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895B1 - 양돈용 사료 공급기 - Google Patents

양돈용 사료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895B1
KR100311895B1 KR1019990033726A KR19990033726A KR100311895B1 KR 100311895 B1 KR100311895 B1 KR 100311895B1 KR 1019990033726 A KR1019990033726 A KR 1019990033726A KR 19990033726 A KR19990033726 A KR 19990033726A KR 100311895 B1 KR100311895 B1 KR 100311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eeder
partition plate
pi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7766A (ko
Inventor
가즈미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즈미 후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미 후지이 filed Critical 가즈미 후지이
Publication of KR2000006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895B1/ko

Li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사료 공급조의 및 이에 기인하는 새집모양의 공간의 발생을 거의 완전하게 방지하여 적량의 사료를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며 저렴한 양돈용 사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1)에 사료 공급조(10)내의 거의 중앙부에(13) 현수간(13)의 중간부에 간막이판(14)을 설치함과 동시에 현수간(13)의 하단부에 사료 배출 통상체(16)를 연결한 사료 배출기구(4)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브릿지 및 이에 기인하는 새집모양의 공간의 발생을 거의 완전하게 방지한다. 또한, 간막이판(14)의 하방으로 사료(A)가 유동하는 것을 저해하려는 하방으로부터의 압력이 없고, 사료(A)의 전후좌우로의 심한 진동에 의해서도 유동이 촉진되어 사료(A)는 그 간극(a)으로부터 순조롭게 하방으로 유동한다.

Description

양돈용 사료 공급기{APPARATUS FOR SUPPLYING FEED TO HOGS}
본 발명은 돼지에게 사료를 주는데 적합한 양돈용 사료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는 어느 것이나 사료 공급조 하부의 직경을 점차로 작게 하거나 폭을 좁게 하고 있었으므로, 중력에 의해 사료를 자연적으로 낙하시키는 것에 있어서는, 사료 공급조 하부의 사료가 브릿지 상태로 되기가 쉬워서 사료 공급조 하단의 사료 배출구로부터 사료가 배출되지 않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사료 공급조내에 교반기를 설치하여 사료의 낙하를 조장하는 것에 있어서는, 사료가 브릿지 상태로 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지만 동력원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료 공급조내 청소가 번거로운 문제가 남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를 고정하고 사료 공급조(302)내를 삽입통과시켜 하단부를 사료 공급조(302)의 하단 개구(302a)로부터 돌출시킨 현수축(303)을 설치하고 이 현수축(303)의 하단부에 사료 수납판(304)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양돈용 사료 공급기(301)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제 93-39256 호 공보).
이 양돈용 사료 공급기(301)에 의하면, 돼지가 코나 입으로 사료 수납판(304)을 압박함으로써 현수축(303)이 요동함과 동시에 사료 수납판(304)이 회전 또는 요동하기 때문에, 사료 공급조(302)내의 사료(A)가 교반되어져 브릿지 상태로 되는 것이 거의 방지되므로, 사료 공급조(302)의 하단 개구(302a)로부터 비교적 순조롭게 배출되며 바닥통(305)내로 낙하한다.
