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482B1 - 초음파를이용한열교환기관부식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를이용한열교환기관부식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482B1
KR100308482B1 KR1019980033951A KR19980033951A KR100308482B1 KR 100308482 B1 KR100308482 B1 KR 100308482B1 KR 1019980033951 A KR1019980033951 A KR 1019980033951A KR 19980033951 A KR19980033951 A KR 19980033951A KR 100308482 B1 KR100308482 B1 KR 10030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ultrasonic
corrosion
casing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485A (ko
Inventor
최병구
김진홍
유성규
Original Assignee
최병구
대동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구, 대동기술(주) filed Critical 최병구
Priority to KR101998003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482B1/ko
Publication of KR2000001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8Marking the faulty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6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e.g. acoustic microscopy
    • G01N29/0609Display arrangements, e.g. colour displays
    • G01N29/0618Display arrangements, e.g. colour displays synchronised with scanning, e.g. in real-ti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8Material parameters
    • G01N2291/0289Internal structure, e.g. defects, grain size, tex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4Internal reflections (echoes), e.g. on walls or de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E)의 관(T) 내벽을 초음파탐상장치로 탐상하고 그에 따라 관(T)의 부식정도와 잔존수명을 판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음파탐상헤드부(10)를 열교환기(E)의 관(T) 내부에 삽입하여 관(T)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이동시면서 각 위치에서 관(T) 내벽을 향하여 초음파를 송신하여 그 초음파를 다시 수신한 후 그 초음파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초음파 탐상헤드부(10)와 연결된 초음파탐상부(20)는 초음파탐상헤드부(10)로부터 송신되는 전기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하며, 상기 초음파탐상부(20)와 연결된 데이터 입력/저장부(30)는 상기 초음파탐상부(20)에서 보내온 전기적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며, 동시에 피측정관(T)의 사양을 입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데이터 입력/저장부(30)에 연결된 해석장치(40)는 데이터 입력/저장부(30)를 통하여 입력된 피측정관(T)의 사양과 상기 관부식에 관한 디지탈신호를 변수로 하여 상기 피측정관의 부식정도 및 그에 따른 피측정관의 잔존수명을 측정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측정관의 내벽 전체에 걸쳐 부식여부를 초음파로 탐상하므로 관(T)을 절단하거나 구멍을 뚫는 등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관 부식을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자동해석장치(40)를 통하여 관(T)의 부식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하며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열교환기 관 부식 측정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CORROSION IN THE HEATEXCHANGER TUBE USING ULTRASONICS )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관 내면의 부식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특히 초음파탐상기를 이용하여 관 내벽의 부식을 측정 및 해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화학공업 및 일반 화학공업에서 유체의 냉각·응축·가열·증발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열교환기는 다관식 열교환기, 1개의 외측관 내부에 1개의 내측관을 동심원형태로 삽입설치하고 이들 각 관속에 유체를 흘려 서로 열교환시키는 2중관식 열교환기,1개의 관을 코일형이나 사형으로 된 1개의 관속에 유체를 흘리고 그 관의 외부에서 가열 또는 냉각장치를 통하여 가열·냉각하는 단관식 열교환기, 및 공냉식 열교환기 등 여러종류가 있다.
