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003B1 - 중합체의연속식열중축합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합체의연속식열중축합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003B1
KR100306003B1 KR1019940010893A KR19940010893A KR100306003B1 KR 100306003 B1 KR100306003 B1 KR 100306003B1 KR 1019940010893 A KR1019940010893 A KR 1019940010893A KR 19940010893 A KR19940010893 A KR 19940010893A KR 100306003 B1 KR100306003 B1 KR 10030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reaction mixture
group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뉴만메이어보트닉
제임스마이클리포브스키
에덴스코트사이몬
로버트에드워드저만
백이현
그래헴스위프트
Original Assignee
마크 에스. 아들러
롬 앤드 하스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 에스. 아들러, 롬 앤드 하스 캄파니 filed Critical 마크 에스. 아들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19Polyamides or poly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0Alpha-ami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0605Polycondensat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8G73/0611Polycondensat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ly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e.g. polypyrr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92Polysuccini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olyamid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Fertilizer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내지 (D)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연속제조방법으로서, (A)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 및 이의 염(a) 및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 무수물(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유체스트림(i)을, 암모니아, 수산화 암모늄, 일차 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소 함유 화합물의 기체 또는 액체 스트림(ii), 임의로 유동화제(iii)와 연속 접촉시켜 반응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반응혼합물을 반응기를 통해 연속 운반하는 단계; (C) 잔류시간이 약 1초 내지 약 4시간이 되도록 반응기내의 반응혼합물 온도를 약 100 내지 약 300℃로 유지하는 단계; 및 (D) 중합체 생성물을 회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연속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세제용 첨가제, 안료 및 무기질 분산제, 비료용 첨가제 및 보일러 및 냉각탑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제로써 유용하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중합체의 연속식 열 중축합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중합체의 연속식 열 중축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펩티드의 연속식 열 중축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모니아, 수산화암모늄 또는 1차 아민을 사용한 에틸렌성 불포화 산 및 산 무수물의 연속식 열 중축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특히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같은 카르복실산 부분을 함유하는 폴리펩티드 및 폴리숙신이미드와 같은 카르복실산 부분을 함유하기 위해 가수분해 가능한 폴리펩티드는 세제용 첨가제, 안료 및 무기질 분산제, 비료용 첨가제 및 보일러 및 냉각탑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폴리(아스파르트산) 및 폴리숙신이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각종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공지된 합성방법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들며, 지나치게 긴 공정기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들 방법에서 소용되는 비용은 사용되는 출발물질, 공정조건 또는 생성물의 회수단계로 인한 것이다.
말레산 및 암모니아로부터 폴리(아스파르트산)을 합성하는 방법이 문헌(Boehmke, 미합중국 특허 제4,839,46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물과 함께 가열하는 동안 말레산으로 변화하는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의 수용액과 암모니아를 가열함으로써 모노암모늄 내지 비암모늄염의 건조용융물을 제공하고, 이 건조용융물은 승온시 120 내지 150℃에서 폴리(아스파르트산)으로 전환된다. 상기 문헌에서 발명자인 뵘케(Boehmke)씨는 4 내지 6시간에 걸쳐 125 내지 135℃로 승온시키고, 이 온도에서 0 내지 2시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교시하고 있다. 상기 말레산과 암모니아를 1 대 1 내지 1.5의 몰비로 반응시킨 다음, 혼합물을 120 내지 150℃로 가열하고, 생성된 말레산 암모늄염 용액을 증발시켜 결정 매쉬(mash)를 얻는다. 이어서 생성된 결정 매쉬를 축합 및 결정화 증류로 물이 제거될때까지 용융시켜 다공성 물질을 얻는다. 분자량이 1,000 내지 4,000인 폴리(아스파르트산)을 생성 완료하는 전체 공정에는 4 내지 8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폴리숙신이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뵘케의 방법과 같은 폴리펩티드 합성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들고 효율이 떨어진다. 