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788B1 -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788B1
KR100309788B1 KR1019990028870A KR19990028870A KR100309788B1 KR 100309788 B1 KR100309788 B1 KR 100309788B1 KR 1019990028870 A KR1019990028870 A KR 1019990028870A KR 19990028870 A KR19990028870 A KR 19990028870A KR 100309788 B1 KR100309788 B1 KR 100309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elevation
resolution
data
dem
elevation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149A (ko
Inventor
정미영
정현민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9002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788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me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구축된 DEM과 등고 벡터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해상도의 DEM을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특정지역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등고 벡터데이터 및 디지털 고도 모델(DEM)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지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단계; 특정지역에서 특정 해상도(DEM_req_res)를 갖는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요구받는 제 2 단계; 상기 특정지역에서 요청된 디지털 고도 모델 해상도(DEM_req_res)를 검색하여 해당작업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이미 구축된 고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검색한 고해상도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로부터 저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요청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등고 벡터데이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검색한 등고 벡터데이터로부터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AUTOMATIC CREATION METHOD FOR DIGITAL ELEVATION MODEL OF VARIOUS RESOLUTION}
본 발명은 지형 정보를 표현하는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의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DEM : Digital Elevation Model)을 동적으로 생성하여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Contour(등고선)는 수치벡터지도에서 동일한 고도의 지점들을 연결해 놓은 선을 말한다.
Grid(격자)는 DEM 추출을 위해 대상 지역을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나눈 것으로서, 각 방향으로 나뉜 간격은 일정하다. 여기서, 가로 격자선(grid line)과 세로 격자선이 교차하는 지점을 격자점(grid point)이라고 한다.
DEM(Digital Elevation Model : 디지털 고도 모델)은 특정영역에 대한 지형의 고도정보를 표현하는 데이터 형태로서, 대상지역을 일정 크기의 격자로 나누어 공간상에 나타나는 연속적인 기복의 변화의 값을 해당 격자에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res(해상도)는 DEM 데이터를 생성할 때 정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GRID에서 격자선의 간격을 말하며 보통 m단위로 표현한다.
bound(바운드)는 DEM을 생성하기 위한 대상지역을 나타낸다.
res.x, res.y는 각각 x, y 축에 대한 격자선의 간격을 나타낸다.
DEM_req_res는 요청된 DEM의 해상도를 나타낸다.
DEM_res는 DEM의 해상도를 나타낸다.
vec_res는 등고벡터로부터 생성 가능한 DEM의 가장 높은 해상도를 나타낸다.
종래에는 수치지도 등고레이어를 기본으로 하는 DEM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종래의 DEM을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인버스 디스턴스 웨이팅(Inverse distance weighting), 크리깅(Krigging), 불규칙 삼각망(Triangular Network) 형성 방법 등 다양한 DEM 데이터 생성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그러나, DEM 데이터를 수치지도의 등고레이어로부터 생성하도록 제한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고, 스테레오 위성 영상이나 항측 사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DEM 생성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망설계 시스템과 같은 GIS 응용프로그램은 다양한 해상도의 DEM 데이터를 필요로 함으로써, DEM 데이터는 해상도에 따라 분석과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많은 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구축된 DEM과 등고 벡터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해상도의 DEM을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리 정보 설계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효 인접점의 개념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형 데이터에서 등고 레이어를 추출하여 DEM을 생성하는 과정(vector2DEM)에 대한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의 DEM으로부터 저해상도의 DEM을 생성하는 과정(DEM2DEM)에 대한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의 개념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입력부 12 : 출력부
13 : 중앙처리부 14 : 데이터베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지털 고도 모델(DEM : Digital Elevation Model) 자동 생성 방법에 있어서, 특정지역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등고 벡터데이터 및 디지털 고도 모델(DEM)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지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단계; 특정지역에서 특정 해상도(DEM_req_res)를 갖는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요구받는 제 2 단계; 상기 특정지역에서 요청된 디지털 고도 모델 해상도(DEM_req_res)를 검색하여 해당작업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이미 구축된 고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검색한 고해상도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로부터 저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요청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등고 벡터데이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검색한 등고 벡터데이터로부터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지리정보시스템에, 특정지역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등고 벡터데이터 및 디지털 고도 모델(DEM)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지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기능; 특정지역에서 특정 해상도(DEM_req_res)를 갖는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요구받는 제 2 기능; 상기 특정지역에서 요청된 디지털 고도 모델 해상도(DEM_req_res)를 검색하여 해당작업을 수행하는 제 3 기능;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이미 구축된 고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검색한 고해상도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로부터 저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요청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등고 벡터데이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검색한 등고 벡터데이터로부터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5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망설계시스템과 같이 DEM을 자주 분석하고 디스플레이하는 GIS 응용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서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해상도의 DEM을 자동 생성할 수 있고, 이미 구축된 DEM의 격자점을 수치지도의 등고 입력점으로 간주하고 새로운 DEM 생성시 인접점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DEM이 필요한 해상도를 만족하지 못한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종래의 등고 벡터레이어를 사용하여 DEM을 생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가의 비용이 드는 DEM 데이터 생성을 저렴한 비용으로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동일한 지역에 대해 다양한 해상도의 DEM 데이터가 필요한 GIS 응용프로그램을 운용하는데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고, 고해상도의 DEM으로부터 저해상도의 DEM을 생성하도록 하여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해상도의 데이터를 비교적 저가로 적은 시간을 들여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리 정보 설계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리 정보 설계 시스템은 입력부(11), 출력부(12), 중앙처리부(13) 및 데이터베이스(14)를 구비한다.
