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763B1 - 숙지황 건조기 - Google Patents

숙지황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763B1
KR100310763B1 KR1019990036231A KR19990036231A KR100310763B1 KR 100310763 B1 KR100310763 B1 KR 100310763B1 KR 1019990036231 A KR1019990036231 A KR 1019990036231A KR 19990036231 A KR19990036231 A KR 19990036231A KR 100310763 B1 KR100310763 B1 KR 100310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sulfur
drying chamber
heating
he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995A (ko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김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101999003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76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지황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겉과 속이 고르게 건조된 우수한 품질의 숙지황을 제조할 수 있는 숙지황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가열수단(22)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실(20)과, 상기 가열실(20)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되어 그 내부에서 숙지황을 건조하도록 된 건조실(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건조실(10)과 가열실(20)을 구획하는 건조실벽체(12)는 점토나 황토벽돌로 되어 상기 가열수단(22)에 의해 상기 가열실(20)이 가열됨에 따라 상기 건조실벽체(12)가 가열되어 건조실(10)이 간접적으로 가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 건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숙지황 건조기{Rehmanniae radix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숙지황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겉과 속이 고르게 건조된 우수한 품질의 숙지황을 제조할 수 있는 숙지황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숙지황은 보혈, 강장, 지혈, 해열제로서 빈혈, 월경불순, 요통, 당뇨병, 타박상, 종기 등의 치료에 쓰이는 한약재이다. 이러한 숙지황은 지황이라는 식물의 뿌리를 수차례 찌고 말려서 제조한 것으로서, 찌고 말리는 반복되는 과정에서 성분들의 함량변화가 수반되어 생지황과는 다른 약효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숙지황의 제조과정에서 찌고 말리는 과정은 숙지황의 약효와 직결되는 중요한 과정이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숙지황을 제조하는 경우에 생지황을 쪄서 말릴 때 자연건조시켰는데, 자연건조시에는 숙지황의 겉과 속이 고르게 잘 건조되어 질 좋은 숙지황을 제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량으로 숙지황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숙지황을 자연건조하는 것은 넓은 건조장소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비생산적이다. 따라서 숙지황을 다량제조하는 제조업체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별도의 건조기를 구비하여 숙지항을 건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숙지황 건조기는 거의 대부분이 열풍을 숙지황에 직접 가해서 숙지황을 건조시키는데, 이와 같이 열풍을 숙지황에 직접 가하게 되면 숙지황의 겉은 잘 건조되나 속까지는 고르게 건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숙지황의 겉만 심하게 건조되어 제품에서 탄내가 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조하기에는 부족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건조물인 숙지황의 겉과 속이 고르게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숙지황을 제조할 수 있는 숙지황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건조실 12. 건조실벽체
14. 출입구 16. 공기배출구
20. 가열실 22. 스팀라인
24. 축열판 26. 팬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가열수단(22)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실(20)과, 상기 가열실(20)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되어 그 내부에서 숙지황을 건조하도록 된 건조실(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건조실(10)과 가열실(20)을 구획하는 건조실벽체(12)는 점토나 황토벽돌로 되어 상기 가열수단(22)에 의해 상기 가열실(20)이 가열됨에 따라 상기 건조실벽체(12)가 가열되어 건조실(10)이 간접적으로 가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 건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실(20)에는 다수개의 축열판(24)이 구비되어, 상기 가열수단(22)이 작동되지 않더라도 상기 축열판(24)에 축적된 열에 의해 가열실(20)의 온도가 일정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 건조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구구성을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2는 측단면도이다.
상기 가열실(20)에는 별도로 구비된 보일러에 연결된 스팀라인(22)이 배관되어, 이 스팀라인(22)에 의해 가열실(20)이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실(20)에는 다수개의 축열판(24)이 구비되는데, 상기 스팀라인(22)에 의해 가열실(20)이 가열됨에 따라 상기 축열판(24)에 열이 축적된다. 따라서 상기 보일러의 작동이 중단되더라도 축열판(24)에 축적된 열에 의해 가열실(20)내의 온도가 소정 시간동안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또한, 가열실(20)의 내부에는 내부공기가 고르게 잘 데워질 수 있도록 모터(28)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 팬(26)을 장착한다. 한편, 이러한 가열실(10)의 벽체(29)는 스테인레스판의 내측에 내화벽돌이 적층된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가열실(20)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가열실(20)의 온도와 가열시간은 상기 스팀라인(22)이 연결된 보일러실에서 조정된다.
한편, 상기 가열실(20)의 내측 중앙부에는 숙지황이 건조되는 건조실(10)이 형성되는데, 건조실(10)의 일측에는 숙지황을 간편하게 반입,반출 시킬 수 있도록 출입구(14)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10)의 바닥(11)을 가열실(20)의 바닥(21)과 이격되도록 형성하면 건조실(10)의 바닥을 통해서도 열이 전달되므로 건조실(10)이 효과적으로 가열된다. 또한 상기 건조실(10)의 상부에는 숙지황이 건조됨에 따라 증발된 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6)가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건조실(10)의 내부에는 숙지황을 효율적으로 진열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다단의 진열수단을 마련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건조실(10)을 가열실(20)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가열실(20)이 가열됨에 따라 건조실벽체(22)가 가열되어 건조실(10)이 간접적으로 가열되도록 하면 건조실(10)의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변하지 않고 온도변화가 서서히 일어나므로 건조실(10)에서 건조되는 숙지황은 겉과 속이 고르게 효과적으로 건조된다.
한편, 상기 건조실(10)의 온도변화는 건조실(10)과 가열실(20)을 구획하는 건조식벽체(12)의 재질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실벽체(12)를 점토나 황토벽돌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점토나 황토벽돌을 사용하여 건조실벽체(12)를 형성하면 점토나 황토는 비교적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건조실(10) 내의 온도가 비교적 서서히 상승 또는 하강될 뿐만 아니라 건조실(10) 내부의 온도를 일정범위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실벽체(12)로 점토나 황토벽돌을 사용하면 점토나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보온, 발열효과로 인해 숙지황이 더욱 효과적으로 건조될 뿐만 아니라 숙지황 건조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벽돌이 흡수하므로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건조실벽체(12)의 표면에 별도의 원적외선 방출물질을 도포하면 원적외선에 의한 보온, 발열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지황을 증숙기에서 찐 다음 건조기의 건조실(10)에 입고하여 건조시키는데, 1차적으로 건조기를 70℃로 1시간 예열한 후, 90℃에서 2시간 가열하고 공급되는 스팀을 중단시켜 3시간 동안 뜸을 들인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는 숙지황이 건조되는 건조실(10)을 가열실(20)의 내부에 구성하여 건조실(10)이 가열실(20)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건조실(10)의 내부온도가 비교적 서서히 변화되고 또한 열용량이 큰 재질로 건조실벽체(12)를 구성함으로써 건조실(10)의 내부온도를 소정수준으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숙지황의 겉과 속을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피건조물을 숙지황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를 이용하여 인삼 등과 같은 다른 약재도 건조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숙지황이 건조되는 건조실(10)을 가열실(20)의 내부에 구성하여 건조실(10)이 가열실(20)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되도록 한 숙지황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숙지황 건조기는 숙지황이 건조되는 건조실(10)의 내부온도가 비교적 서서히 변화되고 또한 건조실벽체(12)의 열용량에 따라 건조실(10)의 내부온도를 소정범위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숙지황 건조기는 자연건조에 근접하는 건조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숙지황의 겉과 속이 고르게 건조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2)

