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005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005B1
KR100312005B1 KR1019990046199A KR19990046199A KR100312005B1 KR 100312005 B1 KR100312005 B1 KR 100312005B1 KR 1019990046199 A KR1019990046199 A KR 1019990046199A KR 19990046199 A KR19990046199 A KR 19990046199A KR 100312005 B1 KR100312005 B1 KR 100312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iece
male member
buckle
engaging portion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552A (ko
Inventor
이케다야스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0004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과제) 수부재의 각 걸어맞춤부가 조작하기 쉽도록 되어, 탄성편이 파손될 위험이 없는 버클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삽입구멍(3)및 걸림부(5)가 형성된 중공통형의 암부재(1)와, 턱부(12)의 전면(12f) 양단부에, 걸어맞춤부(15)가 선단에 형성된 삽입구멍(3)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편(16A)을 대향시켜 형성한 수부재(11)로 구성되는 버클에 있어서, 각 걸어맞춤부(15)의 일단측을 턱부(12)의 전면(12f)에 제1탄성편(16)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각 걸어맞춤부(15)의 다른 단측끼리를 제2탄성편(18)으로 연결하고, 제1탄성편(16)을 제2탄성편(18)보다도 얇게 한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벨트나 스트랩(멜빵)등의 양단을 상호 연합하는 분리가능한 암부재와 수부재로 구성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버클은, 삽입구멍및 걸림부가 설정된 중공통형의 암부재와, 턱부의 전면 양단부에, 걸어맞춤부가 선단에 형성된 암부재의 삽입구멍에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편을 대향시켜 형성한 수부재로 구성되어있다.
상기한 암부재를 구성하는 편평한 중공통은, 전면이 개방되어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벽에 트임구멍이 만들어져 걸림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후단에,예를 들어 벨트의 단부를 부착하거나 고정하는 부착기구가 만들어져 있다.
또한, 수부재의 턱부에도, 벨트의 단부를 부착하거나 고정하는 부착기구가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탄성편은, 턱부의 전면에 기립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버클의 착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부착기구를 이용하여 벨트의 양단부를 암부재 및 수부재에 달고, 수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암부재의 중공통내에, 즉 삽입구멍에 삽입하면, 각 걸어맞춤부가 중공통의 상하벽의 내측에 맞붙어, 각 탄성편이 턱부측의 기단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내측으로 휘기때문에, 걸어맞춤부및 탄성편을 중공통내로 삽입할 수가 있다.
그리고, 턱부가 중공통에 맞붙는 상태가 될 때까지 걸어맞춤부 및 탄성편을 중공통내로 삽입하면, 각 걸어맞침부가 트임구멍과 대향하므로, 탄성편의 부세력으로 각 걸어맞춤부가 각 트임구멍으로 돌입하고, 트임구멍을 형성하는 앞측 가장자리인 걸림부와 대향하여, 암부재와 수부재와 결합된다.
또한, 암부재와 수부재를 분리시키는 경우는, 각 트임부분에 손가락을 대고 각 걸어맞춤부를 눌러서 탄성편을 휘게하여, 각 걸어맞춤부와 걸림부와의 대향을 해제시킨 후, 그 상태에서 암부재와 수부재를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암부재와 수부재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버클은, 예를 들어 특개소59-82803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버클의 수부재는 턱부의 전면으로부터 탄성편이 기립하고 있다.
따라서, 암부재와 수부재를 분리시키는 경우, 각 걸어맞춤부를 누름으로써 각 탄성편이 턱부측의 기단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내측에 둥근활모양의 궤적(수레바퀴가 지나간 흔적)으로 휘기때문에, 걸어맞춤부의 눌림방향이 수부재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지 않아, 각 걸어맞춤부를 누르기(조작하기)가 어려웠다.
