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886B1 -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886B1
KR100307886B1 KR1019990040271A KR19990040271A KR100307886B1 KR 100307886 B1 KR100307886 B1 KR 100307886B1 KR 1019990040271 A KR1019990040271 A KR 1019990040271A KR 19990040271 A KR19990040271 A KR 19990040271A KR 100307886 B1 KR100307886 B1 KR 100307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high frequency
composition
frequenc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177A (ko
Inventor
김현재
정형진
윤석진
최지원
박용욱
강종윤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riority to KR101999004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8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54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niobium or tungsteen, tantalum oxides or niobates, tanta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C04B35/46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 C04B35/46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metal titan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조성식 Ca[(Li1/3Nb2/3)(1-x)TiX]O3(x는 0≤x≤0.5)로 표시되는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 조성물은 높은 품질계수와 유전율을 가지며,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TCF)가 안정하면서 조성의 변화에 따라 TCF를 0 ppm/℃까지 조절이 가능하여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부품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결 온도가 낮고, 소결 시간도 짧아 양산시 생산 단가 절감에 유리한 재료이다.

Description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Compositions of High Frequency Dielectrics}
본 발명은 높은 품질계수(Q값)와 유전율을 가지며, 또한 공진 주파수의 온도계수가 안정하고, 소결 온도가 낮은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전화기, 자동차 전화기 등의 이동 통신, 위성 방송, 위성 통신 등 주파수 대역이 300 ㎒ 내지 300 ㎓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이 현저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뉴미디어의 실용화를 위해 공진기, 대역 통과 (또는 저지) 필터, 듀플렉서 및 마이크로파 집적회로(MIC) 등에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의 응용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고주파용 유전체가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1) 유전체 내에서 마이크로파의 파장이 유전율의 1/2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부품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유전율이 높아야 하고, (2) 유전 손실은 주파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Q값 (즉, 유전 손실의 역수)이 높아야 하며, (3) 유전체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작아야 한다 [워싱(W. Wersing)의 Electronic Ceramics (B.C.H. Steele 편저), 제67 페이지, 미합중국 뉴욕주 소재 Elsevier Sci. Pub. Co. 발행 (1991) 참조].
또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고주파용 유전체는 경시 변화가 작고, 열전도율이 커야 하며,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고 소결 온도가 낮아야 한다.
지금까지 개발된 유전율 30 내지 40 정도의 대표적인 유전체로는 Ba2Ti9O20계 [오브라이언(H.M.O'Bryan) 등의 J. Am. Ceram. Soc., 57[10], 제450-453 페이지 (1974) 참조]와 (Zr, Sn)TiO4계 [와키노(K.Wakino) 등의 J. Am. Ceram. Soc., 67[4] 제278-281 페이지 (1984) 참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유전체는 Q·f0값이 각각 32000과 49000 ㎓로 다소 높은 편이나, 소결 온도가 1400℃ 내외로 높아 부품 생산시 생산 단가가 높아지므로, 이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소결 온도가 낮은 유전체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전율이 큰 재료는 유전체 내부의 쌍극자와의 결함 등으로 인하여 유전 손실과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증가하게 되는데, 고주파용 유전체는 우선적으로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안정하여야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전율이 30 이상이며, 유전 손실이 적고, 소결온도가 낮으며,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를 유효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는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의 조성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조성을 갖는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Ca[(Li1/3Nb2/3)(1-X)Tix]O3
식 중, x는 0≤x≤0.5 이다.
상기 본 발명의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은 페로브스카이트형 고용체로서, 유전율이 약 30 내지 56이고, Qxf0(㎓)가 18600 내지 40000이다.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TCF)의 범위는 -21 내지 +83 ppm/℃로 조성의 변화에 따라 TCF를 0 ppm/℃로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부품의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은 Ti의 양에 따라 그 특성이 변화한다. 즉, 유전율은 Ti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30 내지 56의 범위에서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 Qxf0(㎓)는 40000 내지 18600의 범위내에서 서서히 감소한다.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서 +로 점진적으로 변화된다. 특히, Ti의 함량이 0.05 mol인 부근에서는 1150℃ 에서 3시간 소결시킬 경우, 유전율이 32.3이고, Qxf0가 29800 이상이며, 공진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0 ppm/℃인 우수한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세라믹스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은, 출발 물질로서 CaCO3, Li2CO3, Nb2O5및 TiO2를 사용전에 약 600℃의 온도에서 약 10시간 정도 건조시킨 후, 이들 시료를 본 발명의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일정 조성비로 혼합한 분말을 약 700∼900℃의 온도에서 약 2시간 동안 하소하여 분쇄한 후, 성형 첨가제(유기 바인더)로서, 예를들면 5% PVA 수용액을 첨가하여 가압 성형하고, 약 600℃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유기 바인더를 제거한 후, 대기중에서 약 1000∼1300℃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5시간 동안 소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써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소결 시편의 유전율, Q값 및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 등의 유전 특성은 공지된 유전체 공진기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순도 99%의 CaCO3, 99.99%의 Li2CO3와, 99.9%의 Nb2O5및 TiO2를 사용전에 약 600℃의 온도에서 약 10시간 정도 건조시킨 후, 이들 시료를 표 1에 나타낸 조성비로 혼합하고, 혼합 분말을 대기 중에서 약 850 ℃의 온도에서 약 2시간 정도 하소하여 분쇄한 후 성형 첨가제로 5% PVA 수용액을 첨가하여 직경 10 ㎜, 두께 약 5내지 6 ㎜의 원기둥형 시편으로 가압 성형하고, 성형된 시편을 약 600℃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유기 바인더를 제거한 후, 대기중에서 약 1150℃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5 시간 동안 소결하였다.
소결 시편의 양면을 잘 연마한 후, 도파관 속에 넣고 유전체 공진기법으로 유전율, Q값 및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 주파수는 7.0 내지 9.8 ㎓이고, 측정 온도 범위는 -15 내지 85℃였다. 각 시편의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Ca[(Li1/3Nb2/3)(1-X)TiX]O3계의 고주파 유전특성
시료번호 조성(몰)x 소결 온도(℃) 소결 시간(hr) 유전율(εγ) Qxfo(㎓) TCF(ppm/℃)
1 0 1150 3 30 40000 -21.0
2 0.03 1150 3 31 31200 -9.3
3 0.05 1150 3 32 29800 0
4 0.08 1150 3 34 27000 +1.8
5 0.1 1150 3 38 26900 +4.6
6 0.16 1150 3 41 24400 +7.8
7 0.2 1150 3 44 22800 +9.7
8 0.3 1150 3 50 20800 +23
9 0.4 1150 3 53 20200 +55.3
10 0.5 1150 3 56 18600 +83.0
본 발명의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은 높은 품질 계수(Q값)와 유전율을 가지며, 공진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안정하여 마이크로파용 통신 시스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은 제조시 소결 온도가 낮아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Claims (2)