출발물질로서 아미노산을 사용하는 방법과 같은 다른 폴리펩티드 합성방법은 또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들고, 효율이 떨어지며, 많은 양의 부산물이 생성되고, 흔히 비용이 추가되며, 고체물질을 처리하기에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극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A)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 및 이의 염(a) 및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 무수물(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유체스트림(i)을, 암모니아, 수산화 암모늄, 일차 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소 함유 화합물의 기체 또는 액체스트림(ii), 임의로 유동화제(iii)와 연속 접촉시켜 반응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반응혼합물을 반응기를 통해 연속 운반하는 단계; (C) 잔류시간이 약 1초 내지 약 4시간이 되도록 반응기내의 반응혼합물 온도를 약 100 내지 약 300℃로 유지하는 단계; 및 (D) 중합체 생성물을 회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연속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A)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 및 임의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a) 및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 무수물(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유체스트림(i)을, 암모니아, 수산화 암모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소 함유 화합물의 기체 또는 액체 스트림(ii), 임의로 유동화제(iii)와 연속 접촉시켜 반응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반응혼합물을 반응기를 통해 연속 운반하는 단계; (C) 잔류시간이 약 1초 내지 약 4시간이 되도록 반응기내의 반응혼합물 온도를 약 100 내지 약 300℃로 유지하는 단계; 및 (D) 중합체 생성물인 폴리숙신이미드를 회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연속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본 발명이 연속공정으로 되어 있고, 시판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출발물질의 비용이 저렴하고, 고체 중합체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적합한 단량체의 형태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산이다.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은 모노-산 디-산 또는 폴리산일 수 있고, 이들 중 구체적인 산으로 카르복실산, 술폰산, 인산 또는 염,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수 있다.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은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염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산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및 알카리금속 및 이의 암모늄염을 들수 있다. 적합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디-산으로는 말레산, 시클로 헥센 디카르복실산, 이타콘산, 메사콘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및 이의 알카리금속염 및 암모늄염을 들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시트라콘산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적합한 단량체의 다른 형태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산무수물이다. 적합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산무수물로는 말레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및 시트라콘산 무수물 등의 시스-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을 들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산무수물은 말레산무수물이다.
비록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중합반응의 메카니즘이, 한 분자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제2 분자에 마이클(Michael)형 첨가되어 진행된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1종 이상의 단량체는 반응조건하에 마이클형 수용체로써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종 이상의 단량체는 유체 스트림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적합한 단량체중 일부는 실온에서 액체이지만, 말레산 무수물과 같은 다른 단량체는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가열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암모니아, 수산화암모늄, 일차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소 함유 화합물의 기체 또는 액체 스트림은 1종 이상의 단량체와 접촉된다. 적합한 일차아민으로는 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 등과 같은 알킬아민 및 에탄올아민, 프로판올아민 등과 같은 히드록시알킬아민을 들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암모니아의 기체 또는 액체스트림과 접촉시킨다. 질소 함유화합물의 기체 또는 액체스트림은 질소 함유화합물 대 단량체의 몰비가 약 0.8 내지 3 대 1, 바람직하게는 약 0.9 내지 1.5 대 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인 수준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단량체와 질소 함유화합물을 접촉시키고, 임의로 유동화제와 접촉시킨다. 본 발명의 유동화제는 1종 이상의 단량체 스트림의 성분, 또는 질소 함유화합물 스트림의 성분 또는 별개의 스트림일 수 있다. 상기한 유동화제는 별개의 스트림이거나 질소 함유화합물 스트림의 성분이 바람직하다. 