그 중 다관식 열교환기는 저압에서 고압까지 그리고 저온에서 고온까지 재료가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가열·냉각 및 증발·응축 등 모든 용도에 적용할 수 있고 열전달효율도 높으며, 신뢰성이 높아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다관식 열교환기는 고온·고압의 유체와 마찰접촉하므로 관내벽이 쉽게 부식되는 데, 이 부식으로 인하여 설비가 고장을 일으키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열교환기의 관이 부식여부나 부식정도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 관은 보통 직경이 작아서 관내부로 검사장치를 삽입하여 내벽의 부식을 검사하기가 아주 까다롭다. 따라서 열교환기의 관의 부식을 검사하는 경우 대개 샘플링하여 그 샘플을 절단한 후 검사하는 샘플링 절단검사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이 샘플링 검사방법은 샘플수가 제한되고 샘플링위치,샘플링크기에 따라 검사치에 오차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교환기 관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야 하는 데, 이때마다 관을 발관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열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열교환기 관의 내부 부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샘플링 절단 검사방법이 가진 상기 문제점을 해소한 초음파를 이용한 비파괴식 관부식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적정 샘플링수를 실험식에 의해 선정하여 관 부식측정결과치를 극치통계하여 관의 잔여수명을 판정하는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관 내부에 삽입되어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이동하면서 각 위치에서 관 내벽을 향하여 초음파를 송신하여 수신한 후 그 초음파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탐상헤드부와, 상기 초음파 탐상헤드부와 동축케이블으로 연결되어 초음파탐상헤드부로부터 송신되는 전기적 신호를 표시하는 초음파탐상부와, 초음파탐상기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입력/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저장부의 데이터를 극치통계해석방법으로 해석하여 관의 부식정도와 잔여수명을 해석하는 해석장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부식정도의 측정이 까다로운 열교환기의 관 내부에 발생한 부식정도를 그 관을 발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탐상하여 관의 노후정도와 잔여수명을 자동으로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관 부식측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관 부식측정장치의 초음파탐상헤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초음파탐상헤드부의 탐상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초음파탐상헤드부로 탐상하여 초음파탐상부에 표시된 관의 부식상태에 관한 그래프의 일예로서,
(a)는 피측정관을 탐상헤드부가 이동한 거리에 대한 탐상신호를 도시한 그래프,
(b)는 도 4(a)의 그래프를 각 초음파펄스에 의해 측정된 피측정관 내벽까지의 거리로 환산한 결과치를 교정블록까지의 거리와 함께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 열교환기 T: 관
10; 초음파탐상헤드부 11: 케이싱
12: 탐촉자 13: 센터링수단
13a;지지관 13b: 쿠션재
14: 임펠러 15: 베어링
16: 미러 17: 캡
18: 핀(fin) 19; 동축케이블
B: 초음파비임 C: 교정블록
20: 초음파탐상부 설계사양: 디스플레이부
30: 데이터 입력/저장부 40: 데이터 해석장치
P: 펌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관 부식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관 부식 측정장치는 물을 접촉매질로 사용하는 수침식 초음파탐상장치로서, 측정하고자 하는 열교환기(E)의 관(T)내부에 접촉매질로서 물을 유동시키면서 피측정관(T) 내벽을 향하여 초음파신호를 송신한 후 다시 수신하여 그 수신된 초음파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탐상헤드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탐상헤드부(10)는 내부로 물이 흐르는 케이싱(11)과, 상기 케이싱(11)이 피측정관(T)내부에서 피측정관(T)과 동심상태로 유지되도록 피측정관(T)을 잡아주는 센터링수단(13) 및 상기 케이싱(11)내부의 케이싱 중심축 방향으로 설치된 탐촉자(12)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센터링수단(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피측정관(T)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 지지관(13a)으로 이루어지고, 이 지지관(13a)의 외주에는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재질로 된 쿠션재(13b)가 피복되어 피측정관(T)의 내경 변화에 따른 피측정관(T)과 케이싱(11)과의 유격없이 피측정관(T)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센터링수단(13)은 상기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싱(11)을 피측정관(T)에 대하여 동심으로 지지시켜 주는 구조이면 어떤 