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847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847B1
KR100308847B1 KR1019990045738A KR19990045738A KR100308847B1 KR 100308847 B1 KR100308847 B1 KR 100308847B1 KR 1019990045738 A KR1019990045738 A KR 1019990045738A KR 19990045738 A KR19990045738 A KR 19990045738A KR 100308847 B1 KR100308847 B1 KR 100308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arameter
terminal
base station
power al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955A (ko
Inventor
김동우
장연호
Original Assignee
김대기
주식회사 신세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기, 주식회사 신세기통신 filed Critical 김대기
Priority to KR101999004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8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a) 기지국에서 과부하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시스템 액세스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송신된 액세스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말기가 특정단말기인지 일반단말기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시스템 액세스 파라미터를 수신한 단말기가 특정단말기인 경우 수신 파라미터를 무시하고 자체적으로 설정된 개방루프 전력 할당값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설정된 전력할당 값으로 액세스 채널로 발신 및 착신응답을 시도하는 단계; e) 상기 (b)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파라미터를 수신한 단말기가 일반단말기인 경우 수신한 파라미터 내용에 의거하여 개방루프 전력 할당값을 설정하는 단계 ; 및 f) 상기 (e)단계에서 설정된 전력할당값으로 액세스 채널로 발신 및 착신응답을 시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과도한 호 접속요구 및 착신요구에 따른 과부하 발생시 기지국의 시스템 액세스 파라미터 중 개방루프 전력 할당치를 결정하는 변수값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있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 { LINK METHOD OF ACCESSD OF SPECIAL MOBIL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전화 사용자를 특정 단말기 집단과 일반단말기 집단으로 분리하여 설정하고 시스템의 과부하 발생시 일반단말기 집단에 대해서는 단말기의 출력전력을 특정단말기 집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값을 할당하여 과도한 호접속요구에 따른 간섭신호 발생을 억제하고자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력제어는 크게 나누어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송신하는 전력을 제어하는 순방향 전력제어와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신호 전력을 제어하는 역방향 전력제어이다. 여기서 역방향 전력제어는 다시 개루프 전력제어, 폐루프 전력제어, 외곽루프 전력제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들 세가지 방법을 병합하여 현재 CDMA 셀룰러 이동통신에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역방향 제어채널 상의 신호전력 액세스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다. 액세스 시도(100)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프로브 시퀸스(Access Probe Sequence :10,20,30,..n)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액세스 프로브시퀀스(10,20,30,..n)는 다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프로브(1,2,3,4,n)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세스 프로브 시퀸스의 최대갯수를 의미하는 액세스 프로브 시퀀스(MAX_SEQ : 80) 및 액세스 프로브의 최대갯수를 의미하는 액세스 프로브(1+NUM_STEP : 6)값은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액세스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전달된다.
상기 각각의 액세스 프로브에는 단말기가 기지국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동일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단말기는 호셋업, 위치등록 등 기지국에서 전달한 메시지가 있는 경우,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IP(Initial Power) 즉, 초기전력의 크기로 액세스프로브(1)를 송신하게 되며, 일정시간내에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가 송신한 메시지를 받았다는 응답을 수신하면 액세스 시도의 과정은 끝나게 된다. 그런데 그 시간내에 응답메시지를 받지 못하게 되면 초기전력(IP)의 크기에 미리 기지국에서단말기에 전달하는 메시지내에 포함되어 있는 제 1전력증가분(PI1)의 전력만큼 증가시켜 동일한 메시지를 담은 액세스 프로브(2)를 다시 송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액세스 프로브(2)를 송신하고도 기지국으로부터 응답메세지가 없을 경우에는 다시 또 제2 전력증가분(PI2)만큼 신호전력을 증가시켜 액세스프로브(3)를 송신하게 되며, 계속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응답메시를 받지 못할 경우에는 이 과정을 최대 액세스프로브(1+NUM_STEP : 6)까지 수행하게 된다. 예를들어 최대 액세스 프로브의 값이 16이라고 하면 보통 20초 정도가 소요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른 CDMA관련 표준에서 초기전력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초기전력(IP(dBm))=평균입력전력(dBm)-73 + NOM_PWR(dB) + INIT_PWR(dB)
