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164B1 - 편광필름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필름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164B1
KR100310164B1 KR1019950043934A KR19950043934A KR100310164B1 KR 100310164 B1 KR100310164 B1 KR 100310164B1 KR 1019950043934 A KR1019950043934 A KR 1019950043934A KR 19950043934 A KR19950043934 A KR 19950043934A KR 100310164 B1 KR100310164 B1 KR 10031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polyester
polarizing film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950A (ko
Inventor
김일용
조서현
석재한
강승구
정창범
이해주
정일영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5004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164B1/ko
Publication of KR97002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150∼500㎛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위에 형성된 1∼7㎛ 두께의 자외선 코팅층,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아래에 형성된 30∼50㎛ 두께의 점착층, 상기 자외선 코팅충 위와 점착층 아래에 30∼50㎛ 두께로 형성된 폴리에틸렌 필름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편광 필름은 별도의 보호 필름이 필요하지 않아 전체 공정을 줄일 수 있어서 생산원가를 감소할 수 있으며,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편광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편광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용 폴러에스테르(polyester) 필름을 이용한 편광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종래의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을 필름을 요오드 용액과 가시광 영역(400∼550 nm)의 빛을 흡수하는 염료용액에 침지한 후 일축 방향으로 연신하고, 이에 따른 배향도를 갖게 함으로서 제조된다.
종래의 편광 필름은 편광막으로 40∼60㎛ 두께의 폴리비닐알코을 필름, 상기 폴리비닐알코을 필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 하부에 각각 30∼40㎛,30∼50㎛ 두께로 형성된 제 1, 제 2 아세틸 셀롤로오스 필름, 상기 제 1 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상부에 30∼50㎛ 두께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제 2 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하부에 30∼50㎛ 두께로 형성된 점착층 및 이 점착층 하부에 형성된 30∼50㎛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필름을 편광막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편광 필름은 그 제조공정에서 폴리비닐알코을 필름을 연신할 때 성능이 저하되거나 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폴리비닐알코을 필름 위에 아세틸 셀룰로오스(acetylcellulose)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막 필름에 별도의 보호필름이 요구되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편광 필름과 이를 단순한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는 편광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구성 단위체로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구성된 편광막; 상기 편광막의 한 면에 형성된 자외선 코팅층; 상기 편광막의 상기 자외선 코팅충에 대항하는 다른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자외선 코팅층과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자외선 코팅층 상부와 상기 점착층 하부에 형성된 폴리에텔렌 필름층을 포함하는 편광(polarizing)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상기 폴리에털렌 필름층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한 자외선 코팅층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rethane acrylate oligomer) 10∼40%,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polyester acrylate oligomer) 10∼30%, 비닐피롤리돈(vinylpyrrolidone) 15∼40%, 광개시제 1∼5%, 아민(amine) 2∼6%, 자외선 흡수제 0.8∼1.5%, 기능성 첨가제 0.1∼1.0%를 포함하는 자외선 코팅용 레진(resin)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올리고머를 맡은 양으로 사용하면 경도와 접착성을 높여 주며 반응속도가 빨라서 코팅 속도를 빠르게(50 m/min 이상)할 수 있고, 상기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을리고머는 반응기를 2개 이상 가지고 있어서 망상 구조에 따른 열경화성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비닐피롤리돈은 반응성 회석제로서 점도를 조절하며 정화된 코팅층의 유연성을 제공하며,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여타 성분의 반응을 개시하는 역할을 하며 보통은 아세토페논(acetophenon)류+아민(amino)과 함께 사용한다. 기능첨가제로서 실리콘 계통의 기능성 첨가제를 사용하였는데 내후성을 보충해주며 내오염성 및 고광택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편광막으로서 기능하며 그 두께는 25∼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코팅층의 두께는 1∼7㎛로 형성하였는데, 이 자외선 코팅층의 두께가 10 이하이면 코팅충의 역할인 내오염성과 내마모성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7㎛ 이상이면 경제성이 없고, 표면이 딱딱하여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자외선 코팅충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편광 필름의 최상부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30∼50㎛의 두께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점착층을 25∼4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 아래에는 이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30∼50㎛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는 절대적으로 투명성이 