  1. 소정의 가열수단(22)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실(20)과, 상기 가열실(20)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되어 그 내부에서 숙지황을 건조하도록 된 건조실(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건조실(10)과 가열실(20)을 구획하는 건조실벽체(12)는 점토나 황토벽돌로 되어 상기 가열수단(22)에 의해 상기 가열실(20)이 가열됨에 따라 상기 건조실벽체(12)가 가열되어 건조실(10)이 간접적으로 가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20)에는 다수개의 축열판(24)이 구비되어, 상기 가열수단(22)이 작동되지 않더라도 상기 축열판(24)에 축적된 열에 의해 가열실(20)의 온도가 일정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 건조기
KR1019990036231A 1999-08-30 1999-08-30 숙지황 건조기 KR100310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231A KR100310763B1 (ko) 1999-08-30 1999-08-30 숙지황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231A KR100310763B1 (ko) 1999-08-30 1999-08-30 숙지황 건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139U Division KR200169872Y1 (ko) 1999-08-30 1999-08-30 숙지황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995A KR19990078995A (ko) 1999-11-05
KR100310763B1 true KR100310763B1 (ko) 2001-10-18

Family

ID=3753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231A KR100310763B1 (ko) 1999-08-30 1999-08-30 숙지황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7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348U (ko) * 1987-09-10 1989-05-16 김건목 농산물 건조용 열풍기
KR900002295Y1 (ko) * 1986-12-30 1990-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시정지 화면의 노이즈 바 제거회로
JPH07151466A (ja) * 1993-10-07 1995-06-16 Zenken:Kk 乾燥機
JPH07180962A (ja) * 1993-12-21 1995-07-18 Fujikura Ltd 熱風循環式乾燥装置
JPH09145252A (ja) * 1995-11-20 1997-06-06 Asahi Dounetsu Kk 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295Y1 (ko) * 1986-12-30 1990-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시정지 화면의 노이즈 바 제거회로
KR890007348U (ko) * 1987-09-10 1989-05-16 김건목 농산물 건조용 열풍기
JPH07151466A (ja) * 1993-10-07 1995-06-16 Zenken:Kk 乾燥機
JPH07180962A (ja) * 1993-12-21 1995-07-18 Fujikura Ltd 熱風循環式乾燥装置
JPH09145252A (ja) * 1995-11-20 1997-06-06 Asahi Dounetsu Kk 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995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32703B (zh) 中药材快速干燥机
CN1198809A (zh) 微波加热装置
KR101083993B1 (ko) 전열 증기 취사기
ES2035565T3 (es) Procedimiento para cocer arroz al vapor.
US213289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rying substances which contain liquids
KR100310763B1 (ko) 숙지황 건조기
KR200169872Y1 (ko) 숙지황 건조기
CN205611643U (zh) 一种水产品烘干机
CN205143349U (zh) 一种刀削面预处理脱水装置
US1158175A (en) Solar cooker.
CN215900413U (zh) 热循环茯苓蒸煮装置
CN106016975A (zh) 一种箱体式的干燥装置
CN105780419A (zh) 智能烘干机
CN209623224U (zh) 一种中药加工干燥装置
CN208704334U (zh) 一种竹木制品双层分隔式干燥装置
CN206390411U (zh) 一种用于塑料鞋加工的烘干机
CN205209196U (zh) 一种敞开式中草药材烘箱
CN208187005U (zh) 一种烘干效果好且效率高的中药烘干装置
CN207180266U (zh) 一种vr眼镜护理干燥装置
CN108981309A (zh) 一种竹木制品双层分隔式干燥装置
CN207113556U (zh) 高效热交换式药材烘干箱
RU2035844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влагосодержащих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8088219B (zh) 一种银杏叶高温杀青快速烘干装置及方法
CN209002817U (zh) 一种用于谷物压片加工的微波蒸煮装置
KR200240692Y1 (ko) 곡물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