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219B1 - 부호분할다중방식셀룰러시스템의송신전력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부호분할다중방식셀룰러시스템의송신전력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219B1
KR100308219B1 KR1019970031118A KR19970031118A KR100308219B1 KR 100308219 B1 KR100308219 B1 KR 100308219B1 KR 1019970031118 A KR1019970031118 A KR 1019970031118A KR 19970031118 A KR19970031118 A KR 19970031118A KR 100308219 B1 KR100308219 B1 KR 100308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se station
mobile station
station
base st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3052A (ko
Inventor
고지로 하마베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8001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3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taking into account loading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부호 분할 다중 방식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셀 경계 부근에서 복수의 기지국과 동시에 통신을 행하는 소프트 핸드오프의 실행에 상관없이, 하회선(downline)의 품질이 서로 같게 되도록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하회선의 회선 용량을 증가시킨다.
각 셀에 배치된 기지국은, 일정한 송신 전력으로 파일럿 신호를 송신한다. 이동국은,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의 파일럿 신호 수신 전력 Qi(i = 1, ‥‥, m), 및 그 주위의 기지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 Qi(i = m+1, ‥‥, n) 를 측정한다.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 k (k = 1, ‥‥, m)만이 송신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k,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a11로하여,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것에 따른 희망파 전력의 이득 Gh(k) = Da11/ k를 계산하고, 기지국 k는 하회선의 송신 전력의 상한을 (Q1+Q2+ ‥‥+Qm+ ‥‥ +Qn) / Gh(k)Qk에 비례시킨다.

Description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국이 기지국 사이를 이동할 때에도 계속해서 통신을 행하는 핸드오프와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하회선(downline)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간섭 열화가 발생하는 이동국의 비율(열화율)이 소정의 설계 기준치가 될 때의 트래픽을 회선 용량으로 하는 설계 방법이 있다. 그와 같은 셀룰러 시스템의 하회선에서는, 모든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하면, 셀 경계 부근의 이동국은,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간섭을 받기 때문에,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CIR, Carrier-to-Interference Ratio)가 작아지고, 셀 경계 부근에 위치하는 이동국에서 간섭 열화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셀 사이를 이동할 때, 셀 경계 부근에서는 복수의 기지국과 동시에 회선을 설정하고, 셀 사이에서 회선을 전환하는 소프트 핸드오프라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제 5,101,501호 (Gilhousen 등,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oft handoff in communication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1992년 3월 31일)에 상술되어 있다. 이 소프트 핸드오프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셀 경계 부근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간섭 열화를 경감할 수 있으므로, 회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증감시키는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해서도, 셀 경계 부근에서의 간섭 열화의 발생을 경감하고, 회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하회선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의 종래 기술 중에서, 본 발명에 가장 가까운 기술을 개시한 것으로서, 특개평 7-38496호 공보 「스펙트럼 확산 통신 시스템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 있다. 이 중에서, 예를 들면, 제7항 및 제13항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파일럿 신호를 이동국이 수신하고, 그 신호 전력과 잡음 전력의 비 S/N을 측정하여 기지국에 통지하고, 기지국은 통지된 S/N을 소정의 제어 목표의 S/N과 비교하여, 그 이동국에서의 S/N이 일정하게 되도록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증감시키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모든 이동국의 S/N이 서로 같은 값에 근접한다. 여기서, 열잡음이 작고, 잡음 전력의 대부분이 간섭파 전력일 때, S/N은 CIR에 상당한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해서, CIR이 서로 같은 값에 근접하게 되어, 간섭 열화의 집중을 경감할 수 있다.
제1 문제점은 종래의 기술에서, 많은 회선의 송신 전력이 최대가 되어, 송신 전력 제어의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것에 있다.
그 이유는, 사용 중의 회선수의 증가에 의해서, 어떤 이동국에서의 간섭파 전력이 증가하고, CIR이 감소할 때, 기지국이 그 이동국의 CIR을 개선하기 위해서,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면, 그 외의 이동국에서는, 간섭파 전력이 증가하여 CIR이 감소하기 때문에, 그 외의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도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최초의 이동국의 CIR이 다시 감소하고, 기지국은 모든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의 증가를 반복한다. 이러한 송신 전력의 출력에 의해서, 사용 중인 회선수가 많을 때에는, 많은 회선의 송신 전력이 최대가 된다.
그 외의 이유는, 이동국에서 측정되는 S/N에는 측정 오차가 있고, 또한, 이동국이 S/N을 측정하여 기지국에 통지하고, 기지국이 송신 전력을 설정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제어 후의 CIR은 제어 목표의 CIR과는 같지 않게 변동한다. 이러한 제어 오차 때문에, 제어 목표의 CIR은, 소요 CIR에 대해서 일정한 마진을 취해서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송신 전력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설정하게 되어, 송신 전력이 커지고, 많은 회선의 송신 전력이 최대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트래픽이 증가하더라도, 셀 경계에서 간섭 열화가 집중하는 일이 없이, 일정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회선 수인 회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회선 당 요하는 주파수 대역을 감소시키고, 주파수 대역 당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제1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추고, 이동국은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의 수신 전력과, 그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수신 전력을 상기 제1의 수신 전력으로 나눈 값이, 큰 값이 되는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이 커지도록,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추고, 이동국은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그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상기 제1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로 나눈 값이, 큰 값이 되는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이 커지도록,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1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의 상기 수신 전력을 이용하고, 복수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에 의한 희망파 전력의 증가분을 계산하여, 그 증가분의 비율 만큼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이 작아지도록,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2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의 상기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것에 의한 희망파 전력의 증가분을 계산하고, 그 증가분의 비율만큼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이 작아지도록,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1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이동국은 1개 또는 복수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자국이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의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 Qi(i = 1, ‥‥, m), 및 그외의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 Qi(i = m+1, ‥‥, n)를 이용하고,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 k (k = 1, ‥‥, m)만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k,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a11로 하여,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것에 의한 희망파 전력의 이득 Gh(k) = Da11/ Dk를 계산하고, 기지국 k는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Q1+Q2+ ‥‥ +Qm+ ‥‥, +Qn) / Gh(k)Qk에 비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2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이동국은 1개 또는 복수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자국이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의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Qi(i = 1, ‥‥, m), 및 그 외의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Qi(i = m+1, ‥‥, n)를 이용하고,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 k (k = 1, ‥‥, m)만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k,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a11로 하여,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것에 의한 희망파 전력의 이득 Gh(k) = Da11/ Dk를 계산하고, 기지국 k는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Q1+Q2+ ‥‥ +Qm+ ‥‥ +Qn) / Gh(k)Qk에 비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1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이동국은 1개 또는 복수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자국이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의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 Qi(i = 1, ‥‥, m), 및 그 외의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 Qi(i = m+1, ‥‥, n)를 이용하고,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 k (k = 1, ‥‥, m)만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k,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a11로 하여,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것에 의한 희망파 전력의 이득 Gh(k) = Da11/ Dk를 계산하고, 기지국 k는 기지국 i (i = 1, ‥‥, n)의 하회선에서 이동국과 동일한 주파수의 송신 전력의 합계를 Pi(i = 1, ‥‥, n)로 하고, 기지국마다 정한 소정치를 PT로 하여, 기지국 k는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P1Q1+P2Q2+ ‥‥ +PmQm+ ‥‥ +PnQn)/ Gh(k)PTQk에 비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2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이동국은 1개 또는 복수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자국이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의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Qi(i = 1, ‥‥, m), 및 그 외의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Qi(i = m+1, ‥‥, n)를 이용하고,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 k (k = 1, ‥‥, m)만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k,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a11로 하고,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것에 의한 희망파 전력의 이득 Gh(k) = Da11/ Dk를 계산하고, 기지국 k 는 기지국 i (i = 1, ‥‥, n)의 하회선에 있어서 이동국과 동일한 주파수의 송신 전력의 합계를 Pi(i = 1, ‥‥, n)로 하여, 기지국마다 정한 소정치를 PT로 하여, 기지국 k는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P1Q1+P2Q2+ ‥‥ +PmQm+ ‥‥ +PnQn)/ Gh(k)PTQk에 비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7 또는 제8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기지국마다 정한 소정치 PT를 모든 기지국 사이에서 같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5 또는 제7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 Qi(i = m+1, ‥‥, n)는, 소정치 Tsearch를 이용하여 Gh(k)Qk/ Tsearch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6 또는 제8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Qi(i = m+1, ‥‥, n)는, 소정치 Tsearch를 이용하여 Gh(k)Qk/ Tsearch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5 또는 제7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n을 소정치 Nmax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6 또는 제8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n을 소정치 Nmax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12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의 측정치의 수가 소정치 Nmax보다 많은 경우에는,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의 측정치가 큰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Nmax개만큼 선택하여 송신 전력의 계산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13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측정치의 수가 소정치 Nmax보다 많은 경우에는,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측정치가 큰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Nmax개만큼 선택하여 송신 전력의 계산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6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5, 제6, 제7 또는 제8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이동국이 복수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을 때, 그들의 기지국이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서로 같게 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기지국 k는 이득 Gh(k)를 Gh(k) = (Q1+Q2+ ‥‥ +Qm) / Qk로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7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5 또는 제6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이동국이 송신 전력을 산출하고, 그 값을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8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제17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 이동국은 새롭게 계산한 송신 전력을 rnew, 기지국에 바로 전에 통지한 송신 전력을 r로 해서, rnew/ r이 Sup이상 또는 Sdn이하인 경우에 한해서, 새롭게 계산한 송신 전력을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에서는, 기지국은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채널을 갖추고, 이동국은,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채널 신호인 제1 수신 전력, 및 주위의 기지국이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채널 신호인 제2 수신 전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2 수신 전력을,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제1 수신 전력으로 나눈 값을 구하고, 그 값이 큰 값이 되는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크게 설정한다. 주위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전력을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전력으로 나눈 값이 큰 이동국은, 주위의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파 전력의 비율이 크기 때문에,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다른 이동국에 대한 이동국과 같게 하면, 그 이동국에서의 CIR은, 다른 이동국의 CIR에 비해서 작아진다. 그러나, 제1 발명에 의해, 그와 같은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크게 설정하면, CIR이 커지고, 다른 이동국의 CIR에 가까운 값이 되어, 이동국 사이의 CIR이 균일화된다. 이에 따라, 일부 이동국에 간섭 열화가 집중하여 발생하는 일없이, 트래픽이 증가하더라도, 간섭 열화율의 증가가 적고, 회선 용량이 증가한다.