여기서 INIT_PWR(dB)는 이동국에서 액세스 프로브를 기지국으로 보낼 때 초기 전송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상기 NOM_PWR은 이동국이 액세스 프로브를 기지국에 전송할 때 전송전력 오프셋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액세스 프로브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력을 증가시켜 액세스함은 최초 전송전력을 너무 높게 설정하면 액세스는 쉽게 되나 필요이상의 전력을 송신하기 때문에 기지국에 많은 간섭량을 야기하여 기지국의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하나의 액세스 프로브 시퀸스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일정시간 지연 후 또 다른 액세스 시퀀스의 첫번째 액세스를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역방향 전력제어에서 액세스 방법은 모든 이동국에서 액세스시 설정되는 평균전력 전력이 동일한 기지국내에서는 같은방법(같은 크기의 변수)으로 결정된다. 이는 기지국에서 각 단말기의 전력이 동일하게 수신되게 하기 위한 목적이나 특정지역에서 발신 및 착신의 요구가 현저히 증가할 경우 예를들어 첫눈 오는날이나 크리스마스 전날에는 간섭량이 증가되어 시스템내의 단말기들을 발신시도 실패 및 착신응답 현상을 겪게된다. 그러므로 국가비상 대책용, 군 작전용등과 같은 특정 단말기 집단이 긴급하고 필요한 전화를 요구하게 될 때 발신 및 착신요구도 간섭현상에 의해 발신 및 착신동작이 제약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과도한 호 접속시도로 인한 시스템 과부하 방지를 위한 것으로 특히 CDMA이동전화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 집단에 대해 액세스시 평균 출력전력을 최대로 유지하고, 일반 단말기에 대해서는 최소로 유지하게 함으로서, 액세스 과부하 기지국의 간섭량을 줄여 특정단말기 집단의 접속성공율을 높이고자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기지국에서 과부하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시스템 액세스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송신된 액세스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말기가 특정단말기인지 일반단말기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시스템 액세스 파라미터를 수신한 단말기가 특정단말기인 경우 수신 파라미터를 무시하고 자체적으로 설정된 개방루프 전력 할당값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설정된 전력할당 값으로 액세스 채널로 발신 및 착신응답을 시도하는 단계; e) 상기 (b)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파라미터를 수신한 단말기가 일반단말기인 경우 수신한 파라미터 내용에 의거하여 개방루프 전력 할당값을 설정하는 단계 ; 및 f) 상기 (e)단계에서 설정된 전력 할당값으로 액세스 채널로 발신 및 착신응답을 시도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e)단계에서 일반단말기는 액세스 프로브를 기지국으로 보낼 때 초기 전송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및 액세스 프로브를 기지국에 전송할 때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최소값으로 설정하고 전력증가분 변수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역방향 링크제어 채널을 통한 액세스 시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단말기의 집단 액세스 전력할당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반단말기 집단의 액세스 전력할당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집단 액세스 전력할당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단말기 집단 액세스 전력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정단말기는 호 접속을 위하여 페이징 채널 메시지중의 시스템 액세스 파라미터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는다. 그리고 상기 특정단말기는 액세스 프로브의 출력전력을 결정하는 기지국의 변수값을 무시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을 이용하여 출력전력을 결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특정단말기가 액세스 채널로 접속을 시도할때의 평균출력 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특정단말기 평균출력전력 = 평균입력전력 (dBm)-73 + NOM_PWR(dB) +INIT_PWR(dB) + 액세스프로브의 교정값(PWR_STEP)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출력전력을 통해 특정단말기는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발신 시도 및 착신응답을 함으로서 과부하시에도 접속성공율이 높게된다.
여기서 특정단말기라 함은 긴급을 요하는 업무에 관여된 단말기로서 의료용, 군사용, 또는 산업상 긴급한 업무에 사용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반단말기의 집단 액세스 전력할당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다.
즉, 일반단말기의 집단은 호 접속을 위하여 페이징 채널 메시지중의 시스템 액세스 파라미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일반단말기는 액세스 프로브의 출력전력을 결정하는 기지국의 변수값을 이용하여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발신시도 및 착신응답을 수행한다. 여기서 액세스의 프로브의 출력전력을 결정하는 변수값은 기지국에서 결정되어 각 단말기로 송신된다. 이때 과도한 호접속 요구 및 착신요구에 따른 과부하에 상기 기지국은 개방루프 전력 할당값을 최소로 변경하여 각 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러므로 일반단말기는 수신된 파라미터에 의해 호 접속이 억제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기지국에서의 액세스 전력할당 제어방법을 도 4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의 단말기 사용자가 해당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송신키를 누르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신호가 엑세스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이때 이 각각의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은 해당 신호의 호접속 요구상태가 과부하 상태인지를판단하게 된다(S1,S2).
이때, 상기 기지국에서 판단한 결과 해당 기지국으로 호접속을 요구하는 이동국이 많아 과부하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는 이동국에서 액세스 프로브를 기지국으로 보낼 때 초기 전송전력을 결정하기위한 파라미터(INIT_PWR(dB)) 및 이동국이 액세스 프로브를 기지국에 전송할 때의 전송전력 오프셋(NOM_PWR)값을 최소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또한 전력증가분의 변수를 제로(0)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액세스 프로브 파라미터를 각각의 이동국으로 송신한다(S3,S4).
이때, 상기와 같이 과부하시에 기지국에서 설정된 파라미터 정보는 각각의 이동국으로 수신되는데, 이 정보를 수신한 이동국이 일반이동국일 경우에는 액세스 프로브의 출력전력을 결정하는 기지국의 변수값을 이용하여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발신시도 및 착신응답을 수행한다. 따라서 과부하시에는 일반 이동국의 호접속은 억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과 부하시에 기지국에서 설정된 파라미터 정보는 각각의 이동국으로 수신되는데, 이 정보를 수신한 이동국이 특정 이동국일 경우에는 액세스 프로브의 출력전력을 결정하는 기지국의 변수값을 무시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을 이용하여 출력전력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과부하시에도 특정의 이동국은 원할한 발신 및 호 접속 동작을 수행한다(S5,S6).
