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838B1 - 가속기용엑추에이터 - Google Patents
가속기용엑추에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04838B1 KR100304838B1 KR1019930000538A KR930000538A KR100304838B1 KR 100304838 B1 KR100304838 B1 KR 100304838B1 KR 1019930000538 A KR1019930000538 A KR 1019930000538A KR 930000538 A KR930000538 A KR 930000538A KR 100304838 B1 KR100304838 B1 KR 1003048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output
- terminal
- reducer
- actuato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속기용 작동장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내에 배치된 역회전 가능 모터, 이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 이 감속기에 연결되어서 제어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출력풀리로 이루어진 구동부와; 작동부, 이 작동부의 위치와 출력풀리의 위치간의 편차에 따라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구로 이루어진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과 상기 제어부는 동일축선상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엔진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제2도는 조립전의 상태에 있는 제1도의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액추에이터를 도시하고 있는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lV 선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제1도의 액추에이터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제어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8도는 종래 액추에이터의 예를 나타내고 있는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추에이터 2 : 구동부
3 : 제어부 4 : 모터
5 : 감속부 6 : 출력 풀리
7 : 제어 케이블 8 : 엔진 풀리
9 : 속도 조절기 10 : 케이싱
13, 14 : 감속기 15, 22 : 태양 기어
16, 23 : 유성 기어 36 : 원형 전극판
39: 가동 단자판 45 : 정회전 단자
46 : 역회전 단자 49 : 원형 절연판
본 발명은 가속기용 액추에이터(이하 “액추에이터”로 약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들면 건설장비의 디이젤 엔진 등에 사용되는 속도 조절기를 개방도의 자동조절에 의해 원격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는 다른 여러 가지의 목적, 예를들면 엔진뿐만 아니라 밸브를 제어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 장비는 자동 감속 기능이나 필요한 작업에 적합한 프로그램화된 구동 기능을 지니고 있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유형의 액추에이터(61)는 출력 풀리(62)를 갖는 구동부(63)와 피이드 백 풀리(64)를 갖는 제어부(65)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엔진 속도 조절기(66)는 엔진 풀리(67)외에도 소형의 풀리(6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69)는 모터를 표시하며, 참조부호(70)는 작동 다이얼을 표시하고, 참조부호(71)는 조작 다이얼(70)에 연결되는 단자판을 표시한다. 상기 출력 풀리(62)와 엔진 풀리(67)는 제어용 케이블(7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반면, 상기 피이드 백 풀리(64)와 소형 풀리(68)는 피이드 백 케이블(73)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전극판(74)이 피이드 백 풀리(64)상에 장착되며, 가속용 단자(75)와 감속용 단자(76)가 상기 단자판(71)에 장착되어서 전극판(74)과 미끄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액추에이터(61)에 의하면, 조작 다이얼(70)을 소정의 각도로 돌려놓았을 때, 조작 다이얼(70)에 의해 설정된 각도와 조작 다이얼(70)의 세팅에 따른 피이드 백 풀리(64)의 회전 각도간에 편차가 존재하면, 상기 모터(69)는 편차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편차를 상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하여, 모터(69)는 출력 풀리(62) 및 제어 케이블(72)을 거쳐 엔진 풀리(67)를 회전시킨다. 엔진 풀리(67)가 회전함에 따라, 그것의 회전각도는 피이드 백 케이블(73)을 거쳐 피이드 백 풀리(64)에 전달된다. 그러한 동작은 편차가 없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속도 조절기의 개방은 엔진의 회전속도를 소망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속 제어기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61)는 구동부(63) 및 제어부(65)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 규모를 축소시키는 것이 곤란하며, 액추에이터를 기계 본체에 장착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된다. 