유동화제는 반응혼합물에 대한 용매, 희석제 또는 현탁제로써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유동화제가 용매, 희석제 또는 현탁제로써 작용함으로써, 반응혼합물이 반응기를 통해 진행될때 반응혼합물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반응혼합물과 반응기 표면 사이의 열전달 속도를 증가시키며, 반응혼합물이 반응기를 통해 진행될때 반응혼합물의 혼합 효율을 증가시키고, 생성물을 취급하기가 더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한 유동화제로는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N-메틸피롤리딘온, 술포란, 디메틸술폭시드 및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비휘발성 유기물질, 계면활성제, 폴리(알킬렌 옥시드), 폴리(알킬렌 옥시드) 및 물을 들수 있다. 상기 유동화제로는 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을 유동화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물과 단량체의 몰비가 약 3 이하 대 1,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2 대 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75 내지 1.3 대 1인 수준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혼합물을 제공하기 위해 1종 이상의 단량체, 질소 함유 화합물 및 임의로 유동화제를 약 55 내지 약 150℃의 온도에서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성분들을 접촉시킬 경우 바람직한 온도는 반응기의 열전달성에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과정에서 반응혼합물로부터 열이 제거된다면, 상기한 성분들을 접촉시키는 온도를 더 낮추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성분들는 각 성분의 스트림을 임핀징(impinging)시켜 접촉시키거나 성분들을 함께 혼합시킬 수 있는 장치내로 각 성분의 스트림을 도입시켜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림을 효과적으로 임핀징하기에 적합한 수단은 성분들이 포오트 또는 노즐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로 접촉하도록 포오트 또는 노즐을 통해 성분의 개별 스트림을 밀어내는 것이다. 포오트 또는 노즐은 배출되는 스트림이 반응기내에서 임핀징하거나 반응기 입구 안 또는 부근에서 임핀징하도록 위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오트 또는 노즐이 막히거나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오트 또는 노즐이 막히거나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합한 수단은 보어(bore)의 불연속식 플런징(plunging)에 의하거나, 또는 팁(tip)의 불연속식 또는 연속식 와이핑(wiping)에 의한 수단이다.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단량체, 암모니아 또는 일차 아민 및 임의로 유동화제를 접촉시켜 반응혼합물을 형성한 후, 이 반응혼합물을 반응기를 통해 연속 운반하였다. 적합한 반응기는 반응혼합물을 약 100 내지 약 300℃, 바람직하게는 약 110℃ 내지 약 280℃의 온도로 유지할수 있고, 잔류시간을 약 1초 내지 약 4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5초 내지 약 2시간이 될 수 있게 한다. 적합한 반응기로는 단일 또는 다중 스크루우 압출기, 플러그 흐름반응기, 관반응기, 스트렙드-웰(Scraped-wall) 반응기 또는 열 교환기, 또는 다른 연속 반응기, 및 이들의 조합을 들수 있다. 바람직한 반응기는 정적 혼합부재가 장치된 압출기 및 관반응기이다.
1종 이상의 단량체와 질소 함유화합물 사이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말레산 무수물과 암모니아 사이에서 일어나는 반응과 같이 발열반응이다. 따라서, 반응혼합물을 승온된 온도에서 유지시키기 위해 이렇게 발생된 열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발열반응으로 반응혼합물을 100℃ 내지 약 300℃의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외부열의 수요를 줄일 수 있거나 외부열의 수요가 필요없게 된다. 온도를 너무 낮추면, 반응을 완결시키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온도를 너무 높이면, 일부의 중합체 생성물의 분해가 발생될 수 있다. 발열반응이 너무 강력할 경우에는, 반응혼합물을 약 100 내지 약 300℃의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반응도중 반응기로부터 열을 방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반응기는 적어도 1기압(atm)의 승압 하에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 15 내지 약 100기압의 승압 하에 작동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압력을 약 15 내지 약 100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1종 이상의 배압조절 장치가 반응기를 따라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압 조절장치는 반응혼합물로부터 특정성분, 예를 들어 물, 암모니아 유동화제 등을 제거하여 반응기내의 온도와 압력을 조절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가성분을 반응혼합물에 가한다. 이는 반응기를 따라 반응도중 1회 이상 반응혼합물에 추가성분을 주입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혼합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도조절은 상기한 1종 이상의 유동화제를 첨가하거나, 증점제 또는 희석제를 첨가하여 달성할 수 있다. 또한, 1종 이상의 촉매, 사슬증량제, 또는 가교결합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탄올아민, 글루코사민, 리신 또는 에틸렌디아민과 같은 디아민을 가할 수 있다. 생성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최종생성물의 제제에 사용할 수도 있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옥시드), 살균제, 살충제, 충전제 등과 같은 성분을 1종 이상 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추가성분은 중합체와 반응하는 성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을 단량체중의 하나로써 사용할 경우, 중합체는 숙신이미드 부분을 함유할 수 있다. 폴리숙신이미드와 같은 숙신이미드 부분을 함유하는 중합체는 중합체 사슬내에 하기 구조식의 단위를 함유한다.