그러나, 상기 양돈용 사료 공급기(301)에 있어서도, 사료 공급조(302)의 하부 직경이 점차로 작아지며 사료 수납판(304)은 평탄한 원판형이고 하단개구(302a)의 간극이 좁기 때문에, 사료(A)의 중량으로 인해서 사료 공급조(302)의 하단부에 아무래도 사료(A)가 응집되기 쉽고, 브릿지 및 이에 기인하는 새집모양의 공간(B)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하단 개구(302a)에서 사료(A)가 막히거나 뚝뚝 떨어지기 쉬워서 적량의 사료(A)를 양호하게 배출하기는 곤란하였다. 그러므로 빈번히 사료 수납판(304) 및 사료 공급조(302)의 하단부를 청소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행하여진 것으로, 사료 공급조의 하단부에서 브릿지 및 이에 기인하는 새집모양의 공간의 발생을 거의 완전히 방지하여 하단 개구에서 사료가 막히거나 뚝뚝 떨어지는 것을 막고 적량의 사료를 양호하게 배출할 수가 있어서 빈번히 사료 공급조의 하단부 등을 청소하는 일이 필요없으며 게다가 구조가 간단하며 저렴한 양돈용 사료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는 사료 공급조내에 삽입통과시킨 현수간의 중간부에 간막이판을 설치하고, 상기 현수간의 하단부에 이것을 요동시키는 부재를 연결하고 있는 사료 배출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브릿지 및 이에 기인하는 새집모양의 공간도 발생하지 않고, 더 나아가 간막이판의 하방으로 사료가 유동하는 것을 저해하려는 하방으로부터의 압력이 없고, 사료의 전후좌우로의 심한 진동에 의하여 유동이 촉진되어, 사료가 이 간극으로부터 순조롭게 하방으로 유동하여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간막이판은 작은 구멍이 천공되지 않은 얇은 판상체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간막이판은 다수의 작은 구멍이 천공된 얇은 판상체이어도 좋고, 이렇게 하면 천공된 작은 구멍으로부터도 사료가 순조롭게 하방으로 유동하여 낙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간막이판은 경사면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이렇게 하면 사료 공급조내의 사료를 낭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료를 순조롭게 배출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요동 부재의 하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절결부를 형성하면 사료를 보다 순조롭게 유출시킴과 동시에 절결부가 응고된 사료를 긁어내는 작용을 발휘하여 사료 배출구를 폐색시키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요부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료 배출량 조정기구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5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료 배출구가 비교적 좁은 경우와 비교적 넓은 경우에 있어서 사료 배출 규제판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요부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료 배출 통상체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사시도,
도 17은 종래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51 : 양돈용 사료 공급기 3 : 사료 공급조
4 : 사료 배출기구 13 : 현수간
14 : 간막이판 16 : 사료 배출 통상체
101, 131, 151 : 양돈용 사료 공급기
102 : 사료 배출기구 103, 203 : 간막이판
104a : 작은 구멍 105a : 작은 구멍
201, 231, 251 : 양돈용 사료 공급기
204 : 사료 배출 통상체 205 : 절결부
이하 본 발명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의 양호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양돈용 사료 공급기(1)인데, 사료 공급기 통체(2), 사료 공급조(3), 사료 배출기구(4) 및 사료 배출량 조정기구(5)로 이루어진다.
사료 공급기 통체(2)는 바닥통부(6)의 주위에 주변 벽부(7)를 설치하며, 바닥통부(6)의 중앙부에 평탄한 융기부(8)를 형성하고 더 나아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기부(8)의 중앙부에 산모양의 돌출부(9)를 형성하고 있다.
사료 공급조(3)는 원통형부(10)의 하단에 하방을 향하여 점차로 직경이 축소된 원추형부(11)를 접속하고 또한 원추형부(11)의 하단에 사료 낙하통부(12)를 접속하고 원통형부(10)를 상기 주변 벽부(7)의 상반부에 고착하고 있다.
사료 배출기구(4)는 사료 공급조(3)내의 대략 중앙부를 삽입통과시킨 현수간(13)의 중간부에 얇은 원판상의 간막이판(14)을 설치하고 하단부에 연결판(15)을 거쳐서 하방을 향해서 점차로 직경이 확대되는 사료 배출 통상체(16)를 연결하고 있다.
간막이판(14)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추형부(11)내의 적절한 위치에 대략 수평 상태로 배치하고 간막이판(14)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a)을 형성하고 있다.
사료 배출 통상체(16)의 상단은 상기 사료 낙하통부(12)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으며, 사료 배출 통상체(16)의 하단, 상기 융기부(8) 및 상기 돌출부(9)에 의하여 사료 배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사료 배출량 조정기구(5)는 상기 현수간(13)의 상단부에 고착한 너트(18)에 볼트(19)를 나사결합시키고, 그 볼트(19)의 머리부(19a)에 원통상체(20)를 고착하고, 이 원통상체(20)에 조정핸들(21)의 기단부 (21a)를 삽입통과시키고 있다.
볼트(19)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 공급조(3)의원통형부(10)의 내벽면에 양단부를 고착하여 가설한 지지간(22)의 중앙부를 삽입통과시켜, 상하이동 및 좌우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너트(23)가 체결되어 있으며, 회전만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조정핸들(21)은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21b)가 기단부(21a)로부터 절곡 접속되며, 또한 파지부(21c)가 절곡 접속되어 있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1)를 사용할 때에는 조정핸들(21)의 파지부(21c)를 손가락으로 잡아 적절히 회전시켜 볼트(19)를 회전시킴으로써, 그것과 나사 결합된 현수간(13)을 승강 이동시켜 사료(A)의 종류와 환경조건에 알맞도록 간막이판(14) 및 사료 배출 통상체(16)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한다.