또, 걸어맞춤부의 사이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걸어맞춤부의 사이에 끈등이 들어가 걸어맞춤부에 걸려, 필요이상의 응력이 가해지면, 탄성편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부재의 각 걸어맞춤부를 누르기(조작하기)쉽도록 하여, 탄성편이 파손될 우려가 없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버클을 구성하는 암부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암부재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버클을 구성하는 수부재의 정면도
도 6은 도5에 나타낸 수부재의 저면도
도 7은 도 5의 C-C 단면도
도 8은 암부재에 수부재를 결합시킨 상태의 암부재의 상측부분을 단면으로 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수부재와, 종래예의 수부재와의 길이를 비교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버클을 구성하는 수부재의 정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부재 2 - 중공통
3 - 삽입구멍 4 - 트인구멍
5 - 걸림부 6, 7 - 가이드리브
8 - 평판부 9 - 구멍
11 - 수부재 12 - 턱부
12f - 전면 13 - 구멍
14 - 축 15 - 걸어맞춤부
16 - 제1탄성편 16A - 탄성편
17 - 오목부 18 - 제2탄성편
18a - 얇은부분 19 - 피가이드부
a - 길이 b - 오버랩길이
본 발명은 삽입구멍 및 걸어맞춤부가 설치된 중공통형의 암부재와, 턱부의 전면 양단부에, 걸어맞춤부가 선단에 형성된 삽입구멍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편을 대향시켜 만든 수재부로 구성되는 버클에 있어서, 각 걸어맞춤부의 일단측을 턱부의 전면에 제1부탄성편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각 걸어맞춤부의 타단측끼리를 제2탄성편으로 연결하고, 각 제1탄성편 또는 제2탄성편중 한 쪽을 다른 쪽보다 얇게 한 것이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그림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버클을 구성하는 암부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암부재의 저면도, 도 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도 4에서, 1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암부재를 타나내며, 편평한 중공통(2)과, 그 중공통(2)의 후단에 상하 직경으로 연이어 형성된 평편부(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중공통(2)은 전면에서 후단까지 개방되어 삽입공(3)이 만들어져 있으며, 상하벽에 트임구멍이 만들어져 트임구멍(4)의 전측연이 걸림부(5)로 되어 있다.
그리고, 중공통(2)의 앞벽내측에 두 조의 가이드리브(6)가 연이어 형성됨과 아울러, 중공통(2)의 뒷벽내측에, 가이드리브(6)에 대응하는 두조의 가이드리브(7)가 연이어 형성되어, 가이드리브6, 7은 후단에서 연결되어 스토퍼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중공통(2)과 평판부(8)의 사이에, 벨트를 끼워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9)이 형성되어, 평판부(8)와 구멍(9)에 의해서 벨트를 부착하는 부착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1)는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버클을 구성하는 수부재의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수재부의 저면도, 도 7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8은 암부재에 수부재를 결합시킨 상태의 암부재의 상측부분을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5∼도 8에서, 11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수부재를 나타내며, 턱부(12)와, 외측후단이 중공통(2)의 걸림부(5)에 맞춰지는 2개의 걸어맞춤부(15)와, 각 걸어맞춤부(15)의 일단측(뒷측)을 턱부(12)의 전면(12f) 양단부분에 연결하는 2개의 제1탄성편(16), 걸어맞춤부(15)의 타단측(전측 또는 선단측)끼리를 연결하는 제2탄성편(18), 턱부(12) 전면(12f)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제2탄성편(18)의 중심에 연결된 피가이드부(1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턱부(12)에는 앞뒤로 관통하는 구멍(13)이 만들어짐과 아울러, 이 구멍(13)을 좌우로 분할하도록 축(14)이 만들어져있다.
이 구멍(13)과 축(14)에 의해서 벨트를 달거나 고정하는 부착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제1탄성편(16)은, 턱부(12)의 전면(12f)의 양단부분에 형성된 오목부(17)의 외측에 만들어져, 턱부(12)와 길이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있다.
그리고, 피가이드부(19)는 중공통(2)의 가이드리브(6, 7)로 안내되어 앞뒤운동을 하는 부분이다.
또, 제1탄성편(16)과 제2탄성편(18)에서는 제1탄성편(16)쪽이 얇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걸어맞춤부(15), 제2탄성편(18)은 둥근활면을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걸어맞춤부(15), 제1및 제2탄성편(16, 18), 피가이드부(19)가 중공통(2)의 삽입구멍(3)내로 삽입되는 부분이 되므로, 걸어맞춤부(15), 제2및 제2탄성편(16, 18), 피가이드부(19)로 둘러싸인 부분은 구멍이 되어있다.
그리고, 수부재(11)은 상하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버클의 착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부착기능을 이용하여 벨트의 양단부를 암부재(1)및 수부재(11)에 부착하고, 수부재(11)의 걸어맞춤부(15)를 암부재(1)의 중공통(2)안에, 즉 삽입구멍(3)에 삽입하면, 각 걸어맞춤부(15)가 중공통(2)의 상하벽의 내측에 맞붙으므로써, 각 탄성편(16, 18)이 휘면서, 각 걸어맞춤부(15)가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각 걸어맞춤부(15)가 중공통(2)의 상하벽의 내측에 맞붙으면, 제1탄성편(16)이 얇게 구성되고 제2탄성편(18)이 두껍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걸어맞춤부(15)는 제2탄성편(18)의 얇은부분(18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1탄성편(16)을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변형시켜, 각 걸어맞춤부(15)가 수부재(1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걸어맞춤부(15), 제1및 제2탄성편(16, 18), 피가이드부(19)를 중공통(2)내로 삽입할 수가 있다.