이것은 액추에이터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소형의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케이싱과, (b)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된 역회전 가능한 모터, 이 모터의 회전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속기, 이 감속기에 연결되어서 제어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한 출력 풀리를 구비한 구동부와, (c) 조작부 및 이 조작부의 위치와 상기 출력 풀리의 위치간의 편차에 따라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구를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는 동일축선상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가속기용 액추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부는 모터와, 이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제 1 감속기와, 제 1 감속기의 출력부에 연결된 제 2 감속기와, 상기 제 2 감속기의 출력부에 배치된 출력 풀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감속기는 제 1 감속기의 출력부에 연결된 태양 기어와, 이 태양 기어의 원주 둘레에 배치되어 그것과 맞물려 있는 복수개의 유성 기어와, 상기 유성 기어에 외접하고 출력 풀리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내접 기어를 구비하는 태양 기어 및 유성 기어형의 감속기이고, 상기 각각의 유성 기어의 축의 하단부가 케이싱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그 상단부가 베어링 부재에 의해 회전 자재로 지지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유성 기어의 축을 제외한 어떤 부재에 대하여도 자유롭게 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는 모터의 정회전용 단자 및 역회전용 단자가 그 하면에 부착된 반 원판과, 이 반 원판을 회전 조작하도록 반 원판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작축과, 상기 반 원판의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제 2 감속기의 출력축에 고정된 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 원판 및 전극판으로 제어 기구를 구성하여 상기 두개의 단자가 전극판과 미끄럼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감속기의 출력축은 반 원판의 바닥면 중심에 형성된 구멍내에 헐겁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 기구는, 상기 전극판에 공통 단자를 고정시켜서 전극판이 도선 및 공통 단자를 거쳐 도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제어 기구는 반 원판의 상부 격실과 그것의 하부 격실을 분리시켜 반 원판상에 배치된 절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절연판상에는 모터의 정회전 단자와 역회전 단자에 접속되는 배선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에 있어서는, 엔진의 속도 조절기의 소망의 개방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각도만큼 조작부가 회전한 상태에서 출력 풀리의 회전각도와 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각도간에 편차가 발생하면, 제어 기구가 이 편차를 해소하는 방향 및 회전량만큼 구동부의 모터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모터의 회전력은 감속기를 통해 전달되어 출력 풀리를 회전시킨다. 출력 풀리의 회전에 의해, 제어 케이블은 엔진의 속도 조절기에 연결된 엔진 풀리를 회전시켜 속도 조절기의 개방도를 조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는 동일 축선상에서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구동부(2) 및 제어부(3)를 포함한다. 구동부(2)는 모터(4)와, 감속부(5)와, 상기 감속부(5)와 일체로 출력측에 형성된 출력 풀리(6)를 포함한다. 출력 풀리(6)는 제어 케이블(7)(이하에서는 “케이블”이라 칭함)을 통해서 엔진 풀리(8)와 연결된다. 출력 풀리(6)가 회전함으로써 엔진 풀리(8)가 제어 케이블(7)에 의해 회전하여, 엔진 풀리(8)에 연결된 속도 조절기(9)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것이다.
액추에이터(1)를 상세히 도시하는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참조부호(10)는 케이싱을 나타내며, 참조부호(11)는 모터 하우징을 나타내고, 참조부호(12)는 뚜껑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3 개의 부재[케이싱(10), 모터(11), 뚜껑부재(12)]는 서로 협력하여 구동부(2) 및 제어부(3)를 수용한다. 케이싱(10)의 하부는 원통 형상이지만 상부는 평행사면체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먼저, 구동부(2)에 대해 설명한다. 감속부(5)는 퍼거슨의 패러독스 기어형(Fergusson′s paradox gear type)의 제 1 감속기(13) 및 제 2 감속기(14)를 포함한다. 제 1 감속기(13)는 모터(4)의 축에 고정된 태양 기어(15), 태양 기어(15)의 원주둘레에 그것과 맞물려 배치된 2 개의 유성 기어(16), 고정형 내접 기어(17) 및 회전형 내접 기어(18)를 포함하는바, 내접 기어(17, 18)는 서로 대향하고 유성 기어(16)와 맞물린다. 고정형 내접 기어(17)는 모터(4)와 케이싱(10)의 사이에 지지되는 한편, 제 1 감속기(13)의 출력부를 형성하는 회전형 내접 기어(18)는 케이싱(1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안내된다. 유성 기어(16)는 거의 환형인 1 쌍의 수직 대향된 캐리어(carrier)사이에서 연장하는 핀(20)에 의해 각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태양 기어가 회전할 때, 각 유성 기어(16)는 그 자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캐리어(19)와 함께 태양 기어(15)의 주위를 회전한다. 내접 기어(17, 18)는 기어 잇수가 서로 약간 다르다. 따라서, 모터(4)의 회전이 회전형 내접 기어(18)에 의해 대폭 감소된 상태로 출력된다.
