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396B1 -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 Google Patents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396B1
KR100309396B1 KR1019990012957A KR19990012957A KR100309396B1 KR 100309396 B1 KR100309396 B1 KR 100309396B1 KR 1019990012957 A KR1019990012957 A KR 1019990012957A KR 19990012957 A KR19990012957 A KR 19990012957A KR 100309396 B1 KR100309396 B1 KR 100309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container body
transport contain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101A (ko
Inventor
구정회
이주찬
서기석
방경식
민덕기
Original Assignee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filed Critical 장인순
Priority to KR101999001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39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15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for storing radioactive sources, e.g. source carriers for irradiation units; Radioisotope contain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32Apparatus for removing radioactive objects or materials from the reactor discharge area, e.g. to a storage place; Apparatus for handling radioactive objects or materials within a storage place or removing them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원의 세기가 높은 조사시편을 핫셀로부터 차폐형 글로브박스로 운반하는 데 있어서 조작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의 피폭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사시편 운반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방사선 조사시편을 수납하는 바스켓(30)이 내장되는 용기몸체(10)와, 취급구조물의 운반용기 접속부(90)에 완전히 접속되면 용기몸체(10)의 수납부(12a)를 중심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미끄럼 개방되도록 이루어진 차폐뚜껑 조립체(20)와, 회전방지구조를 가지며 용기몸체(10)의 외곽면에 90°간격으로 돌출되어 수직 및 수평의 두 개조로 설치되는 운반용기 취급용 트러니온(40)과, 용기몸체(10)의 수납부(12a) 타측에 개구된 취급공(12b)을 밀봉시키는 하부 꼭지마개(60)로 구성된 운반용기 본체(1)와; 운반용기 지지대(80) 및; 충격 및 화재로부터 운반용기 본체(1)를 보호하는 상부충격완충체(71), 하부충격완충체(72)를 포함하는 조사시편 운반용기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준위 방사성물질의 차폐와 밀봉을 유지하며 조작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고준위 방사성물질인 조사시편의 운반시에 안전을 보장하고 장전이나 인출시 방사선 피폭 및 방사능물질의 누출을 방지함은 물론 취급작업을 단축시켜 방사선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irradiated specimen trasport cask used in hot-cell}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나 연구용 원자로에서 조사된 사용후핵연료나 방사선조사시편을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조직시험을 위해 차폐형 글로브박스 내부로 운반하기 위한 고준위 방사성물질 운반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의 차폐와 밀봉을 유지하며 조작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고준위 방사성물질인 조사시편의 운반시에 안전을 보장하고 장전이나 인출시 방사선 피폭 및 방사능물질의 누출을 방지함은 물론 취급작업을 단축시켜 방사선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나 연구용 원자로 등에서 조사된 사용후핵연료봉(spent nuclear fuel rod)나 조사재(irradiated material)는 장기간 강한 방사선이 방출되므로 미세조직시험 등의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들의 방사선 피폭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사선차폐 및 환기계통이 충분히 갖추어진 핫셀(hot cell)에서 연료봉 등을 절단한 후 마운팅(mounting)처리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있다.
이렇게 제작된 사용후핵연료 시편이나 조사시편(irradiated specimen)은 방사선차폐장치를 갖춘 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한 성분 분석시험 등을 위해서 다른 시험시설이나 차폐형 글로브 박스 등 핫셀 외부로 안전하게 수송해야 한다.
이에 따라, 고준위 방사성물질인 시편을 핫셀 외부로 반출하거나, 차폐글로브박스로 반입하거나, 시설 내부 또는 외부로 수송하기 위해서는 취급작업 및 수송이 용이해야 하며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사용후핵연료 시편 등을 핫셀에서 꺼내기 위한 장치는 운반용기 외에도 운반용기와의 접속부분이 시편의 인출 및 반입시에도 방사선 차폐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운반용기 자체의 방사선 차폐뿐만 아니라 핫셀 또는 차폐글로브박스와의 접속부분의 차폐로 인해서 운반용기의 크기가 커지고 형상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속부분의 차폐유지를 위한 구조로 인하여 종래에 사용되는 운반용기에서는 밀봉유지기능이 없이 차폐만을 유지하거나 밀봉을 함께 유지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구조가 커지고, 크레인 등의 설비를 이용해야만 하거나 접속부분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핫셀용 방사성물질 운반용기(100)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외부셸(101a)과 내부셸(101b) 사이에 납차폐체(101c)가 채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방사성물질 시편을 차폐하는 운반용기 몸체(101)와, 상부면에 인양 볼트홈(102a)을 가지며 운반용기 몸체(101)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차폐뚜껑(102)과, 반원형으로 운반용기 몸체(101)의 상단 양측단에 부착되어 개폐되는 차폐뚜껑(102)을 미끄럼 지지하는 차폐뚜껑 지지대(103)와, 운반용기 몸체(101)의 내부에 안착부(104b)를 통해 수납되는 바스켓(basket)(104)과, 운반용기 몸체(101)의 하단 개구부에 바스켓(104)을 취급하도록 설치되는 바스켓 취급용 꼭지(105)와, 꼭지마개(106), 그리고 몸체(101)를 지지하고 운반하기 위한 취급고리(10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운반용기(100)의 핫셀에서의 작업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운반용기(100)는 크레인(227)에 매달린 운반용기 취급장치(217)를 이용해서 운반하며, 운반용기 지지대(210)는 전동모터(214)를 통해 휠(212)의 구동에 의하여 시설에 설치된 레일(221) 위에서 전후로 움직여서 차폐뚜껑지지대(103)를 핫셀의 운반용기 접속부(223)와 연결시키게 된다.
도 3은 종래 운반용기(100)의 핫셀과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운반용기(100)의 차폐뚜껑(102)은 핫셀의 접속부 차폐뚜껑(222)과 결합된 후 인양고리(112)에 의해 함께 결합된 후에 크레인(227)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며, 바스켓 취급장치(205)에 의해 바스켓(104)을 핫셀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운반용기(100)는 몸체(101)의 상부에 차폐뚜껑(102)과 차폐뚜껑지지대(103)를 부착하여 방사선차폐를 유지하며, 운반용기 몸체(101)에 달려있는 플랜지(108)에 결합되는 외부 뚜껑(도시생략)과 바닥부분에 체결되는 꼭지마개(106)에 의해 밀봉을 유지하게 된다.