구조라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지지관(13a)은 길이방향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어 뒤쪽 선단에서만 케이싱(11)의 외주벽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케이싱(11)을 피측정관(T)안에 삽입하면 상기 지지관(13a)의 앞쪽 선단 큰 직경부가 탄력적으로 오무러들면서 피측정관(T) 내벽에 밀착되게 되어 케이싱(11)을 피측정관(T)과 동심상으로 지지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탐촉자(12)는 상기 케이싱(11)의 중심축방향을 따라 초음파비임(B)을 송신하거나 상기 케이싱(11)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되돌아 오는 초음파비임(B)을 수신하고, 이 수신된 초음파비임(B)을 내부에 설치된 트랜스듀서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를 거쳐 여과된 물이 펌프(P)에 의해 상기 케이싱(11)의 내부를 관통하여 피측정관(T) 내부로 유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11)은 후단에 이송장치(도시안됨)가 구비되어 이 이송장치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내부에 설치된 탐촉자(12)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어 있다. 이 이송장치는 케이싱(11)후단이 정역회전하는 서보모터와 나사결합식으로 연결되고,이 서보모터는 엔코더와 연결되어 엔코더의 신호에 의해 서보모터가 소정회전수 만큼 회전하면 이 서보모터와 나사결합된 케이싱(11)이 소정거리만큼 전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와 같이 모터로 전후진할 수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싱을 수동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의 선단에는 터빈 타입의 임펠러(14)가 베어링(15)을 매개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임펠러(14)는 케이싱(11)과 동심원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11) 내부를 관통하여 관(T)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힘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 임펠러(14)에는 상기 탐촉자(12)에서 송신된 초음파비임(B)을 상기 관(T) 내벽을 향하여 반사시켜 보내고 관(T) 내벽에서 반사되어 온 그 초음파비임(B)을 다시 반사시켜 탐촉자(12)로 보내는 미러(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러(16)의 반사면은 케이싱(11)의 중심축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상기 탐촉자(12)에서 방출되는 초음파비임(B)은 상기 미러(16)에 의해 90도로 반사되어 관(T)에 반사된 후 다시 미러(16)에 의해 90도로 반사되어 탐촉자(12)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11)은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관(T)내부에서 후진하고 이와 동시에 그 케이싱(11)의 선단에 구비된 임펠러(14)가 회전하면서 미러(16)를 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탐촉자(12)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나선형 궤적을 그리면서 관(T) 내벽을 골고루 탐상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초음파 탐상헤드부(10)와 연결된 초음파 탐상부(20)를 포함하고 있다. 이 초음파탐상부(20)는 상기 탐촉자(12)의 트랜스듀서에서 초음파신호를 변환시킨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피측정관(T)의 부식정도를 모니터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보여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1)의 선단에는 상기 미러(16)가 케이싱(11)에서 분리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캡(17)이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 캡(17)의 선단면에는 상기 미러(16)의 길이방향으로 핀(FIN,18)이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핀(18)은 미러(16)와 함께 회전하면서 피측정관(T)내벽을 향하여 방사되는 초음파의 각 초음파펄스를 미러(16)로 반사하고, 이렇게 핀(18)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는 탐촉자(12)로 들어와 동축케이블(19)를 통하여 초음파탐상부(20)에 핀신호로 입력되어 도 4(a)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상기 탐촉자(12)에서 송출된 초음파의 각 펄스가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는 미러(16)에서 반사되어 피측정관(T)에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핀(18)이 그 각 초음파 펄스를 먼저 수신반사하여 초음파탐상부(20)의 그래프에 a와 같은 핀신호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탐상부(20)는 핀신호에 의해 임펠러(14)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고, 이렇게 카운트된 임펠러회전수를 이용하여 나선형으로 탐상한 피측정관(T)의 측정치인, sine 도형(도 4(a)의 b로 도시됨)을 도 4(b)의 b와 같은 직선으로 변형하게 된다.