입력부(11)는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출력부(12)는 사용자의 입력결과와 중앙 처리부(13)에서의 처리결과 등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데이터베이스(14)는 건물 데이터, 등고선, DEM 등의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중앙 처리부(13)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에 따른 여러가지 작업을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효 인접점의 개념도이다.
벡터데이터의 등고레이어는 x, y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z 고도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원하는 대상지역에 대해 주어진 해상도에 따라 격자를 나누고 각 격자로부터 인접점을 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범위와 각 방향에 대해 한 개의 유효점을 찾는 방법을 기본으로 설명하고 방향은 4방향 및 8방향을 기본으로 사용한다. 유효인접점을 선정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여기서는 하기의 4가지 방법중 네 번째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첫째, 가장 가까운 점을 선정하는 방법이 있다.
둘째, 일정 반경내에 있는 모든 점을 선정하는 방법으로서 편차를 줄일 수 있으나 유효거리가 짧은 경우 유효점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셋째, 사각망 안의 모든 점을 선정하는 방법으로서 일정 반경 내에 있는 모든 점을 선정하는 것보다 속도가 더 빠를 수 있다.
넷째, 각 방향에 대해 한 개의 유효점을 찾는 방법으로서 방향에 대한 편중을 없앨 수 있으나 어느 일정 방향으로 유효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인접한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리가 더 멀리 있는 점을 유효점으로 선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각 격자점으로부터 인접점 찾는 작업이 종료되면 합당한 거리 경중률을 찾아 크리깅(Krigging)이나 인버스 디스턴스 웨이팅(inverse distance weighting)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DEM을 생성한다. 이때, 사용하는 경중률은 특정 격자점의 높이(Z) 값을 어림할 때 쓰이는 가중치 함수(weighting function)이다. 예를 들어, 격자점 주위에서 N개의 샘플 데이터를 선택하여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높이(Z)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di는 격자점과 i번째 샘플 사이의 거리이고, zi는 샘플의 높이값이다. 가중치(weight) 함수는 weight(r)=1/r 또는 weight(r)=1/r2등으로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형 데이터에서 등고 레이어를 추출하여 DEM을 생성하는 과정(vector2DEM)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을 선택하고 해상도를 설정한 경우에 격자(GRID)를 생성하여 각 격자점을 초기화하고, S1, S2, S3, S4와 같은 벡터 등고데이터 상의 입력점으로부터 인접점들을 구하여 각 격자점의 고도값을 계산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의 DEM으로부터 저해상도의 DEM을 생성하는 과정(DEM2DEM)에 대한 설명도이다.
고해상도의 DEM으로부터 저해상도의 DEM을 생성하는 과정(DEM2DEM)은 종래의 DEM 데이터에서 각 격자점이 'vector2DEM'에서 벡터 등고데이터의 입력점과 동일하게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영역과 해상도가 설정되면 격자(GRID)를 생성하여 각 격자점을 초기화하고 종래의 DEM 격자값들로부터 인접점들을 구하여 각 격자점의 고도값을 계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EM2DEM은 DEM_h의 해상도가 r이고 새로이 생성하고자 하는 DEM_r의 해상도가 2r인 경우를 예로 들어 4 방향에 대해 각각 4개의 점을 인접점으로 하였으며 이는 4 혹은 8방향에 대한 N개의 점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의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는 특정한 해상도를 갖는 DEM 데이터를 구축하고 시스템을 운용하는 해상도가 r인 DEM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작업중 특정지역에 대한 해상도가 nr(0<n<1)인 DEM이 필요하게 되면 보유하고 있는 등고 벡터데이터 중 해당지역의 조건에 맞는(즉, vec_res <= nr) DEM 데이터를 검색한 후 'vector2DEM'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필요한 DEM 데이터를 동적으로 생성한다.