차폐뚜껑 지지대(103)에는 차폐뚜껑(102)과의 미끄럼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로울러(103b)와 차폐뚜껑이 계속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뚜껑 멈춤장치(103c)가 부착되어 있고, 운반시 차폐뚜껑(102)의 멈춤용 홈(102b)에 결합되어 차폐뚜껑(102)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핀(103a)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운반용기(100)는 차폐뚜껑(102)이 차폐뚜껑 지지대(103)를 완전히 관통하여 개폐되는 결합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차폐뚜껑(102)의 크기와 무게가 커서 크레인(227) 설비를 이용해서 수직방향으로만 개폐할 수 있으며, 차폐뚜껑 멈춤장치(103c)가 양쪽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핀(103a)이 차폐뚜껑 지지대(103)의 외부 평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다른 물체에 의해 안전핀(103a)이 눌릴 경우 차폐뚜껑(102)이 개방되어 방사능을 누출시킬 수 있게 되는 안전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반용기(100)를 인양할 때 쓰는 취급고리(107)는 원통형 홈의 음각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도 2에 도시된 운반용기 인양장치(217)와 같이 전용 장치가 있어야만 크레인(227)으로 취급할 수 있으며, 운반용기 지지대(210) 또한 전동모터(214)를 사용해야 하므로 전력을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도 4는 차폐 글로브박스에서 사용하는 소형 방사성물질 운반용기(410)로서, 바닥에 바퀴가 달린 간단한 철제 프레임으로 된 이송장치(430)에 의해 운반되며, 글로브박스의 접속부(440)와 결합될 수 있는 미끄럼 개폐방식의 차폐뚜껑(420)이 차폐뚜껑 지지대(442)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운반용기의 차폐뚜껑은 글로브박스의 차폐뚜껑(441)과 결합되어 함께 수평상태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소형 운반용기(410)는 상하좌우에 4개의 취급고리(411)가 있어 별도의 전용 취급장치가 없이도 멜빵(sling) 등으로 체결하여 크레인으로 인양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취급고리에 체결하여 운반용기를 들어올릴 경우 취급중에 운반용기의 회전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운반용기가 이송장치(43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운반용기를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운반용기(410)는 차폐뚜껑(421) 부분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개폐용 손잡이가 고정식으로 붙어 있기 때문에 용기의 앞부분이 밀봉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시설 내부에서 수평상태로만 운반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송용기 차폐뚜껑의 형상 및 기능을 최적화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안전하고도 간단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외곽부의 밀봉성을 높임으로써 방사성 물질의 누출을 방지하여 고준위 방사성 물질인 조사시편을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조사시편 운반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핫셀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핫셀 운반용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종래 핫셀에서 사용되는 핫셀 운반용기의 체결작업을 보인 사진도.
도 3은 종래 핫셀에서 사용되는 핫셀 운반용기의 체결상태 단면도.
도 4는 종래 글로브박스용 운반용기를 보인 사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셀 시편용기의 조립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조립상태의 시편용기 평면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A-A선단면도, 도 5c는 도 5a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기가 핫셀이나 글로브박스의 조사시편 운반용기 접속부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서로 체결된 운반용기 차폐뚜껑 조립체와 운반용기 접속부의 차폐뚜껑이 개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평면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차폐뚜껑이 개방되어 바스켓을 인출하는 상태도, 도 6c는 도 6a의 A-A선 단면도, 도 6d는 도 6b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운반용기 차폐뚜껑 조립체의 구조를 상세히 보인 것으로서, 도 7a는 차폐뚜껑 조립체를 단면하여 보인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측면도, 도 7c는 도 7a의 A-A선 단면도, 도 7d는 도 7a의 측면도, 도 7e는 도 7a에 도시된 차폐뚜껑의 정면도, 도 7f는 도 7e의 측면도, 도 7g는 도 7f의 평면도, 도 7h는 도 7b에 도시된 베어링의 확대 발췌도, 도 7i는 도 7h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잠금장치를 발췌하여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서, 도 8a는 잠금장치의 장착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8b는 도 8a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8c는 잠금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9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용기몸체를 상세히 보인 것으로서, 도 9a는 용기몸체의 측면도, 도 9b는 9a의 A-A선 단면도, 도 9c는 도 9b의 B부 확대 발췌도, 도 9d는 도 9c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운반용기 바스켓을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서, 도 10a는 바스켓을 단면하여 보인 평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좌측 확대도, 도 10c는 도 10a의 A를 발췌한 확대도, 도 10d는 도 10c의 우측 확대도, 도 10e는 바스켓의 취급꼭지를 보인 발췌도, 도 10f는 도 10e의 측면도, 도 10g는 바스켓 뚜껑의 정면도, 도 10h는 도 10g의 측면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운반용기 본체의 인양수단인 트러니온을 발췌하여 보인 것으로서, 도 11a는 트러니온의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정면도.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밀봉용 상부덮개를 보인 것으로서, 도 12a는 밀봉용 상부덮개를 단면한 평면도, 도 12b는 도 12a의 측면도.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꼭지마개의 확대도로서, 도 13a는 꼭지마개의 단면도, 도 13b는 도 13a의 측면도.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핫셀이나 차폐 글로브박스의 조사시편 운반용기 접속부를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서, 도 14a는 접속부 차폐뚜껑 지지대 및 차폐뚜껑을 보인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A-A선 단면도, 도 14c는 도 14b의 측면도, 도 14d는 도 14a에 도시된 차폐뚜껑의 정면도, 도 14e는 도 14d의 측면도, 도 14f는 도 14e의 평면도, 도 14g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차폐뚜껑 지지대 고정용 하우징을 보인 단면도, 도 14h는 도 14g의 측면도, 도 14i는 도 14c에 도시된 베어링의 확대 발췌도, 도 14j는 도 14i의 B-B선 단면도, 도 14k는 도 14c에 도시된 멈춤장치의 확대 발췌도.
도 15는 도 5 내지 도 13에 도시된 도시된 조사시편 운반용기 본체와 운반용기 지지대 및 핫셀이나 글로브박스의 조사시편 운반용기 접속부와 체결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15a는 운반용기 본체가 운반용기 지지대에 올려진 상태에서 운반용기 접속부에 체결된 상태도, 도 15b는 운반용기 접속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운반용기 본체가 운반용기 지지대에 올려진 상태도, 도 15c는 도 15b의 측면도, 도 15d는 안착부의 고정대를 보인 발췌도, 도 15e는 도 15d의 측면도, 도 15f는 도 15d의 A부 확대 발췌도.