평상시에는 간막이판(14)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a)을 비교적 좁게 하여 이 간극(a)으로부터 사료(A)가 거의 하방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해 둔다. 즉, 간막이판(14)으로부터 하방의 원추형부(11)와, 사료 낙하통부(12) 및 사료 배출 통상체(16)내에는 거의 사료(A)가 존재하지 않는 공동상태(C)가 되도록 해 둔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가 코나 입으로 사료 배출 통상체(16)를 압박하여 심하게 요동시키면, 간막이판(14)도 전후좌우로 심하게 요동하고, 간막이판(14)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a)이 바로 광협변화함으로써, 또한 간막이판(14)의 상방 부근의 사료(A)도 전후좌우로 심하게 진동함으로써, 사료(A)는 그 간극(a)으로부터 원추형부(11)를 따라서 하방으로 유동하고 사료 낙하통부(12)를 통과하여 사료 배출 통상체(16)내로 유입되며 이어서 융기부(8)의 경사면을 따라서 유동하여 사료 배출구(17)로부터 유출되어 바닥통부(6)내에 퇴적된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1)에 있어서도 간막이판(14)의 상방 부근의 사료(A)에는 압력이 부가되지만 간막이판(14) 부근의 원추형부(11)의 내경은 종래 사료 공급조의 하단부에 있는 정도의 작은 직경이 아니기 때문에, 이 압력은 비교적 낮아서 사료(A)를 거의 응집시킬 정도에 이르지 못하며, 또한 간막이판(14)의 심한 요동에 수반하여 간막이판(14)의 상방 부근의 사료(A)도 전후좌우로 심하게 진동하므로 사료(A)가 응집한다고 하더라도 세분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 사료(A)는 간막이판(14)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a)으로부터 하방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사료(A)에 부가되는 압력을 주위로 확산하는 효과도 있어서 브릿지 및 이에 기인하는 새집모양의 공간이 거의 완전히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평상시에는 간막이판(14)의 하방은 사료(A)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공동상태(C)이므로, 간막이판(14)이 요동하여 간막이판(14)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a)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광협변화가 있다면 간막이판(14)의 하방으로 사료(A)가 유동하는 것을 저해하려는 하방으로부터의 압력은 없으며, 사료(A)의 전후좌우로의 심한 진동에 의해서도 유동이 촉진되어 사료(A)는 그 간극(a)으로부터 순조롭게 하방으로 유동된다.
도 4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31)이며, 양돈용 사료 공급기(1)와 마찬가지로 사료 공급기 통체(32), 사료 공급조(33), 사료 배출기구(34) 및 사료 배출량 조정기구(35)로 되어 있으며 또한급수관(36)도 부설되어 있다.
사료 공급기 통체(32)는 바닥통부(37)의 양측에 측벽부(38)를 세워 설치하고 있으며 바닥통부(37)의 중앙부에 평탄한 융기부(39)를 형성하고, 또한 융기부(39)의 중앙부에 산모양의 돌출부(4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바닥통부(37)의 양측부에는 물받이부(41)를 형성하고 있고, 측벽부(38)를 따라 상기 급수관(36)을 설치하고, 급수관(36)의 하단부에 고착한 급수구(42)를 물받이부(41)로 향하게 하고 있다.
사료 공급조(33)는 하방을 향하여 점차로 직경이 축소된 각추형부(43)의 하단에 사료 낙하통부(44)를 접속하고 있으며 각추형부(43)의 상단부를 상기 측벽부(38)의 상단부에 고착하고 있다.
사료 배출기구(34)는 사료 공급조(33)내의 거의 중앙부를 삽입통과하는 현수간(45)의 중간부에 얇은 직사각형의 간막이판(46)을 설치하고 하단부에 연결편(47)을 거쳐서 하방을 향하여 점차로 직경이 확대되는 사료 배출 통상체(48)를 연결하고 있다.
간막이판(46)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추형부(43)내의 적절한 위치에 거의 수평 상태로 배치하고 간막이판(46)의 주변 에지와 각추형부(43)의 내벽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b)을 형성하고 있다.
사료 배출 통상체(48)의 상단을 상기 사료 낙하통부(44)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으며, 사료 배출 통상체(48)의 하단, 상기 융기부(39) 및 상기 돌출부(40)에 의해 사료 배출구(49)를 형성하고 있다.