숙신이미드 부분과 반응함으로써 중합체와 반응하는 추가성분을 가할 수 있다. 염기, 산 및 아민과 같은 추가성분은 숙신이미드 부분과 반응할 수 있다. 유사하게, 중합체중의 어떤 산 그룹을 중화시키기 위해 추가성분으로써 염기를 가할 수 있다.
중합체 생성물은 고체 또는 유체 형태로 회수할 수 있고, 임의로 가하여진 어떤 유동화제 또는 다른 추가성분을 함유하여 회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생성물 스트림내에 존재하는 어떤 휘발성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생성물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순수한 생성물로 중합체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수득된 중합체 생성물은 예를 들어, 입상고체, 발편, 분말 또는 액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예를 들어 세제용 첨가제, 안료 및 무기질 분산제, 비료용 첨가제, 및 보일러 및 냉각탑의 부식 및 스케일 억제제로써 유용하다.
다음의 실시예는 상술한 일반적인 방법의 실시형태이며, 또한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중량평균분자량(Mw)은 중량평균분자량이 4500인 폴리(아크릴산) 표준물질과 비교하여 수성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것이다.
[실시예 1]
한쪽 끝에는 관내로 단량체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이, 다른쪽 끝에는 관내로 암모니아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제1 T형관(내경이 1/16인치이고, 전체용적이 약 0.2밀리리터 임)의 세번째 끝은 제2 T형판(내경이 1/16인치이고, 전체용적이 약 0.2밀리리터 임)의 한쪽 끝에 부착시켰다. 제2 T형관의 다른쪽 끝에는 관내로 유동화제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고, 제2 T형관의 세번째 끝을 상품명이 케닉스(kenics)인 정적믹서(내경이 3/16인치이고, 전체 용적이 약 1.5밀리리터 임)의 한쪽 끝에 부착시켰다. 상기 정적믹서의 다른쪽 끝을 관(내경이 3/16인치이고, 전체 용적이 약 1.1밀리리터 임)을 통해 배압 조절장치에 접속시켰다. 정적믹서와, 배압조절장치에 정적믹서를 연결하는 관에는 열전쌍, 스팀 트레이싱 라인 및 절연물이 장치되어 있다. 140℃에서의 스팀을 트레이싱 라인을 통해 순환시키고, 배압조절장치의 배압을 250psig로 조절하였다. 말레산 무수물 시료를 130 내지 135℃로 가열하여 유동화시키고, 이 시료를 11g/분의 속도로 제1 T형관의 한쪽 끝으로 연속 펌핑하였다. 제2 T형관으로 수산화 암모늄 수용액 30중량%를 9.0g/분의 속도로 연속 펌핑함으로써 반응기의 내부온도는 약 210 내지 220℃로 증가되었다. 말레산 무수물은 제1 T형관의 다른쪽 끝으로 2g/분의 속도로 질소함유 화합물인 무수 암모니아 기체 시료를 연속 펌핑하여 접촉시킴으로써 반응혼합물을 형성하고, 이 반응혼합물에 유동화제로서 작용하는 수산화 암모늄 용액을 1.9g/분의 속도로 가하였다. 이어서, 평형상태에서 잔류시간을 약 15초로 하였다. 황갈색 생성물은 증기형태로 배압 조절장치에서 취출되었다. 냉각시키면, 생성물은 쉽게 분쇄되는 분쇄가능한 고체로 경화되었다. 생성물 시료를 수성 탄산나트륨에 용해시키고, NMR 분광기에 의해 분석하여 순도가 98% 이상인 폴리숙신이미드임을 동정하였다. 생성된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610이었다.
[실시예 2]
상기한 정적믹서를 사용하지 않고, 탈염수를 상기한 유동화제로 사용하여 2.0g/분의 속도로 연속 펌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생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140인 폴리숙신이미드이었다.