한편, 상기 기지국에서 판단한 결과 해당 기지국으로 호접속에 따른 액세스 과부하 상태가 아닐경우에는 일반이동국 및 특정이동국은 해당 수신된 액세스 파라미터에 의해 발신시도 및 착신응답 동작을 수행한다(S7).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단말기와 일반 단말기 집단을 구분하여 특정 단말기 집단의 단말기에 액세스 전력할당 방식이 다르도록 프로그래밍한다. 따라서 특정 단말기 집단 그룹에 속한 단말기에는 액세스시 필요한 ININ_PWR,NOM_PWR,PWR_STEP변수값을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과도한 호 접속요구 및 착신요구에 따른 과부하 발생시 기지국의 시스템 액세스 파라미터 중 개방루프 전력 할당치를 결정하는 변수값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있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 통상의 지식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2)

  1. a) 기지국에서 과부하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시스템 액세스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송신된 액세스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말기가 특정단말기인지 일반단말기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시스템 액세스 파라미터를 수신한 단말기가 특정단말기인 경우 수신 파라미터를 무시하고 자체적으로 설정된 개방루프 전력 할당값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설정된 전력할당 값으로 액세스 채널로 발신 및 착신응답을 시도하는 단계;
    e) 상기 (b)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파라미터를 수신한 단말기가 일반단말기인 경우 수신한 파라미터 내용에 의거하여 개방루프 전력 할당값을 설정하는 단계 ; 및
    f) 상기 (e)단계에서 설정된 전력할당값으로 액세스 채널로 발신 및 착신응답을 시도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일반단말기는 액세스 프로브를 기지국으로 보낼 때 초기 전송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및 액세스 프로브를 기지국에 전송할 때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최소값으로 설정하고 전력증가분 변수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
KR1019990045738A 1999-10-21 1999-10-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 KR100308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738A KR100308847B1 (ko) 1999-10-21 1999-10-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738A KR100308847B1 (ko) 1999-10-21 1999-10-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955A KR20010037955A (ko) 2001-05-15
KR100308847B1 true KR100308847B1 (ko) 2001-11-02

Family

ID=1961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738A KR100308847B1 (ko) 1999-10-21 1999-10-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737B1 (ko) * 2000-12-26 200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cdma 단말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0500A (ja) * 1991-10-17 1993-04-30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チヤネル割当て方式
JPH08126052A (ja) * 1994-10-20 1996-05-17 Fujitsu Ltd 緊急通報制御方法
JPH08289367A (ja) * 1995-04-14 1996-11-01 Oki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システム
JPH11163777A (ja) * 1997-09-02 1999-06-18 Hughes Electron Corp マルチビーム衛星増幅器のためのダイナミックな電力割当て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00038334A (ko) * 1998-12-05 2000-07-05 서평원 액세스 채널의 초기 송신 전력 결정 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0500A (ja) * 1991-10-17 1993-04-30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チヤネル割当て方式
JPH08126052A (ja) * 1994-10-20 1996-05-17 Fujitsu Ltd 緊急通報制御方法
JPH08289367A (ja) * 1995-04-14 1996-11-01 Oki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システム
JPH11163777A (ja) * 1997-09-02 1999-06-18 Hughes Electron Corp マルチビーム衛星増幅器のためのダイナミックな電力割当て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00038334A (ko) * 1998-12-05 2000-07-05 서평원 액세스 채널의 초기 송신 전력 결정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955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868B1 (ko)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627142B1 (ko) 세부 이동 상태 정보를 이용한 액세스 파라미터 적응 및패킷 데이터 리소스 관리
US5396649A (en) Channel assign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hannel selection order determined by transmission power level
US20030157923A1 (en) Mobile station, an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emergency calls
JP3787496B2 (ja) 呼受付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US8346178B2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5991633A (en) Method of dynamically controlling the length of a R-- DATA messages on a random access channel
CN101142766A (zh) 用于管理网络节点过载的方法和其系统
JPH02190039A (ja) 分散無線システムの回線接続方法
US20100003973A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EP0536099B1 (en) A method for avoiding an unnecessarily high energy consumption in mobile stations of a mobile telephone system
US6925306B2 (en) Base station and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KR10030884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단말기의 액세스 접속방법
JP2959624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式
WO2021253441A1 (zh) 环境状态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S63226133A (ja) 無線ゾ−ン選択方式
KR20000011393A (ko) 셀트래픽부하제어방법
KR100372053B1 (ko) 시디엠에이 방식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채널 과부하제어방법
KR100300354B1 (ko) 셀룰러시스템의발신방법
KR100205047B1 (ko) 씨디엠에이 셀룰라 시스템에서의 개방루프 전력 제어방법
KR100276720B1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페이징부하 계산방법
KR100336629B1 (ko) 호 허용 제어 방법
KR2001002831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채널 액세스 프로브 검출 방법
JP2000316191A (ja) ワイアレスシステムにおける資源割り当て方法およびワイアレスシステムのための通信方法
KR100342751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과부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