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369B1 - 비동기식패킷데이터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식패킷데이터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369B1
KR100307369B1 KR1019980042418A KR19980042418A KR100307369B1 KR 100307369 B1 KR100307369 B1 KR 100307369B1 KR 1019980042418 A KR1019980042418 A KR 1019980042418A KR 19980042418 A KR19980042418 A KR 19980042418A KR 100307369 B1 KR100307369 B1 KR 100307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transmission
packet data
predetermined
machine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5374A (ko
Inventor
승 현 이
승 훈 조
영 기 권
원 석 조
인 성 황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369B1/ko
Publication of KR2000002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3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packets, e.g.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IEEE1394 인터페이스에 따라 동작되는 각 노드의 소정 어드레스 내용을 각 노드의 머신 이름으로 할당하여, 버스 리셋이 발생하면, 바로 소정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비동기식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은, 다수개의 노드중에서 어느 하나의 노드가 추가/삭제되는 경우 버스리셋이 동작하고, 버스리셋 동작후에 전송망에 접속된 모든 노드는 자신에게 제공된 소정 메모리를 리드하여 각각 자신의 ID 및 머신 이름을 전송하는 단계; 전송 후에 전송하고자 하는 소정 목적지 노드의 머신 이름 및 자신의 ID를 전송하는 단계: 및 목적지 노드와 전송 패스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시에 각 노드에 제공된 메모리를 리드하는 시간을 실행하지 않으므로써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동기식 패킷데이터 전송방법
본 발명은 비동기식 패킷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전송 표준규격인 IEEE 1394(Institutof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을 이용하는 다수개의 노드가 버스 리셋동작에 따른 물리 어드레스의 검색시간 없이 바로 소정 패킷데이터를 해당 노드에 전송하도록 하는 비동기식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1394 멀티미디어 전송규격은, 디지털 기기간 전송기술 또는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통신기기, 컴퓨터 및 가전 제품을 단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1백Mbps부터 1Gbps까지 고속으로 송ㆍ수신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이러한 IEEE1394 인터페이스 규격은 또 다른 멀티미디어 표준으로 부각중인 유니버설 시리얼버스(USB:Universal SerialBus)보다 양방향성이 뛰어나서, 프린터, 스캐너 등 실시간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비동기 전송과 동영상, 음성등 실시간동작이 필요한 동기 전송을 모두 지원, 통신기기, 컴퓨터, 영상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USB의 전송속도가 12Mbps으로 통상 저속 주변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면서, 최대 127개의 주변기기를 연결하는데 비해, IEEE1394는 전술한바와같이 고속도로서 하드디스크, 그래픽카드 같은 고속 주변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브릿지당 63개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IEEE1394는 소정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때문에 호스트 컨트롤러가 따로 필요없다.
한편, 상기 브릿지는 IEEE 1394에서 전송속도가 서로 다른 IEEE 1394를 연결하는데 제공되며, 이 때문에 전송속도가 상이하여도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IEEE1394 모드에서는 통신방식이 데이터 비디오신호 또는 오디오신호를 리얼타임(Realtime)으로 전송하는 등시성전송모드(Isochronous Transmission Mode)와, 디바이스의 동작제어 커맨드 및 접속제어 커맨드등의 제어신호를 필요에 따라 부정기적으로 전송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가 있다. 그리고, 통상 비동기식 통신은 등시성 전송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사이클 타임을 이용해서 수행되며, 등시성 전송모드에 의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후에 다음 사이클 스타트 패킷까지의 기간동안 비동기식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IEEE1394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버스상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디바이스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IEEE1394 전송규격에 따라 다수개의 기기가 상호 접속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제 1내지 제 3 비디오 카셋트 레코드(VCR)(102)(104)(110)와, 제 1 및 제 2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106)(108)가 데이터(Data)/스트로브(Strobe)신호와 파워(Power)신호를 가지는 IEEE1394 케이블에 의하여 2지점간 연결방식(Point-to-Point)으로 직렬 연결되며, 어느 하나의 노드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신호를 다른 노드가 입력받고, 이를 또 다른 노드에 재출력 또는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각각의 노드는 IEEE1394 사양에 맞게 입/출력 모듈(도면에 미도시)이 제공된다.
한편, 제 1내지 제 3 VCR(102)(104)(110)과, 제 1 및 제 2 DVD(106)(108) 각각은 해당 기기가 가지고 있는 물리 어드레스, 자신의 ID 및 목적지 ID등을 포함하고 있는 구성 롬(Configuration ROM)를 가지고 있다.