제2 발명에서는, 제1 발명과 같이, 기지국은 송신 전력이 일정한 채널을 갖추고, 이동국은,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 및 주위의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일정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지만, 그 수신 전력에 대신해서, 이들의 신호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들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로 나눈 값을 구하고, 그 값이 큰 값이 되는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크게 설정한다. 이들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할 때, 동일한 이동국에서의 간섭파 전력은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주위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로 나눈 값은, 주위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전력을,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전력으로 나눈 값과 거의 같게 된다. 따라서, 송신 전력의 설정은, 제1 발명과 같게 되고, 제2 발명에 의해서도, 이동국 사이의 CIR이 균일화되고, 일부의 이동국에 간섭 열화가 집중하여 발생하는 일없이, 회선 용량이 증가한다.
제3 발명에서는, 제1 발명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일정한 채널의 신호의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지국이 송신함으로써 희망파 전력이 증가하는 비율을 계산한다.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복수 개 존재할 때, 이들의 송신 전력이 일정한 채널 신호의 수신 전력이, 상호 크게 다른 경우에는,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하더라도, 희망파 전력의 증가분은 작지만, 이들의 송신 전력이 일정한 채널 신호의 수신 전력이, 거의 같은 경우에는,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함으로써, 희망파 전력의 증가분은 커지고, 이동국에서의 CIR이 다른 이동국에 비해서 커진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함으로써 희망파 전력의 증가분이 커지는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그 증가분의 비율만큼 작게 설정하므로, 이동국 사이의 CIR이 균일화되고, 일부 이동국에 간섭 열화가 집중하여 발생하는 일없이, 회선 용량이 증가한다.
제4 발명은, 제2 발명에서, 제3 발명의 동일한 작용에 의해, 회선 용량을 증가시킨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3개의 셀로 구성되는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 BS1과 BS2가 이동국 MS의 송신 기지국인 경우를 생각한다. 기지국 BS1과 BS2의 이동국 MS에 대한 송신 전력은 서로 같은 것으로 한다. 기지국은 일정 전력 채널로 하여,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고, 이동국 MS는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제어량을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동국 MS에서의 CIR은, 희망파 전력의 합과 간섭파 전력의 합과의 비이므로, 기지국 BS1, BS2로부터의 희망파 전력 Ci(i = 1, 2) 및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파 전력 Ii(i = 1, 2, 3)를 이용하여 다음 식에서 제공된다.
Figure kpo00001
희망파 전력 Ci(i = 1, 2), 간섭파 전력 Ii(i = 1, 2, 3), 및, 파일럿 신호 수신 전력 Qi(i = 1, 2, 3)는, 각각의 송신 전력에 전반에 따른 감쇠율의 곱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기준 송신 전력 P0,송신 전력 제어량 r, 전반에 의한 감쇠율 ai(i = 1, 2, 3), 기지국의 송신 전력 합계치 Pi(i = 1, 2, 3) 및 파일럿 신호 송신 전력 PP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에 제공된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상술한 대로, 기지국 BS1과 BS2의 이동국 MS에 대한 송신 전력은 서로 같으므로, 수학식 2에서의 r은, i = 1, 2에 대해서 동일한 값이 된다. 수학식 3에서, 송신 전력 합계치 중, 이동국 MS로의 송신 전력 rP0는, 간섭으로서 기여하지 않으므로, 이것을 고려하면, 간섭파 전력의 계산에는 Pi대신에 Pi- rP0를 이용하게 되지만, 다수의 이동국이 존재할 때 양자는 거의 같으므로, 그 차는 무시한다. 수학식 1에 수학식 2, 수학식 3을 대입하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05
여기서, 각각의 셀에서는, 이동국 수가 거의 같고, 회선 용량에 가까운 회선이 사용 중인 경우, P1, P2, P3는 서로 거의 같으므로, 이것을 Pa11에 근사하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06
또한, BS1만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은 C1, BS1과 BS2가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은 C1+C2이므로,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것에 의한 희망파 전력의 이득 Gh(1)은 다음 식에 제공된다.
Figure kpo00007
이 식에 수학식 2를 대입하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08
제5 발명에서는, 기지국 BS1의 제어량 r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kpo00009
이 식에 수학식 4 및 수학식 8을 대입하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10
수학식 10을 수학식 6에 대입하면, 다음 식이 얻어지고, CIR은 기준 송신 전력과 1개의 기지국의 전 송신 전력의 비가 된다.
Figure kpo00011
한편, 송신 기지국이 BS1만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계산을 행할 수 있고, CIR 은 다음 식이 된다.
Figure kpo00012
또한, 송신 기지국은, BS1만이므로 Gh(1) = 1이고, 제어량 r은 다음 식이 된다.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수학식 15를 수학식 12에 대입하면 다음 식이 얻어지고, CIR은 수학식 11과 동일해진다.
Figure kpo00016
이상에 의해, 제5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함으로써, CIR이, 이동국의 장소에 관계없이, 또한, 송신 기지국의 수에도 관계없이, 이동국 사이에서 서로 같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셀 경계 부근에 위치하는 이동국에서 간섭 열화가 집중하여 발생하는 일없이, 트래픽이 증가하더라도, 간섭 열화율의 증가가 적으므로, 회선 용량이 증가한다.