사료 배출량 조정기구(35)는 도 1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1)에 있어서의 사료 배출량 조정기구(5)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각 구성부재에 대해서 사료 배출량 조정기구(5)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31)를 사용할 때의 간막이판(46) 및 사료 배출 통상체(48)의 위치설정 방법 및 돼지가 코나 입으로 사료 배출 통상체(48)를 압박해서 요동시킨 경우의 그 작용과 효과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1)에 있어서와 같다.
도 5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51)이며, 양돈용 사료 공급기(1)와 마찬가지로 사료 공급기 통체(52), 사료 공급기(53), 사료 배출기구(54) 및 사료 배출량 조정기구(55)로 되어 있다.
사료 공급기 통체(52)는 바닥통부(56)의 양측에 측벽부(57)를 설치하고 배면에는 후방벽부(58)를 설치하고 있다.
사료 공급조(53)는 상측 전방벽부(59), 경사벽부(60), 하측 전방벽부(61), 상기 측벽부(57) 및 상기 후방벽부(58)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부까지는 하방을 향해 점차로 폭이 좁아지지만 이후 하단부까지는 거의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료 배출기구(54)는 사료 공급조(53)내의 거의 중앙부를 삽입통과한 현수간(62)의 중간부에 얇은 직사각형의 간막이판(63)을 설치하고, 하단부에 얇은 직사각형의 사료 배출 규제판(64)의 대략 중앙 상단부를 고착하고 있다.
간막이판(63)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 공급조(53)내의 적절한 위치에 거의 수평 상태로 배치하고 간막이판(63)의 주변 에지와 사료 공급조(53)의 내벽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c)을 형성하고 있다.
사료 배출 규제판(64)은 양측 하단부에 U자형의 작용간(65)을 고착하고 있고, 그 상단을 상기 하측 전방벽부(61)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시켜, 그 하단, 상기 측벽부(57) 및 상기 바닥통부(56)의 상면에 의해 사료 배출구(66)를 형성하고 있다.
사료 배출량 조정기구(55)는 도 1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1)에 있어서의 사료 배출량 조정기구(5)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각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사료 배출량 조정기구(5)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51)를 사용할 때에는 조정 핸들(21)을 적절히 회전시켜 현수간(62)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사료(A)의 종류나 환경조건에 적응시킬 수 있도록 간막이판(63) 및 사료 배출 규제판(64)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한다.
평상시에는 간막이판(63)의 주변 에지와 사료 공급조(53)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c)을 비교적 좁게 하고 이 간극(c)으로부터 사료(A)가 거의 하방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해 둔다. 즉, 간막이판(63)에 의해 하방의 사료 공급조(53)내에는 거의 사료(A)가 존재하지 않는 공동상태(C)로 되도록 해둔다.
또한, 사료 배출 규제판(64)을 낮은 위치에 설정하게 되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 배출구(66)의 간극(h1)이, 사료 배출 규제판(64)의 요동 범위와 같이 좁아지므로, 사료 배출구(66)로부터 유출되는 사료(A)는 소량이 되고, 높은 위치로 설정하게 되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 배출구(66)의 간극(h2)이, 사료 배출 규제판(64)의 요동 범위와 같이 넓어지므로 사료 배출구(66)로부터 유출되는사료(A)는 다량이 된다.
돼지가 코나 입으로 작용간(65)을 압박하여 사료 배출 규제판(64)를 심하게 요동시키면 간막이판(63)도 심하게 좌우로 요동하고 간막이판(63)의 주변 에지와 사료 공급조(53)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c)이 바로 광협변화하기 때문에, 또한 간막이판(63)의 상방 부근의 사료(A)가 전후좌우로 심하게 진동하기 때문에 사료(A)는 그 간극(c)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여 사료 배출구(66)로부터 유출되고 바닥통부(56)내에 퇴적한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51)에 있어서 브릿지 및 이에 기인한 새집모양의 공간을 발생시키지 않고 사료(A)가 그 간극(c)으로부터 순조롭게 하방으로 유동하는 것은 양돈용 사료 공급기(1)와 동일한 이유이다.
도 7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101)이지만 사료 배출기구(102)의 간막이판(103) 이외의 구성은 양돈용 사료 공급기(1)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1)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간막이판(103)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얇은 원판부(104)의 주변 에지에 얇은 절곡부(105)를 접속하고 있고 절곡부(105)의 절곡각도는 원추형부(11)의 경사각도와 거의 일치시키고 있다.