또한, 해상도가 mr(m>1)인 DEM이 필요하게 되면 보유하고 있는 DEM 중 해당지역의 조건에 맞는(여기서, res=r인 데이터) DEM 데이터를 검색한 후 'DEM2DE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필요한 DEM 데이터를 동적으로 생성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특정지역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등고 벡터데이터 및 DEM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지형 데이터베이스 구축작업을 수행한다(601).
이어서, 작업 영역(boundary)을 선택하고 특정 해상도(DEM_req_res)를 갖는 DEM 데이터를 요청한다(602).
DEM 데이터가 요구되면 동일지역에 대하여 요청된 DEM 해상도(DEM_req_res)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603).
판단결과, 요청된 DEM 해상도가 존재하면, 해당작업을 수행한 후(604), 작업 영역을 선택하고 특정 해상도를 갖는 DEM 데이터를 요구하는 과정(602)으로 넘어간다.
판단결과, 요청된 DEM 해상도가 존재하지 않으면, 작업영역(boundary)을 단위 격자크기(res.x, res.y)로 분할하여 격자를 생성한다(605).
이후, 동일지역에 대해 이미 구축된 DEM 해상도(DEM_res)를 검색하고(606), 동일지역에 적합한 고해상도 DEM(DEM_res < DEM_req_res)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607).
판단결과, 동일지역에 적합한 고해상도 DEM(DEM_res < DEM_req_res)이 존재하면, DEM2DEM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DEM을 자동 생성하고(608) 해당작업을 수행한 후(604), 작업영역을 선택하고 특정 해상도를 갖는 DEM 데이터를 요구하는 과정(602)으로 넘어간다.
판단결과, 동일지역에 적합한 고해상도 DEM(DEM_res < DEM_req_res)이 존재하지 않으면, 동일지역에 대해 요청된 해상도의 DEM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등고 벡터데이터(vec_res)가 있는지를 검색한다(609).
이어, 동일지역에 적합한 등고 벡터데이터(vec_res < DEM_req_res)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610).
판단결과, 동일지역에 적합한 등고 벡터데이터가 존재하면, vector2DEM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DEM을 자동 생성하고(611) 해당작업을 수행한 후(604), 작업영역을 선택하고 특정 해상도를 갖는 DEM 데이터를 요구하는 과정(602)으로 넘어간다.
판단결과, 동일지역에 적합한 등고 벡터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선택된 해상도 데이터 생성에 대한 오류메시지를 내보낸다(612).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해상도의 DEM을 동적으로 생성하여 적용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화면의 디스플레이 배율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DEM 데이터 집합에서 확대시 고해상도 데이터를 도시하고, 축소시 저해상도 데이터를 도시하여 시스템 운용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고 벡터데이터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DEM 데이터의 용량이 커지는 점을 보완할 수 있다. 즉, 특정지역에 대해 존재하는 DEM 데이터보다 고해상도의 DEM 데이터가 필요한 시점에, 해당지역에 존재하는 벡터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DEM 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망 설계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DEM 응용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지리정보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지털 고도 모델(DEM : Digital Elevation Model) 자동 생성 방법에 있어서,
    특정지역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등고 벡터데이터 및 디지털 고도 모델(DEM)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지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단계;
    특정지역에서 특정 해상도(DEM_req_res)를 갖는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요구받는 제 2 단계;
    상기 특정지역에서 요청된 디지털 고도 모델 해상도(DEM_req_res)를 검색하여 해당작업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이미 구축된 고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검색한 고해상도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로부터 저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요청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등고 벡터데이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검색한 등고 벡터데이터로부터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지역에 특정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가 없으면 생성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작업영역을 선택하는 제 7 단계; 및
    특정 해상도(DEM_req_res)를 갖는 상기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요구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특정지역에 요청된 디지털 고도 모델 해상도(DEM_req_res)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디지털 고도 모델 해상도가 존재하면 해당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단계로 넘어가고,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 4 단계로 넘어가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영역을 단위 격자크기로 분할하여 격자를 생성하는 제 7 단계;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기 구축된 디지털 고도 모델 해상도를 검색하는 제 8 단계;
    상기 특정지역에 적합한 상기 고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고해상도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고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로부터 저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해당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단계로 넘어가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요청된 디지털 고도 모델 해상도를 생성하기에 적합한등고 벡터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 검색결과, 등고 벡터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검색한 등고 벡터데이터로부터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해당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단계로 넘어가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7. 프로세서를 구비한 지리정보시스템에,