도 16은 도 6에 도시된 운반용기 바스켓을 원격으로 움직이기 위한 바스켓 취급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도 16a는 바스켓 취급장치를 단면한 정면도, 도 16b는 도 16a의 A부를 발췌한 확대도, 도 16c는 도 16b의 부분 발췌 분해도, 도 16d는 도 16a에 도시된 손잡이의 발췌한 확대도.
도 17은 도 15a내지 도 15c에 도시된 운반용기 본체와 운반용기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사용기 본체 10 : 용기몸체
20 : 운반용기 차폐뚜껑 조립체 30 : 조사시편 저장용 바스켓
40 : 운반용기 취급용 트러니온 50 : 운반용기 밀봉용 상부덮개
60 : 운반용기 밀봉용 꼭지마개 71 : 운반용기 상부 충격완충체
72 : 운반용기 하부 충격완충체 80 : 운반용기 지지대
90 : 운반용기 접속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시편을 수납하는 바스켓이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부에 내장되는 용기몸체, 조사시편 취급 구조물의 운반용기 접속부에 완전히 접속되면 용기몸체의 수납부를 중심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미끄럼 개방되도록 이루어진 차폐뚜껑 조립체, 회전방지구조를 가지며 용기몸체의 외곽면에 90°간격으로 돌출되어 수직 및 수평의 두 개조로 설치되는 운반용기 취급용 트러니온, 용기몸체의 수납부 타측에 개구된 취급공을 밀봉시키는 하부 꼭지마개가 포함된 운반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조사시편 운반용기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한 차폐뚜껑 조립체는 수납부와 동축상으로 연통되면서 일측으로 개구된 '⊃'형의 개방홈이 형성되고 양측면 원주상에 사다리꼴의 홈부를 가지며 용기몸체에 볼트로 체결되는 차폐뚜껑 지지대, 차폐뚜껑 지지대의 개방홈에 측면으로 미끄럼 개폐되는 차폐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으며, 차폐뚜껑 지지대의 홈부가 위치되는 개방홈에는 운반용기 본체와 운반용기 접속부의 불완전한 접속시에 차폐뚜껑의 개방을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운반용기 접속부는 일측면에 운반용기 차폐뚜껑 지지대의 홈부와 대응되게 결합되는 돌부가 형성되고 운반용기 차폐뚜껑의 개방홈과 대응하는 개방홈을 갖는 차폐뚜껑 지지대, 차폐뚜껑 손잡이 및 요철결합에 의해 차폐뚜껑 지지대의 개방홈에서 운반용기 차폐뚜껑과 미끄럼식으로 함께 개폐되는 차폐뚜껑, 접속부 차폐뚜껑 지지대와 운반용기 차폐뚜껑 지지대의 접촉부분으로부터 지지벽으로 씌워져 볼트 체결을 통해 차폐뚜껑 지지대를 지지벽에 고정하는 차폐뚜껑 지지대 고정용 하우징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으며, 차폐뚜껑 지지대의 개방홈에는 차폐뚜껑이 지정된 허용 거리 밖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멈춤장치가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용기몸체의 수납부에는 바스켓을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는 바스켓 장전부가 형성되는 특징이 있으며, 트러니온은 운반용기 본체를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2단의 원형 봉 구조로 이루어지고 회전방지홈을 갖는 인양부, 용기몸체에 용착되어 인양부와 볼트 체결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안착부, 프레임부, 상하 승강장치, 미세 조절장치, 이동용 바퀴로 구성된 운반용기 지지대와; 운반용기 본체의 상하부에 씌워져 용기몸체의 외부로부터 충격완충 및 단열하는 상부충격완충체 및 하부충격완충체를 더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와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셀 조사시편 운반용기의 조립단면을 보인 것으로서, 방사선 조사시편을 수납하는 바스켓(30)이 내장되는 용기몸체(10)와 그 용기몸체(10)의 개구부를 미끄럼식으로 개폐시키는 운반용기 차폐뚜껑 조립체(20) 및 운반용기 취급용 트러니온(trunnion)(40)과 차폐뚜껑 조립체(20)를 보호하고 밀봉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용 상부덮개(50) 및 꼭지마개(60)로 이루어진 조사시편 운반용기 본체(1)와, 운반용기 본체(1)를 충돌사고나 화재사고시 보호하기 위한 상하부 충격완충체(71)(72) 및 도 15에 도시된 운반용기 지지대(80)로 구성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조사시편 운반용기 본체(1)가 핫셀이나 글로브박스의 조사시편 운반용기 접속부(90)와 체결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운반용기 본체(1)의 차폐뚜껑 지지대(21)가 운반용기 접속부(90)의 차폐뚜껑 지지대(91)와 밀착되어 결합되면, 운반용기(20)의 차폐뚜껑(22)은 차폐뚜껑 손잡이(94)에 의해 접속부(90)의 차폐뚜껑(92)과 결합되어 함께 개방됨으로써, 조사시편 투입구(99)로 바스켓(30)을 밀어 넣고, 바스켓(30)을 열어서 조사시편을 핫셀에서 운반용기 본체(1) 내부로 투입시키거나 조사시편을 운반용기 본체(1)로부터 글로브박스 내부로 반입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이때 바스켓(30)의 취급작업은 바스켓 취급장치(86)를 사용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g는 운반용기 차폐뚜껑 조립체(20)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것으로서, 차폐뚜껑 조립체(20)는 차폐뚜껑 지지대(21)와 차폐뚜껑(22)으로 구성된다. 차폐뚜껑 지지대(21)의 중심부에는 몸체(10)와 동축상으로 관통되어 축직각방향을 따라 개방된 미끄럼식 개방홈(21a)이 '⊃'형으로 형성되고, 그 차폐뚜껑 지지대(21)의 개방홈(21a)에는 차폐뚜껑(22)이 미끄럼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개방홈(21a)은 일측으로만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개방된 반대쪽은 항상 폐쇄상태이고 개방된 쪽은 차폐뚜껑(22)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항상 결합되어 개방홈(21a)이 차폐뚜껑(22)의 개폐방향으로 항상 차폐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개방홈(21a)과 차폐뚜껑(22)은 미끄럼 접촉부위의 차폐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동방향을 따라 요철구조로 결합된다.