물리 어드레스는 각 기기에 부여된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예컨대 (1)~(5)를 가리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각 디바이스가 버스 리셋후에 변경된 자신의 ID 및 목적지 ID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리 어드레스(1)~(5)가 각각 부여되는 제 1내지 제 3 VCR(102)(104)(110)과, 제 1 및 제 2 DVD(106)(108)가 IEEE1394 케이블에 접속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기기가 삭제되거나 또는 다른 기기가 상기 IEEE1394 케이블에 접속하게 되면 자동으로 버스 초기화가 수행되고, 이와 아울러 기 정의된 물리 어드레스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물리 어드레스 번호가 '3'인 제 1DVD(106)가 IEEE1394 케이블에서 삭제되는 경우, 이와 동시에 버스 리셋이 발생되고 이미 각각의 기기에 정의된 물리어드레스가 새롭게 정의됨으로써, 제 1DVD(106)를 제외한 이외의 기기중 어느 하나의 기기의 물리 어드레스가 '3'이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디지털 TV나 씨디-롬(CD-ROM)같이 현재 IEEE1394 케이블에 접속되지 않는 소정 기기가 새롭게 IEEE1394 케이블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제 1DVD (106)가 삭제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TV나 씨디-롬(CD-ROM)에 새롭게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고, 이외의 기기 또한 기 정의된 물리 어드레스와 다른 물리 어드레스가 부여되게 된다.
이와같이, 버스리셋전에 정의된 물리 어드레스가 변경되게 되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버스리셋전에 지정한 목적지 기기의 ID도 변경되게 되어, 목적하는 노드로 소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가 없다.
이에따라, 버스리셋 후에 IEEE1394 케이블에 접속된 모든 노드는 현재 가지고 있는 자신의 물리 어드레스를 포함한 모든 정보를 버스상에 송출하게 되고, 송출된 상기 정보를 인가받은 소정 노드는 자신의 구성롬(도면에 미도시)을 참조하여 변경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도 2는 소정 노드의 구성롬에 저장되는 비동기 패킷데이터의 포맷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패킷데이터에 따라 자신의 ID와 목적지 ID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목적지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비동기 패킷 데이터의 포맷도를 설명하면, 먼저, 'Destination ID' 및 'Source ID'는 목적지ID(16비트)와 자신의 ID(16비트)를 말하며,'tl'는 6비트 트랜잭션 레벨(Transaction label), 'rt'는 2비트 재시도 코드(retry code), 'tcode'는 4비트 트랜잭션 코드(Transaction code), 'pri'는 4비트 'Priority'이다. 또한, 패킷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헤더부와 'quadlet' 단위로 구성된 32비트 패킷 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패킷데이터 포맷을 참조하여 상호 노드간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면, 먼저 소정 노드, 예컨대 제 1내지 제 3 VCR(102)(104)(110)과, 제 1 및 제 2 DVD(106)(108)중 이외의 노드 추가 또는 어느 하나의 노드 삭제에 따른 버스 초기화가 수행되고, 이후 모든 노드는 자신의 노드 ID 및 목적지 ID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스 리셋시에 각 노드는 구성 롬에 포함되는 'Destination ID' 및 'Source ID'를 검색하게 되고, 상기 'Destination ID' 및 'Source ID'가 변경된 경우에는 이를 참조로 하여 해당 목적지 ID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패킷데이터 전송 방법은, IEEE1394 케이블에 어느 하나의 노드가 새롭게 접속 또는 접속중인 소정 노드가 삭제되면 모든 노드에 대해 버스 리셋이 수행되어 각 노드에 제공된 자신의 ID 및 목적지 ID등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버스 리셋 이후, 노드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은 변경된 ID의 검색이 이루어진 다음에 수행되기 때문에 재전송시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소정 망에 9개의 노드가 연결되고, 이후 새롭게 1개의 노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각 노드는 버스 리셋시에 자신의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의 구성롬(Configuration ROM)를 검색하여 ID를 참조하기 때문에, 총 90번의 리드(Read) 동작이 실행되어 검색시간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비효율적인 점을 내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IEEE 1394 멀티미디어 전송 표준규격에서 제공되는 등시성 전송 모드와 비교하면 전송 시간소비가 더 소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등시성 전송모드는 어느 하나의 노드가 자신의 ID를 검사한 후, 소정 시간 예컨대 125ms이후부터 버스 리셋이전에 설정된 전송 대역폭(Bandwidth)과 전송 채널수(Channel Number)로서 등시성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소정 