또한, 제6 발명에서는, 제5 발명에서 파일럿 신호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대신에, 파일럿 신호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제6 발명과 같이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이 때, 제2 발명의 작용과 동일한 이유에 의해, 주위의 기지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로 나눈 값은, 주위의 기지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으로 나눈 값과 거의 같게 된다. 수학식 9를 참조하면, 제어량은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의 비를 취함으로써 계산하므로,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 Qi(i = 1, 2, 3) 대신에, 파일럿 신호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Qi/ I (i = 1, 2, 3, I = I1+I2+I3)를 이용하더라도, 간섭파 전력 I는 관계없이 제어량이 정해진다. 따라서, 제6 발명에 의해서, 송신 전력의 제어량은, 제5 발명과 같게 되고, 제5 발명과 동일한 작용에 의해, 회선 용량이 증가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3개의 셀로 구성되는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 BS1과 BS2가 이동국 MS의 송신 기지국인 경우를 생각한다. 기지국 BS1과 BS2의 이동국 MS에 대한 송신 전력은 서로 같은 것으로 한다. 제7 발명에서는, 기지국 BS1의 제어량 r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kpo00017
이 식에 수학식 4 및 수학식 8을 대입하면 다음 식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18
각각의 셀의 이동국 수가 같지 않는 경우를 생각하면, CIR은 수학식 5에 의해 제공된다. 수학식 18을 수학식 5에 대입하면, 다음 식이 얻어지고, CIR은 기준 송신 전력과 기지국마다 정한 소정치 PT의 비가 된다.
Figure kpo00019
한편, 송신 기지국이 BS1만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계산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셀의 이동국 수가 같지 않은 경우에도, BS1의 셀 내의 이동국에서의 CIR은 서로 같은 값이 되고, 이동국 사이에서 서로 같게 되며, 간섭 열화가 특정한 이동국에 집중하는 일없이, 회선 용량이 증가한다.
제6 발명이, 제5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갖는 것과 동일한 이유에 의해, 제8 발명은, 제7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실시해서, 회선 용량을 증가시킨다.
제9 발명에서는, PT를 셀룰러 시스템 전체에서 공통의 일정치로 한다. 이에 따라, CIR은 전체 셀에 존재하는 이동국에서 일정해진다. 이에 따라, 제7 발명의 효과 또는 제8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킨다.
제10 발명에 의하면, 제5 발명, 및 제7 발명에서,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의 값을, 어떤 기지국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 Qk와 이득 Gh(k)의 곱을 일정값으로 뺀 값 Gh(k)QK/ Tsearch이상인 것에 한정한다. 이에 따라,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계산하는 데 이용하는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의 값의 수의 차이에 의해서 이동국의 CIR의 차가 생기는 일없이, 이동국의 CIR이 서로 같게 되는 작용을 높일 수 있다.
제11 발명에 의하면, 제6 발명, 및 제8 발명에서, 제10 발명과 같이, 이동국의 CIR이 서로 같게 되는 작용을 높일 수 있다.
제12 발명에 의하면, 제5 발명, 및 제7 발명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의 값의 수를 일정수 이하로 한정한다. 이것에 의해서도,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계산하는 데 이용하는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의 값의 수의 차이에 의해서 이동국의 CIR의 차가 생기는 일없이, 이동국의 CIR이 서로 같게 되는 작용을 높일 수 있다.
제13 발명에 의하면, 제6 발명, 및 제8 발명에 있어서, 제12 발명과 같이, 이동국의 CIR이 서로 같게 되는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4 발명에 의하면, 제12 발명예서,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의 값의 수를 일정수 이하로 한정할 때, 큰 값을 우선적으로 이용하므로, 보다 영향이 큰 값을 이용하게 되고, 이동국의 CIR이 서로 같게 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5 발명에 의하면, 제13 발명에서, 제14 발명과 같이, 이동국의 CIR이 서로 같게 되는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6 발명에 의해서, 이동국이 복수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을 때, 이들의 기지국이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서로 같게 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기지국 k는 이득 Gh(k)를 Gh(k) = (Q1+Q2+ ‥‥ +Qm) / Qk로 함으로써, 기지국이 동일한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서로 같게 제어하는 경우에서, 이상의 발명을 적용 가능하게 하고, 이동국의 CIR을 서로 같게 하여, 회선 용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7 발명에 의해서, 이동국이 송신 전력을 산출하고, 그 값을 기지국 에 통지함으로써, 이동국이 기지국에 대해서, 다수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통지하는 경우에 비해,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에 송신하는 정보량이 적어지고, 상회선(upline)의 통신 회선의 용량이 증가한다.
또한, 제18 발명에 의해서, 이동국은 새롭게 계산한 송신 전력을 rnew, 기지국에 바로 전에 통지한 송신 전력을 r로 하여, rnew/ r이 Sup이상 또는 Sdn이하인 경우에 한해서, 새롭게 계산한 송신 전력을 기지국에 통지하므로,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에 송신하는 정보량이 더 적어지고, 상회선의 통신 회선의 용량이 더 증가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셀룰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예.
제3도는 수신 전력의 순시값과 중앙값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여 기지국에 통지하는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도.
제5도는 제1도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도.
제6도는 제1도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순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도.
제7도는 제1도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순서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도.
제8도는 제1도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여 기지국에 통지하는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도.
제9도는 제1도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여 기지국에 통지하는 경우의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도.
제10도는 제1도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여 기지국에 통지하는 순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도.
제11도는 작용의 설명에 이용되는 셀룰러 시스템의 구성.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내지 103 : 셀 111 내지 113 : 기지국
121, 122 : 이동국 131 내지 133 : 파일럿 신호
141a, 141b, 142 : 하회선의 신호 151, 152 : 상회선의 신호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 셀룰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이 실시되는 셀룰러 시스템은, 서비스 에어리어가 복수의 셀(101 내지 103)로 분할되고, 이들의 셀에는, 각각 기지국(111 내지 113)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동국(121, 122)이 존재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지국(111 내지 113)은 각각 교환국에 접속되어 있고, 교환국은 또한 다른 교환국으로 이루어지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셀룰러 시스템은, 그 외에 다수의 기지국을 구비하고, 각 셀 내에는 다수의 이동국이 존재한다.
기지국(111 내지 113)은, 파일럿 신호(131 내지 133)를 일정한 송신 전력으로 각각 송신한다. 파일럿 신호의 송신 전력은, 일반적으로는 셀의 크기에 따라서 설정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전부 서로 같은 것으로 한다. 기지국(111 내지 113)에는, 파일럿 신호의 부호가 각각 할당되어 있고, 이동국(121, 122)은, 파일럿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부호에 의해서 파일럿 신호를 식별하여, 파일럿 신호(131 내지 133)의 수신 전력을 각각 측정한다. 이동국은, 파일럿 신호의 측정기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정 시간의 슬롯 단위로, 전력을 측정하는 파일럿 신호를 전환하여, 프레임마다 복수의 기지국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한다. 도 2의 예에서는, 1프레임에 6슬롯이므로, 1프레임의 주기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최대 6개의 기지국까지 측정할 수 있다. 7국 이상의 기지국의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1프레임보다도 긴 주기로 측정한다. 이동국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수신 전력의 순시값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짧은 주기로 변동한다. 그래서, 이동국은, 그 중앙값을 구하기 위해서, 이동국이 이동하는 경우의 수신 전력의 순시값 변동의 주기에 대해서 충분히 긴 소정의 시간에 걸쳐서 측정을 행하고, 이들의 측정치의 중앙값을 구해서, 그 중앙값을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으로 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이동국과 기지국의 사이의 회선이 부호에 의해서 다중되어 있고, 이동국과 기지국이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부호를 할당하고, 그 부호에 의해서 회선을 식별하여, 정보의 전달을 행한다.
이동국과 기지국이 통신을 행할 때는,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의 중앙값이 최대의 기지국(이하, 주요 기지국이라고 부른다)과의 사이에서 회선을 설정하여 통신을 개시한다. 주요 기지국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의 중앙값보다도 미리 정한 핸드오프 임계치의 비율만큼 작은 값에 비해서,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의 중앙값이 큰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기지국(이하, 보조 기지국이라고 부른다)과의 사이에도 동시에 회선을 설정하여 통신을 행한다. 통신 중에는, 이동국의 이동에 따라,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이 각각 변동하므로, 이에 따라 주요 기지국과 보조 기지국의 갱신을 행한다.