또한, 차폐뚜껑 지지대(21)는 몸체(10)와 대응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면에 원주방향으로 홈부(21b)(21c)가 사다리꼴 구조로 요입 형성되며, 그 홈부(21b)(21c)에는 몸체(10)에 볼트로 체결되기 위한 볼트구멍(26)이 형성된다. 여기서, 홈부(21b)(21c)는 도 9a에 도시된 용기몸체(10)의 돌부(14a) 및, 도 14a에 도시된 운반용기 접속부(90)의 차폐뚜껑 지지대(91)에 형성된 돌부(91b)와 요철 결합되기 위한 것이며, 이렇게 결합된 요철 결합구조는 접속부위에 의한 차폐손실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차폐뚜껑 지지대(21)의 개방홈(21a) 상하단면에는 개폐시 차폐뚜껑(22)의 미끄럼 구동을 원활하도록 하는 미끄럼 베어링(27)이 도 7i 및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어링홈(27a) 및 고정핀(27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개재된다. 이때, 미끄럼 베어링(27a)은 차폐뚜껑 지지대(21)의 개방홈(21a) 양끝단에 설치되어 차폐손실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그 개방홈(21a)의 하단부에는 차폐뚜껑(22)의 하단부에 상부로 요입 형성된 잠금용 홈(22a)과 결합되어 운반용기 본체(1)가 운반용기 접속부(90)와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폐뚜껑(22)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24)가 설치된다.
도 8a와 도 8b 및 도 8c는 잠금장치(24)를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서, 이 잠금장치(24)는 잠금용 볼(24a), 안전핀(24b), 잠금장치 몸체(24c), 안전핀 구동 스프링(24d), 몸체 뚜껑(24e), 그리고 잠금장치 고정부(24f)로 구성된다.
여기서 잠금용 볼(24a)은 차폐뚜껑 지지대(21)의 개방홈(21a)에 설치된 잠금장치 몸체(24c)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폐뚜껑(22)의 잠김용 홈(22a)과 결합/분리되면서 차폐뚜껑 지지대(21)의 개방홈(21a)에서의 차폐뚜껑(22)을 잠금/해제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안전핀(24b)은 잠금장치 몸체(24c)에서 운반용기 접속부(90)의 차폐뚜껑 지지대(91)의 접촉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홈부(21c)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잠금용 볼(24a)을 상하 이동시키게 되며, 안전핀 구동 스프링(24d)은 안전핀(24b)을 운반용기 접속부(90)로 가압하여 잠금용 볼(24a)이 상승되도록 안전핀(24b)과 몸체 뚜껑(24e)에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시편 운반용기 본체(1)는 핫셀이나 글로브박스에 수평상태로 접속되므로 잠금용 볼(24a)은 운반용기 본체(1)가 수평상태로 놓여진 상태에서만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갈 수 있게 된다. 즉, 잠금장치 안전핀(24b)은 스프링(24d)의 힘에 의하여 차폐뚜껑 지지대(21)의 밖으로 돌출되면서 잠금용 볼(24a)을 차폐뚜껑(22)의 잠김용 홈(22a)과 결합하여 차폐뚜껑(22)의 개방을 방지하며, 차폐뚜껑 지지대(21)가 함께 결합되는 운반용기 접속부(90)의 차폐뚜껑 지지대(91)의 접촉면과 완전히 결합되면 안전핀(24b)이 잠금장치 몸체(24c)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잠금용 볼(24a)이 자중에 의해 잠금장치 몸체(24c) 안으로 떨어지면서 차폐뚜껑(22)의 잠김이 풀리게 된다.
한편, 잠금장치(24)는 차폐뚜껑 지지대(21)의 움푹 파인 부분인 홈부(21c)에 설치되고 밀봉용 상부덮개(50)에 덮히게 되므로, 상부덮개(50)를 열고 별도로 안전핀(24b)을 누르기 전에는 차폐뚜껑(22)이 절대 개방되지 않는 다중 안전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9a 도 9a 내지 도 9d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용기몸체(10)를 상세히 보인 것으로서, 이 몸체(10)는 스테인리스강 외부셸(11a)과 중심부에 바스켓 수납부(12a) 및 바스켓 취급공(12b)을 형성하는 내부셸(11b)의 사이에 납차폐체(11c)가 '⊃'자형태로 채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선단부에는 요철구조로 차폐뚜껑 지지대(21)와 결합되기 위한 차폐뚜껑 지지대 결합부(14)가 형성되며, 선단 외곽부의 원주상에는 상부덮개(50)와 결합되는 위한 플랜지(13)가 형성된다. 그 플랜지(13)에는 8개의 체결용 볼트구멍(15)이 관통 형성되어 운반시 상부덮개(50)와 체결 결합되고, 핫셀이나 글로브박스와 접속시에는 접속부 고정용 하우징(93)과 결합하는 볼트를 체결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차폐뚜껑 결합부(14)의 돌부(14a) 상하단부에는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키이홈(25)과 결합되는 키이(16)가 설치되어 차폐뚜껑 지지대(20)와 용기몸체(10)가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차폐뚜껑 결합부(14)에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차폐뚜껑(22)과 밀착된 상태에서 원활한 미끄럼 작동을 돕도록 하는 평면부(14b)가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몸체(10)의 수납부(12a) 내부에는 바스켓(30)을 고정하는 바스켓 장전부(17)가 형성되는 바, 이 장전부(17)는 도 10d에 도시된 바스켓고정부(32)의 고정돌기(32a)와 결합되어 바스켓(30)이 용기몸체(10)의 수납부(12a)에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바스켓 장전부(17)에는 상하부에 바스켓 고정돌기(32a)가 들어갈 수 있도록 상하부에 바스켓 돌기 삽입홈(17a)이 형성되고, 바스켓 고정돌기(32a)가 장전부(17)에 안착된 후에 회전하여 완전히 체결된 후 멈추게 하는 멈춤핀(18)이 형성된다.
도 10a 내지 도 10h는 운반용기 바스켓(30)을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서, 이 바스켓(30)은 원통형 몸통부(31)와, 용기몸체(10)의 장전부(17)의 삽입홈(17a)에 결합되는 고정돌기(32a)를 갖는 바스켓 고정부(32)와, 몸통부(31)로부터 후방으로 뻗으면서 용기몸체(10)의 취급공(12b)에 결합되는 차폐봉체(35)와, 그 차폐봉체(35)의 끝단에 형성된 바스켓 취급꼭지(33), 뚜껑 체결부(31a) 및 뚜껑(34)으로 구성된다. 바스켓(30)은 일체형으로 기계 가공하여 용접으로 인한 변형 등을 방지하게 되고, 바스켓 취급꼭지(33)를 바스켓 취급장치(86)로써 용기몸체(10)의 취급공(12b) 내부로 진입시킨 후 회전시켜 고정돌기(32a)를 통해 장전부(17)의 삽입홈(17a)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용기몸체(10)의 취급공(12b)과 차폐봉체(135)는 결합부위로의 차폐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단차구조로 결합된다.