[실시예 3]
한쪽 끝에는 관내로 단량체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이, 다른쪽 끝에는 관내로 암모니아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T형관(내경이 1/16인치이고, 전체용적이 약 0.2밀리리터 임)을 상품명이 케닉스(Kenics)인 정적믹서(내경이 3/16인치이고, 전체 용적이 약 1.5밀리리터 임)의 한쪽 끝에 부착시켰다. 상기 정적믹서의 다른 쪽 끝을 관(내경이 3/16인치이고, 전체 용적이 약 1.1밀리리터 임)을 통해 배압 조절장치에 접속시켰다. 정적믹서와, 배압조절장치에 정적믹서를 연결하는 관에는 열전쌍, 스팀 트레이싱 라인 및 절연물이 장치되어 있다. 140℃에서의 스팀을 트레이싱 라인을 통해 순환시키고, 배압조절장치의 배압을 250psig로 조절하였다. 말레산 무수물 시료를 130 내지 135℃로 가열하여 유동화시키고, 이 시료를 11g/분의 속도로 T형관의 한쪽 끝으로 연속 펌핑하였다. T형관의 다른쪽 끝으로 수산화암모늄 수용액 30중량%를 9.0g/분의 속도로 연속 펌핑함으로써 반응기의 내부온도는 약 210 내지 220℃로 증가되었다. 수산화 암모늄 수용액을 1.8g/분의 속도로 감속하고, 암모니아를 2.0g/분의 속도로 유동시켜 혼합함으로써 질소 함유화합물 스트림을 형성하였다. T형관의 다른쪽 끝으로 질소함유 화합물의 스트림을 연속펌핑하여 말레산 무수물과 접촉시킴으로써 반응혼합물을 형성하였다. 평형상태에서 잔류시간을 약 15초로 하였다. 생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710인 폴리숙신이미드이었다.
[실시예 4]
상기한 유동화제를 4.5g/분의 속도로 펌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생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48인 폴리숙신이미드이었다.
[실시예 5]
상기한 유동화제를 2.7g/분의 속도로 연속 펌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생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780인 폴리숙신이미드이었다.
[실시예 6]
말레산 무수물을 115 내지 120℃로 가열하여 유동화시키고; 암모니아를 2.0g/분의 속도로 유동시키고, 수성 수산화 암모늄 30중량%를 1.4g/분의 속도로 유동시키며, 30중량%의 수성 수산화암모늄중에 용해된 에틸렌디아민 25중량%를 1.2g/분의 속도로 유동시켜 질소함유 화합물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잔류시간은 약 14초 이었다. 생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950인 폴리숙신이미드이었다.
[실시예 7]
말레산 무수물을 115 내지 120℃로 가열하여 유동화시키고; 암모니아를 2.0g/분의 속도로 유동시키고, 수성 수산화암모늄 30중량%를 0.7g/분의 속도로 유동시키며, 분자량이 4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3.8g/분의 속도로 유동시켜 질소함유화합물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잔류시간은 약 12초 이었다. 생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90인 폴리숙신이미드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과 이점 및/또는 장점을 충족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본 발명을 기술하였으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을 개량, 변경 및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A) 내지 (D) 단계로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의 연속제조방법으로서, (A)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 및 이의 염(a) 및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 무수물(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유체스트림(i)을, 암모니아, 수산화 암모늄, 일차 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소 함유 화합물의 기체 또는 액체 스트림(ii), 임의로 유동화제(iii)와 연속 접촉시켜 반응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반응혼합물을 반응기를 통해 연속 운반하는 단계; (C) 잔류시간이 약 1초 내지 약 4시간이 되도록 반응기내의 반응혼합물 온도를 약 100 내지 약 300℃로 유지하는 단계; 및 (D) 중합체 생성물을 회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의 연속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시클로헥센 디카르복실산, 이타콘산, 메사콘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및 이의 알카리금속염 및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시트라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 무수물이 말레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및 시트라콘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 무수물이 말레산 무수물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질소 함유화합물과 단량체의 몰비가 약 0.8 내지 3 대 1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질소 함유화합물과 단량체의 몰비가 약 0.9 내지 1.5 대 1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동화제가 물,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옥시드), 계면활성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N-메틸피롤리딘온, 술포란, 디메틸 술폭시드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동화제가 물과 단량체의 몰비가 약 3 대 1이 되도록 사용되는 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유동화제, 증점제, 희석제, 촉매, 산, 염기, 아민, 사슬증량제, 가교결합제, 폴리(알킬렌 글리롤), 폴리(알킬렌 옥시드), 살균제, 살충제 및 충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가성분을 상기 반응혼합물에 연속적으로 도입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추가성분이 에탄올아민, 글루코사민, 리신 및 에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가교결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A) 내지 (D)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연속제조방법으로서, (A)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 및 임의로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a) 및 모노에틸렌성 불포화산 무수물(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유체스트림(i)을, 암모니아, 수산화 암모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소함유 화합물의 기체 또는 액체 스트림(ii), 임의로 유동화제(iii)와 연속 접촉시켜 반응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반응혼합물을 반응기를 통해 연속 운반하는 단계; (C) 잔류시간이 약 1초 내지 약 4시간이 되도록 반응기내의 반응혼합물 온도를 약 100 내지 약 300℃로 유지하는 단계; 및 (D) 중합체 생성물인 폴리숙신이미드를 회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연속 제조방법.