  1.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갖는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
    <화학식 1>
    Ca[(Li1/3Nb2/3)(1-x)TiX]O3
    식 중, X는 0≤x≤0.5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가 0.03≤x≤0.2이고, 공진주파수의 온도계수가 ±10 이내인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스 조성물.
KR1019990040271A 1999-09-18 1999-09-18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KR100307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271A KR100307886B1 (ko) 1999-09-18 1999-09-18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271A KR100307886B1 (ko) 1999-09-18 1999-09-18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177A KR20010028177A (ko) 2001-04-06
KR100307886B1 true KR100307886B1 (ko) 2001-09-24

Family

ID=1961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271A KR100307886B1 (ko) 1999-09-18 1999-09-18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8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1496B2 (en) 2002-05-13 2005-01-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Low temperature co-firing ceramic (LTCC) composition for microwave frequency
CN109721359A (zh) * 2019-01-17 2019-05-07 天津大学 一种锂钛共掺高q值锂镁铌系介质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131A (ko) * 2003-02-20 2004-08-27 필코전자주식회사 저온 동시소성(ltcc) lc 필터 자기조성물
KR100763284B1 (ko) * 2006-07-31 2007-10-04 요업기술원 마이크로파 유전체 세라믹스 및 그 제조방법
CN108863345A (zh) * 2018-07-20 2018-11-23 广东奥胜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发光介质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1496B2 (en) 2002-05-13 2005-01-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Low temperature co-firing ceramic (LTCC) composition for microwave frequency
KR100471932B1 (ko) * 2002-05-13 2005-03-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저온 동시 소성용 마이크로파 유전체 조성물
CN109721359A (zh) * 2019-01-17 2019-05-07 天津大学 一种锂钛共掺高q值锂镁铌系介质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177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066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100307886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KR970001055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KR100415981B1 (ko) 저온 소결용 고주파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0173185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20020092928A (ko)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234017B1 (ko) (1-x){(1-y)catio₃+ycazro₃}+xca(mg⅓nb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339097B1 (ko)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234018B1 (ko) Catio₃+ca(mg⅓nb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970001058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KR100471933B1 (ko) 고 품질계수를 갖는 마이크로파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970001057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KR100356641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415983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332931B1 (ko)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조성물
KR100327153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KR960012729B1 (ko)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조성물
KR100216717B1 (ko) 고주파 유전체 조성물
KR100234019B1 (ko) Catio₃+ca(zn⅓nb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212583B1 (ko) 고주파 유전체 조성물
KR100415219B1 (ko)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225880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KR0134532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자기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234020B1 (ko) Catio₃+ca(mg⅓ta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308915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자기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