또한, 바스켓 취급꼭지(33)는 바스켓(30)의 후방 끝단에 위치되며, 나사부분(33a)과 육각형의 꼭지부(33b)가 함께 형성됨으로써 바스켓 취급장치(86)를 통해 인출 및 반입시에 이송운동에 대한 체결은 나사부분(33a)에서 지탱하게 되며, 육각형 꼭지부(33b)는 회전운동을 할 때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바스켓 뚜껑(34) 역시 네 곳에 체결돌기(34a)가 형성되어 바스켓 몸체(31a)의 뚜껑 체결부(31a)와 회전 결합시키게 되며, 또한 뚜껑(34)의 가장자리에는 오링(o-ring; 36)이 설치되는 가스켓 홈(37)이 형성되어 바스켓 몸체(31)와의 밀봉을 유지하게 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운반용기 본체(1)의 인양수단인 트러니온(40)을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이 트러니온(40)은 용기몸체(10)의 외각에 90°간격으로 돌출되어 수직 및 수평의 두 개조로 설치되는 바, 인양부(41)가 용기몸체(10)의 외부셸(11a)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장착부(42)에 볼트로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양부(41)는 인양고리(41a, 41b)와, 볼트 체결용 구멍(41e)을 갖는 고정부(41c)로 이루어진다. 인양고리(41a, 41b)는 직경이 서로 다른 2단의 원형 봉 구조로 이루어져 운반용기 본체(1)를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용기몸체(10)의 무게 중심부에 설치된다. 인양부(41)의 고정부(41c)와 장착부(42)에는 모두 반원형의 회전방지홈(41d)이 3개가 설치되어, 도 16e의 운반용기 고정대(81)에 부착된 운반용기 회전방지핀(81d)을 끼워 운반용기 본체(1)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밀봉용 상부덮개(50)를 보인 것으로서, 이 밀봉용 상부덮개(50)는 차폐뚜껑 조립체(20)의 외곽에 씌워질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개방측 끝단에는 가스켓 홈(51a)과 8개의 볼트구멍(51b)을 가진 플랜지(51)가 부착됨으로써, 가스켓 홈(51a)에 오링(52)을 삽입하고 볼트구멍(51a)을 통해 8개의 볼트로 도 9a에 도시된 용기몸체(20)의 플랜지(13)와 결합하여 밀봉을유지하게 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꼭지마개(60)의 확대도로서, 이 꼭지마개(60)는 가스켓 홈(61a)을 가진 밀봉 플랜지(61)와 압력 누설시험용 연결꼭지(62), 연결장치 보호통(63), 보호통 마개(64)로 구성된다. 꼭지마개(60)는 용기몸체(10)의 끝에 볼트로 고정되며, 밀봉 플랜지(61)의 가스켓 홈(61a)에 설치된 오링(66)과 압력 누설시험용 연결꼭지(62)가 밀봉을 유지한다. 연결꼭지 보호통(63)에는 보호통 마개(64)가 나사식으로 고정되어 압력 누설시험용 연결꼭지(62)가 외부의 물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호통 마개(64)는 나사식으로 간편하게 열 수 있으므로 압력 누설시험시험장치를 쉽게 체결할 수 있으며, 꼭지마개(60)의 모든 부분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필요부분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다.
도 14a 내지 도 14k는 도 6에 나타낸 핫셀이나 차폐 글로브박스의 조사시편 운반용기 접속부(90)를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서, 운반용기 본체(1)와 접속시 운반용기 차폐뚜껑 지지대(91)와 결합되며 운반용기 차폐뚜껑 지지대(21)에 형성된 개방홈(21a)과 대응하는 개방홈(91a)이 '⊃'형으로 형성되는 차폐뚜껑 지지대(91)와, 그 차폐뚜껑 지지대(91)의 개방홈(91a)에서 미끄럼식으로 개폐되는 차폐뚜껑(92)과, 차폐뚜껑 지지대 고정용 하우징(93) 등으로 구성된다.
차폐뚜껑 지지대(91)의 개방홈(91a)에는 차폐뚜껑(92)의 원활한 미끄럼 구동을 돕기 위한 베어링(96)과 차폐뚜껑(92)이 지정된 허용 거리 밖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멈춤장치(95)가 설치된다. 베어링(96)은 베어링홈(96a) 및 고정핀(96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운반용기 접속부(90)의 차폐뚜껑(92)은 차폐뚜껑 손잡이(94)에 의해 운반용기 본체(1)의 차폐뚜껑(22)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운반용기 본체(1)의 차폐뚜껑 지지체(21)와 마주하는 차폐뚜껑 지지대(91)의 측면에는 그 운반용기 차폐뚜껑 지지대(21)의 요홈(21b)과 요철 결합되는 돌부(21b)가 원주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차폐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그 돌부(21b)의 상하단부에는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키이홈(25)과 결합되는 키이(97)가 설치되어 운반용기 차폐뚜껑 조립체(20)와의 정확한 결합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차폐뚜껑 지지대 고정용 하우징(93)은 접속부 차폐뚜껑 지지대(91)와 운반용기 차폐뚜껑 지지대(21)의 접촉부분으로부터 지지벽(98)으로 씌워지며, 6개의 볼트구멍(93a)에 볼트를 체결하여 차폐뚜껑 지지대(91)를 지지벽(98)에 고정하게 된다. 용기몸체(10)의 플랜지(13)의 볼트(18)가 체결되는 나사부(93b)는 운반용기 본체(10)와 운반용기 접속부(90)가 완전히 밀착된 후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폐뚜껑 멈춤장치(95)는 도 14k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속부 차폐뚜껑 지지대(91)의 개방홈(91a)에 장착된 멈춤장치 몸체(95a)와, 상승시 접속부 차폐뚜껑(92)의 멈춤용 홈(92a)과 결합될 수 있도록 멈춤장치 몸체(95a)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멈춤핀(95b)과, 멈춤장치 몸체(95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속부 차폐뚜껑(92)을 지지하는 로울러(95c)와, 멈춤핀(95d)을 상부로 가압시키는 멈춤핀 구동 스프링(95e)으로 구성된다.
