 농약은 환경오염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유효한 시비 및 농약처리를 위하여는 다량의 비료나 농약을 반복적으로 살포하여야만 하게 되었다. 따라서, 비료 및 농약을 서방시킬 수 있는 제제의 개발이 요구되었으며,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었다.
그 일례로 비료 및 농약 등의 서방성을 증가시키는 보호피막(encapsulate)의 사용이 고려되었으며, 이는 비료 및 농약에 보호피막을 형성시켜 이들 비료 및 농약의 유효성분들이 서서히 방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보다 경제적인 시비 및 살포는 말할 필요도 없고, 이들 비료 및 농약의 시비 및 살포횟수도 줄이므로 환경오염도 줄이고, 시비 및 살포에 필요한 노동력도 절감시켜, 결국 농산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여러 가지 보호피막들이 고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는 이들 보호피막들은 거의 대다수 값비싼 고분자물질로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 시비 및 살포효과는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으나, 서방성의 조절 즉, 유효성분의 방출속도의 조절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경제적이지 못하며, 이들 보호피막이 분해되지 않고 그대로 자연환경에 잔류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전용(水田用)으로 사용되는 농약이나 비료 등의 제제 또는 제형은 종래부터 수화제, 유제, 입제 등이 주체였으며, 특히 수화제나 유제의 경우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물로 소정의 농도로 희석시켜 살포토록 하고 있기 때문에 살포하여야 할 양이 증대되어 살포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비료의제형으로 널리 사용되는 입제의 경우, 그 자체로서 직접 살포가 가능하나, 조립시에 벤토나이트, 점토, 카올린 및 탈크(활석) 등의 무기담체와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 등이 요구되어질 뿐만 아니라 이를 생산하는 데에도 많은 공정과 시설이 요구되어 상대적으로 가격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화제, 유제 또는 입제 모두는 살포 당시에는 즉시 효과를 나타내는 속효성이기 때문에 적기에 이를 살포하여야 하며, 강우나 바람 등에 의한 유실율이 높아 살포효과의 손실을 초래하며, 더욱이 손실된 유효성분들은 환경오염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노동력의 절감, 환경오염의 방지 및 비료나 농약의 유효성분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서방성을 갖는 서방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을 증가시킨 서방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을 증가시킨 서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방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1차성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방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2차성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차성형기 2 : 2차성형기
3 : 선형압출물 4 : 환형압출물
11 : 가압통 12 : 가압핸들
13 : 나선축 14 : 노즐
21 : 절단드럼 22 : 절단돌기
23 : 절단홈 24 : 연동기어
25 : 벨트풀리 26 : 전동벨트
27 : 전동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을 증가시킨 서방제는, 비료 및 농약의 유효성분을 함침시킨 함침제의 표면에 수지피복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지피복층의 표면에 유황피복층을 더 형성시켜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을 증가시킨 서방제의 제조방법은 비료 및 농약의 유효성분이 함침된 함침제의 준비단계; 상기 함침제의 성형단계; 성형된 함침제의 표면에 1차 수지피복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수지피복층의 표면에 유황피복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을 증가시킨 서방제는, 비료 및 농약의 유효성분을 해섬된 폐지와 같은 펄프 등의 함침제에 함침시키고, 이를 건조시킨 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고, 그 표면에 수지피복층과 유황피복층을 형성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함침제로는 바람직하게는 펄프류가 될 수 있으며, 펄프는 목재로부터 수득된 천연펄프는 물론 지류로부터 재생된 재생펄프 등 실질적으로 섬유질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것은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다. 펄프는 자연상태에서 쉽게 분해될 수 있는 환경친화성 물질로서 농토 등에 대량 살포되어도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재생펄프는 신문지나 폐지 등 일단 지류로 가공되고, 인쇄된 것을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알럼(Alum ; (Al2(SO4)3)) 또는 통상의 계면활성제와 같은 화학약품으로 처리하여 탈묵, 탈지시킨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재생된 펄프는 건조된 후, 비료 및 농약 등의 유효성분을 함침시킬 수 있으며, 이때 유효성분은 펄프를 구성하는 섬유질에 물리적, 화학적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성분은 양이온성을 갖는 것이 함침될 수 있다. 양이온성의 유효성분은 펄프를 구성하는 섬유질의 히드록실기(OH-)와의 이온결합에 의하여 상기 펄프에 보다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다량의 유효성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효성분이 함침된 함침제는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성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침제는 환형(‘구형’이라고도 함)으로 성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함침제에 결합제로서 전분이나 폴리비닐알코올 등이 상기 함침제 100중량부에 1 내지 5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결합제로서의 전분이나 폴리비닐알코올은 함침제를 구성하는 섬유질 간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성형 후의 함침제의 형상을 유지하는 접착력을 제공한다.