우수해야(Haze=0.05 이하)하며 동시에 열안정성, 내구성 및 점착력이 우수해야 하므로 이를 만족할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 특히 점착력 및 유연성이 우수한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의 함량이 40% 이상이며 여타의 가교제 및 분산제를 함유한 아크럴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일정이상 (0.6 kg/cm)의 점착력을 가져야 하므로 이들은 나이프 코팅 방식에 의해 20∼50㎛의 두께로 제조한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20㎛이하이면 점착력이 약하며, 40㎛ 이상은 경제성 및 투명성에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층위에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글래스에 점착시킬 때 상기 점착층의 하부에 형성된 폴리에틸렌 필름이 잘 떨어지도록 실리콘(silicon)을 이형처리한 실리콘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한 폴리에틸렌 이형 필름은 평활성(표면조도편차 0.5㎛ 이내)이 우수해야 하며 실리콘 코팅층은 점착제 박리시 점착제쪽으로 전사되는 양이 10% 이내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실리콘 코팅충의 두께는 2∼4㎛인 것이 바람직하며, 코팅층 두께가 2㎛ 이하이면 점착제와의 이형성이 떨어지며 4㎛이상은 경제적으로나 실리콘의 경화불량에 따른 점착층으로 전사에 따른 점착력 약화의 원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 필름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에틸렌 글리콜(ethyleneglycol)과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을 구성 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 결정성이 높아 투명도와 염료의 염색이 안되는 문제가 있어 편광 필름으로 적합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의 디올(diol)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대신에 1,4-사이플로헥산디메탄올(1,4-Cyclohexanedimethanol: CHDM)을 전체 디올 성분에 대하여 2∼50mo1%의 양으로 포함시킴으로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상기 CHDM의 함량이 2mol% 이하이면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생성이 불가능하여 결정영역에 의한 투과도가 낮아지는 (50% 이하) 문제가 발생하며 50 mol% 이상인 경우 CHDM의 가격이 고가인 관계로 경제성이 없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하는 비결정의 폴리에스테르칩을 티-다이 압출기로 고투명의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고,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요오드 및 염료 수용액에 침지한 후 상온에서 공냉하여 염색한 뒤, 상기 염색된 필름을 예열한 후, 3∼20 m/min의 속도로 연신하여 편광성을 부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면에 자외선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상기 자외선 코팅층에 대항하는 다른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 코팅층과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폴리에틸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색하는 공정은 70∼100℃의 은도에서, 10-3-5x10-1M 범위의 요오드 및 염료 수용액에 10∼120분간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염료로는 C34H27N5O11S3·3Na(보라색(violet colour))을 사용하며, 편광도에 따라서 여타의 염료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염색 온도가 70℃ 이하이면 폴리에스테르 사슬이 풀어지지 않기 때문에 염색이 불균일할 뿐만아니라 염색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며 100℃ 이상은 수용액에서는 불가능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염료농도가 10-3이하이면 염색시간이 오래 걸림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며, 또한 고편광필름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반면에 0.5M이상은 염료 농도가 진해서 투과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예열 및 연신 온도는 80∼150℃이고, 상기 예열 시간은 10∼90초이며, 연신 배율은 4∼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은 폴리비닐알코을 필름에서와 마찬가지로 연신배율에 따라서 편광도가 커지기 때문에 고편광을 위해서는 8배 이상의 연신이 필요하다. 연신온도 또한 유리전이온도 이상이어야 하며 온도가 높을수록 연신 배율을 높일 수 있다.
80℃ 이하의 예열 및 연신 온도는 유리전이 온도 이하이기 때문에 연신이 불가능하며 반대로 예열 온도 및 연신온도가 150℃ 이상이면 염료의 열안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결정화도가 높아져서 투명도가 떨어진다. 예열시간이 30초 이하이면 예열이 덜 되어 고배율 연신이 불가능하며, 반대로 예열시간이 90초 이상이면 생산성 및 힛 셋팅(Heat setting) 현상으로 인한 결정화도가 높아져서 투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2-50 mol% 사용한 비결정의 폴리에스테르 칩을 사용하여 T-다이 압출기를 통하여 150∼500㎛ 고투명의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70-100℃의 온도에서 10-3-5×10-1M 범위의 O34H27N5O11S3·3Na(보라색) 염료 수용액에 10∼120분간 침지한 후 상온에서 공냉하였다. 이어서, 80∼150℃의 온도에서 10∼90초간 예열하고, 90∼150℃의 온도에서 3-20 m/min의 속도로 4배의 배율로 일축 연신하여 편광성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한 면에 다음 표 1과 같은 자외선 코팅용 레진으로 로팅하여 2∼5㎛ 두께의 자외선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표 1]
상기 폴레에스테르 다른 한 면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40% 이상 함유하고, 다른 가교제 및 분산제를 함유한 아크릴 점착제를 사용하여 20∼50㎛ 두께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이령게 제조된 필름 상, 하부에 폴리에틸렌 필름층을 30∼50㎛두께로 형성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의 제조방법중 연신 배율을 각각 5배, 6배, 7배, 8배, 9배 및 10배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상기한 실시예 1에서 연신 배율을 3배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1∼7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염료침지시험, 연신 시험, 코팅 시험을 하였다.