제 2 감속기(14)는, 회전형 내접 기어(18)의 중심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 1 축(21)상에 형성된 태양 기어(22)와, 태양 기어(22) 둘레에 맞물려 배치된 3 개의 유성 기어(23)와, 유성 기어(23)와 맞물리는 내접 기어(24)를 포함한다. 유성 기어(23)는 스러스트 축(21)의 중심(가상축)을 향하도록 케이싱(1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칸막이판(25)의 상부에 배치된다. 환상 베어링(27)은 유성 기어(23)에 대응하여 그것으로부터 돌출해서 각 유성 기어(23)의 중앙 보어내로 삽입되는 3 개의 핀(26)을 가지며, 각 핀(26)은 칸막이판(25)에 형성된 각 지지 구멍(28)에 삽입된다. 3 개의 유성 기어(23)는 단일의 탈착가능 베어링(27), 이른바 부유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기 있기 때문에, 내접 기어(24)와 일체로 형성된 제 2 감속기의 출력부가 유성 기어(23)와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내접 기어(24)의 상부에는 출력 풀리(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내접 기어(24)의 상면에는 케이블(7)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멍(29)이 형성되며, 그의 외주면에는 홈(30)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홈은 그 둘레로 케이블(7)을 감기 위하여 고정구멍(29)과 연통하고 있다. 상이한 직경을 갖는 단차형 축(31)은 출력 풀리(6)의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며, 케이싱(10)내에 고정된 안내판(32)의 지지 구멍(33)내에 삽입 지지된다. 또한, 출력 풀리(6)의 상면에는 돌출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는 출력 풀리(6)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안내판(32)에 형성된 안내홈(35)에 헐겁게 끼워맞춤 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3)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판(32)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단차형 축(31)의 상부는 원형 전극판(36)내로 끼워맞춤 된다. 전극판(36)의 상면에는 중심각이 180°보다 약간 작은 부채꼴 형상부 및 상기 부채꼴 형상부로부터 연속된 원주부로 이루어진 전도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판(36)은 그것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일 부위에서 돌출부(34)와 핀 결합된다. 따라서, 출력 풀리(6)와 전극판(36)이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34)내에 삽입되고 고정된 공통 단자(38)는 브러시의 사용없이 전극판(36)의 전도부(37)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전류가 도선을 통하여 전도부(37)에 직접 흐르기 때문에, 제어부(3)의 구조가 단순화된다.
전극판(36)의 상면에는 가동 단자판(39)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가동 단자판(39)은 대략 반원형의 판(40) 및 이 판(4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조작축(41)을 포함한다. 판의 바닥에는 조작축(41)과 동축으로 끼워맞춤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구멍 내에는 단차형 축(31)의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한편, 조작축(41)은 뚜껑 부재(12)내의 구멍(43)을 통해서 뚜껑 부재(1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조작 다이얼(44)에 장착된다. 판(40)의 바닥면에는 모터(4)를 정회전시키기 위한 브러시 단자(45)(이하, “정회전 단자”라 칭함)와 역회전시키기 위한 브러시 단자(46)(이하, “역회전 단자”라 칭함)가 부착되는 바, 이 단자들은 전극판(36)과 미끄럼 접촉한다. 조작축(41)을 사이에 두고 반원형 판(40)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서 대향 배치되는 자동 감속 단자판(47)(이하, “감속 단자판”이라 칭함)이 케이싱(10)내에 고정되고 자동 감속용 브러시 단자(48)(이하, “자동 감속 단자”라 칭함)에 부착되어 있다. 단자(45, 46)와 유사하게, 자동 감속 단자(48)도 전극판(36)과 미끄럼 접촉한다. 판(40)의 상단에는 감속 단자판(47)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원형 절연판(49)이 장착된다. 