환형(丸形)으로의 성형은 반유동상태의 함침제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대량생산을 위하여는 도 1 및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1차성형기(1) 및 2차성형기(2)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의 1차성형기(1)는 반유동상태의 함침제를 가압통(11)내에 투입하고, 나선축(13)을 경유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가압핸들(12)을 회전시켜 상기 가압통(11)내의 함침제를 가압하므로써 가압된 함침제가 노즐(14)을 통하여 선형압출물(3)로 압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 성형된 선형압출물(3)을 도 2의 2차성형기(2)에서 환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2차성형기(2)는 절단돌기(22)와 절단홈(23)이 다수개 연속적으로 성형된 절단드럼(21) 2개를 서로 면접하도록 맞대고, 절단드럼(21)의 회전축에 일체로 취부된 연동기어(24)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다수의 원형홈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이들 면접된 절단드럼(21)들을 벨트풀리(25)에 연결된 전동벨트(26)를 경유하여 전동모터(27)로 회전시키면서 선형압출물(3)을 상기 절단드럼(21)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투입하므로써 선형압출물(3)을 다수의 환형압출물(4)로 성형할 수 있다.
도 1에는 반유동상태의 함침제를 선형압출물(3)로 성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수동식 성형기를 나타내고 있으나, 전동모터(27)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전동식도 가능하며, 도 1 및 도 2의 1차성형기(1)와 2차성형기(2)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유사한 성형이 가능한 다른 변형예들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환형으로 성형한 함침제는 함침제에 고정된 유효성분들이 함침제로부터 쉽게 용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서서히 방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표면이 피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성형된 함침제의 표면에 서방성의 향상을 위하여 1차로 수지피복층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유황피복층을 형성시킨 2중의 피복층의 구조를 갖도록 하므로써 서방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1차 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수지로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일반적인 수지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상표명 노볼락 등의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수지 등의 페놀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범용수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피복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상기 결합제를 포함하는 서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5중량부의 양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량이 1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후속하는 유황피복에도 불구하고 서방성의 향상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3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유효성분의 방출이 곤란하게 되어 비료나 농약의 유효성분이 적기에 적절히 방출되지 못하여 시비효과나 약효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 범용수지로는 요소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5 내지 5.5의 산성조건 하에서 요소와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수득된 요소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차 유황피복층의 경우에도 유황피복층을 구성하는 유황 역시 상기 1차 수지피복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사용량과 동일하게 상기 결합제를 포함하는 서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5중량부의 양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량이 1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역시 서방성의 향상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3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유효성분의 방출이 곤란하게 되어 비료나 농약의 유효성분이 적기에 적절히 방출되지 못하여 시비효과나 약효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2중의 피복층에 의하여 함침제내에 고정된 유효성분은 서서히 방출되는 서방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수지피복층과 유황피복층의 피복두께를 피복량의 조절에 의하여 달성토록 함으로써 소정의 서방속도를 갖는 서방제의 제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을 증가시킨 서방제의 제조방법은 폐지 등을 해섬하고, 건조하여 수득된 재생펄프에 비료 및 농약의 유효성분을 함침시키는 함침제의 준비단계; 상기 함침제를 성형하는 성형단계; 성형된 함침제의 표면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상표명 노볼락 등의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수지 등의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범용수지를 피복시켜 1차 수지피복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지피복층이 형성된 함침제의 표면에 액상 유황을 피복시켜 유황피복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침제의 준비단계에서는 신문지나 기타 인쇄된 종이 등 폐지류를 수거하여 이를 탈묵, 탈지시켜 반유동성을 갖는 펄프로 재생하는 단계로서,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알럼(Alum ; (Al2(SO4)3)) 또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화학약품으로 처리하여 탈묵, 탈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상기 함침제를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외형이나 크기에 제한되지 않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직경 2 내지 20mm의 환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환형으로 성형된 함침제의 표면에는 우선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범용수지를 사용하여 1차 수지피복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범용수지의 피복에 의한 수지피복층의 형성은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스프레이어(sprayer) 등을 사용한 분무피복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분무피복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유동층피복장치 또는 분류층피복장치와 같은 상용적인 피복장치들의 사용도 가능함은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바이다.