이 차폐뚜껑 멈춤장치(95)는 접속부 차폐뚜껑(92)이 운반용기 차폐뚜껑(22)과 함께 개방홈(91a)(21a)에서 개방될 때 접속부 차폐뚜껑(92)의 멈춤용 홈(92a)과멈춤핀(95b)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부 차폐뚜껑(92)과 운반용기 차폐뚜껑(22)이 개방홈(91a)(21a)에서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차폐뚜껑 멈춤장치(95)는 멈춤수단과 구동용 베어링 수단이 멈춤장치 몸체(95a)를 통해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게 됨은 물론 차폐손실을 최소화하게 되며, 또한 전 부품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필요부분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다.
도 15a 내지 15f 및 도 17은 조사시편 운반용기 본체(1)가 운반용기 지지대(80)에 올려진 상태에서 핫셀이나 글로브박스의 조사시편 운반용기 접속부(90)와 체결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운반용기 지지대(80)는 운반용기 고정대(81)에 운반용기 본체(1)를 안착시킨 후에 볼트로 고정대 덮개(81b)를 체결한 후에 운반용기 회전방지핀(81d)을 끼워 운반용기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운반용기 지지대(80)는 운반용기 본체(1)를 지탱하는 안착부(81), 프레임부(82), 상하 승강장치(83), 미세조절장치(84), 이동용 바퀴(85a)로 구성된다. 프레임부(82)는 이동용 바퀴(85a)가 하단부에 부착되는 하측 프레임(82a)과 그 하측 프레임(82b)의 상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프레임(82b)으로 이루어진다. 하측 프레임(82b)의 상단부에는 안착부(81)가 미세조절장치(84)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하측 프레임(82a)에 장착된 상하 승강장치(83)에 의해 안착부(81)와 함께 상하 승강된다.
운반용기 안착부 프레임(81a)의 상부에는 덮개(81b)와 덮개볼트(81c)로 운반용기 트러니온(40)의 안양고리(41a)(41b)를 고정하며, 회전방지핀(81d)을 끼워 트러니온(40)의 회전방지용 홈(41d)에 결합시켜 운반용기 본체(1)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승강장치(83)는 워엄기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핸들(83a)과 그 핸들(83a)에 연동되게 하측 프레임(82a)에 장착되어 상측 프레임(82b)을 승강시키는 기어부(83b)로 구성된다. 이 승강장치(83)는 운반용기 본체(1)가 높이가 각각 다른 핫셀과 차폐 글로브박스의 접속부(90) 모두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운반용기 본체(1)의 운반시에는 전체 높이를 낮추어 운반시에 넘어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미세조절장치(84)는 전후좌우로 4개의 볼트(84a)가 상측 프레임(82b)의 상단면과 결합된 안착부(81)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운반용기 본체(1)가 운반용기 접속부(90)와 결합될 때 앞뒤 및 좌우의 미세한 위치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6은 운반용기 바스켓(30)을 원격으로 움직이기 위한 바스켓 취급장치(86)를 보인 것으로서, 손잡이(86a), 스프링 장치(86b), 바스켓 체결용 나사소켓(86c), 바스켓 회전용 육각소켓(86d), 바스켓 체결 확인핀(86e), 마개(86f) 및 보관용 걸이(86g)로 구성된다. 바스켓 체결 확인핀(86e)은 스프링 장치(86b)에 의해 바스켓 회전용 육각소켓(86d)의 내부에 돌출되며, 바스켓 회전용 육각소켓(86d)이 바스켓(30)의 육각꼭지(33b)와 완전히 결합되면 보관용 걸이(86g)쪽으로 돌출되어 바스켓(30)과 바스켓 취급장치가(86)의 완전히 체결되었음을 확인 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시편 운반용기 본체(1)의 조사시편을 인출 및 장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운반용기 본체(1)를 지지대(80)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하부 충격완충체(71, 72)를 해체하고, 꼭지마개(60)의 마개(64)를 제거한 후에 밀봉여부를 확인한 후에 상부덮개(50)를 제거한 다음, 상하 승강장치(83) 및 미세조절장치(84)를 이용하여 지지대(80)의 운반용기 본체(1)와 핫셀이나 글로브박스의 조사시편 운반용기 접속부(90)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춘다.
그리고, 도 15a와 같이 핫셀이나 글로브박스의 조사시편 운반용기 접속부(90)와 체결시게 된다. 즉, 위치 조정된 운반용기 본체(1)를 운반용기 접속부(90)로 가압 밀착시키게 되면, 차폐뚜껑 지지대(21)의 홈부(21c)와 운반용기 접속부(90)의 차폐뚜껑 지지대(91)의 돌부(91b)는 도 6a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구조에 의해 서로 정위치로 요철 결합된다. 이때, 운반용기 차폐뚜껑 지지대(21)의 홈부(21c)에 형성된 키이홈(25)과 접속부 차폐뚜껑 지지대(91)의 돌부(91b)에 형성된 키이(97)는 서로 결합되어 운반용기 본체(1)가 길이 직각방향으로 회전하여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다음, 결속볼트(18)를 운반용기 플랜지(13)로부터 접속부 차폐뚜껑 지지대 하우징(93)의 나사부(93b)에 넣고 체결하게 되며, 이때의 운반용기 본체(1)와 운반용기 접속부(90)는 지지대 하우징(93)을 통한 나사 체결에 의해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운반용기 본체(1)와 접속부(90)의 결합이 완료되면, 운반용기 차폐뚜껑 지지대(21)에 설치된 잠금장치(24)의 안전핀(24b)는 홈부(21c)가 접속부 차폐뚜껑 지지대(91)의 돌부(91b)에 밀착됨에 따라 스프링(24d)를 압축시키면서 잠금장치 몸체(24c)의 내측으로 밀려게 되고, 이때의 잠금용 볼(24a)은 이동되는안전핀(24b)의 구조와 자중에 의해 잠금장치 몸체(24c)로 완전히 내입되어 차폐뚜껑(22)의 잠김용 홈(22a)과 잠금장치 몸체(24c)를 서로 분리시키게 된다. 즉, 잠금장치(24)는 차폐뚜껑 지지대(21)의 개방홈(21a)에서 차폐뚜껑(22)의 잠김을 해제시킨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차폐뚜껑(22)의 잠김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 차폐뚜껑(92)에 부착된 차폐뚜껑 손잡이(94)를 운반용기 차폐뚜껑(22)과 함께 결합시키고, 용기몸체(10)에 결합된 꼭지마개(60)를 분리하며, 바스켓 취급장치(86)의 육각소켓(86d)을 바스켓 꼭지(33)와 체결한 다음, 차폐뚜껑 손잡이(94)를 잡아 당겨 차폐뚜껑(22,92)을 동시에 개방한다. 이때, 개방홈(91a)(21a)이 바스켓(30)이 원활히 통과할 정도로 적당히 개방되면, 접속부 차폐뚜껑 지지대(91) 측에 고정된 멈춤장치(95)의 멈춤핀(95b)은 접속부 차폐뚜껑(92)의 멈춤용 홈(92a)에 결합됨으로써, 접속부 차폐뚜껑(92)과 이에 손잡이(94)를 통해 일체로 고정된 운반용기 차폐뚜껑(22)이 개방홈(91a)(21a)에서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다음, 바스켓 취급장치(86)를 시계방향으로 45°회전시켜 바스켓 고정돌기(32a)를 용기몸체(10)의 장전부(17)에 형성된 바스켓 돌기 삽입홈(17a)에 일치, 체결을 해제시킨 후 바스켓(30)을 안으로 밀어 넣어 핫셀이나 차폐 글로브박스의 시편 투입구(99)로 진입시킨다. 이렇게 하여 바스켓(30)이 핫셀이나 차폐 글로브박스의 시편 투입구(99)의 내부 지지벽(98)까지 위치하게 되면, 핫셀이나 차폐 글로브박스의 내부에 있는 원격조정기(manipulator)를 이용하여 바스켓 뚜껑꼭지(34b)를 체결하여 뚜껑(34)을 개방한 후에 내부에 조사시편을 넣거나 꺼낸다. 조사시편 반입 또는 반출 작업이 완료되면 역과정을 거쳐 운반용기를 해체하고 운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반용기 본체(1)의 접속부분과의 결합부(90)가 사다리꼴 단면의 요철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결합이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되고, 차폐손실이 적으며, 용기 접속부(90)의 외곽을 감싸는 하우징(93)은 운반용기 본체(1)와의 결합을 확실하게 해주는 동시에 접속부분의 차폐를 보완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외곽부의 보조차폐구조가 필요없게 된다.