즉 탐촉자(12)에서 수신한 가공되지 않은 신호에 대한 그래프의 일예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관(T)의 내벽에 반사되어 온 초음파펄스에 대한 신호값은 b와 같은 sine곡선을 그리고, 핀(18)이 수신한 초음파펄스는 미러(16)의 1회전당 막대형 그래프(b)으로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sine 곡선상의 뾰족한 부분은 관(T) 내부의 부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초음파탐상부(20)에서 받은 신호를 데이터 입력/저장부(30)에서 상기 4(a)의 그래프를 각 초음파펄스(가로축 값)에 대한 피측정관 직경(세로축 값)으로 변형하여 디스플레이한 해석용 그래프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8)이 수신한 신호값(a)이 도 4(a)에서는 세로방향의 막대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는 데, 이 핀(18)의 신호값(a)을 이용하여 도 4(a)의 그래프중 Sine곡선(b)을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가로방향으로 전개된 교정직선(b)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 핀(18)의 신호값에 대한 가로방향 직선(도 4(b)의 a)의 가로축 값이 피측정관(T)의 기준직경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b)에서의 교정직선은 피측정관(T)의 사양에 가까운 비교측정용 기준이 되며, 상기 교정직선과 피측정관(T)의 측정결과치 사이에 차이로써 피측정관(T)의 부식량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탐상부(20)에 연결되는 데이터 입력/저장부(30)를 포함한다. 이 데이터 입력/저장부(30)는 상기 초음파탐상부(20)의 전기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동시에 피측정관(T)의 재질이나 치수등 피측정관의 각종 매개변수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상기 데이터 입력/저장부(30)는 여러장소를 옮겨 가며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 컴퓨터가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입력/저장부(30)에서 변환처리된 디지탈신호와 피측정관의 설계사양에 대한 데이터를 받아서 극치해석법에 따른 프로그램으로 관(T)의 부식정도를 판별하고, 관(T)의 잔존수명을 판단하는 데이터 해석장치(4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피측정관(T)의 부식을 측정하는 데, 교정블록을 사용한다.
즉 교정블록은 피측정관(T)의 내경과 일치하는 관의 내경에 부식홈에 상응하는 일정한 단차를 미리 형성한 후, 피측정관(T)을 탐상하기전에 이 교정블록에 대하여 초음파탐상하고 그 결과치를 실제 피측정관(T)에서 탐상한 결과치에 대한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데이터 입력/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초음파탐상헤드부(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고, 이 초음파탐상헤드부(10)가 피측정관(T)내부에서 동심상으로 지지되어야만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초음파탐상헤드부(10)가 완전히 지지되지 않는 피측정관(T)의 입구선단부에서는 측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측정관(T)의 입구선단부를 측정하기 위한 안내관을 포함한다. 이 안내관을 피측정관(T)의 선단에 끼워 설치한 상태에서 초음파탐상헤드부(10)를 피측정관(T)의 입구선단부에 삽입하면 이 안내관이 초음파탐상헤드부(10)의 후단을 지지하므로 피측정관(T)의 입구선단부까지도 측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열교환기의 관 부식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측정하고자 하는 열교환기(E)의 관 내부에 부식생성물 또는 침전물을 있으면 초음파가 진행하는 데 방해를 받아서 허위지시를 일으키게 되므로 그 관내부의 부식생성물 등을 기계적 또는 물리적으로 제거한다.
즉 열교환기(E) 관의 한쪽 선단을 개방한 다음 그 내부에 회전브러쉬를 삽입하여 전동공구로 회전을 시키면서 관 내부로 밀어넣어 관 내부의 퇴적물이나 녹 등을 제거한다. 이때 고압의 물을 관내부로 분사하는 소위 워터제터방식을 병용하면 효과적으로 관을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탐상헤드부(10)를 교정블록(C)안에 삽입하여 단차부(큰 내경부)에 대한 초음파신호를 기준치로서 데이터 입력/저장부에 입력/저장한다.
그리고나서 피측정관(T) 내부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탐상헤드부(10)를 삽입한다. 그 상태에서 초음파탐상헤드부(10)의 케이싱(11)내부로 물을 압송하면서 초음파탐촉자(12)를 작동시킨다.
이때 피측정관(T)내부에 흐르는 물에 기포가 발생하여 이 기포에 초음파가 닿아서 산란 또는 반사되어 오면 허위신호를 보내게 되므로 이 기포발생을 억제하여야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피측정관(T)의 한쪽 끝을 막고 물을 공급하여 공급수의 압력을 높임으로써 기포발생을 억제하거나, 피측정관(T)내부에 물을 조금씩 공급하여 관내부에 일정압력이 걸리게 함으로써 기포를 제거한다.