또한, 2차 유황피복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액상의 유황을 담은 용기내로 상기 1차 수지피복층이 형성된 함침제를 담그기(dipping)에 의하여 담갔다가 건져내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유황의 피복량은 담그는 시간 및 유황의 점도 등의 조절 등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한 1차 수지피복층의 형성에서와 마찬가지로 분무피복 등에 의하여도 피복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10
함침제로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알럼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탈묵, 탈지하여 해섬된 재생펄프를 건조시킨 후, 유효성분으로서 포화요소수용액(물 100g에 요소 65.5g을 용해시켜 얻어지는 농도에 해당함)에 함침시켜 요소를 함침제에 고정시켰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에 따라 요소수지와 유황의 피복량을 달리하면서 상기 함침제의 표면에 1차 수지피복층과 2차 유황피복층을 형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서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서방제들의 100중량부에 대한 보유질소함량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고, 30℃의 물에 수중용출시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질소성분의 용해도(단위 ; %)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수지피복량(중량부) 황피복량(중량부) 보유질소함량 용해 시간(hr)
24 48 72
실시예 1 30 30 12.6 16.3 24.6 39.8
실시예 2 30 20 18.2 21.4 32.3 48.7
실시예 3 30 10 31.3 25.1 58.4 62.6
실시예 4 30 5 35.6 32.8 79.3 91.5
실시예 5 20 20 27.2 24.4 40.6 50.3
실시예 6 20 10 29.7 23.2 49.4 50.6
실시예 7 20 5 30.2 30.5 72.2 83.7
실시예 8 10 20 29.3 23.6 47.1 53.4
실시예 9 10 10 31.4 24.4 62.7 73.5
실시예 10 5 5 34.8 30.6 72.4 88.7
* 단위 : %* 수지피복량 및 황피복량의 중량부는 서방제 100중량부에 대한 첨가량임
비교예 1 내지 6
함침제로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계면활성제 또는 알럼을 사용하여 해섬된 재생펄프를 건조시킨 후, 유효성분으로서 포화요소수용액(물 100g에 요소 65.5g을 용해시켜 얻어지는 농도에 해당함)에 함침시켜 요소를 함침제에 고정시켰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에 따라 요소수지의 피복량을 달리하면서 상기 함침제의 표면에 1차 수지피복층만을 형성시켜 종래의 서방제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보유질소함량 및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질소성분의 용해도(단위 ; %)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수지피복량(중량부) 보유질소함량 용해 시간(hr)
24 48 72
비교예 1 30 35.4 64.2 72.6 88.2
비교예 2 25 32.6 63.3 78.3 89.1
비교예 3 20 31.8 62.8 78.1 89.6
비교예 4 15 30.6 62.6 80.2 92.3
비교예 5 10 30.4 62.9 84.3 96.2
비교예 6 5 30.1 61.7 88.6 96.4
* 단위 : %* 수지피복량 및 황피복량의 중량부는 서방제 100중량부에 대한 첨가량임
상기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을 종합한 결과, 단순히 요소수지 등 1차 수지피복층 만을 형성시킨 비교예들의 경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리나라 농림부 고시 제1996-96 호의 비료공고규격에 의한 서방성 비료의 공정규격이 요구하는 보유질소함량이 20% 이상으로 서방성 요소비료로서의 요소함량은 충족되지만, 서방성이 30℃의 물 중에서 24시간 내에 25% 미만이 용출되어야 하나, 비교예들은 이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방성의 요건에 미달됨을 보여주고 있음에 비하여, 본원발명에 따르면, 일부 실시예들을 제외한 거의 모든 실시예들에서 보유질소함량이 20%를 초과하고 있으며, 서방성도 30℃의 물 중에서 24시간 내에 25% 미만으로 용출됨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방성이 우수한 서방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의하여 농업에서의 노동력 절감, 환경오염의 예방 및 우수한 시비효과와 약효 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폐지 등을 해섬하고 건조하여 수득된 재생펄프에 비료 및 농약의 유효성분을 함침시켜 반유동상태로 만든 후 환형으로 성형한 함침제의 표면에 수지로 수지피복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지피복층의 표면에 유황으로 유황피복층을 더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을 증가시킨 서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제에 전분이나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결합제가 상기 서방제 100중량부에 1 내지 5중량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서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상표명 노볼락 등의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수지 등의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범용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서방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상기 결합제를 포함하는 서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5중량부의 양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서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황이 상기 결합제를 포함하는 서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5중량부의 양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서방제.