또한, 상부덮개(50)와 꼭지마개(60)는 밀봉성능을 보장하여 외곽에 씌워지는 상하부 충격완충체(71)(72)와 더불어 운반용기의 시설 외부로의 수송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 운반용기와 같이 시설 내부에서 제한된 부분의 운반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단점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운반용기 본체(1)의 상하좌우의 네 곳에 설치된 트러니온(40)은 별도의 전용 인양장치가 있어야만 취급할 수 있는 단점을 없앴으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이 취급 및 운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통형 운반용기 외곽부의 밀봉성과 취급의 편이성, 차폐성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고준위 방사선 조사시편의 운반작업시 작업의 위험성과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용기의 각 부품을 조립식으로 하여 필요부분의 보수나 교환을 원활하게 하여 운반용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시설내부의 운반시 필요부분을 해체하여 사용하여 작업의 편이성을 높이며, 외부 수송시에는 충격완충체 등을 부착하여 사고시의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준위의 방사선 조사시편의 미세조직시험 등의 시험을 위한 핫셀과 차폐 글로브박스 사이의 시설 내부에서의 운반에는 물론 외부의 수송시에도 방사성물질 오염을 방지하고, 차폐의 안전성을 유지하며, 작업소요시간을 단축하여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량 감소와 조사시편 운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방사선 조사시편을 수납하는 바스켓(30)이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부(12a)에 내장되는 용기몸체(10)와, 조사시편 취급 구조물의 운반용기 접속부(90)에 완전히 접속되면 상기 용기몸체(10)의 수납부(12a)를 중심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미끄럼 개방되도록 이루어진 차폐뚜껑 조립체(20)와, 회전방지구조를 가지며 상기 용기몸체(10)의 외곽면에 90°간격으로 돌출되어 수직 및 수평의 두 개조로 설치되는 운반용기 취급용 트러니온(40)과, 상기 용기몸체(10)의 수납부(12a) 타측에 개구된 취급공(12b)을 밀봉시키는 하부 꼭지마개(60)를 포함하는 운반용기 본체(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뚜껑 조립체(20)는 상기 수납공(12a)과 동축상으로 연통되면서 일측으로 개구된 '⊃'형의 개방홈(21a)이 형성되고 양측면 원주상에 사다리꼴의 홈부(21b)(21c)를 가지며 상기 용기몸체(10)에 볼트로 체결되는 차폐뚜껑 지지대(21)와, 상기 차폐뚜껑 지지대(21)의 개방홈(21a)에 측면으로 미끄럼 개폐되는 차폐뚜껑(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뚜껑 지지대(21)의 홈부(21b)(21c)가 위치되는 개방홈(21a)에는 상기 운반용기 본체(1)와 상기 운반용기 접속부(90)의 불완전한 접속시에 상기 차폐뚜껑(21)의 개방을 방지하는 잠금장치(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24)는 상기 차폐뚜껑 지지대(21)의 개방홈(21a) 하측단에 장착된 잠금장치 몸체(24c)와, 상승시 상기 잠금장치 몸체(24c)와 상기 차폐뚜껑(22)의 바닥홈(22a)에 함께 결합되도록 상기 잠금장치 몸체(24c)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용 볼(24a)과, 상기 잠금장치 몸체(24c)에서 상기 홈부(21c)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어 상기 운반용기 접속부(90)와 완전히 접촉될 경우 상기 용기몸체(10)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잠금용 볼(24a)을 하강 이동시키는 안전핀(24b)과, 상기 안전핀(24b)을 상기 운반용기 접속부(90) 쪽으로 가압하여 잠금용 볼(24a)이 상승 이동되도록 하는 안전핀 구동 스프링(24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용기 접속부(90)는 일측면에 상기 운반용기 차폐뚜껑 지지대(21)의 홈부(21c)와 대응되게 결합되는 돌부(91b)가 형성되고 상기 운반용기 차폐뚜껑(22)의 개방홈(21a)과 대응하는 개방홈(91a)을 갖는 차폐뚜껑 지지대(91)와, 차폐뚜껑 손잡이(94) 및 요철결합에 의해 상기 차폐뚜껑 지지대(91)의 개방홈(91a)에서 상기 운반용기 차폐뚜껑(22)과 미끄럼식으로 함께 개폐되는 차폐뚜껑(92)과, 상기 접속부 차폐뚜껑 지지대(91)와 상기 운반용기 차폐뚜껑 지지대(21)의 접촉부분으로부터 지지벽(98)으로 씌워져 볼트 체결를 통해 상기 차폐뚜껑 지지대(91)를 상기 지지벽(98)에 고정하는 차폐뚜껑 지지대 고정용 하우징(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뚜껑 지지대(91)의 개방홈(91a)에는 상기 차폐뚜껑(92)이 지정된 허용 거리 밖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멈춤장치(9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장치(95)는 상기 접속부 차폐뚜껑 지지대(91)의 개방홈(91a)에 장착된 멈춤장치 몸체(95a)와, 상승시 상기 접속부 차폐뚜껑(92)의 멈춤용 홈(92a)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멈춤장치 몸체(95a)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멈춤핀(95b)과, 상기 멈춤장치 몸체(95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접속부 차폐뚜껑(92)을 지지하는 로울러(95c)와, 상기 멈춤핀(95d)을 상부로 가압시키는 멈춤핀 구동 스프링(95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용기 차폐뚜껑 지지대(21)의 개방홈(21a)에는 상기 운반용기 차폐뚜껑(22)의 미끄럼 구동을 지지하는 미끄럼 구동용 베어링(27)이 설치되고, 상기 접속부 차폐뚜껑 지지대(91)의 개방홈(91a)에는 접속부 차폐뚜껑(92)의 미끄럼 구동을 지지하는 미끄럼 구동용 베어링(96)이 설치되며, 상기 개방홈(21a)(91a)과 상기 차폐뚜껑(22)(23)은 요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와 차폐뚜껑 조립체(20) 및 상기 운반용기 접속부(90)의 홈부(21b)(21c), 돌부(14a)(91b)에는 정위치 결합을 위한 키이홈(25) 및 키이(16)(9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뚜껑 조립체(20)의 외곽에 씌워지는 밀봉덮개(50)가 씌워지고, 상기 꼭지마개(60)는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몸체(1)에 결합되는 밀봉 플랜지(61), 상기 밀봉 플랜지(61)를 통해 상기 용기몸체(1)의 취급공(12b)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압력 누설시험장치와 결합되기 위한 압력 누설시험용 연결꼭지(62), 상기 압력 누설시험용 연결꼭지(62)의 외곽에 씌워져 상기 밀봉 플랜지(61)와 결합되는 연결장치 보호통(63), 상기 보호통(63)의 개방부에 나사로 체결되어 내부를 밀봉시키는 보호통 마개(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에 구비된 상기 수납부(12a)에는 상기 바스켓(30)을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는 바스켓 장전부(17)가 형성되며,