데이터를 빠른 전송 속도로서 무조건 전송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에 의하여 버스 리셋이 발생하면, 버스상에 접속된 모든 노드의 소정 메모리를 참조한 후에, 비동기식 패킷 모드에 의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노드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배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노드에 제공되는 메모리의 소정 어드레스 내용을 각 노드의 머신 이름(Machine name)으로 할당하여, 버스 리셋이 발생하면, 이를 참조하여 변경된 상기 노드의 ID에 따라 비동기식 패킷 데이터를 바로 해당 노드에 전송하도록 하는 비동기식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IEEE1394 전송규격에 따라 다수개의 기기가 상호 접속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도 1의 각각의 기기가 가지고 있는 구성 롬에 저장되는 비동기 패킷 데이터 포맷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패킷 데이터 포맷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패킷 데이터 전송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부
102, 104, 110 : 제 1내지 제 3 비디오 카셋트 레코드
106, 108 : 제 1 및 제 2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패킷데이터 전송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가 비동기식 전송 규약에 따라 소정 전송망을 통해 상기 노드 상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중 어느 하나의 노드가 추가/삭제되는 경우 버스리셋이 동작하고, 상기 버스리셋 동작후에 상기 전송망에 접속된 모든 노드는 자신에게 제공된 소정 메모리를 리드하여 각각 자신의 ID 및 머신 이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 단계후에 전송하고자 하는 소정 목적지 노드의 이름 및 자신의 ID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 노드와 전송 패스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자신의 ID 전송시에 상기 목적지 노드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메모리는 특정 어드레스의 내용을 상기 머신 이름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머신 이름은 상기 각 노드의 제품이름, 기종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1에 제공된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며, 이에 따라 상세한 설명시에 종래 기술과 중복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것도 있고, 또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패킷데이터 포맷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 언급된 비동기 패킷데이터 포맷도에 8비트 식별자 (Indicator)와 소정 비트로 구성된 머신 이름(machine name)이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머신 이름은 노드 ID 대신에 구성롬의 특정 어드레스 내용에 할당된다.
이와같은 패킷데이터 포맷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표시부(100), 제 1내지 제 3 비디오 카셋트 레코드(VCR)(102)(104)(110)와, 제 1 및 제 2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106)(108)가 IEEE1394 케이블에 의하여 직렬 연결된다.
여기서, 표시부(100)는 상기 노드의 추가 또는 삭제시에 이를 소정 OSD 문자 데이터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노드가 구성된 상태, 즉 IEEE1394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주변기기가 네트워크에 추가되거나, 혹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주변기기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제거되면 네트워크 구성이 재조정된다(ST100).
예컨대, 네트워크에서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던 모든 기존 정보는 초기화되고, 전체 네트워크는 동적으로 재구성되며, 각각의 노드는 어드레스를 다시 부여받게된다(ST102).
상기 어드레스를 부여받는 경우에, 루트 노드도 지정되는데, 상기 루트노드의 지정방법은 통상 네트워크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노드를 루트로 지정하게 된다.
이와같이 루트 노드의 구성이 끝나면, 네트워크상에 접속된 모든 노드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어드레스 및 자신의 머신이름을 다른 노드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버스상에 전송한다(ST104).
즉, 제 1내지 제 3 비디오 카셋트 레코드(VCR)(102)(104)(110)와, 제 1 및 제 2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106)(108)의 노드 ID '(1)~(5)' 및 구성롬에 기록되는 각각의 제품명이나 기종명을 참조 식별자(Reference indicator)와 함께 전송한다. 예컨대, 제 1VCR(102)의 노드 (1)과, 제 2VCR(104)의 노드 (2) 및 제 1DVD(106)의 노드(3)ㆍㆍㆍ,를 8비트의 식별자와 함께 도 3의 포맷도의 'A'부분에 맞춰 소정 비트로서 버스상에 전송된다.