KR1019940010893A 1993-05-21 1994-05-19 중합체의연속식열중축합제조방법 KR100306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65,848 1993-05-21
US08/065,848 US5410017A (en) 1993-05-21 1993-05-21 Continuous thermal polycondensation process for preparing polypeptide polym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6003B1 true KR100306003B1 (ko) 2001-11-30

Family

ID=2206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893A KR100306003B1 (ko) 1993-05-21 1994-05-19 중합체의연속식열중축합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5410017A (ko)
EP (1) EP0625531B1 (ko)
JP (1) JP3535218B2 (ko)
KR (1) KR100306003B1 (ko)
CN (1) CN1036347C (ko)
AT (1) ATE163659T1 (ko)
AU (1) AU675301B2 (ko)
BR (1) BR9402022A (ko)
CA (1) CA2123390A1 (ko)
DE (1) DE69408717T2 (ko)
ES (1) ES211361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1956A (en) * 1992-12-22 1999-12-14 Bayer Ag Copolymers of polyaspartic acid and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amines
ES2142369T3 (es) * 1993-11-02 2000-04-16 Bayer Ag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polimeros que contienen acido asparaginico.
DE19603053A1 (de) 1996-01-29 1997-07-3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ren mit wiederkehrenden Succinyl-Einheiten
US6054553A (en) * 1996-01-29 2000-04-25 Bayer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s having recurring agents
EP0866084A3 (en) * 1997-03-21 2002-02-27 Mitsui Chemicals, Inc. Production process of cross-linked polyaspartic acid resin
US5981691A (en) * 1997-04-23 1999-11-09 University Of South Alabama Imide-free and mixed amide/imide thermal synthesis of polyaspartate
US6136950A (en) * 1997-09-23 2000-10-24 Mbt Holding Ag Highly efficient cement dispersants
US6076997A (en) * 1997-12-03 2000-06-20 Mbt Holding Ag Deep mix soil stabilization method
US6365706B1 (en) 2000-06-21 2002-04-02 Mississippi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asparagine and the high nitrogen content polymer formed thereby
US20050074484A1 (en) * 2003-10-07 2005-04-07 Estanislao Roderico B. Product for administration of active agents to different areas of the skin
US20060008466A1 (en) * 2004-07-07 2006-01-12 University Of Saskatchewan Method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microbial infections
CA2644698C (en) * 2006-03-15 2014-06-03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Comb polymer derivatives of polyetheramines useful as agricultural dispersants
GB201207388D0 (en) * 2012-04-27 2012-06-13 Lucite Int Uk Lt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ethacrylic acid and its derivatives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CN103055652B (zh) * 2012-12-21 2014-11-26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基于气体溶剂的气体水合物耦合促进剂及其应用
GB2575823B (en) * 2018-07-24 2023-01-18 Henkel Ag & Co Kgaa Amine-based reaction products as functional additives
CN110540646B (zh) * 2019-10-10 2022-02-15 平顶山学院 一种聚琥珀酰亚胺的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2655A (en) * 1958-08-01 1962-09-04 Sidney W Fox Thermal polymerization of amino acid mixtures containing aspartic acid or a thermal precursor of aspartic acid
GB1064417A (en) * 1963-12-09 1967-04-05 Kyowa Hakko Kogyo Kk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polypeptides
JPS44939Y1 (ko) * 1965-09-13 1969-01-16
JPS53887B2 (ko) * 1972-08-02 1978-01-12
US3846380A (en) * 1972-10-31 1974-11-05 M Teranishi Polyamino acid derivativ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3923753A (en) * 1973-01-14 1975-12-02 Standard Oil Co 1,4-Dihydronaphthalene derivatives
US4363797A (en) * 1977-09-14 1982-12-14 Societe Anonyme Dite: L'oreal Polyaspartic acid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cosmetic composition
