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817B1 - 자동식기세척기의 직수형 세척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식기세척기의 직수형 세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817B1
KR100307817B1 KR1019990038240A KR19990038240A KR100307817B1 KR 100307817 B1 KR100307817 B1 KR 100307817B1 KR 1019990038240 A KR1019990038240 A KR 1019990038240A KR 19990038240 A KR19990038240 A KR 19990038240A KR 100307817 B1 KR100307817 B1 KR 10030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otor pump
washing water
pip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795A (ko
Inventor
김종흠
Original Assignee
김종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흠 filed Critical 김종흠
Priority to KR1019990038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817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9Spray-press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식기세척기의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수를 공급하는 모터펌프와 연결되는 세척수 공급관과, 이 세척수 공급관과 연결되는 상하부의 세척 및 헹굼노즐의 연결수단에 있어서, 세척수를 직접 세척 및 헹굼노즐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분사력을 향상시켜 세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자동식기세척기의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본체(10)의 내부에 세척수탱크(11)와 모터펌프(12)가 내장되고, 상기 모터펌프(12)에서 연장된 연결관(13)에 상,하부 세척 및 헹굼노즐(14, 17)이 연결된 통상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펌프(12)를 본체(10)의 측면부에 밀착하여 고정하고, 이 모터펌프(12)와 연결되는 수직의 연결관(13)일단에 수평관(14)을 수평으로 연결설치하여 하부세척 및 헹굼노즐(15)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관(13)의 상측에 수평방향의 연장부(18)가 형성된 'ㄱ'자형의 연장관(16)을 설치하여 상기 연장부(18)에 상부 세척 및 헹굼노즐(17)을 연결설치하여, 모터펌프(12)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균일한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식기세척기의 직수형 세척시스템{AUTOMATIC DISH-WASH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식기세척기의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수를 공급하는 모터펌프와 연결되는 세척수 공급관과, 이 세척수 공급관과 연결되는 상하부의 세척 및 헹굼노즐의 연결수단에 있어서, 세척수를 직접 세척 및 헹굼노즐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분사력을 향상시켜 세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자동식기세척기의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자동식기세척기는 도1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체(1)의하단부에 세척탱크(2)가 내장되고, 이 세척탱크(2)와 연결된 모터펌프(3)가 내장되며, 이 모타펌프(3)의 상측 중앙부에 연결관(4)이 연장되어 세척노즐(5)과 헹굼노즐(6)이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4)의 일측방향에서 연장되는 연결호오스를 'ㄷ'자형으로 연장관(7)이 연장되어 상측의 세척노즐(5') 및 헹굼노즐(6')이 연결되어 상, 하부의 세척노즐(5,5')과 헹굼노즐(6,6')에 의하여 식기를 세척하도록 된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모타펌프(3)와 'ㄷ'자형으로 연결된 세척노즐(5,5')과 헹굼노즐(6,6')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과 하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각각 달랐다.
도1에 나타난 바와같이, 모타펌프(3)와 수직으로 연결된 하부의 세척노즐(5)에서 분사되는 분사력이 100%일 경우, 모타펌프(3)와 하부의 세척노즐(5)을 연결하는 연결관(4)의 중간부분에서 분리되어 상측으로 'ㄷ'자형을 이루면서 연장된 연장관(7)과 연결된 상부의 세척노즐(5')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력은 70%정도로 감소되어 분사되는 것이다.
즉, 모타펌프(3)와 수직으로 연결된 세척노즐(5)의 분사압력에 비하여, 'ㄷ'자형의 연장관(7)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분사되는 것이다.
따라서, 세척기 내부에서 세척된 식기의 세척상태가 부분적으로 얼룩이 지는 등, 균일하지 못한 세척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더욱이 많은 양의 식기를 세척하는 경우, 이러한 세척불량의 식기가 전체적으로 발생되게 마련이고, 청결을 생명으로 하는 식당에서는 이러한 세척불량의 식기가 발생함은 영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식기세척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척기에서 세척된 식기를 다시 확인하여 수작업으로서 식기를 세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세척수의 분사압력의 변화 및 저하에 따른 식기의 세척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설치된 세척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력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청결한 세척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모타펌프에서 연결되는 상,하부의 세척노즐과 헹굼노즐을 수직으로 연결된 공급관의 일단에서 연장된 연장관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상,하부의 세척노즐과 헹굼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의 분사압력을 균일하게 한 것이다.
상기한 수단에 의하여 균일한 세척수의 분사력으로 세척된 식기는 전체가 균일한 상태로 세척되기 때문에 세척불량이 발생될 염려가 없게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안심하고 식기세척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세척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세척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세척수탱크
12 : 모터펌프 13 : 연결관
14 : 수평관 15, 17 : 노즐
16 : 연장관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2의 전체단면도를 참고하여,
본체(10)의 내부에 세척수탱크(11)와 모터펌프(12)가 내장되고, 상기 모터펌프(12)에서 연장된 연결관(13)에 상,하부 세척 및 헹굼노즐(14, 17)이 연결된 통상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펌프(12)를 본체(10)의 측면부에 밀착하여 고정하고, 이모터펌프(12)와 연결되는 수직의 연결관(13)일단에 수평관(14)을 수평으로 연결설치하여 하부세척 및 헹굼노즐(15)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관(13)의 상측에 수평방향의 연장부(18)가 형성된 'ㄱ'자형의 연장관(16)을 설치하여 상기 연장부(18)에 상부 세척 및 헹굼노즐(17)을 연결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연결관(13)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관(14)의 내경은 수진으로 연결된 연장관(16)의 내경에 비하여 30% 가량 감소된 내경을 갖는 것이다.