    상기 바스켓(30)은 조사시편이 수납되는 원통형 몸통부(31)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장전부(17)의 삽입홈(17a)에 결합되는 고정돌기(32a)를 갖는 바스켓 고정부(32)와, 상기 몸통부(31)로부터 후방으로 뻗으면서 상기 취급공(12b)과 단차구조로 결합되는 차폐봉체(35)와, 상기 차폐봉체(35)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 취급장치(86)와 체결되는 바스켓 취급꼭지(33)와, 상기 몸통부(31)의 뚜껑 체결부(31a)에 회전 결합되는 뚜껑(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니온(40)은 상기 운반용기 본체(1)를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2단의 원형 봉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몸체(10)의 무게 중심부에 설치되는 인양고리(41a, 41b), 그 인양고리(41b)와 연결되어 외곽에 90°간격으로 회전방지홈(41d)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부(41c)로 이루어진 인양부(41)와, 상기 용기몸체(10)에 용착되어 상기 인양부(41)의 고정부(41c)와 대응되는 구조로 볼트 체결되는 장착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KR1019990012957A 1999-04-13 1999-04-13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KR100309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957A KR100309396B1 (ko) 1999-04-13 1999-04-13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957A KR100309396B1 (ko) 1999-04-13 1999-04-13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101A KR20000066101A (ko) 2000-11-15
KR100309396B1 true KR100309396B1 (ko) 2001-09-26

Family

ID=1957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957A KR100309396B1 (ko) 1999-04-13 1999-04-13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612B1 (ko) 2010-11-30 2012-07-3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561B1 (ko) * 2007-11-02 2009-11-05 한국원자력연구원 관절을 가진 방사선 차폐시설용 원격 집게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612B1 (ko) 2010-11-30 2012-07-3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101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52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pent nuclear fuel from a spent nuclear fuel pool to a storage cask
JP4632631B2 (ja) 使用済み核燃料を貯蔵するシステム、使用済み核燃料を貯蔵する方法
US117280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spent nuclear fuel from wet storage to dry storage
US56469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underwater loading of nuclear materials into concrete containers employing heat removal systems
RU2404465C2 (ru) Крышка для загрузки в контейнер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тепловыделяющей сборки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US7820870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nsfer of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to and/or from a pool
US88842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nd/or working near a radioactive payload using shield-gate apparatus
KR102593423B1 (ko) 방사성 유해 폐기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위한 격납 캐스크
US7690406B2 (en) Hazardous waste transfer port system and storage container
JPS632080B2 (ko)
US3838289A (en) Radioactive waste filter removal system
KR100309396B1 (ko)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EP4235699A1 (en) Transport basket for defective spent nuclear fuel of heavy-water reactor
US3883012A (en) Dry cask handling system for shipping nuclear fuel
JP6125343B2 (ja) 放射性物質収納容器移送方法、放射性物質収納容器吊装置および放射性物質収納容器
KR20030011776A (ko) 방사성 물질을 운반 또는 보관하는 이중 용기 컨테이너
USH11H (en) Can-out hatch assembly and positioning system
JP2001174592A (ja) 使用済燃料の貯蔵方法及び装置
JPH10115698A (ja) キャニスタ搬送容器
USH10H (en) Can-out hatch assembly with magnetic retention means
CN216671211U (zh) 一种用于堆外核测探测器灵敏段组件转运的容器
RU72352U1 (ru) Транспортный упаковоч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и хранения радиоактив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7390262B2 (ja) 緩衝体および放射性物質収納容器並びに放射性物質収納容器の縦起こし方法
JPH0140319B2 (ko)
JPS63236998A (ja) 放射性廃棄物の輸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