또한 원판부(104) 및 절곡부(105)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다수의 작은 구멍(104a, 105a)이 천공되어 있는 데, 이들 작은 구멍(104a, 105a)은 평상시에는 사료가 용이하게 통과하지 않을 정도로 적절한 직경을 가지고 있다.
간막이판(103)도 현수간(13)의 중간부에 설치하지만 원추형부(11)와 사료 낙하통부(12)와의 접속부 부근에 원판부(104)를 거의 수평 상태로 배치하고 절곡부(105)를 원추형부(11)의 내벽면에 거의 접촉시켜 배치하고 있으며 원판부(104)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d)을 비교적 좁게 하고 있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101)를 사용할 때에는 조정 핸들(21)을 적절히 회전시켜 현수간(13)을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사료(A)의 종류나 환경조건에 적응되도록 간막이판(103) 및 사료 배출 통상체(16)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한다.
평상시에는 원판부(104)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d)을 비교적 좁게 하여 이 간극(d)으로부터 사료(A)가 거의 대부분 하방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해둔다. 즉, 간막이판(103)으로부터 하방의 원추형부(11)내, 사료 낙하통부(12)내, 사료 배출 통상체(16)내에는 거의 사료(A)가 존재하지 않는 공동상태(C)가 되도록 해둔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가 코나 입으로 사료 배출 통상체(16)를 압박하여 심하게 요동시키면 간막이판(103)도 전후좌우로 심하게 요동하고 원판부(104)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d)이 바로 광협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또한 간막이판(103)의 상방 부근의 사료(A)가 원판부(104)의 요동에 의해 전후좌우로 심하게 진동함과 동시에 절곡부(105)의 요동에 의해서도 심하게 교반되어지기 때문에, 사료(A)는 이 간극(d)으로부터 또한 작은 구멍(104a, 105a)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여 사료 낙하통부(12)를 통과하고 사료 배출 통상체(16)내로 유입되어 융기부(8)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여 사료 배출구(17)로 유출되어서 바닥통부(6)내에 퇴적된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101)에 있어서도 간막이판(103)의 상방 부근의 사료(A)에는 압력이 부가되지만 간막이판(103) 부근의 원추형부(11)의 내경은 종래의 사료 공급조의 하단부 정도의 작은 직경이 아니기 때문에 그 압력은 비교적 낮으며 사료(A)를 거의 응집시킬 수 있을 정도에는 미치지 못하며, 또한 간막이판(103)의 심한 요동에 수반하여 간막이판(103)의 상방 부근의 사료(A)가 전후좌우로 심하게 진동하는 것과 함께 심하게 교반되어지므로 사료(A)가 응집하더라도 세분화하거나 미세하게 쪼개지는 효과가 있고, 또한 사료(A)는 간막이판(103)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a) 또는 작은 구멍(104a, 105a)으로부터 하방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사료(A)에 부가되는 압력을 주위로 확산시키는 효과도 있으며, 브릿지 및 이에 기인하는 새집모양의 공간의 발생을 거의 완전히 방지한다.
또한, 평상시에는 간막이판(103)의 하방은 사료(A)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공동상태(C)가 되기 때문에 간막이판(103)이 요동해서 원판부(104)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d)이 광협변화만 한다면, 간막이판(103)의 하방으로 사료(A)가 유동하는 것을 저해하는 하방으로부터의 압력은 없으며, 사료(A)의 전후좌우로의 심한 진동과 교반에 의해서도 유동이 촉진되어 사료(A)는 그 간극(d) 또는 작은 구멍(104a, 105a)으로부터 순조롭게 하방으로 낙하한다.
도 9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131)인데 사료 배출기구(132)의 간막이판(133) 이외의 구성은 양돈용 사료 공급기(31)와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31)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간막이판(133)은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얇은 직사각형부(134)의 주변 에지에 얇은 절곡부(135)가 접속되어 있고 절곡부(135)의 절곡각도는 각추형부(43)의 경사각도와 거의 일치한다.
또한, 구형부(134) 및 절곡부(135)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다수의 작은 구멍(134a, 135a)이 천공되어 있는데, 이들 작은 구멍(134a, 135a)은 평상시에는 사료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적당한 직경을 갖고 있다.
