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612B1 -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612B1
KR101169612B1 KR1020100120454A KR20100120454A KR101169612B1 KR 101169612 B1 KR101169612 B1 KR 101169612B1 KR 1020100120454 A KR1020100120454 A KR 1020100120454A KR 20100120454 A KR20100120454 A KR 20100120454A KR 101169612 B1 KR101169612 B1 KR 101169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hot cell
hot
containe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925A (ko
Inventor
방경식
이주찬
최우석
이상훈
서중석
서기석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6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 G21F5/008Containers for fue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32Apparatus for removing radioactive objects or materials from the reactor discharge area, e.g. to a storage place; Apparatus for handling radioactive objects or materials within a storage place or removing them therefrom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4Devices for handling containers or shipping-casks, e.g. transporting devices loading and unloading, filling of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이송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는, 바스켓에 설치된 스토퍼를 상부 지지대의 홈에 정확히 맞추기 위해서는 밀대를 밀면서 사람의 감각에 의해 스토퍼를 상부 지지대의 홈에 맞추어야 하고, 또한, 중량의 고준위 물질을 적재하게 되는 경우 밀대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바스켓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 제 1 바스켓, 제 2 바스켓, 볼락(ball rock) 및 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의 이송 메커니즘이 제공되며, 그것에 의해,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내의 캐니스터에 적재되는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보다 수월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또한, 중량의 고준위 물질도 밀대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쉽게 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An internal transfer apparatus for basket of hot-cell cask}
본 발명은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hot-cell)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basket) 이송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내의 캐니스터(canister)에 적재되는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로 보다 더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구조 및 그러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과 같은 분야에 있어서는,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방사능 폐기물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방사능 폐기물은, 인체 및 환경에 치명적인 방사선 누출의 위험과 더불어 그 처리기간도 매우 길어, 사후처리 과정에 있어서의 안정성의 확보가 우선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사능 폐기물의 처리를 위해서는, 방사능 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특수한 용기가 필요하며, 이러한 방사능 처리용기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10-0869773호(2008.11.14. 등록)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사능 폐기물 운반용기"가 있다.
즉,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869773호의 "방사능 폐기물 운반용기"는, 컨테이너형으로 제작된 종래의 방사성 폐기물 저장용기를 개선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 개의 드럼들이 고무 재질의 완충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운반용기를 적재하여 이송 및 적재보관시 작용되는 하중 및 충격이 가해졌을 때 내부의 드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사능 폐기물 운반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나 연구용 원자로 등에서 조사된 사용후 핵연료봉(spent nuclear fuel rod)이나 조사재(irradiated material)는, 장기간 강한 방사선이 방출되므로 작업자들의 방사선 피폭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사선차폐 및 환기계통이 충분히 갖추어진 핫셀(hot cell)에서 연료봉 등을 절단한 후 마운팅(mounting) 처리하여 시편을 제작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제작된 사용후 핵연료 시편이나 조사시편(irradiated specimen), 즉, 고준위 방사성물질인 시편을 핫셀 외부로 반출하거나, 차폐 글로브박스로 반입하거나, 시설 내부 또는 외부로 수송하기 위해서는, 취급작업 및 수송이 용이한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는 운반용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고준위 방사능물질 운반용기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10-0309396호(2001.09.06. 등록)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가 있다.
즉,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309396호의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는, 종래의 운반용기는 차폐뚜껑의 크기와 무게가 커서 전용 장치가 있어야만 크레인 설비를 이용해서 수직방향으로만 개폐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종래의 소형 방사성물질 운반용기는, 상하좌우에 4개의 취급고리가 있어 별도의 전용 취급장치가 없이도 멜빵(sling) 등으로 체결하여 크레인으로 인양할 수 있으나, 취급중에 운반용기의 회전을 방지할 수 없으며, 시설 내부에서 수평상태로만 운반할 수 있었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309396호의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는, 방사선 조사시편을 수납하는 바스켓이 일측으로 개구된 수납부에 내장되는 용기몸체, 조사시편 취급 구조물의 운반용기 접속부에 완전히 접속되면 용기몸체의 수납부를 중심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미끄럼 개방되도록 이루어진 차폐뚜껑 조립체, 회전방지구조를 가지며 용기몸체의 외곽면에 90°간격으로 돌출되어 수직 및 수평의 두 개조로 설치되는 운반용기 취급용 트러니온, 용기몸체의 수납부 타측에 개구된 취급공을 밀봉시키는 하부 꼭지마개가 포함된 운반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조사시편 운반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즉,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309396호의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는, 수송용기 차폐뚜껑의 형상 및 기능을 최적화하여,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안전하고도 간단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외곽부의 밀봉성을 높여 방사성 물질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고준위 방사성 물질인 조사시편을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이하 '고준위 물질'이라 함)을 분석 또는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른바 핫셀(hot-cell)이라는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이들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해서는, 핫셀 운반용기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basket) 내의 캐니스터(canister)에 적재되는 고준위 물질은 바스켓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핫셀로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핫셀 운반용기 공동(cavity) 내에는 바스켓 이송장치가 포함되어 제작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운반하기 위한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공동 내의 바스켓 이송장치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운반하기 위한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공동 내의 바스켓 이송장치(10)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11), 바스켓(basket)(12), 상부 지지대(13), 중앙부 지지대(14), 하부 지지대(15), 스토퍼(stopper)(16) 및 밀대(push rod)(1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핫셀 운반용기 공동 내의 바스켓을 핫셀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i) 핫셀 운반용기를 핫셀 후문(rear door)에 접속한 후, ⅱ) 핫셀 운반용기 바닥부의 클로저(closure)를 열고 밀대를 바닥부에 연결하고, ⅲ) 핫셀 후문과 핫셀 뚜껑을 동시에 개방(open)한 후 밀대(17)를 사용하여 바스켓(12)을 민 다음, ⅳ) 상부 지지대(13)에 스토퍼(16)가 걸리면 밀대(17)를 돌려 상부 지지대(13)의 홈에 맞춘 후, ⅴ) 밀대(17)를 다시 밀어 핫셀 통로를 통해 바스켓(12)을 핫셀 내벽 끝까지 밀어 넣으며, ⅵ) 내벽 끝에 캐니스터(canister)가 닿으면 밀대(17)를 돌려 핫셀 내의 뚜껑과 완전 접속시킨 후, ⅶ) 핫셀의 정면에 있는 납 유리창을 통해 핫셀 내부의 뚜껑을 보면서 원격 조종기를 사용하여 뚜껑을 열고, ⅷ) 납 유리창을 통해 캐니스터(canister) 내부에 적재된 고준위 물질을 보면서 원격 조종기를 사용하여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이송하게 된다.
또한, 핫셀 운반용기로 캐니스터를 이송하는 것은, 상기한 ⅰ) ~ ⅶ)의 작업을 거꾸로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더 상세하게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대(17)를 사용하여 바스켓을 밀게 되고, 바스켓(12)에 설치된 스토퍼(16)가 상부 지지대(13)에 걸리면 상부 지지대(13)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스토퍼(16)를 맞추기 위해 밀대(17)를 돌리게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대(17)로 돌려 스토퍼(16)가 홈에서 빠져나오도록 한 뒤, 다시 밀대(17)를 사용하여 바스켓(12)을 밀게 되면 핫셀의 통로를 통해 바스켓(12)은 핫셀 내부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의 이송구조는, 바스켓에 설치된 스토퍼를 상부 지지대의 홈에 정확히 맞추기 위해 전적으로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여 밀대를 밀면서 스토퍼를 상부 지지대의 홈에 맞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는, 중량의 고준위 물질을 적재하게 되는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대를 사용하여 바스켓을 밀게 되면, 바스켓이 가이드 레일 밑으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밀대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바스켓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사람의 감각에만 의존하여 밀대를 밀면서 스토퍼를 상부 지지대의 홈에 맞추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바스켓 내의 캐니스터에 적재되는 중량의 고준위 물질도 밀대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쉽게 이송할 수 있는 새로운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내의 캐니스터에 적재되는 고준위 물질을, 사람의 감각에만 의존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용이하게 핫셀로 전달할 수 있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의 고준위 물질을 적재하게 되는 경우 밀대를 사용하여 바스켓을 밀게 되면 바스켓이 가이드 레일 밑으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밀대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바스켓을 제어하기 어려웠던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바스켓 내의 캐니스터에 적재되는 중량의 고준위 물질도 밀대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쉽게 이송할 수 있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hot-cell)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hot-cell) 운반용기 바스켓(basket) 이송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포함하는 제 1 바스켓과, 상기 제 1 바스켓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준위 물질을 상기 핫셀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바스켓 및 상기 제 2 바스켓을 이동하기 위한 밀대(push rod)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바스켓은, 상기 가이드 레일과 별도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바스켓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볼락(ball rock)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장치는, 상기 밀대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바스켓을 밀게 되면, 상기 볼락이 상기 제 1 바스켓의 상기 가이드홈의 반대편 끝에 닿게 되고, 이때, 힘을 더 주어 상기 밀대를 다시 밀면, 상기 제 2 바스켓이 상기 제 1 바스켓으로부터 빠져나와 핫셀 통로를 통해 상기 제 2 바스켓을 핫셀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이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준위 물질을 상기 핫셀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방법이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과 별도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바스켓과,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볼락(ball rock)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바스켓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준위 물질을 상기 핫셀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바스켓 및 상기 제 2 바스켓을 이동하기 위한 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대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바스켓을 밀게 되면, 상기 볼락이 상기 제 1 바스켓의 상기 가이드홈의 반대편 끝에 닿게 되고, 이때, 힘을 더 주어 상기 밀대를 다시 밀면, 상기 제 2 바스켓이 상기 제 1 바스켓으로부터 빠져나와 핫셀 통로를 통해 상기 제 2 바스켓을 핫셀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이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준위 물질을 상기 핫셀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이송 메커니즘에 있어서, 밀대를 밀면서 사람의 감각에 의해 스토퍼를 상부 지지대의 홈에 맞추어야 하는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내의 캐니스터에 적재되는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의 고준위 물질을 적재하게 되는 경우 