여기서 이동국(121)에서는, 예를 들면 파일럿 신호(131)의 수신 전력이 최대이고, 파일럿 신호(132)의 수신 전력이, 파일럿 신호(131)의 수신 전력보다도 핸드 오프 임계치의 비율만큼 작은 값에 비해서 크고, 파일럿 신호(133)의 수신 전력은, 파일럿 신호(131)의 수신 전력보다도 핸드오프 임계치의 비율만큼 작은 값에 비해서 작다고 하면, 이동국(121)의 주요 기지국은 기지국(111), 보조 기지국은 기지국(112)이 된다. 하회선의 신호(141a, 141b)는, 각각 기지국(111, 112)으로부터 이동국(121)으로 송신하는 신호이고, 상회선의 신호(151)는 이동국(121)으로부터 기지국(111, 112)으로 송신하는 신호이다.
한편, 이동국(122)에서는, 파일럿 신호(131)의 수신 전력이 최대가 되고, 기지국(111)이 주요 기지국이 된다. 파일럿 신호(132, 133)의 수신 전력은, 파일럿 신호(131)의 수신 전력보다도 핸드오프 임계치의 비율만큼 작은 값에 비해서 작고, 보조 기지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이동국(122)은, 하회선의 신호(142)와 상회선의 신호(152)에 의해 기지국(111)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이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이동국에 대해서, 이동국이 측정하는 파일럿 신호의 부호를 통지하고, 이동국은, 그 부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한다. 각각의 기지국에 대해서, 그 기지국의 주위에 위치하는 기지국의 집합을 측정 기지국 세트로 하여, 미리 정해 두고, 기지국은 주요 기지국의 측정 기지국 세트의 파일럿 신호의 부호를 이동국에 통지한다.
도 4는, 통신 중인 이동국이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여 기지국에 통지하는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도이다. 도 5는, 송신 기지국이 되는 기지국 k (k = 1, ‥‥, m)가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국과 통신을 개시한 기지국 k는, 최초에 이동국에 대해서, 측정 기지국 세트를 통지한다 (스텝 501). 이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이동국은, 스텝 401에서, 측정 기지국 세트의 통지를 받은 경우에는, 측정 기지국 세트의 갱신을 행한다 (스텝 402). 그리고, 이동국은 측정 기지국 세트의 파일럿 전력 Ai(i = 1, ‥‥, Nmes)를 측정한다 (스텝 403). 계속해서, 이동국은 소정치 Trep이상의 파일럿 전력 Bi (i = 1, ‥‥, Nrep)를 선택하고 (스텝 404), 이들을 기지국에 송신한다 (스텝 405). 이동국은 통신 중에 이상의 동작을 반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 k는, 파일럿 전력 Bi(i = 1, ‥‥, Nrep)를 수신하여 (스텝 502), 파일럿 전력이 최대인 기지국을 주요 기지국으로 하여, 주요 기지국의 갱신을 행하고 (스텝 503), 계속해서 송신 기지국의 갱신을 행한다 (스텝 504).
주요 기지국과 송신 기지국의 변경이 빈번히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주요 기지국의 갱신과 송신 기지국의 갱신은, 파일럿 전력치와 시간의 히스테리시스를 갖게 행한다.
주요 기지국의 갱신에서는, 주요 기지국 변경 전력 임계치 Spri(Spri>1), 및 주요 기지국 변경 시간 임계치 Tpri를 미리 정해 둔다. 현재의 주요 기지국의 파일럿 전력의 값을 B로 하여, 파일럿 전력의 최대치 Qmax가 Qmax> SpriB가 된 경우에는,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Qmax< SpriB가 된 경우에는, 타이머를 멈춘다. 그리고, 타이머의 경과 시간 T가 T > Tpri가 된 경우에는, 파일럿 전력이 Qmax인 기지국을 새로운 주요 기지국으로 한다.
한편, 송신 기지국의 갱신에서는, 송신 기지국 추가 전력 임계치 Sadd(Sadd> 1), 송신 기지국 제거 전력 임계치 Sdrp(Sdrp< 1), 및 송신 기지국 변경 시간 임계치 Ttx를 정한다. 그리고, 송신 기지국이 아닌 기지국의 파일럿 전력 Qj가 Qj> SaddB가 된 경우에는,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Qj< SaddB가 된 경우에는, 타이머를 멈춘다. 그리고, 타이머의 경과 시간 T가 T > Ttx가 된 경우에는, 파일럿 전력이 Qj인 기지국을 신규의 송신 기지국으로 한다. 반대로, 송신 기지국인 기지국의 파일럿 전력 Qj가 Qj< SdrpB가 된 경우에는,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Qj> SdrpB가 된 경우에는, 타이머를 멈춘다. 그리고, 타이머의 경과 시간 T가 T > Ttx가 된 경우에는, 파일럿 전력이 Qj인 기지국을 송신 기지국으로부터 제거한다.
다음에, 기지국 k는 주요 기지국의 핸드오프 이득 Gh를 계산한다 (스텝 505). 이 실시예에서는, 1개의 이동국에 대한 송신 기지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서로 같게 되도록 설정한다. 이 때, 핸드오프 이득은, 주요 기지국의 파일럿 전력을 B, 송신 기지국 i (i = 1, ‥‥, m)의 파일럿 전력을 Qi(i = 1, ‥‥, m)로 하여, Gh= (Q1+Q2+ ‥‥ +Qm) / B로서 계산한다.
다음에, 기지국 k는, 주요 기지국의 파일럿 전력을 B로 하고, 소정치 Tsearch를 이용하여, GhB / Tsearch이상의 파일럿 전력을 선택하고, 이들을 Qi(i = 1, ‥‥, n)로 한다 (스텝 506). 그리고, 송신 전력의 제어량 r을, r = (Q1+Q2+ ‥‥ +Qn) / GhB로서 계산한다 (스텝 507). 여기서, 이 실시예에서는, Gh= (Q1+Q2+ ‥‥ +Qm) / B이기 때문에, 제어량은 r = (Q1+Q2+ ‥‥ +Qn) / (Q1+Q2+ ‥‥ +Qm)이 된다.
스텝 508에서, 스텝 504의 송신 기지국 갱신에 의해 새롭게 송신 기지국이 된 신규 송신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신규 송신 기지국의 식별 번호와 제어량 r을 교환국에 통지한다 (스텝 509).
다음에, 기지국 k는, 스텝 510에서 자국이 송신 기지국인 경우에는, 소정의 기준 송신 전력을 P0로 하여, 송신 전력을 rP0로 설정한다 (스텝 511). 그리고, 스텝 513에서, 스텝 503에 의한 주요 기지국에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는 스텝 501로부터, 스텝 503에 의한 주요 기지국에 변경이 없었던 경우에는 스텝 502로부터, 각각 반복한다. 스텝 510에서, 자국이 송신 기지국이 아닌 경우에는,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을 정지하여 (스텝 512), 종료한다.
교환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신규 송신 기지국의 통지를 받은 경우에는, 그 기지국에 대해서, 그 이동국과의 통신 개시 지시와, 그 제어량을 통지한다. 그리고, 그 통지를 받은 기지국은, 통지된 제어량 r을 이용하고, 송신 전력을 rP0로 해서 이동국에 대한 송신을 개시함과 동시에,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도 개시하고, 또한, 도 5의 플로우를 개시한다.
또한, 기준 송신 전력은, 파일럿 신호의 송신 전력의 일정한 비율이 되도록 설정한다. 파일럿 신호의 송신 전력은, 셀에 의해서, 다른 값을 취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기준 송신 전력도 다른 값을 취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파일럿 신호의 송신 전력을 서로 같게 하므로, 기준 송신 전력도 서로 같게 설정된다. 송신 전력은 기준 송신 전력에 비례하지만, 기준 송신 전력이 상호 다른 경우라도, 제어량은 동일한 값으로 하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 송신 기지국이 된 기지국 k (k = 1, ‥‥, m)가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의 플로우만이 다르고, 이동국의 동작 플로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을 참조하여, 기지국 k는, 측정 기지국 세트를 이동국에 통지하여 (스텝 601), 파일럿 전력 Bi(i = 1, ‥‥, Nrep)를 수신한다 (스텝 602). 다음에, 기지국은 주요 기지국의 갱신 (스텝 603)과, 송신 기지국의 갱신 (스텝 604)을 행한다. 그리고, 기지국 k는 주요 기지국 핸드오프 이득 Gh를 계산한다 (스텝 605). 제1 실시예와 같이, 1 개의 이동국에 대한 송신 기지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서로 같게 되도록 설정한다. 이 때, 핸드오프 이득은, 주요 기지국의 파일럿 전력을 B, 송신 기지국 i (i = 1, ‥‥, m)의 파일럿 전력을 Qi(i = 1, ‥‥, m)로 하여, Gh= (Q1+Q2+ ‥‥ +Qm) / B로서 계산한다.