1) 염료침지 시험
상기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400㎛ 두께의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90℃의 온도에서 2 × 10-2농도 의 C34H27N5O11S3·3Na 수용액에 30분간 침지한 후, 40℃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건조시키고, 8배로 연신하여 연신 후 두께가 50㎛ 되도록 한 편광 필름의 입사하는 빛과 평행한 편광 투과율과 입사하는 빛과 직교 편광 투과율을 측정하여 하기 식(1)을 이용하여 편광도를 측정한 결과 99.4∼99.8%로 나타났다.
편광도 = (k//- k)1/2(k//- k)1/2‥‥‥‥‥(1)
상기 식에서 k//는 입사하는 빛과 평행한 편광 투과율이고, k는 입사하는 빛과 직교 편광 투과율이다.
상기 필름의 투과율을 400∼700nm의 UV 스펙트로스코피(spectroscopy)로 측정한 결과 43.0∼44.0%로 나타났다.
2) 폴리에스테르 필름 연신
상기한 실시예 1-7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200∼500㎛ 두께의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90℃의 온도에서 30초간 예열한 후, 90℃의 온도에서 5m/min의 연신 속도로 4∼10배의 배율로 연신하여 40∼80㎛의 두께를 갖는 편광 필름을 형성하였다. 식(1)을 이용하여 편광 필름의 연신 배율에 따른 편광도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한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표 2]
연신배율에 따른 편광도 (단 두께=50㎛)
3) 자외선 코팅층 포물레이션 및 코팅시험
실시예 1∼7에서 얻어진 편광성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그라비어 방식 또는 메이어 바 코팅방법으로 120 W (8 mj/㎠)의 자외선 램프(Lamp) 에너지에서 30m/min의 경화속도로 상기한 표 1의 성분을 포함하는 자외선 코팅용 레진을 3g/㎡ 양으로 도포하여 자외선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120℃의 온도에서 30초간 건조한 후 내긁힘성, 접착성, 유연성, 광택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한 표 3에 나타냈다.
[표 3]
4) 내후성 실험
① 내흡수성 비교시험
10×10cm 크기의 본 발명의 편광필름(편광도 = 99%)과 현재 액정표시장치용 편광 필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니토 덴코(Nitto denko)사 G급(grade) 편광필름 20개를 온도 807, 습도 90%의 오븐내(항온, 항습)에 2000시간 방치하였다. 그 결과 상기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편광 필름의 경우, 편광도만 99%에서 98.8%로 약간 변화할 뿐 거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반면, 니토 덴코사의 편광 필름은 1000시간까지는 안정하나 1200시간 이후에 염료탈착현상 및 팽윤현상(swelling)이 발생되며, 편광도가 99%에서 90%로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② 내긁힘성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편광 필름(편광도 99%)과 니토 덴코(Nitto denko)사 G 급(grade) 편광필름을 수세미로 필름(단, 점착층이 없는 쪽)을 문지르거나, 또는 칼로 연필(2B-5H 범위)심지의 날을 세워서 60°, 하중 1 kg의 압력으로 긁힘 자국을 확인하였다. 확인한 결과, 수세미로 시험한 경우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이나, 니토 덴코사 편광 필름 모두 긁힌자국이 나타났으며, 연필경도 시험을 한 경우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3H, 니토 덴코사 편광 필름은 2H로 나타났다.