    특정지역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등고 벡터데이터 및 디지털 고도 모델(DEM)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지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1 기능;
    특정지역에서 특정 해상도(DEM_req_res)를 갖는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요구받는 제 2 기능;
    상기 특정지역에서 요청된 디지털 고도 모델 해상도(DEM_req_res)를 검색하여 해당작업을 수행하는 제 3 기능;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이미 구축된 고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검색한 고해상도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로부터 저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특정지역에 대해 요청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등고 벡터데이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검색한 등고 벡터데이터로부터 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 5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28870A 1999-07-16 1999-07-16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KR100309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870A KR100309788B1 (ko) 1999-07-16 1999-07-16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870A KR100309788B1 (ko) 1999-07-16 1999-07-16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149A KR20010010149A (ko) 2001-02-05
KR100309788B1 true KR100309788B1 (ko) 2001-09-26

Family

ID=1960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870A KR100309788B1 (ko) 1999-07-16 1999-07-16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6185A (zh) * 2011-12-14 2012-06-13 南京大学 基于多分辨率遥感影像离散点融合的dem构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733B1 (ko) * 2013-11-14 2015-10-19 대한민국 고해상도 지형자료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664B1 (ko) * 1997-02-17 1999-10-01 이계철 배율에 따른 래스터형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KR20000025627A (ko) * 1998-10-13 2000-05-06 이계철 웹 환경에서의 벡터 지도 검색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10010349A (ko) * 1999-07-19 2001-02-05 이계철 무선망 설계 시스템에서 등고선 정보를 이용한 고도 정보 생성방법 및 그에 따른 전파 해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664B1 (ko) * 1997-02-17 1999-10-01 이계철 배율에 따른 래스터형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KR20000025627A (ko) * 1998-10-13 2000-05-06 이계철 웹 환경에서의 벡터 지도 검색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10010349A (ko) * 1999-07-19 2001-02-05 이계철 무선망 설계 시스템에서 등고선 정보를 이용한 고도 정보 생성방법 및 그에 따른 전파 해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6185A (zh) * 2011-12-14 2012-06-13 南京大学 基于多分辨率遥感影像离散点融合的dem构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149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5583B1 (en) Navigation device, method of outputting a map, and method of generating a database
CN110399441B (zh) 一种海量点数据聚合渲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23021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高度座標を決定する方法、並びに、デーベースを生成する方法
US8442805B2 (en) Efficient computation of Voronoi diagrams of general generators in general spaces and uses thereof
US200201137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resenting and displaying graphics
US201300136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e cod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ance calculation
KR102050169B1 (ko) 옥트리 구조 기반 3차원 지도 서비스를 위한 3차원 모델의 공간 인덱싱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3차원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779165A (zh) 栅格地图图片库的建立方法
JP502879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57181B2 (en) System for determining height information
CN111090712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2006277166A (ja) 3次元形状比較プログラム及び3次元類似形状検索プログラム
JP4606898B2 (ja) 情報生成装置及び検索装置
JP2020013351A (ja) 三次元地図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367649B (zh) 高精地图数据并行处理方法和装置
CN108573510B (zh) 一种栅格地图矢量化方法及设备
KR20070099298A (ko) 모바일 내비게이션용 3차원 형상정보 생성방법 및 장치
KR100309788B1 (ko)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 고도 모델 자동 생성 방법
CN114627206A (zh) 网格绘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60078651A1 (en) Proximity-Base Detail Reduction of Geographic Data
JP4140338B2 (ja) 要約地図生成装置、道路地図変換装置、該プログラム、及び要約地図サービスシステム
CN112381715B (zh) 海量遥感影像并行生成地图瓦片的方法和装置
JP7239053B2 (ja) 生成装置、生成方法及び生成プログラム
JP2000250403A (ja) 道路形状図形デフォルメ方法、装置、前記方法を記録した記憶媒体
Shashidharan et al. FUTURES-AMR: towards an adaptive mesh refinement framework for geosi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