그리고 초음파탐촉자(12)에서 송신되는 초음파비임(B)은 케이싱(11) 선단에서 임펠러(14)에 의해 회전하는 미러(16)에 의해 관(T) 내벽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송출된다. 이 초음파비임(B)은 1차적으로 캡(17)에서 연장된 핀(18)에 반사되어 미러(16)을 거쳐 그 피측정관(T)의 기준내경에 대한 값을 초음파탐상부(20)로 보내고, 아울러 피측정관(T)내벽에서 반사되어 미러(16)로 반사되어 탐촉자(12)에 피측정관(T)의 측정신호인 부식신호로 수신된다.
이 탐촉자(12)에 수신된 초음파비임(B)은 트랜스듀스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다음 그 전기적 신호를 초음파탐상부(20)로 보내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그다음 데이터 입력/저장부(30)는 상기 초음파탐상부(20)에서 보내온 전기적 신호를 신호변환부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동시에 피측정관(T)의 직경,재질등 설계사양을 입력하게 되어 있다.이 데이터 입력/저장부(30)에서 입력된 피측정관의 설계사양과 상기 디지탈신호는 해석장치(40)로 보내어진다.
해석장치(40)에서는 상기 피측정관에 대한 디지탈신호와 관의 설계사양을 입력받아 내부에 저장된 교정블록(C)에 대한 설정치와 비교하면서 프로그램에 따라 관의 부식정도와 그에 따른 관의 잔존수명을 산출해낸다.
그 결과를 출력장치로 출력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은 크기의 탐촉자를 열교환기(E)의 관내부로 삽입한 다음 회전 및 후진시키면서 관 내부의 부식을 탐상하고, 그 탐상결과를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여 그 표시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해석장치(40)로 관의 부식정도와 관의 잔존수명을 정량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가 편리하고 검사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결국 관의 부식에 의한 설비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열교환기(E)의 관(T)내부에서 관(T)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 위치마다 연속적으로 관(T)의 내벽을 향하여 초음파를 송신하여 다시 수신한 후 그 초음파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탐상헤드부(10)와, 상기 초음파 탐상헤드부(10)로부터 수신된 초음파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초음파 탐상부(20); 상기 초음파 탐상부(20)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피측정관(T)의 설계사양을 입력 또는 수정하도록 된 데이터 입력/저장부(30); 상기 데이터 입력/저장부(30)에서 변환된 관부식에 대한 디지탈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입력/저장부(30)에서 입력된 관의 설계사양 데이터를 변수로 하여 관의 부식정도와 그에 따른 관의 잔존수명을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해석하는 해석장치(4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관 부식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탐상 헤드부(10)가
    상기 피측정 관(T) 내부에서 피측정 관(T)과 동심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해주는 센터링수단(13)을 포함하고, 내부로 물이 흐르도록 된 중공형 케이싱(11);
    상기 케이싱(11) 내부에 그 케이싱(11)과 동심으로 지지되어 중심축방향을 따라 초음파비임(B)을 송신하거나 상기 케이싱(11)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되돌아 오는 초음파비임(B)을 수신하는 탐촉자(12);
    상기 탐촉자(12)에서 수신된 초음파비임(B)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트랜스듀서;
    상기 케이싱(11)의 선단에 베어링(15)을 매개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11) 내부를 관통하여 관(T)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힘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4);
    상기 임펠러(14)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탐촉자(12)에서 송신된 초음파비임(B)을 상기 관(T) 내벽을 향하여 반사시켜 보내고 관(T) 내벽에서 반사되어 온 그 초음파비임(B)을 다시 반사시켜 탐촉자(12)로 보내는 미러(16); 및
    상기 케이싱(11) 선단에 캡(17)을 매개로 케이싱(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상기 미러(16)에서 반사되는 초음파펄스를 다시 탐촉자(12)로 반사하는 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열교환기 관 부식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수단(13)은,
    외경이 상기 피측정 관(T)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 지지관(13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관(13a)의 외주에는 쿠션재(13b)가 피복되어 상기 피측정 관(T)의 내경 변화에 따른 상기 피측정 관(T)과 상기 케이싱(11)과의 유격없이 상기 피측정 관(T)을 지지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열교환기 관 부식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탐상 헤드부는,
    상기 케이싱(11)을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시키는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케이싱(11)의 후단에 연결된 서보모터와, 이 서보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인코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열교환기 관 부식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탐상 헤드부는,
    상기 피측정 관(T)의 입구선단에 삽입설치되는 입구선단 측정용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열교환기 관 부식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를 이용한 열교환기 관 부식측정장치는,
    내경에 일정한 단차가 형성된 교정블록(50)을 더 포함하여
    상기 피측정 관을 탐상하기 전에 상기 교정블록을 탐상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열교환기 관 부식측정장치.