간막이판(133)도 현수간(45)의 중간부에 설치하지만 각추형부(43)와 사료 낙하통부(44)의 접속부 부근에 직사각형부(134)를 거의 수평 상태로, 절곡부(135)를 각추형부(43)의 내벽면에 거의 접촉시켜 배치하고 있고, 직사각형부(134)의 주변 에지와 각추형부(43)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e)을 비교적 좁게 하고 있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131)를 사용할 때에는 간막이판(133) 및 사료 배출 통상체(48)의 위치설정 방법 및 돼지가 코나 입으로 사료 배출 통상체(48)를 압박하여 요동시키는 경우의 작용과 효과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101)에 있어서와 동일하다.
도 11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151)인데, 사료 배출기구(152)의 간막이판(153) 이외의 구성은 양돈용 사료 공급기(51)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 양돈용 사료 공급기(51)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간막이판(153)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얇은 직사각형 형상이고 적절한간격으로 다수의 작은 구멍(153a)이 천공되어 있지만, 이들 작은 구멍(153a)은 평상시에는 사료가 용이하게 통과하지 않도록 적당한 직경을 가지고 있다.
간막이판(153)도 현수간(62)의 중간부에 설치하지만 경사벽부(60)와 하측 전방벽부(61)의 접속부 부근의 사료 공급조(53)내에 거의 수평 상태로 배치하고 있고 그 주변 에지와 사료 공급조(53)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f)을 비교적 좁게 하고 있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151)를 사용할 때에는 간막이판(153) 및 사료 배출 규제판(64)의 위치설정의 방법은 양돈용 사료 공급기(51)에 있어서와 거의 일치하며 돼지가 코나 입으로 사료 배출 규제판(64)를 요동시켰을 때 그 작용과 효과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101)에 있어서와 거의 일치한다.
도 12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201)인데 사료 배출기구(202)의 간막이판(203), 사료 배출 통상체(204) 이외의 구성은 양돈용 사료 공급기(1)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1)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간막이판(203)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변 에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얇은 원추형을 이룬다. 간막이판(203)도 현수간(13)의 중간부에 고정하고, 원추형부(11)내의 적절한 위치에 거의 수평 상태로 배치하여 간막이판(203)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g)을 형성하고 있다.
사료 배출 통상체(204)는 마찬가지로 하방을 향해 점차로 직경이 확대되는얇은 통형상의 것인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직사각형 절결부(205)를 형성하고 있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201)를 사용할 때에는 조정 핸들(21)를 적절히 회전시켜 현수간(13)을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사료(A)의 종류와 환경조건에 맞도록 간막이판(203) 및 사료 배출 통상체(204)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한다.
평상시에는 간막이판(203)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g)을 비교적 좁게 하여 이의 간극(g)으로부터 사료(A)가 거의 하방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해둔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가 코나 입으로 사료 배출 통상체(204)를 압박하여 심하게 요동시키면 간막이판(203)도 전후좌우로 심하게 요동하고 간막이판(203)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g)이 바로 광협 변화하기 때문에, 또한 간막이판(203)의 상방 부근의 사료(A)가 전후좌우로 심하게 진동함과 동시에 간막이판(203)의 경사면을 따라 하중이 부가되어지므로 사료(A)는 그 간극(g)으로부터 원추형부(11)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고 사료 낙하통부(12)를 통과하여 사료 배출 통상체(204)내로 유입하며 더 나아가 융기부(8)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여 사료 배출구(17) 및 절결부(205)로부터 유출되고 바닥통부(6)내에 퇴적된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201)에 있어서 간막이판(203)의 상방 부근의 사료(A)에는 압력이 부가되는데 간막이판(203) 부근의 원추형부(11)의 내경은 종래 사료 공급조의 하단부에 있는 정도의 작은 직경이 아니기 때문에, 그 압력은 비교적 낮으며 사료(A)를 응집시킬 정도에 거의 이르지 못한다. 또한 간막이판(203)의 심한 요동에 수반하여 간막이판(203)의 상방 부근의 사료(A)가 전후좌우로 심하게 진동하기 때문에, 사료(A)가 응집하더라도 세분화되거나 미세하게 쪼개지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사료(A)에는 간막이판(203)의 경사를 따라서 하중이 부가되고 간막이판(203)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g)으로부터 하방으로 유동하므로 사료(A)에 부가되는 압력을 주위로 확산시키는 효과도 있어서 브릿지 및 이에 기인한 새집모양의 공간을 거의 완전하게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평상시에는 간막이판(203)의 하방은 사료(A)가 대부분 존재하지 않는 공동상태(C)이기 때문에 간막이판(203)이 요동하여 간막이판(203)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g)이 광협변화만 한다면 간막이판(203)의 하방에 사료(A)가 유동하는 것을 방해하려는 하방으로부터의 압력은 없으며, 사료(A)가 전후좌우로의 심한 진동과 간막이판(203)의 경사면에 따른 하중에 의해서도 유동을 촉진시켜 사료(A)는 그 간극(g)으로부터 순조롭게 하방으로 유동한다.