Claims (12)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을을 구성 단위체로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구성된 편광막; 상기 편광막의 한 면에 형성된 자외선 코팅층; 상기 편광막의 상기 자외선 코팅층에 대항하는 다른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 상기 자외선 코팅층과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된 폴리에틸렌 필름층; 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코팅층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40%,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30%, 비닐피롤리돈 15∼40%, 광개시제 1∼5%, 아민 2∼6%, 자외선 흡수제 0.8∼1.5%, 기능성 첨가제 0.1∼1.0%를 포함하는 자외선 코팅용 레진으로 형성된 편광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두께는 25∼80㎛, 상기 자외선 코팅층의 두께는 2∼5㎛,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25∼40㎛,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는 30∼50㎛인 편광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층위에 2∼4㎛ 두께의 실리콘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편광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부틸아크릴레이트를 40% 이상 함유한 아크릴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편광 필름.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을을 포함하는 비결정의 폴리에스테르칩을 티-다이 압출기로 고투명의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고,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요오드 및 염료 수용액에 침지한 후 상온에서 공냉하여 염색한 뒤, 상기 염색된 필름을 예열한 후, 3∼20 m/min의 속도로 연신하여 편광성을 부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면에 자외선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상기 자외선 코팅층에 대항하는 다른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 코팅층과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폴리에틸렌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칩은 1,4-사이클로리산디메탄올을 2∼50 mol%의 양으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하는 단계는 70∼100℃의 온도에서, 10-3-5x10-1M 범위의 요오드 및 염료 수용액에 10∼120분간 침지하는 것인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 및 연신 은도는 80∼150℃이고, 상기 예열 시간은 10∼90초인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로 C34H27N5O11S3·3Na를 사용한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하는 공정의 연신 배율은 4∼10배인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코팅층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40%,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30%, 비닐피롤리돈 15∼40%, 광개시제 1∼5%, 아민 2∼6%, 자외선 흡수제 0.8∼1.5%, 기능성 첨가제 0.1-1.0%를 포함하는 자외선 코팅용 레진으로 형성된 제조방법.
KR1019950043934A 1995-11-27 1995-11-27 편광필름및그제조방법 KR100310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934A KR100310164B1 (ko) 1995-11-27 1995-11-27 편광필름및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934A KR100310164B1 (ko) 1995-11-27 1995-11-27 편광필름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950A KR970025950A (ko) 1997-06-24
KR100310164B1 true KR100310164B1 (ko) 2001-12-28

Family

ID=3753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934A KR100310164B1 (ko) 1995-11-27 1995-11-27 편광필름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1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7889B2 (en) 2003-06-09 2010-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nel for display device with light blocking on blue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CN104129125A (zh) * 2014-08-01 2014-11-05 苏州袭麟光电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上转光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7700B2 (ja) * 2003-04-25 2007-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9109A (ja) * 1983-03-01 1984-09-08 Sumitomo Chem Co Ltd 耐久性の優れた偏光板
JPS60260902A (ja) * 1984-06-08 1985-12-24 Hitachi Ltd 液晶表示素子用偏光板
JPS6361203A (ja) * 1986-09-01 1988-03-17 Mitsubishi Chem Ind Ltd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63830A (ja) * 1988-08-31 1990-03-05 Sun A Chem Ind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9109A (ja) * 1983-03-01 1984-09-08 Sumitomo Chem Co Ltd 耐久性の優れた偏光板
JPS60260902A (ja) * 1984-06-08 1985-12-24 Hitachi Ltd 液晶表示素子用偏光板
JPS6361203A (ja) * 1986-09-01 1988-03-17 Mitsubishi Chem Ind Ltd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63830A (ja) * 1988-08-31 1990-03-05 Sun A Chem Ind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7889B2 (en) 2003-06-09 2010-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nel for display device with light blocking on blue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012784B1 (ko) * 2003-06-09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표시판 및 그 표시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CN104129125A (zh) * 2014-08-01 2014-11-05 苏州袭麟光电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上转光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950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29102B (zh) 多层膜、偏振片、及多层膜的制造方法
US20060187548A1 (en) Polarizing layer with adherent protective layer
JP5720401B2 (ja) 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積層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H01105204A (ja) 偏光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法
KR101687873B1 (ko)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WO2015118975A1 (ja) 偏光板及び表示装置
CN111869324A (zh) 电致发光显示装置
JP3320904B2 (ja) 偏光特性の改善された積層体およびそのための離型フイルム
JP7405165B2 (ja)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CN110441853B (zh) 一种耐氙灯测试偏光片及其制备方法
CN111869323B (zh) 电致发光显示装置
KR100310164B1 (ko) 편광필름및그제조방법
KR20210057027A (ko) 편광 소자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광학 부재 등
JP2005066920A (ja) 偏光板用離形フィルム
JP4521704B2 (ja) 離型フィルム
JPH05119216A (ja) 偏光板の製造法
KR20200102518A (ko) 편광막,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및 편광막의 제조 방법
KR20220132510A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68691A (ja) 可撓性画像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円偏光板の製造方法
KR20200043754A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EP0635358B1 (en) Laminate having improve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release film used therefor
KR20090070080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JP2007062239A (ja) 粘着層保護フィルム
JP4397499B2 (ja) 液晶偏光板粘着層保護用離型フィルム
KR20220052425A (ko) 디스플레이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