다음에, 기지국 k는, 주요 기지국의 파일럿 전력을 B로 하고, 소정치 Tsearch를 이용하여, GhB / Tsearch이상의 파일럿 전력을 선택하고, 이들을 Qi(i = 1, ‥‥, n)로 한다 (스텝 606). 제2 실시예에서는, 각 기지국은, 파일럿 신호와 이동국에 대한 송신 신호의 송신 신호 전력의 합계치를 측정하고 있고, 그 값을 교환국에 보고하고 있다. 교환국은, 각 기지국에 대해서, 그 측정 기지국 세트의 기지국 각각의 송신 전력 합계치를 통지하고, 기지국 k는, 파일럿 전력 Qi(i = 1, ‥‥, n)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 합계치를, Pi(i = 1, ‥‥, n)에 설정한다 (스텝 607).
그리고, 기지국의 송신 전력 합계치에는, 일정한 최대치가 정해져 있는데, 그 최대치를 Pmax로 하여, 기지국 k는, 송신 전력의 제어량 r을, r = (P1Q1+P2Q2+ ‥‥ +PnQn) / GhPmaxB로서 계산한다 (스텝 608). 여기서, Gh= (Q1+Q2+ ‥‥ +Qm) / B이기 때문에, 제어량은 r = (P1Q1+P2Q2+ ‥‥ +PnQn) / Pmax(Q1+Q2+ ‥‥ + Qm)가 된다. 제어량에는 미리 제어 범위가 정해져 있고, 스텝 609에서, r이 최대치 rmax보다 큰 경우에는, r = rmax로 하고 (스텝 610), 스텝 611에서, r이 최소치 rmin보다 작은 경우에는, r = rmin으로 한다 (스텝 612). 그리고, 스텝 613에서, 스텝 604의 송신 기지국의 갱신에 의한 신규 송신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기지국의 식별 번호와 제어량 r을 교환국에 통지한다 (스텝 614). 다음에, 스텝 615에서, 자국이 송신 기지국인 경우에는, 소정의 기준 송신 전력을 P0로 하여, 송신 전력을 rP0로 설정한다 (스텝 616). 그리고, 스텝 618에서, 스텝 603에 의한 주요 기지국에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는, 스텝 601로부터, 스텝 603에 의한 주요 기지국에 변경이 없던 경우에는, 스텝 602로부터, 각각 반복한다. 스텝 615에서, 자국이 송신 기지국이 아닌 경우에는,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을 정지하여 (스텝 617), 종료한다.
신규 송신 기지국의 식별 번호와 제어량의 통지를 받은 교환국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서, 송신 기지국으로 되어 있는 기지국 k (k = 1, ‥‥, m)가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순서를 도시한 블로우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의 플로우만이 다르고, 이동국의 동작 플로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어량의 계산에 이용하는 파일럿 전력의 수의 최대치 Nmax가 정해져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기지국 k는, 측정 기지국 세트를 이동국에 통지하여 (스텝 701), 이동국으로부터 파일럿 전력 Bi(i = 1, ‥‥, Nrep)를 수신한다 (스텝 702). 다음에, 기지국은 주요 기지국의 갱신 (스텝 703)과, 송신 기지국의 갱신 (스텝 703)을 행한다. 그리고, 기지국 k는 주요 기지국의 핸드오프 이득 Gh를 계산한다 (스텝 705). 제1 실시예와 같이, 1개의 이동국에 대한 송신 기지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서로 같게 되도록 설정한다. 이 때, 핸드오프 이득은, 주요 기지국의 파일럿 전력을 B, 송신 기지국 i (i = 1, ‥‥, m)의 파일럿 전력을 Qi(i = 1, ‥‥, m)로 하여, Gh= (Q1+Q2+ ‥‥ +Qm) / B로서 계산한다.
다음에, 기지국 k는, 스텝 706에서,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파일럿 전력의 수 Nrep가 Nmax보다 큰 경우에는, n = Nmax로 하고 (스텝 707),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를 받은 파일럿 전력 Bi(i = 1, ‥‥, Nrep) 중에서 큰 n개의 값을 선택하여, 이들을 Qi(i = 1, ‥‥, n)로 한다 (스텝 708). 스텝 706에서,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파일럿 전력의 수 Nrep가 Nmax이하인 경우에는, n = Nrep로 하고 (스텝 709),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를 받은 파일럿 전력 Bi(i = 1, ‥‥, Nrep)를 Qi(i = 1, ‥‥, n)로 한다 (스텝 710).
그리고, 기지국 k는, 송신 전력의 제어량 r을, r = (Q1+Q2+ ‥‥ +Qn)/ GhB로서 계산한다. 여기서, Gh= (Q1+Q2+ ‥‥ +Qm) / B이기 때문에, 제어량은 r = (Q1+Q2+ ‥‥ +Qn) / (Q1+Q2+ ‥‥ +Qm)이 된다.
그리고, 스텝 712에서, 스텝 704의 송신 기지국의 갱신에 의한 신규 송신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기지국의 식별 번호와 제어량 r을 교환국에 통지한다 (스텝 713). 다음에, 스텝 714에서, 자국이 송신 기지국인 경우에는, 소정의 기준 송신 전력을 P0로 하여, 송신 전력을 rP0로 설정한다 (스텝 715). 그리고, 스텝 717에서, 스텝 703에 의한 주요 기지국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 701로부터, 스텝 703에 의한 주요 기지국에 변경이 없던 경우에는, 스텝 702로부터, 각각 반복한다. 스텝 714에서, 자국이 송신 기지국이 아닌 경우에는,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을 정지하여 (스텝 716), 종료한다.
신규 송신 기지국의 식별 번호와 제어량의 통지를 받은 교환국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중인 이동국이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여 기지국에 통지하는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도이다. 또한, 도 9는, 제4 실시예에서, 송신 기지국으로 된 기지국 k (k = 1, ‥‥, m)의 플로우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국과 통신을 개시한 기지국 k는, 최초에 이동국에 대해서, 측정 기지국 세트를 통지한다 (스텝 901). 이 경우 도 8을 참조하면, 이동국은, 스텝 801에서, 측정 기지국 세트의 통지를 받은 경우, 측정 기지국 세트의 갱신을 행한다 (스텝 802). 그리고, 이동국은, 측정 기지국 세트의 파일럿 전력 Ai(i = 1, ‥‥, Nmes)를 측정한다 (스텝 803).
다음에, 이동국은, 주요 기지국의 갱신을 행하고 (스텝 804), 계속해서, 송신 기지국의 갱신을 행한다 (스텝 805). 주요 기지국의 갱신, 및 송신 기지국의 갱신은, 제1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다음에, 이동국은 주요 기지국의 핸드오프 이득 Gh를 계산한다 (스텝 806). 이 실시예에서는, 1개의 이동국에 대한 송신 기지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서로 같게 되도록 설정한다. 이 때, 주요 기지국의 핸드오프 이득은, 주요 기지국의 파일럿 전력을 B, 송신 기지국 i (i = 1, ‥‥, m)의 파일럿 전력을 Qi(i = 1, ‥‥, m)로 하여, Gh(1) = (Q1+Q2+ ‥‥ + Qm) / B로서 계산한다.
다음에, 이동국은, 주요 기지국의 파일럿 전력 B, 소정치 Tsearch를 이용하고, Gh(k)B / Tsearch이상의 파일럿 전력을 선택하여, 이들을 Qi(i = 1, ‥‥, n)로 한다 (스텝 807). 그리고, 송신 전력의 제어량 r을, r = (Q1+Q2+ ‥‥ +Qn) / Gh(1)B로서 계산한다 (스텝 808). 여기서, Gh(1) = (Q1+Q2+ ‥‥ +Qm) / B이기 때문에, 제어량은 r = (Q1+Q2+ ‥‥ +Qn) / (Q1+Q2+ ‥‥ +Qm)이 된다.