JPS60203636A (ja) * 1984-03-28 1985-10-15 Fuso Kagaku Kogyo Kk コポリアミノ酸の製造法
JPS6140322A (ja) * 1984-08-01 1986-02-26 Hitachi Chem Co Ltd 硬化可能なポリアミノビスイミド樹脂の製造方法
JPS61218634A (ja) * 1985-03-25 1986-09-29 Fuso Kagaku Kogyo Kk ポリアミノ酸類の製造法
DE3626672A1 (de) * 1986-08-07 1988-02-11 Bayer Ag Polyasparaginamidsaeure
US5244988A (en) * 1989-05-17 1993-09-14 Rohm And Haas Company Maleate polymerization process
US5219986A (en) * 1989-10-13 1993-06-15 Cygnus Corporation Polyanhydroaspartic acid and method of dry manufacture of polymers
JPH03271265A (ja) * 1990-03-19 1991-12-03 Kao Corp 新規アスパラギン酸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中間体
US5057597A (en) * 1990-07-03 1991-10-15 Koskan Larry P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nhydro polyamino acids and polyamino acids
US5221733A (en) * 1991-02-22 1993-06-22 Donlar Corporation Manufacture of polyaspartic acids
US5288783A (en) * 1992-05-14 1994-02-22 Srchem Incorporated Preparation of salt of polyaspartic acid by high temperature reaction
US5319145A (en) * 1992-07-10 1994-06-07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polysuccinimides with a rotary tray dryer
US5286810A (en) * 1992-08-07 1994-02-15 Srchem Incorporated Salt of polymer from maleic acid, polyamind and ammonia
US5296578A (en) * 1992-09-18 1994-03-22 Donlar Corporation Production of polysuccinimide and polyaspartic acid from maleic anhydride and ammonia
US5219952A (en) * 1992-09-18 1993-06-15 Donlar Corporation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succinimide and high molecular weight polyaspartic acid from maleic anhydride and ammonia
US5292858A (en) * 1993-03-16 1994-03-08 Srchem Incorporated Method of production of copolymers of polyamino acids
SG10201709552XA (en) * 2013-05-21 2018-01-30 Univ Florida Capsid-modified, raav3 vector compositions and uses in gene therapy of human liver ca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25531A1 (en) 1994-11-23
EP0625531B1 (en) 1998-03-04
BR9402022A (pt) 1994-12-27
DE69408717D1 (de) 1998-04-09
DE69408717T2 (de) 1998-10-15
AU6303494A (en) 1994-11-24
US5459234A (en) 1995-10-17
CA2123390A1 (en) 1994-11-22
JP3535218B2 (ja) 2004-06-07
AU675301B2 (en) 1997-01-30
CN1036347C (zh) 1997-11-05
US5410017A (en) 1995-04-25
ATE163659T1 (de) 1998-03-15
ES2113615T3 (es) 1998-05-01
JPH07133304A (ja) 1995-05-23
CN1101054A (zh) 1995-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003B1 (ko) 중합체의연속식열중축합제조방법
US5594077A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s which contain aspartic acid
US605455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s having recurring agents
US537118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succinimide and polyaspartic acid
WO199402056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msetzungsprodukten aus polyasparaginsäureimid und aminosäuren und ihre verwendung
JP3385587B2 (ja) ポリサクシンイミド及びポリアスパラギン酸の製造方法
EP0482687A1 (en) Concentrated, liquid, pourable composition
KR100491069B1 (ko) 숙시닐반복단위를가지는중합체의제조방법
US5919894A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s with recurring succinyl units
GB230768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s having recurring succinyl units
US6395870B1 (en) Process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s having repeating succinyl units
CN1298382A (zh) 二甲基乙酰胺的制备方法
MXPA97000587A (en) Procedure for the obtaining of polymers recurring succin conunities
KR20000068474A (ko) 반복 숙시닐 단위를 갖는 중합체의 제조 방법
US20030144464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spartic acid derivatives
DE19527572A1 (de) Iminodisuccinat-enthaltende Polym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