이 절연판(49)은, 상측 공간(50)의 배선이 하측 공간(51)에 침입하여 출력 풀리(6)와 접촉하고 감김으로써 출력 풀리의 회전을 방해하거나 전극판(36)으로의 누전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액추에이터(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제4도에는 전극판(36)과 가동 단자판(39)의 반원형 판(40) 및 감속 단자판(47)간의 상태적 위치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정회전 단자(45)의 접촉점(45a) 및 역회전 단자(46)의 접촉점(46a)은 판(4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상에 배치되는 바, 상기 중심은 전극판(36)의 접촉점(45a, 46a)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전극판(36)의 전도부(37)는 중심각도가 상술된 바와 같이 180°보다 약간 작은 부채꼴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접촉점(45a, 46a)의 양자가 전도부(37)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배치된다. 조작축(41)이 조작 다이얼(44)과 함께 회전할 때, 조작축(41)과 일체로 형성된 판(40)도 회전하여 정회전 단자(45) 및 역회전 단자(46)를 일제히 회전시킨다. 예를들면, 조작축(41)이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면 2 개의 단자(45, 46)가 제5도에 도시된 각각의 위치로 이동하여, 정회전 단자(45)의 접촉점(45a)이 전도부(37)와 접촉한다. 다음에 구동부(2)의 모터(4)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출력 풀리(6)는 감속부(5)에 의해 케이블(7)을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속도 조절기(9)의 개방도는 다량의 연료가 엔진안으로 유입되도록 제어되고 엔진의 회전속도가 증가된다. 다음에 출력 풀리(6)에 고정되어 있는 전극판(36)도 화살표(A) 방향으로 출력 풀리(6)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전극판(36)이 소정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정방향 단자(45)의 접촉점(45a)이 전도부(37)로부터 이탈하여 모터(4)를 정지시킨다(제6도 참조). 다시 말해서, 전도부(37)와 2 개의 단자(45, 46)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초기 상태(제4도 참조)와 동일한 상태를 보장하게 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4도 내지 제6도로 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 풀리(6)는 조작 다이얼(44)의 회전각도와 거의 동일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조작축(41)이 제4도의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면 2 개의 단자(45, 46)가 상술한 방식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와 더불어 출력 풀리(6) 및 전도부(37)가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고, 속도 조절기(9)의 개방도가 조작축(41)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감소되며, 그 결과 엔진의 회전수가 감소된다. 따라서, 속도 조절기(9)의 개방도가 조작 다이얼(44)에 의해 조절된다.
이하에서는 자동 감속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기계가 정상 구동 모드로 구동될 때 조작자가 일시적으로 자리를 뜰 경우에는, 후술하는 자동 감속 버튼(D)(제7도 참조)을 누름으로써 기계가 자동 감속 모드(또는 대기 구동 모드: 약 1500rpm)로 구동된다. 전도부(37)가 제6도의 감속 단자(48)의 접촉점(48a)과 접촉하지만 감속 단자(48)의 회로는 항상 개방되어 있다. 그후, 자동 감속 버튼을 작동시키면 감속 단자(48)의 회로가 폐쇄된다. 따라서, 전도부(37)의 원주부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 단자(48)의 접촉점(48a)과 접촉하여 전기가 통하는 상태에서만 자동 감속 구동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출력 풀리(6)의 회전 각도가 감속 단자(48)의 접촉점(48a)이 배치된 소정 각도보다 크거나, 또는 속도 조절기의 개방도가 자동 감속 모드 값으로 설정된 속도 조절기의 개방도보다 큰 경우에는, 감속 단자(48)와 전도부(37) 사이에 전기 전도가 발생되어 모터를 회전시킨다. 그후, 전극판(36)이 제6도의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해서 접촉점(48a)이 전도부(37)에서 이탈될 때, 모터(4)는 정지한다. 자동 감속 모드에 있어서의 엔진의 회전속도(예를들면, 약 1500rpm)는 모터(4) 정지시의 감속 단자(48)의 위치에 대응하는 속도 조절기의 개방도에 따라 결정된다. 조작 다이얼(44)의 회전각도는 자동 감속 모드에서 변화되지 않으므로, 조작자가 자동 감속 버튼(D)을 다시 눌러서 정상 구동 모드로 복귀시키는 경우에는, 초기 속도 조절기의 개방도가 회복될 때까지 모터(4)가 정회전하여 출력 풀리(6)를 회전시킴으로써, 속도 조절기(9)를 개방시킨다.