그리고, 이동국은, 주요 기지국의 식별 번호, 송신 기지국의 식별 번호, 및 제어량 r을 기지국에 통지하여 (스텝 809), 스텝 801에 되돌아간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 k는, 주요 기지국의 식별 번호, 송신 기지국의 식별 번호, 및 제어량 r의 통지를 수신하고 (스텝 902), 스텝 903에서, 신규 송신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기지국의 식별 번호와 제어량 r을 교환국에 통지한다 (스텝 904).
다음에, 기지국 k는, 스텝 905에서, 자국이 송신 기지국인 경우에는, 소정의 기준 송신 전력을 P0로 하여, 송신 전력을 rP0로 설정한다 (스텝 906). 그리고, 스텝 908에서, 스텝 901에 의해 통지된 주요 기지국에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는, 스텝 901로부터, 스텝 901에 의해 통지된 주요 기지국에 변경이 없었던 경우에는, 스텝 902로부터, 각각 반복한다. 스텝 905에서, 자국이 송신 기지국이 아닌 경우에는,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을 정지하여 (스텝 907), 종료한다.
교환국은, 제1 실시예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신규 송신 기지국의 통지를 받은 경우에는, 그 기지국에 대해서, 그 이동국과의 통신 개시 지시와, 그 제어량을 통지한다. 그리고, 그 통지를 받은 기지국은, 통지된 제어량 r을 이용하여, 송신 전력을 rP0로 해서 이동국에 대한 송신을 개시함과 동시에,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도 개시하고, 또한, 도 9의 플로우를 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동국은 복수의 파일럿 전력의 값을 기지국에 통지할 필요 없이, 주요 기지국의 식별 번호, 송신 기지국의 식별 번호, 및 제어량을 통지하면 좋으므로,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에 송신하는 정보량이 적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5 실시예에서, 통신 중인 이동국이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여 기지국에 통지하는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도이다. 기지국, 및 교환국의 동작은,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을 개시한 이동국은, 최초에 제어량의 초기화를 행하고, r = 1로 한다 (스텝 1001).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8의 스텝 801로부터 스텝 808까지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주요 기지국의 갱신 (스텝 1002), 송신 기지국의 갱신 (스텝 1003), 및 제어량의 계산을 행하고, 제어를 rnew로 한다 (스텝 1004).
다음에, 이동국은, 스텝 1005에서, 주요 기지국 또는 송신 기지국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 1007로 진행한다. 주요 기지국 또는 송신 기지국에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1006에서, rnew/ r이 소정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스텝 1002 로 되돌아간다. 스텝 1006에서, rnew/ r이 소정의 범위 내에 없는 경우에는, 스텝 1007로 진행한다. 그리고, 이동국은, 스텝 1007에서, r = rnew로 하여, 계속해서, 주요 기지국의 식별 번호, 송신 기지국의 식별 번호, 및 제어량 r을 기지국에 통지하여 (스텝 1008), 스텝 1002로 되돌아간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동국은 기지국에 대해서, 주요 기지국 또는 송신 기지국에 변경이 있었던 경우와, 제어량이 일정한 비율 이상으로 변화한 경우에 한해서, 주요 기지국의 식별 번호, 송신 기지국의 식별 번호, 및 제어량을 통지하면 좋으므로,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정보량이 적다.
이상으로 설명한 모든 실시예에서는, 이동국에서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고 있지만,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 대신에, 이동국에서의 파일럿 신호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이용하더라도, 본 발명은 전적으로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모든 실시예에서는, 이동국에서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고 있지만, 이상의 방법에 의해서 결정된 제어량의 값을 제어량의 상한으로서, 다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의해서,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종래의 기술로서, S/N이 소정의 S/N에 근접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했지만, 실시예로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산출된 제어량 r을, 제어량의 상한 Rmax로 하여, S/N이 소정의 S/N에 근접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의해서 결정되는 제어량 rsn이 Rmax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량을 rsn으로 하고, rsn이 Rmax를 넘는 경우에는, 제어량을 Rmax로 해도 좋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모든 실시예에서는, 이동국에서의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송신 전력의 제어량을 결정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호출 채널 등과 같이, 기지국이 각각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고 있는 신호가 있으면, 파일럿 신호 대신에, 그 신호의 수신 전력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열화율을 저감하여, 회선 용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셀 경계 부근에 위치하는 이동국에서 간섭 열화가 집중하여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에어리어 전체에 균일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셀 경계 부근에 위치하는 이동국에서 간섭 열화가 집중하여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열화율을 증가시키지 않고서, 소프트 핸드오프를 실행하는 이동국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기지국에서의 송신 장치의 수, 교환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보내는 신호의 정보량, 및 기지국에 필요한 부호의 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32)

  1.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제1 수신 전력 및 상기 제2 수신 전력의 측정치에 관한 정보를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 각각에서, 상기 제1 수신 전력 및 상기 제2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 각각에서,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으로 송신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및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측정치에 관한 정보를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 각각에서,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와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 각각에서, 상기 결정된 전력으로 송신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제1 수신 전력 및 상기 제2 수신 전력의 측정치에 관한 정보를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 각각에서, 상기 제1 수신 전력과 상기 제2 수신 전력과의 비에 따라 하회선(downline)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4.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제1 수신 전력 및 상기 제2 수신 전력의 측정치에 관한 정보를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 각각에서, 상기 제2 수신 전력을 상기 제1 수신 전력으로 나눈 값이 큰 값일 때일수록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기준치에 비해 커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5.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제1 수신 전력 및 상기 제2 수신 전력의 측정치에 관한 정보를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 각각에서, 상기 제1 수신 전력과 상기 제2 수신 전력의 합과 상기 제1 수신 전력비의 비율만큼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기준치에 대해 커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6.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및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측정치에 관한 정보를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 각각에서,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와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와의 비에 따라서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7.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및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측정치에 관한 정보를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 각각에서,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로 나눈 값이 큰 값일 때 일수록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기준치에 대해 커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8.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및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측정치에 관한 정보를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 각각에서,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와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합과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비율만큼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기준치에 대해 커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9.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이 제어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수신 전력과 상기 제2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0.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이 제어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와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에 기초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1.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이 제어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수신 전력과 상기 제2 수신 전력과의 비에 따라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2.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이 제어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2 수신 전력을 상기 제1 수신 전력으로 나눈 값이 큰 값일 때일수록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기준치에 대해 커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3.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이 제어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수신 전력과 상기 제2 수신 전력의 합과 상기 제 1 수신 전력비의 비율만큼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기준치에 대해 커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4.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이 제어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와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와의 비에 따라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5.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이 제어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로 나눈 값이 큰 값일 때일수록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기준치에 대해 커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6.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을 갖는 복수개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이 제어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주위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일정 전력 채널의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와 상기 제2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합과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비율만큼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기준치에 대해 커지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7. 제3항 내지 제5항, 및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지국이 송신함에 따른 희망파 전력의 증가분을 계산하여, 그 증가분의 비율만큼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이 작아지도록,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8. 제6항 내지 제8항, 및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지국이 송신함에 따른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의 증가분을 계산하여, 그 증가분의 비율만큼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이 작아지도록,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9.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이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의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 Qi(i = 1, ‥‥, m), 및 그 외의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 Qi(i = m+1, ‥‥, n)를 이용하여,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 k (k = 1, ‥‥, m)만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k로 하고,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a11로 하여,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함에 따른 희망파 전력의 이득 Gh(k) = Da11/ Dk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 k에서,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Q1+Q2+ ‥‥ +Qm+ ‥‥ + Qn) / Gh(k)Qk에 비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0.