또한, 양돈용 사료 공급기(1)의 간막이판(14)은 원판상이고, 양돈용 사료 공급기(101)의 간막이판(103)은 원판부(104)를 가지고 있어 간막이판(14, 103)상에 어떻게 하더라도 사료(A)가 존재하지만, 양돈용 사료 공급기(201)의 간막이판(203)은 경사면을 갖는 원추상이기 때문에 간막이판 (203)상에 사료(A)가 잔존하지 않아 사료 공급조(3)내의 사료(A)를 낭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간막이판(203)은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간막이판 (203)의 상방에 있는 사료(A)의 중량은 경사면 방향으로 분산되어 사료 배출 통상체(204)를 보다 작은 힘으로 요동시킬 수 있어 사료(A)를 보다 순조롭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양돈용 사료 공급기(1, 101)의 사료 배출 통상체(16)는 하단이 단순한 원형상 단부 에지이므로, 사료 공급조(3)내에 있는 사료(A)가 소량으로 되어 간막이판(14, 103)에 걸리는 하중이 적어지고 사료 배출 통상체(16)를 보다 작은 힘으로 요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 간막이판(14, 103)의 주변 에지와 원추형부(11)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a, d)으로부터 하방으로 유동하는 사료(A)의 양이 증대하고 사료 배출 통상체(16)의 하단 내부로 사료(A)가 쉽게 퇴적되어 돼지의 타액이나 물 등에 의해 사료(A)가 응고 고착되어 사료 배출구(17)를 폐색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양돈용 사료 공급기(201)의 사료 배출 통상체(204)는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소형의 직사각형 절결부(205)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사료 배출 통상체(204)내로 유입된 사료(A)는 바로 사료 배출구(17) 및 절결부(205)로부터 유출하여 사료 배출 통상체(204)의 하단 내부에 사료(A)가 퇴적하는 일은 거의 없다. 또 사료 배출 통상체(204)의 하단 내부에 예를들어 사료(A)가 응고하더라도 사료 배출 통상체(204)의 요동에 의해 절결부(205)가 응고된 사료(A)를 긁어내는 작용을 하여 사료 배출구(17)를 폐색할 정도에 이르지 못한다.
그러므로 직사각형 절결부(205)는 사료(A)의 유출을 제어함은 물론 고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발휘하여 그 형상, 치수, 간격 등을 적절히 결정하는 것 의해 분말상이나, 입자상 어느 사료(A)라도 순조롭게 사료 배출구(17)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231)인데, 사료 배출기구(232)의 간막이판(233), 사료 배출 통상체(234) 이외의 구성은 양돈용 사료 공급기(31)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31)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간막이판(233)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변 에지를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진 얇은 각추형의 것이다. 간막이판(233)도 현수간(45)의 중간부에 고정하여 각추형부(43)내의 적절한 위치에 대략 수평 상태로 배치하여, 간막이판(233)의 주변 에지와 각추형부(43)의 내벽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i)을 형성하고 있다.
사료 배출 통상체(234)는 마찬가지로 하방을 향하여 점차로 직경이 확대되는 얇은 통상의 것인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소형의 직사각형 절결부(235)를 형성하고 있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231)를 사용할 때에는 간막이판(233) 및 사료 배출 통상체(234)의 위치설정 방법 및 돼지가 코, 입으로 사료 배출 통상체(234)를 압박하여 요동시킨 경우의 작용 및 효과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201)에 있어서와 동일하다.
도 16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251)인데, 사료 배출기구(252)의 간막이판(253) 이외의 구성은 양돈용 사료 공급기(51)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51)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간막이판(253)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단부 에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얇은 산형상의 것이다. 간막이판(253)도 현수간(62)의 중간부에 고정하고 경사벽부(60)와 하측 전방벽부(61)의 접속부 부근의 사료 공급조(53)내에 거의 수평 상태로 배치하여 간막이판(253)의 주변 에지와 사료 공급조(53)의 내벽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j)을 형성하고 있다.