그래서, 턱부(12)가 중공통(2)에 맞붙은 상태, 즉 도 8에 나타낸 상태가 될 때까지 걸어맞춤부(15), 제1및 제2 탄성편(16, 18), 피가이드(19)를 중공통(2)내로 삽입하면, 도 8에 이중점선으로 나타나듯이, 각 걸어맞춤부(15)가 트임구멍(4)과 대향하기 때문에, 도 8에 실선으로 나타나듯이, 각 탄성편(16, 18)의 부세력으로 각 걸어맞춤부(15)가 대응하는 각 트임구멍(4)안으로 돌입하여 걸림부(5)와 대향하므로써, 암부재(1)로부터 수부재(11)가 빠지지 않도록 암부재(1)와 수부재(11)가 결합된다.
또, 암부재(1)와 수부재(11)을 분리시키는 경우는, 각 트인구멍(4)부분에 손가락을 대고 각 걸어맞춤부(15)를 눌러서, 각 탄성편(16, 18)을 휘도록 하여, 각 걸어맞춤부(15)를 수부재(1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각 걸어맞춤부(15)와 대응하는 걸림부(5)와의 대향을 해제시킨 후, 그 상태로 암부재(1)과 수부재(11)를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암부재(1)과 수부재(11)을 분리시킬 수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수부재와, 종래예의 수부재과의 길이를 비교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하측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수부재이며, 상측이 종래예의 수부재이다.
그리고, 종래예의 수부재에도,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수부재과 동일하거나 상당하는 부분에 동일부호가 붙어있다.
도 9에서, 16A는 탄성편을 나타낸다.
a는 걸어맞춤부(15)를 후퇴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제1탄성편(16), 탄성편(16A)의 길이, b는 턱부(12)와 제1탄성편(16)이 길이방향으로 오버되는 오로랩길이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턱부(12)의 전편(12f)에, 제1탄성편(16), 걸어맞춤부(15), 제2탄성편(18), 걸어맞춤부(15), 제1탄성편(16)의 순으로 환상으로 연이어 형성되며, 제1탄성편(16)을 제2탄성편(18)보다도 얇게 했으므로, 각 걸어맞춤부(15)는 눌리면, 제2탄성편(18)의 일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1탄성편(16)을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변형시키기때문에, 수부재(1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각 걸어맞춤부(15)의 눌림방향과 이동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각 걸어맞춤부(15)가 조작하기 쉬워진다.
또, 제1탄성편(16), 걸어맞춤부(15), 제2탄성편(18)은 턱부(12)의 전면(12f)에 환상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암부재(1)으로의 삽입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또, 끈등이 걸리는 일이 없어므로, 제1탄성편(16)등이 파손될 우려가 없어진다.
그리고, 턱부(12) 전면(12f)의 제1탄성편(16)으로 끼인 양단부분에 오목부(17)를 만들어, 도 9에서 보듯, 턱부(12)와 제1탄성편(16)을 길이방향으로 오버랩시켰으므로, 턱부(12)과 제1탄성편(16)이 오버되는 오버랩길이(b)만큼 수부재(11)의 길이를 짧게할 수가 있어, 결합상태에서 버클의 길이를 짧게할 수가 있다.
따라서, 벨트의 폭이 좁아진 경우, 제1탄성편(16)의 길이 및 휨에 대한 비율을 확보하면서 수부재(11)의 전장을 짧게 하여, 암부재(1)과 수부재(11)를 결합시킨 전체길이가 옆으로 길어지지 않도록 할 수가 있어, 버클의 폭과 전장길이와의 발란스를 지킬 수가 있다.
또한, 오목부(17)의 깊이를 깊게하면 할수록, 오버길이(b)를 길게할 수가 있어, 수부재(11)및 버클의 전체 길이를 짧게할 수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버클을 구성하는 수부재의 정면도이다.
이 제2실시형태에서의 수부재(11)가 제1실시형태에서의 수부재(11)과 다른 것은 제2탄성편(18)쪽이 제1탄성편(16)보다도 얇게 구성되어 있는 점과, 피가이드부(19)가 없다는 점이다.