  6. 폐지 등을 해섬하고, 건조하여 수득된 재생펄프에 비료 및 농약의 유효성분을 함침시켜 반 유동상태의 함침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함침제를 환형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성형된 함침제의 표면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상표명 노볼락 등의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수지 등의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범용수지를 피복시켜 1차 수지피복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지피복층이 형성된 함침제의 표면에 액상 유황을 피복시켜 유황피복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및 농약의 서방성을 증가시킨 서방제의 제조방법.
KR1019980022904A 1998-06-18 1998-06-18 비료및농약의서방성을증가시킨서방제및그의제조방법 KR100312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904A KR100312010B1 (ko) 1998-06-18 1998-06-18 비료및농약의서방성을증가시킨서방제및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904A KR100312010B1 (ko) 1998-06-18 1998-06-18 비료및농약의서방성을증가시킨서방제및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248A KR20000002248A (ko) 2000-01-15
KR100312010B1 true KR100312010B1 (ko) 2002-10-12

Family

ID=1953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904A KR100312010B1 (ko) 1998-06-18 1998-06-18 비료및농약의서방성을증가시킨서방제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568B1 (ko) 2016-10-20 2018-03-07 김경수 금과 유황을 함유한 과실을 재배하기 위한 액상비료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재배된 과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578B1 (ko) * 2013-05-24 2015-01-21 주식회사 리더스케미컬 지효성을 갖는 매트릭스형 입상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매트릭스형 입상복합비료
CN114349575A (zh) * 2022-02-14 2022-04-15 湖南省核农学与航天育种研究所 一种有机质载体控释肥的生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372A (ko) * 1996-03-18 1997-10-13 이병근 비료 및 농약의 완효성을 증가시킨 보호피막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372A (ko) * 1996-03-18 1997-10-13 이병근 비료 및 농약의 완효성을 증가시킨 보호피막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568B1 (ko) 2016-10-20 2018-03-07 김경수 금과 유황을 함유한 과실을 재배하기 위한 액상비료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재배된 과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248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1396B1 (en) Microcapsules and microencapsulation process
DE4017602C2 (de) Verfahren zur Verleimung von Lignocellulosematerial mit gasförmigen Estern
EP0005302B1 (en) Impregnated porous granules with slow-release pore membranes,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3929453A (en) Composites of lignin and 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DE2855065A1 (de) Verfahren zur einkapselung durch grenzflaechen-polykondensation
DE50203642D1 (de) Beschichtete körnige stoffe
KR100312010B1 (ko) 비료및농약의서방성을증가시킨서방제및그의제조방법
US20040033248A1 (en) Pesticide carrier and products
AU737838B2 (en) Film-coated fertilizer with controlled nutrient release
IL87560A (en) Microencapsulation of active materials, such as agrochemicals and pharmaceuticals, into polymers
CN107201078A (zh) 一种环保型高附着力的彩晶玻璃油墨及其制备方法
EP115913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lächigen zubereitung mit wenigstens einer einschichtigen wirkstoffmatrix
CA3142417A1 (en) Controlled-release fertilizer compositions
EP3652131B1 (de) Mit polyharnstoff und polyurethan beschichtete harnstoffhaltige düngemittelteilch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0187473B1 (ko) 비료 및 농약의 완효성을 증가시킨 활성성분 완효제 그의 제조방법
EP0515959B1 (de) Granulat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274348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ologisch wirksamen granulaten
US6692800B1 (en) Method of reducing migration of aldehyde compounds in packaging
DE1103073B (de) Saatgutbehandlungsmittel in koerniger, drillfaehiger Form
EP0229196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Mehrlagen-Fasermaterials, insbesondere Pappe
DE60221015T2 (de) Behälter oder deckel aus thermoplastischem material und verfahren zu seiner behandlung
KR820002243B1 (ko) 방출제어공막을 갖는 함침된 다공성 과립체
WO1999040046A1 (de) Folienumhülltes düngemittel mit gezielter nährstofffreisetzung
MXPA99002977A (en) Foil-coated fertilizer for targeted release of nutrients
SU757621A1 (ru) Переплет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