상술된 모터(4)에 대한 온 오프(ON-OFF) 제어는 예를들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전기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7도에 있어서, 가속 스위치(Sa)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정회전 단자(45)의 접촉점(45a)과 전도부(37)로 구성되며 조작 다이얼(44)의 회전각도가 출력 풀리(6)의 회전각도보다 더 클때 온(ON)되는 한편, 감속 스위치(Sb)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역회전 단자(46)의 접촉점(46a)과 전도부(37)로 구성되고, 조작 다이얼의 회전각도가 출력 풀리(6)의 회전각도보다 더 작을 때 온(ON)된다. 자동 감속 스위치(Sd)는, 조작 다이얼(44)의 회전각도와 관계없이, 출력 풀리(6)의 회전각도가 감속 단자(48)의 접촉점(48a)이 배치된 사전 결정된 각도보다 더클때 온(ON)되며, 사전 결정된 각도보다 더 작거나 같을 때 오프(OFF)된다. 자동 감속 버튼(D)은 한번 누르면 제 1 접촉점과 접촉하도록 변화되었다가 다시 한번 누르면 제 2 접촉점과 접촉하도록 변화 되는 전환 스위치이다.
더욱이, 제7도에서, 2 개의 릴레이(Rl, R2)의 출력 접촉점(Kl, K2)이 모터(4)와 직류 전원(P)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릴레이(R1)의 코일(C1)이 여자(勵磁)되면 모터(4)는 정회전하며, 반대로 릴레이(R2)가 도통되면 모터는 역 회전한다. 양측의 접촉점(Kl, K2)이 개방되었을 때에는, 릴레이(Rl, R2)가 착오로 모두 여자되더라도 동적단락 제동 작용(short-circuit dynamic breaking effect)으로 인해서 모터(4)가 회전하지 않는다. 가속 스위치(Sa)와 자동 감속 버튼(D)의 제 1 접촉점(D1)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며 제 1 릴레이(R1)의 코일(C1)과 직류전원(P) 사이에 개재된다. 한편, 감속 스위치(Sb)는 제 2 릴레이(R2)의 코일(C2)과 직류전원(P)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자동 감속 스위치(Sd)와 자동 감속 버튼(D)의 제 2 접촉점(D2)은 서로 직렬로 접속됨과 아울러 감속 스위치(Sb)에 병렬로 접속된다.
상기 회로 구성에 따르면, 자동 감속 버튼(D)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가속 스위치(Sa)를 켜면 제 1 릴레이(R1)가 작동해서 모터(4)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엔진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가속 스위치를 끄면 회전속도가 증가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감속 스위치(Sb)를 켜면 제 2 릴레이(R2)가 작동해서 모터(4)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엔진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한편, 감속 스위치를 끄면 회전속도가 감속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자동 감속 버튼(D)을 누르면, 가속 스위치(Sa)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접촉점(D1)이 개방되어, 가속 스위치(Sa)와 감속 스위치(Sb)의 상태에 관계없이, 자동 감속 스위치(Sd)가 오프될 때 까지 모터(4)를 역회전시킨다. 자동 감속 스위치(Sd)가 꺼지면 자동 감속된 엔진의 회전속도는 그대로 유지된다. 다음에, 자동 감속 버튼(D)을 다시 누르면, 제 2 접촉점(D2)이 개방되고 제 1 접촉점(D1)이 폐쇄되어, 정상 구동 모드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는 전자회로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도 기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는 그것의 구동부 및 제어부가 동일 축선상에서 일체로 결합되고 복잡한 전자회로의 사용없이도 기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장치의 소형화 및 단순화가 가능해지고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는 기계의 본체상에 극히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정비도 간단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의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 가속기용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a) 케이싱과, (b)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된 역회전 가능한 모터, 이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감속기, 이 감속기에 연결되어서 제어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한 출력 풀리를 구비한 구동부와, (c) 조작부와, 이 조작부의 위치와 상기 출력 풀리의 위치간의 편차에 따라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구를 구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는 동 축상으로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 이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제 1 감속기, 상기 제 1 감속기의 출력부에 연결된 제 2 감속기, 상기 제 2 감속기의 출력부에 배치된 출력풀리를 포함하는 가속기용 액추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속기는 제 1 감속기의 출력부에 연결된 태양 기어와, 이 태양 기어의 주위에 배치되어 그것과 맞물려 있는 복수개의 유성 기어와, 내주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와 맞물려 있고 출력 풀리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 되어 있는 내접 기어를 구비하는 태양 기어 및 유성 기어형의 감속기이고, 상기 각각의 유성 기어의 축의 하단부가 케이싱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상단부가 베어링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유성 기어의 축을 제외한 어떤 부재에 대하여도 자유롭게 되어 