양돈용 사료 공급기(251)를 사용할 때에 간막이판(253) 및 사료 배출 규제판(64)의 위치설정 방법은 양돈용 사료 공급기(51)에 있어서의 그것과 거의 흡사하며, 돼지가 코나 입으로 사료 배출 규제판(64)을 요동시킨 경우의 작용과 효과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201)에 있어서의 그것과 유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에 의하면 브릿지 및 이에 기인하는 새집모양의 공간도 발생하지 않으며, 게다가 간막이판 상하의 압력차 및 사료의 진동에 의해 간막이판과 사료 공급조 내벽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또한 간막이판에 형성된 작은 구멍으로부터 사료가 순조롭게 하방으로 유동되어 낙하한다.
그러므로, 하단 개구 있어서 사료가 막히거나 뚝뚝 떨어지는 일 없이 적량의 사료를 양호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빈번하게 사료 공급조 하단부 등을 청소할 필요가 없다.
또 경사면을 갖는 간막이판을 설치한 양돈용 사료 공급기에 따르면, 간막이판상에 사료가 잔존하는 일이 없어, 사료 공급조내의 사료를 낭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간막이판 상방에 있는 사료의 중량이 경사면 방향으로 분산되어서 사료 배출 통상체를 보다 작은 힘으로 요동시킬 수 있어 사료를 보다 순조롭게 배출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사료 배출 통상체의 하단부에 소정 간격의 절결부를 형성한 양돈용 사료 공급기에서는 사료 배출 통상체내로 유입된 사료를 보다 순조롭게 유출시킴과 동시에 사료 배출 통상체 하단 내부에서 예를들면 사료가 응고하더라도 절결부가 응고된 사료를 긁어내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사료 배출구를 폐색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양돈용 사료 공급기는 사료 배출기구가 간막이판 등 소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아주 간단하며 제조 비용도 저렴하다.

Claims (5)

  1. 사료 공급조내에 삽입통과시킨 현수간의 중간부에 간막이판을 설치하고, 상기 현수간의 하단부에 이것을 요동시키는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사료 배출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판은 작은 구멍이 천공되지 않은 얇은 판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판은 다수의 작은 구멍이 천공된 얇은 판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판은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부재의 하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절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사료 공급기.
KR1019990033726A 1999-04-02 1999-08-16 양돈용 사료 공급기 KR100311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3699 1999-04-02
JP99-097036 1999-04-02
JP99-109707 1999-04-16
JP10970799 1999-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766A KR20000067766A (ko) 2000-11-25
KR100311895B1 true KR100311895B1 (ko) 2001-10-18

Family

ID=5476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726A KR100311895B1 (ko) 1999-04-02 1999-08-16 양돈용 사료 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249A (ja) * 2000-12-25 2002-07-09 Fujii Shokai:Kk 養豚用給餌器
KR100913645B1 (ko) * 2007-08-02 2009-08-24 이창현 양돈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766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389A (en) Feeder for pig-raising
US9192094B2 (en) Adaptable spreader
KR100311895B1 (ko) 양돈용 사료 공급기
JP2008541736A (ja) 給餌装置及び養殖システム
GB2346537A (en) Automatic dry pet food dispenser
US20160021816A1 (en) Adaptable spreader
JP2008029306A (ja) 家畜用給餌器
JP2007074938A (ja) 飼料供給装置
JP3981507B2 (ja) 養豚用給餌器
JP2008253162A (ja) 家畜用給餌器
JP3988907B2 (ja) 養豚用給餌器
KR950009164Y1 (ko) 가축용 급이기
US4694780A (en) Animal actuated feeder
US6417464B2 (en) Extended range feeders
KR20210136756A (ko) 먹이공급용 진동 피더
US4130223A (en) Feed level monitor and control apparatus
JP3031491U (ja) 養豚用給餌器
JP4996911B2 (ja) 多段ケージシステムにおける餌供給装置
JP3019037U (ja) 養豚用給餌器
JPH10155382A (ja) 養豚用給餌器
JP2003235381A (ja) 飼料供給装置
JP2008263786A (ja) 家畜用給餌器
JP2004344584A (ja) タンクレール
JPH08228625A (ja) 飼料給餌器用パーツ
JP2000272759A (ja) 粉粒体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