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이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의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Qi(i = 1, ‥‥, m), 및 그 외의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Qi(i = m+1, ‥‥, n)를 이용하여,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 k (k = 1, ‥‥, m)만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k로 하고,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a11로 하여,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함에 따른 희망파 전력의 이득 Gh(k) = Da11/ Dk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 k에서,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Q1+Q2+ ‥‥ +Qm+ ‥‥ +Qn) / Gh(k)Qk에 비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1.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이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의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 Qi(i = 1, ‥‥, m), 및 그 외의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 Qi(i = m+1, ‥‥, n)를 이용하여,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 k (k = 1, ‥‥, m)만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k로 하고,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a11로 하여,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함에 따른 희망파 전력의 이득 Gh(k) = Da11/ Dk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 k에서, 기지국 i (i = 1, ‥‥, m)의 하회선에 있어서 이동국과 동일한 주파수의 송신 전력의 합계를 Pi(i = 1, ‥‥, n)로 하고, 기지국 별로 정하는 소정치를 PT로 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P1Q1+P2Q2+ ‥‥ +PmQm+ ‥‥ +PnQn) / Gh(k)PTQk에 비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2.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자국이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의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Qi(i = 1, ‥‥, m), 및 그 외의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Qi(i = m+1, ‥‥, n)를 이용하여,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 k (k = 1, ‥‥, m)만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k로 하고, 회선을 설정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 1, ‥‥, m이 송신한 경우의 희망파 전력을 Da11로 하여, 복수의 기지국에서 송신함에 따른 희망파 전력의 이득 Gh(k) = Da11/ Dk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 k에서, 기지국 i (i = 1, ‥‥, m)의 하회선에 있어서 이동국과 동일한 주파수의 송신 전력의 합계를 Pi(i = 1, ‥‥, n)로 하고, 기지국 별로 정하는 소정치를 PT로 하여, 하회선의 송신 전력을 (P1Q1+P2Q2+ ‥‥ +PmQm+ ‥‥ +PnQn) / Gh(k)PTQK에 비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기지국 별로 정하는 소정치 PT를 모든 기지국 사이에서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4. 제19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 Qi(i = m+1, ‥‥, n)는 소정치 Tsearch를 이용하여 Gh(k)Qk/ Tsearch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5. 제20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기지국 m+1, ‥‥, n의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 Qi(i = m+1, ‥‥, n)는 소정치 Tsearch를 이용하여 Gh(k)Qk/ Tsearch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6. 제19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n을 소정치 Nmax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7. 제20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n을 소정치 Nmax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의 측정치 수가 소정치 Nmax보다 많을 경우에는 일정 전력 채널의 수신 전력의 측정치가 큰 것부터 순서대로 Nmax개만큼 선택하여 송신 전력의 계산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측정치 수가 소정치 Nmax보다 많을 경우에는 일정 전력 채널의 희망파 대 간섭파 전력비의 측정치가 큰 것부터 순서대로 Nmax개만큼 선택하여 송신 전력의 계산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0.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복수의 기지국과 회선을 설정하고 있을 때에, 이들 기지국이 그 이동국에 대한 송신 전력을 서로 동일하게 하도록 제어할 경우, 기지국 k는 이득 Gh(k)를 Gh(k) = (Q1+Q2+ ‥‥ +Qm) / Qk로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송신 전력을 산출하여 그 값을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이동국은 새로이 계산한 송신 전력을 rnew, 기지국에 직전에 통지한 송신 전력을 r로 하여, rnew/ r이 Sup이상 또는 Sdn이하일 경우에 새로이 계산한 송신 전력을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분할 다중 방식 셀룰러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KR1019970031118A 1996-07-05 1997-07-04 부호분할다중방식셀룰러시스템의송신전력제어방법 KR100308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76754 1996-07-05
JP17675496A JP2839014B2 (ja) 1996-07-05 1996-07-05 符号分割多重方式セルラ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052A KR980013052A (ko) 1998-04-30
KR100308219B1 true KR100308219B1 (ko) 2001-11-30

Family

ID=1601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118A KR100308219B1 (ko) 1996-07-05 1997-07-04 부호분할다중방식셀룰러시스템의송신전력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26081A (ko)
EP (1) EP0817400B1 (ko)
JP (1) JP2839014B2 (ko)
KR (1) KR100308219B1 (ko)
AU (1) AU716425B2 (ko)
CA (1) CA2209729C (ko)
DE (1) DE69731332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087B1 (ko) 2004-10-14 2009-08-0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간섭 제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결정, 통신, 및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4562B1 (en) * 1997-06-26 2001-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symmetric forward power control in a CDMA communication
JP3019061B2 (ja) 1997-06-27 2000-03-1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無線回線制御方法
WO1999008463A1 (en) * 1997-08-08 1999-02-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118387B2 (en) * 1997-11-03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Pilot reference transmiss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84426B2 (en) * 2002-12-12 2007-02-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urst pilot for a time division multiplex system
GB9724046D0 (en) * 1997-11-14 1998-01-14 Northern Telecom Ltd Up link power for fixed wireless access
JP3295369B2 (ja) * 1998-03-10 2002-06-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FI114060B (fi) 1998-04-03 2004-07-30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teet tehon säätöön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DE19827912C2 (de) * 1998-06-23 2001-09-06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Funkzellengröße und Basisstation
KR100306286B1 (ko) 1998-08-04 2001-09-29 윤종용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 장치 및 방법
JP3031346B2 (ja) 1998-08-19 2000-04-10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基地局送信装置およびcdma基地局送信装置におけるシリアル信号送信方法
KR100557127B1 (ko) * 1998-09-15 200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시스템의 전력 관리 및 호 제어 방법
KR100300352B1 (ko) * 1998-11-03 2001-09-07 윤종용 양방향페이징시스템에서기지국간의중첩지역최소화방법
US6269239B1 (en) * 1998-12-11 2001-07-31 Nortel Network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combine power control commands during soft handoff in DS/CDMA cellular systems
KR100366799B1 (ko) * 1998-12-26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전송전력제어방법
DE60040137D1 (de) * 1999-03-12 2008-10-16 Qualcomm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eistungszuteilung auf eine rückwärtsleistungssteuerung eines kommunikationssystems
US6169759B1 (en) 1999-03-22 2001-01-02 Golden Bridge Technology Common packet channel
US6606341B1 (en) * 1999-03-22 2003-08-12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Common packet channel with firm handoff
US6574267B1 (en) 1999-03-22 2003-06-03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Rach ramp-up acknowledgement
US6609007B1 (en) * 1999-09-14 2003-08-19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forward link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643318B1 (en) 1999-10-26 2003-11-04 Golden Bridge Technology Incorporated Hybrid DSMA/CDMA (digital sense multiple access/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with collision resolution for packet communications
US7206580B2 (en) 1999-11-04 2007-04-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ff in a high speed communication system
US6757319B1 (en) 1999-11-29 2004-06-29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Closed loop power control for common downlink transport channels
EP1234422A4 (en) 1999-11-29 2006-10-18 Golden Bridge Tech Inc PERFORMANCE CONTROL IN CLOSED LOOP FOR COMMON DOWNWARD TRANSPORT CHANNEL
WO2001045277A2 (en) * 1999-12-17 2001-06-21 Philips Semiconduct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ssigned fingers
KR20010094863A (ko) * 2000-04-07 2001-11-03 윤종용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JP3723417B2 (ja) * 2000-06-29 2005-12-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7068683B1 (en) 2000-10-25 2006-06-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packet data and low delay data transmissions
US6973098B1 (en) * 2000-10-25 2005-12-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ata rate in a high rate packet dat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3551937B2 (ja) 2001-02-28 2004-08-1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基地局
US7149204B2 (en) 2001-06-20 2006-1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ase station device and channel assigning method
JP4113840B2 (ja) * 2001-07-24 2008-07-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移動局及び通信装置
KR100407337B1 (ko) * 2001-08-08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전력제어채널의전력이득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811348B2 (en) * 2003-02-24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mmunicating, and/or using information relating to self-noise
US9661519B2 (en) 2003-02-24 2017-05-23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reporting of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18948B2 (en) 2003-02-24 2007-05-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transmitting pilot tones in a multi-sector cell, including null pilot tones, for genera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s
US9544860B2 (en) 2003-02-24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s for use in multi-sector cells
KR20060028813A (ko) * 2003-07-18 2006-04-0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송신 전력 제어의 추종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 시스템
US20060092881A1 (en) * 2004-10-14 2006-05-04 Rajiv Laroia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municating and using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for interference control purposes
US8503938B2 (en) * 2004-10-14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municating and using information including loading factors which can be used for interference control purposes
US8989084B2 (en) 2005-10-14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loa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eighboring base stations