즉, 'ㄱ'자형 연장관(16)이 10cm의 내경을 갖는 경우, 수평관(14)은 7cm의 내경을 갖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모터펌프(12)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연결관(13)과, 이 연결관(13)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수평관(14)과, 상기 연결관(13)의 상측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ㄱ'자형의 연장관(16)에 각각 상,하부 세척 및 헹굼노즐(15, 17)이 연결설치되어 있는 것이어서, 모터펌프(12)를 통하여 강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연결관(13)을 통하여 수평관(14)과 'ㄱ'자형의 연장관(16)으로 고루 분배되어 배출된다.
즉, 'ㄱ'자형의 연장관(16)이 수평관(1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연결관(13)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어서 세척수의 배출압력이 100% 전달되는 것이고,
상기 수평관(14)은 연결관(13)에서 수평으로 연결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ㄱ'자형 연장관(16)보다 30%가량 작은 내경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잇는 것이어서 모터펌프(12)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배출압력이 저하된 상태로 노즐(15)에 전덜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하부 세척 및 헹굼노즐(15, 17)을 통하여 배출되는 세척수는 균일한 압력으로 배출, 분사되는 것이어서, 식기를 골고루 세척하여 균일하게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식기세척기는 모터펌프(12)에서 연결되는 연결관(13)과 수직, 수평으로 'ㄱ'자형의 연장관(16)과 수평관(14)을 연결설치함으로써 세척수를 균일한 압력으로 배출,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식기의 세척을 균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분사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ㄱ'자형의 연장관(16)의 내경과 수평관(14)의 내경을 달리함으로써 균일한 배출압력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서 세척된 식기는 전체면이 균등하게 세척되어 얼룩이나 덜세척된 부분이 없이 깨끗하게 세척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0)의 내부에 세척수탱크(11)와 모터펌프(12)가 내장되고, 상기 모터펌프(12)에서 연장된 연결관(13)에 상,하부 세척 및 헹굼노즐(14, 17)이 연결된 통상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펌프(12)를 본체(10)의 측면부에 밀착하여 고정하고, 이 모터펌프(12)와 연결되는 수직의 연결관(13)일단에 수평관(14)을 수평으로 연결설치하여 하부세척 및 헹굼노즐(15)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관(13)의 상측에 수평방향의 연장부(18)가 형성된 'ㄱ'자형의 연장관(16)을 설치하여 상기 연장부(18)에 상부 세척 및 헹굼노즐(17)을 연결설치하되, 상기 연결관(13)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관(14)의 내경은 수진으로 연결된 연장관(16)의 내경에 비하여 30% 가량 감소된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기세척기의 직수형 세척시스템.
KR1019990038240A 1999-09-08 1999-09-08 자동식기세척기의 직수형 세척시스템 KR10030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240A KR100307817B1 (ko) 1999-09-08 1999-09-08 자동식기세척기의 직수형 세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240A KR100307817B1 (ko) 1999-09-08 1999-09-08 자동식기세척기의 직수형 세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795A KR20010026795A (ko) 2001-04-06
KR100307817B1 true KR100307817B1 (ko) 2001-09-24

Family

ID=1961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240A KR100307817B1 (ko) 1999-09-08 1999-09-08 자동식기세척기의 직수형 세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8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795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574B1 (ko) 식기세척기의 분사노즐
KR20050105718A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구조
KR100307817B1 (ko) 자동식기세척기의 직수형 세척시스템
KR20090022733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40095833A (ko) 업소용 식기세척방법 및 그 장치
KR20050122359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장치
KR101203844B1 (ko) 식기세척기의 과일세척용 랙
KR101240787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30080961A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시스템
KR0165042B1 (ko) 식기 세척기
KR100693518B1 (ko) 식기 세척기 섬프의 거품 역류 방지 구조
KR20070078129A (ko) 식기 세척기의 노즐 홀더 결합 구조
KR100662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 구조
KR0165041B1 (ko) 식기 세척기
JP3362498B2 (ja) 食器洗浄機
KR0165043B1 (ko) 식기 세척기
CN214259249U (zh) 一种具有双喷射水路的洗碗机
KR100866883B1 (ko) 식기세척기
KR200386332Y1 (ko) 식기세척기의 분사노즐
KR100658846B1 (ko) 식기 세척기의 탑노즐 연결부 구조
KR0115017Y1 (ko) 식기 세척기의 식기 선반 유동 장치
KR20080012427A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분사 장치
KR200354988Y1 (ko) 식기 세척기
KR20050068134A (ko) 상부 노즐 물 공급 장치
KR200398204Y1 (ko) 식기 세척기의 급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