밀대를 사용하여 바스켓을 밀게 되면 바스켓이 가이드 레일 밑으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밀대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바스켓을 제어하기 어려웠던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중량의 고준위 물질도 밀대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쉽게 이송할 수 있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 1은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밀대를 사용하여 바스켓을 미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 메커니즘에 있어서 바스켓이 상부 구조물을 빠져나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 메커니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 메커니즘에 있어서 제 1 바스켓이 제 2 바스켓을 빠져나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의 이송 메커니즘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이송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내의 캐니스터에 적재되는 사용후 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이송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이송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대(17)를 사용하여 바스켓(12)을 밀도록 구성되고, 이때, 바스켓(12)에 설치된 스토퍼(16)가 상부 지지대(13)에 걸리면, 밀대(17)를 돌려서 상부 지지대(13)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스토퍼(16)를 맞추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이송장치(10)는, 바스켓(12)에 설치된 스토퍼(16)를 상부 지지대(13)의 홈에 정확히 맞추기 위해서는, 사람의 감각에 의해 밀대(17)를 밀면서 스토퍼(16)를 상부 지지대(13)의 홈에 맞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10)는, 중량의 고준위 물질을 적재하게 되는 경우 밀대(17)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바스켓(12)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이송장치(40)를 구성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 메커니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40)의 구성은, 가이드 레일(guide rail)(41), 제 1 바스켓(basket)(42), 제 2 바스켓(43), 볼락(ball rock)(44) 및 밀대(push rod)(4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의 이송 메커니즘을 사용하면,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내의 캐니스터에 적재되는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보다 수월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또한 중량의 고준위 물질도 밀대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쉽게 이송할 수 있다.
즉,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의 이송장치(40)는, 가이드 레일(41)을 포함하는 제 1 바스켓(42)과, 상기 제 1 바스켓(42) 내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41)을 따라 이동하여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바스켓(4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41)과 별도로 제 1 바스켓(42)에 형성되어 있는 긴 가이드홈(46)을 따라 제 2 바스켓(43)에 형성된 볼락(44)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밀대(45)를 사용하여 제 2 바스켓(43)을 밀게 되면, 볼락(44)이 제 1 바스켓(42)의 가이드홈(46) 반대편 끝에 닿게 되고, 이때, 조금의 힘을 더 주어 밀대(45)를 다시 밀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바스켓(43)이 제 1 바스켓(42)으로부터 빠져나와 핫셀 통로를 통해 제 2 바스켓(43)을 핫셀로 이송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의 이송장치(10)는, 스토퍼(16)가 상부 지지대(13)에 걸린 후, 사람의 감각에 의해 밀대(17)를 돌려서 스토퍼(16)를 상부 지지대(13)의 홈에 맞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볼락(44)과 가이드홈(46)의 구성에 의해, 밀대를 밀면서 사람의 감각에 의해 스토퍼를 상부 지지대의 홈에 맞추어야 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의 이송장치(10)는, 중량의 고준위 물질을 적재하게 되는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대(17)를 사용하여 바스켓(12)을 밀면 중량에 의해 바스켓(12)이 가이드 레일(11) 밑으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의 이송장치(40)에 따르면, 기존의 상부 지지대(13), 중앙부 지지대(14) 및 하부 지지대(15) 대신에, 고준위 물질을 담는 제 2 바스켓(43)이 수용되는 제 1 바스켓(42)을 설치하여 제 2 바스켓(43) 전체를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중량의 고준위 물질도 밀대(45)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쉽게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밀대를 밀면서 사람의 감각에 의해 스토퍼를 상부 지지대의 홈에 맞추어야 하는 종래의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의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바스켓 내의 캐니스터에 적재되는 고준위 물질을 핫셀로 보다 수월하게 이송할 수 있는 동시에, 중량의 고준위 물질도 밀대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쉽게 이송할 수 있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의 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의 이송 메커니즘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11. 가이드 레일 12. 바스켓
13. 상부 지지대 14. 중앙부 지지대
15. 하부 지지대 16. 스토퍼
17. 밀대
40.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41. 가이드 레일 42. 제 1 바스켓
43. 제 2 바스켓 44. 볼락(ball rock)
45. 밀대

Claims (7)

  1. 사용후 핵연료를 포함하는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hot-cell)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hot-cell) 운반용기 바스켓(basket) 이송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포함하는 제 1 바스켓;
    상기 제 1 바스켓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준위 물질을 상기 핫셀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바스켓; 및
    상기 제 2 바스켓을 이동하기 위한 밀대(push rod)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스켓은, 상기 가이드 레일과 별도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스켓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볼락(ball rock)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바스켓을 밀게 되면, 상기 볼락이 상기 제 1 바스켓의 상기 가이드홈의 반대편 끝에 닿게 되고, 이때, 힘을 더 주어 상기 밀대를 다시 밀면, 상기 제 2 바스켓이 상기 제 1 바스켓으로부터 빠져나와 핫셀 통로를 통해 상기 제 2 바스켓을 핫셀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5. 사용후 핵연료를 포함하는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이송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준위 물질을 상기 핫셀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방법.