있는 가속기용 액추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터의 정회전용 단자 및 역회전용 단자가 그의 하면에 부착된 반 원판과, 이 반 원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반 원판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작축과, 상기 반 원판의 바닥면에 대향하도록 제 2 감속기의 출력축에 고정된 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 원판 및 전극판이 제어 기구를 구성하여 상기 정회전 단자 및 역회전 단자가 전극판과 미끄럼 접촉하고, 상기 제 2 감속기의 출력축은 단자판의 바닥면 중심에 형성된 구멍내에 헐겁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가속기용 액추에이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전극판에 공통 단자를 고정시켜서 전극판이 도선 및 공통 단자를 통해서 도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속기용 액추에이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반 원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반 원판의 상부 격실과 그것의 하부 격실을 격리시키는 절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절연판상에는 모터의 정회전 단자와 그것의 역회전 단자에 접속된 배선이 제공되어 있는 가속기용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04006741A JP3124812B2 (ja) | 1992-01-17 | 1992-01-17 | アクセルアクチュエータ |
JP92-6741 | 1992-01-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6645A KR930016645A (ko) | 1993-08-26 |
KR100304838B1 true KR100304838B1 (ko) | 2001-11-30 |
Family
ID=6686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00538A KR100304838B1 (ko) | 1992-01-17 | 1993-01-16 | 가속기용엑추에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0483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0884B1 (ko) * | 2022-04-25 | 2023-04-12 | 주식회사 이건 | 로봇 다이아몬드 쏘우 |
WO2023191178A1 (ko) * | 2022-03-29 | 2023-10-05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풀리 일체형 케이블 구동기 및 그 작동방법 |
-
1993
- 1993-01-16 KR KR1019930000538A patent/KR10030483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1178A1 (ko) * | 2022-03-29 | 2023-10-05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풀리 일체형 케이블 구동기 및 그 작동방법 |
KR20230140644A (ko) * | 2022-03-29 | 2023-10-10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풀리 일체형 케이블 구동기 및 그 작동방법 |
KR102695677B1 (ko) * | 2022-03-29 | 2024-08-19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풀리 일체형 케이블 구동기 및 그 작동방법 |
KR102520884B1 (ko) * | 2022-04-25 | 2023-04-12 | 주식회사 이건 | 로봇 다이아몬드 쏘우 |
WO2023211026A1 (ko) * | 2022-04-25 | 2023-11-02 | 주식회사 이건 | 로봇 다이어몬드 쏘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6645A (ko) | 1993-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042931A (en) | Door operator with instant reverse feature | |
WO2019049402A1 (ja) | スライドドア用駆動装置 | |
US4827199A (en) | Torque responsive motor-drive assembly | |
US6717303B2 (en) | Electric actuator | |
US6162142A (en) | Drive apparatus for sunroof | |
US4187734A (en) | Electric regulating device | |
US5345157A (en) | Actuator for an accelerator for engine control valve control and the like | |
KR100304838B1 (ko) | 가속기용엑추에이터 | |
JPH10196416A (ja) | スロットルアクチュエータ | |
US2964601A (en) | Electrically operated marine engine gear shift | |
GB2212591A (en) | Gearing for raising and lowering a roof-hatch | |
US3908492A (en) | Variable speed motor driven machine tool | |
KR100387976B1 (ko) | 모터액튜에이터 | |
JP3268651B2 (ja) | オートアクセル装置 | |
KR100285912B1 (ko) | 스로틀 밸브 콘트롤 엑츄에이터 | |
CN221779354U (zh) | 旋转驱动组件及应用该组件的收卷装置 | |
KR20050092653A (ko) | 비닐하우스 개폐용 권취축 구동장치 | |
CN109375493B (zh) | 上弦机 | |
JPS58105824A (ja) | 傾斜可能滑動カバ−の駆動機構 | |
CN214740700U (zh) | 一种智能平开门窗的手自一体驱动装置 | |
KR100272467B1 (ko) | 개폐기의 가동부 구동장치 | |
US3099779A (en) | Remote control of ward leonard drive by generator speed variation | |
JP2785959B2 (ja) | アクセル制御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クセルコントローラ | |
SU1550254A1 (ru) |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с механическим аккумул тором | |
JP4154162B2 (ja) | 電動アクチュエー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