여기서, 도 3의 포맷도를 참조하여 비동기 패킷데이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비동기 패킷데이터는 32비트 워드(word)로 구성되는 'quadlets'이고, 최소 4개이상의 'quadlets'로써 상기 비동기 패킷데이터의 길이(length)를 이룬다. 또한 비동기 패킷데이터는 패킷 헤더(header) 및 데이터 블록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자신의 ID 및 머신이름이 전송된 후에, 상기 패킷헤더에 의하여 소정 사이클동안 상기 비동기 패킷데이터의 문자 또는 코드를 검사하고, 이후, 통신하고자 하는 소정 노드의 머신이름과 자신의 ID 및 데이터 블록이 포함된 비동기 패킷데이터(B)가 버스상에 송신된다(ST106).
이와같이, 소정 노드의 머신 이름과 상기 소정 노드와 통신 대상이 되는 목적지 노드의 머신이름이 버스상에 전송되면, 이후에는 각각의 노드가 도 2의 패킷 데이터 포맷를 참조한 후, 해당되는 목적지 노드를 찾게된다.
그리고, 상호간의 전송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전송경로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게된다(ST108)(ST110).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버스 리셋이후에 각각의 노드가 자신의 구성롬을 검색하지 않고 바로 비동기 패킷데이터를 소정 목적지 노드로 전송할수 있음으로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바와 같이, 본 발명은 IEEE1394 네트워크상의 각각의 노드에 제공되는 메모리의 소정 어드레스 내용을 각 노드의 머신 이름 (Machine name)으로 할당함으로써, 소정 노드의 추가/삭제에 따른 버스 리셋이 발생하면, 이를 참조하여 즉시 전송하고자 하는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가 비동기식 전송 규약에 따라 소정 전송망을 통해 상기 노드 상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중 어느 하나의 노드가 추가/삭제되는 경우 버스리셋이 동작하고, 상기 버스리셋 동작후에 상기 전송망에 접속된 모든 노드는 자신에게 제공된 소정 메모리를 리드하여 각각 자신의 ID 및 머신 이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 단계후에 전송하고자 하는 소정 목적지 노드의 머신 이름 및 자신의 ID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 노드와 전송 패스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동기식 패킷데이터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신의 ID 전송시에 상기 목적지 노드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더 전송하는 비동기식 패킷데이터 전송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특정 어드레스의 내용을 상기 머신 이름으로 할당하는 비동기식 패킷데이터 전송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 이름은 상기 각 노드의 제품이름, 기종을 표시하는 비동기식 패킷데이터 전송방법.
KR1019980042418A 1998-10-10 1998-10-10 비동기식패킷데이터전송방법 KR100307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418A KR100307369B1 (ko) 1998-10-10 1998-10-10 비동기식패킷데이터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418A KR100307369B1 (ko) 1998-10-10 1998-10-10 비동기식패킷데이터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374A KR20000025374A (ko) 2000-05-06
KR100307369B1 true KR100307369B1 (ko) 2001-12-01

Family

ID=1955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418A KR100307369B1 (ko) 1998-10-10 1998-10-10 비동기식패킷데이터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3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849A (ko) * 1996-07-18 1998-04-30 가나이 쯔도무 전자 지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849A (ko) * 1996-07-18 1998-04-30 가나이 쯔도무 전자 지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374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2992B2 (en) Audio visual system having a serial bus for identifying devices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s of an amplifier in the system
JPH09282263A (ja) 電子機器及びその識別情報構成方法
US20020010824A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serial data at bus initialization phase in interface unit
KR100795257B1 (ko) 네트워크 에러 표시 장치 및 에러 검출 표시 방법
US6430635B1 (en) Protocol interfacing method
US200301797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ckets at a transfer rate that depends on a response from a destination
US6823408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te of physical layer circuit therefor
US6909699B2 (en) Data transfer system, data transfer management apparatus and data transfer method
JP2001119410A (ja) 自己識別フェーズにおける処理方法
JPH10341247A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方法
KR100307369B1 (ko) 비동기식패킷데이터전송방법
JP2002057683A (ja) 制御機器および制御方法
KR20010007376A (ko) 제어장치,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
EP1182827B1 (en) Information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control system
KR20010050416A (ko) 포맷 정보를 저장하는 컨피규레이션 롬을 갖는 장치
KR100297060B1 (ko)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방법
US200200731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623020B1 (ko) Ieee1394에서의 디지털 캠코더 제어방법
KR100577147B1 (ko) 버스시스템의기기제어방법
US20010044869A1 (en) Interface unit for digital serial data, bridge portal utiliz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EP1098494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JP2000022718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