KR1019980033951A 1998-08-21 1998-08-21 초음파를이용한열교환기관부식측정장치 KR100308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951A KR100308482B1 (ko) 1998-08-21 1998-08-21 초음파를이용한열교환기관부식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951A KR100308482B1 (ko) 1998-08-21 1998-08-21 초음파를이용한열교환기관부식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485A KR20000014485A (ko) 2000-03-15
KR100308482B1 true KR100308482B1 (ko) 2001-12-28

Family

ID=1954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951A KR100308482B1 (ko) 1998-08-21 1998-08-21 초음파를이용한열교환기관부식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992B1 (ko) 2013-03-06 2013-07-26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열교환기 튜브의 수침형 초음파검사용 터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81B1 (ko) * 2000-03-29 2003-10-08 주식회사 에스알에스텍 관의 부식 및 잔여수명 측정장치
KR100941999B1 (ko) * 2007-06-04 2010-02-12 (주)카이텍 초음파 검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1906A2 (en) * 1987-07-30 1989-02-0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bined ultrasonic and eddy current inspection of a tub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1906A2 (en) * 1987-07-30 1989-02-0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bined ultrasonic and eddy current inspection of a tub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등록번호 제89-391호 (등록일: 1989. 3. 1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992B1 (ko) 2013-03-06 2013-07-26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열교환기 튜브의 수침형 초음파검사용 터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485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63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bined ultrasonic and eddy current inspection of a tube
US5408883A (en) Remotely operated diagnostic tube sampling device and method of sampling
US4361044A (en) Scanning ultrasonic probe
US49552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bined ultrasonic and eddy current inspection of a metallic body
US20110235057A1 (en) Method for measurement of the thickness of any deposit of material on inner wall of a pipeline
CN103453862B (zh) 用于检查管子的设备和方法
JPH04301797A (ja) 実質的に一定断面を有する細長形状部品の超音波非破壊検査用装置
KR20090042500A (ko) 초음파 고온 튜브 검사 장치
KR100447482B1 (ko)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전열관 균열의 관통 여부 판정및 관통길이 측정방법
KR20130132195A (ko)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KR100308482B1 (ko) 초음파를이용한열교환기관부식측정장치
WO2012046611A1 (ja) 伝熱管内面又は蒸発管内面の減肉状態監視装置
JP6039599B2 (ja) 管の超音波検査装置
EP0410580B1 (en) Scanning outer profiles of control rods
US11162919B2 (en) Ultrasonic based internal inspection of tubes
JP5804680B2 (ja) ベンド管検査装置
KR100400681B1 (ko) 관의 부식 및 잔여수명 측정장치
JP6782277B2 (ja) 配管検査装置
JPH0210260A (ja) 管体の欠陥検査方法
CN112179984A (zh) 一种用于管道检测的超声探头装置
JP7112605B1 (ja) 超音波検査装置及び超音波検査システム
KR200204082Y1 (ko) 관의 부식 및 잔여수명 측정장치
CN218099000U (zh) 一种小径管涡流检测探头
CN112997047B (zh) 超声波探头以及利用其的被检配管厚度测定方法
CN115682999A (zh) 一种持续填充耦合剂的超声检测楔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