또한, 이 제2실시형태에서의 암부재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암부재(1)와 동일한 구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렇게 수부재(11)를 구성하여도, 각 걸어맞춤부(15)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각 걸어맞춤부(15)과 마찬가지로, 수부재(1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1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탄성편(16)을 제2탄성편(18)보다도 얇게 했으나, 제2탄성편(18)을 제1탄성편(16)보다도 얇게 하고, 제1탄성편(16)의 기단측(턱부(12)측)을 중심으로 하여 걸어맞춤부(15)를 회동시켜, 제2탄성편(18)의 변형하는 길이를 확보하므로써, 각 걸어맞춤부(15)는 수부재(1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제2탄성편(18)에 얇은부분(18a)를 만들었으나, 얇은부분(18a)을 만들지 않아도, 제2탄성편(18)의 일부를 중심으로 하여 각 제1탄성편(16)은 회동한다.
더욱이, 수부재(11)의 암부제(1)로의 삽입성(조작성)을 고려하면, 걸어맞춤부(15)의 이동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나, 제1탄성편(16)쪽을 얇게 한 편이 수부재(11)의 삽입성이 좋아진다.
이상과 같아. 본 발명에 의하면, 턱부의 전면에 제1탄성편, 걸어맞춤부, 제2탄성편, 걸어맞춤부, 제1탄성편의 순으로 환상으로 연설하여, 각 제1탄성편 또는 제2탄성편중 어느 것 한 쪽을 다른 쪽보다도 얇게 했으므로, 각 걸어맞춤부는 눌리면, 두껍게 형성된, 예를 들면 제2탄성편의 일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1탄성편을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변형시키기 때문에, 수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각 걸어맞춤부의 눌리방향과 이동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각 걸어맞춤부가 누르기 쉬워진다.
또한, 제1탄성편, 걸어맞춤부, 제2탄성편은 턱부의 전면에, 환상으로 연설되어 있으므로, 암부재로의 삽입이 부드럽게 실시되고, 또, 끈등이 걸리는 일이 없어지므로, 제1탄성편등이 파손될 우려가 없어진다.

Claims (1)

  1. 삽입구멍 및 걸림부가 형성된 중공통형의 암부재와, 턱부의 전면 양단부에, 걸어맞춤부가 선단에 형성된 삽입구멍으로 삽입되는 탄성편을 대향시켜 형성한 수부재로 구성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각 걸어맞춤부의 일단측을 상기 턱부의 전면에 제1탄성편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각 걸어맞춤부의 다른 단측끼리를 제2탄성편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탄성편 또는 상기 제2탄성편중 한 쪽을 다른 쪽보다도 얇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19990046199A 1998-12-11 1999-10-23 버클 KR100312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2814 1998-12-11
JP10352814A JP2000166616A (ja) 1998-12-11 1998-12-11 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552A KR20000047552A (ko) 2000-07-25
KR100312005B1 true KR100312005B1 (ko) 2001-11-03

Family

ID=1842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199A KR100312005B1 (ko) 1998-12-11 1999-10-23 버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166616A (ko)
KR (1) KR100312005B1 (ko)
TW (1) TW46839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8101B2 (ja) 2003-04-11 2008-07-3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KR101213328B1 (ko) 2008-01-23 2012-12-1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SE536668C2 (sv) * 2012-07-12 2014-05-13 BabyBjörn AB Säkerhetsspänne
CN107928021B (zh) * 2017-12-15 2024-01-16 鲁绍恒 一种单边扣合式新型扣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552A (ko) 2000-07-25
TW468395U (en) 2001-12-11
JP2000166616A (ja) 2000-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133B1 (en) Buckle
KR970007149B1 (ko) 버클
JP3010537B2 (ja) バックル
KR101258702B1 (ko) 이중 잠금 버클
US4688337A (en) Buckle type fastener
JP3020052B2 (ja) サイド・レリーズ型バックル
US4672725A (en) Snap buckle
EP1466537B1 (en) Buckle
EP0925734A2 (en) Buckle with belt length adjusting means
EP1745712A1 (en) Side-release buckle assembly
TWI528912B (zh) buckle
WO1994012231A1 (en) Endotracheal tube holding and securing device
US6061883A (en) Buckle
KR100312005B1 (ko) 버클
TWI603688B (zh) buckle
KR100298675B1 (ko) 버클
KR100563580B1 (ko)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의 견인탭
KR100472062B1 (ko)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KR100500214B1 (ko) 지퍼견인구의코드파스너
JP5796541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具
JPH09206113A (ja) プラスチック製ガイドレスバックル
JP4520655B2 (ja) バックル
JPH06154012A (ja) バックル
JP3980318B2 (ja) ケーブル保護部材
JPH03191732A (ja) 猫用首輪のバックル及び猫用首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