US9191840B2 (en) 2005-10-14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municating and using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for interference control
KR100654032B1 (ko) * 2005-11-02 2006-12-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인접군 리스트를 이용한 엑세스 프로브의 출력 조절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9572179B2 (en) 2005-12-22 2017-02-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ransmission backlog information
US8514771B2 (en) * 2005-12-22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nd/or using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US20070149132A1 (en) 2005-12-22 2007-06-28 Junyl Li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selecting control channel reporting formats
US9473265B2 (en) 2005-12-22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utilizing a plurality of dictionaries
US9451491B2 (en) 2005-12-22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generating and transmitting initial and additional control information report sets in a wireless system
US9125092B2 (en) 2005-12-22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porting and/or using control information
US20070249360A1 (en) * 2005-12-22 2007-10-25 Arnab Das Methods and aparatus related to determining, communicating, and/or using delay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137072B2 (en) 2005-12-22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US8437251B2 (en) 2005-12-22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ransmission backlog information
US9125093B2 (en) 2005-12-22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custom control channel reporting formats
US9148795B2 (en) 2005-12-22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lexible reporting of control information
US9119220B2 (en) 2005-12-22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acklog related information
US9338767B2 (en) 2005-12-22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of implementing and/or using a dedicated control channel
JP4555220B2 (ja) * 2005-12-26 2010-09-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ハンドオーバの制御方法および基地局制御装置
US20070243882A1 (en) 2006-04-12 2007-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ssociated with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CN101523778A (zh) * 2006-10-13 2009-09-02 高通股份有限公司 对用于干扰控制目的的信息进行确定、传输和使用的方法和装置
GB2481331B (en) * 2007-02-02 2012-03-14 Ubiquisys Ltd Access point power control
GB2447439B (en) 2007-02-02 2012-01-25 Ubiquisys Ltd Access point power control
GB2471681B (en) 2009-07-07 2011-11-02 Ubiquisys Ltd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femtocell access point
GB2472597B (en) 2009-08-11 2012-05-16 Ubiquisys Ltd Power setting
US8811200B2 (en) * 2009-09-22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metrics to support adaptive station-depend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ate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WO2011151857A1 (ja) 2010-05-31 2011-12-0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サービスエリア調整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
US8767862B2 (en) 2012-05-29 2014-07-01 Magnolia Broadband Inc. Beamformer phase optimization for a multi-layer MIMO system augmented by radio distribution network
US9343808B2 (en) 2013-02-08 2016-05-17 Magnotod Llc Multi-beam MIMO time division duplex base station using subset of radios
US8797969B1 (en) 2013-02-08 2014-08-05 Magnolia Broadband Inc. Implementing 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 MIMO) base station using single-user (SU) MIMO co-located base stations
US8989103B2 (en) 2013-02-13 2015-03-2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attenuation of preamble reception in co-located WI FI access points
US20140226740A1 (en) 2013-02-13 2014-08-14 Magnolia Broadband Inc. Multi-beam co-channel wi-fi access point
US9155110B2 (en) 2013-03-27 2015-10-06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ocated and co-channel Wi-Fi access points
US9100968B2 (en) 2013-05-09 2015-08-0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ancellation scheme with multi-beam
US9425882B2 (en) 2013-06-28 2016-08-23 Magnolia Broadband Inc. Wi-Fi radio distribution network stations and method of operating Wi-Fi RDN stations
US8995416B2 (en) 2013-07-10 2015-03-3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co-channel access of neighboring access points
US9497781B2 (en) 2013-08-13 2016-11-15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ocated and co-channel Wi-Fi access points
US9060362B2 (en) 2013-09-12 2015-06-16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n occupied Wi-Fi channel by a client using a nulling scheme
US9088898B2 (en) * 2013-09-12 2015-07-2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scheduling for co-located access points
US9172454B2 (en) 2013-11-01 2015-10-27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transceiver array
US8891598B1 (en) 2013-11-19 2014-11-18 Magnolia Broadband Inc. Transmitter and receiver calibration for obtaining the channel reciprocity for time division duplex MIMO systems
US8942134B1 (en) 2013-11-20 2015-01-27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registration in a multi-beam system
US9294177B2 (en) 2013-11-26 2016-03-22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patterns calibration for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s
US9014066B1 (en) 2013-11-26 2015-04-2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patterns calibration for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s
US9042276B1 (en) 2013-12-05 2015-05-26 Magnolia Broadband Inc. Multiple co-located multi-user-MIMO access points
US9172446B2 (en) 2014-03-19 2015-10-27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parse explicit sounding by implicit data
US9100154B1 (en) 2014-03-19 2015-08-0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explicit AP-to-AP sounding in an 802.11 network
US9271176B2 (en) 2014-03-28 2016-02-23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backhaul based sounding feedbac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109A (en) * 1989-11-07 1991-10-08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US5345598A (en) * 1992-04-10 1994-09-06 Ericsson-Ge Mobile Communications Holding, Inc. Duplex power control system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3457357B2 (ja) * 1993-07-23 2003-10-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送信電力制御方法、移動端末装置及び基地局
FI110043B (fi) * 1993-09-20 2002-11-15 Nokia Corp Menetelmä kanavanvaihdon suorittamiseksi CDMA-solukkoradiojärjestelmässä sekä liikkuva asema
IT1261365B (it) * 1993-12-02 1996-05-20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i potenza nella tratta stazione base-mezzo mobile di un sistema radiomobile con accesso a divisione di codice
FI941268A (fi) * 1994-03-17 1995-09-18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vastaanotetun tehon arvioimiseksi sekä vastaanotin
JP2904335B2 (ja) * 1994-04-27 1999-06-14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移動局装置
US5475870A (en) * 1994-09-12 1995-12-1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ng and removing a base station from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JP2966296B2 (ja) * 1994-10-14 1999-10-25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
JPH08256102A (ja) * 1995-01-19 1996-10-01 Sony Corp セルラーシステム
JPH10173594A (ja) * 1996-12-06 1998-06-26 Hitachi Ltd 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6396867B1 (en) * 1997-04-25 2002-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link power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087B1 (ko) 2004-10-14 2009-08-0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간섭 제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결정, 통신, 및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09729A1 (en) 1998-01-05
KR980013052A (ko) 1998-04-30
EP0817400A2 (en) 1998-01-07
CA2209729C (en) 2001-05-01
EP0817400A3 (en) 2003-04-02
AU716425B2 (en) 2000-02-24
JPH1022975A (ja) 1998-01-23
US6026081A (en) 2000-02-15
DE69731332D1 (de) 2004-12-02
EP0817400B1 (en) 2004-10-27
AU2849697A (en) 1998-01-15
DE69731332T2 (de) 2005-03-17
JP2839014B2 (ja) 199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219B1 (ko) 부호분할다중방식셀룰러시스템의송신전력제어방법
US5995836A (en)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handoff hysteresis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KR100431915B1 (ko) Maho를갖는전기통신시스템에서신호를측정하는방법및시스템
EP0940930B1 (en)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ellular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87170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のための電力制御方法及び構成体
US6539233B1 (en) Call control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and system therefor
KR10075406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간 측정을 실행하는가입자국, 네트워크 제어 수단 및 방법
CN1586089B (zh) 基于宽带码分多址覆盖的切换触发的方法
US5379447A (en) Method of selecting a handoff target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6597679B1 (en) Control of compressed mode transmission in WCDMA
EP0984649B1 (en) Handoff triggering between bordering cells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0375564C (zh) 用于估算无线电网络功能所用的频率间测量的系统和方法
JP3479840B2 (ja) 移動通信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移動局
US6564058B1 (en) Cellular radio network
JP2002010313A (ja) 移動通信制御方法、セルラ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及び基地局制御装置
JP3543773B2 (ja) セルラ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移動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電力制御方法
JPH09261170A (ja) 送信電力制御方法
KR100699648B1 (ko) 전송 강도 레벨의 제어 방법
US7096021B1 (en) Method for initiating in a terminal of a cellular network the measurement of power levels of signals and a terminal
CA2356906C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ower output in transceivers
WO2002030135A2 (en) Adaptive cellular communication handoff hysteresis
KR20030061477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결정장치 및 방법
JP2000270356A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50095638A (ko)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목표치 제어 방법, 그에 이용되는기지국 제어 장치 및 이동국
JP4018580B2 (ja) 送信電力制御方法、基地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