  6. 사용후 핵연료를 포함하는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과 별도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바스켓;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볼락(ball rock)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바스켓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준위 물질을 상기 핫셀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바스켓; 및
    상기 제 2 바스켓을 이동하기 위한 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대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바스켓을 밀게 되면, 상기 볼락이 상기 제 1 바스켓의 상기 가이드홈의 반대편 끝에 닿게 되고, 이때, 힘을 더 주어 상기 밀대를 다시 밀면, 상기 제 2 바스켓이 상기 제 1 바스켓으로부터 빠져나와 핫셀 통로를 통해 상기 제 2 바스켓을 핫셀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7. 사용후 핵연료를 포함하는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핫셀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핫셀 운반용기의 바스켓 이송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6항에 기재된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준위 물질을 상기 핫셀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방법.
KR1020100120454A 2010-11-30 2010-11-30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KR101169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454A KR101169612B1 (ko) 2010-11-30 2010-11-30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454A KR101169612B1 (ko) 2010-11-30 2010-11-30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925A KR20120058925A (ko) 2012-06-08
KR101169612B1 true KR101169612B1 (ko) 2012-07-31

Family

ID=4661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454A KR101169612B1 (ko) 2010-11-30 2010-11-30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734B1 (ko) 2020-10-22 2021-10-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결함 사용후핵연료 운반 바스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396B1 (ko) 1999-04-13 2001-09-26 장인순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KR100869773B1 (ko) 2008-07-02 2008-11-21 전주호 방사능 폐기물 운반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396B1 (ko) 1999-04-13 2001-09-26 장인순 핫셀용 조사시편 운반용기
KR100869773B1 (ko) 2008-07-02 2008-11-21 전주호 방사능 폐기물 운반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734B1 (ko) 2020-10-22 2021-10-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결함 사용후핵연료 운반 바스켓
WO2022086222A1 (ko) 2020-10-22 2022-04-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결함 사용후핵연료 운반 바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925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25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spent nuclear fuel from wet storage to dry storage
CN103366845B (zh) 核电站放射性废过滤器芯子的更换转运方法
EP1359594A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pent nuclear fuel from a transfer cask to a storage cask
CN101730914B (zh) 具有可移动底部的长期储存包装
US100200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pent nuclear fuel
Bachmann et al. Conceptual study of the remote maintenance of the DEMO breeding blanket
KR101249905B1 (ko) 핫셀 간 이송 장치
KR101169612B1 (ko) 핫셀 운반용기 바스켓 이송장치
US82705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age and processing of radioisotopes
GB953298A (en) Nuclear reactor fuelling arrangement
RU2323493C1 (ru) Способ перегрузки топлива атомной станции для дожиг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15010947A (ja) 放射性物質の処理設備
CN107863170B (zh) Mox芯块制备工艺辐射防护方法
JP2000009890A (ja) キャニスタの輸送装置
JPH0924761A (ja) 放射性ドラム搬送車
CN110379531A (zh) 一种核设施退役拆除物项厂房内转运屏蔽容器
KR100764093B1 (ko) 사용후 핵연료봉 장전 캡슐의 저장 및 이송 용기
KR100511560B1 (ko) 다목적 Cf-252 중성자 선원 취급장치
JPH0636071B2 (ja) 核物質保管装置
JPH0418639B2 (ko)
SK1062019U1 (sk) Robotický manipulačný a technologický systém teplej komory robotizovanej linky plnenia a prípravy úložných obalových súborov na hlbinné ukladanie vyhorených palivových článkov
SK822019A3 (sk) Robotický manipulačný a technologický systém teplej komory robotizovanej linky plnenia a prípravy úložných obalových súborov na hlbinné ukladanie vyhorených palivových článkov
Breshears Magnetically Coupled Transport System
Hwanga et al. Fuel Handling Process between Spent Fuel Storage Pools in APR1400 NPPs
JPH11287897A (ja) 放射性廃棄物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