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337B1 - 화상통신시스템에적합한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통신시스템에적합한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337B1
KR100304337B1 KR1019980030440A KR19980030440A KR100304337B1 KR 100304337 B1 KR100304337 B1 KR 100304337B1 KR 1019980030440 A KR1019980030440 A KR 1019980030440A KR 19980030440 A KR19980030440 A KR 19980030440A KR 100304337 B1 KR100304337 B1 KR 10030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l
signal processor
host
video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467A (ko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US09/203,668 priority Critical patent/US6577337B1/en
Publication of KR1999006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5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USB 루트 허브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고, 디지털 카메라 및 메모리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에 연결되도록 구비한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발생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가 이를 직접 받아들여서 처리한다. 그리고 USB 허브는 비디오 데이터를 병렬로 받아들여서 USB 프로토콜에 따라 직렬로 변환하여 호스트로 전송한다. 또한 호스트로부터 제공되는 직렬 오디오 데이터를 병렬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통신 시스템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가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이를 직접 처리하므로서 간편한 연결과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어서 보다 선명한 비디오 데이터를 통해 화상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호스트와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들의 중복을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FOR VISUAL CONFERENCE SYSTEM}
본 발명은 화상 통신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이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가 직접 처리하고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호스트로 제공하는 화상 통신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통신에 적합한 컴퓨터 시스템은 아날로그 카메라(30)로부터 아날로그 비디오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10) 내부에 구비된 이미지 캡춰 디바이스(15)에서 디지털로 변환하여 화상 통신용 국제 규격의 비디오 데이터를 형성한다.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는 마이크 장치(5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10) 내부의 사운드 컨트롤러(14)를 이용하여 화상 통신용 국제 규격의 오디오 데이터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예컨대, 모뎀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16)를 통하여 압축 및 복원하여 화상 통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아날로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시스템 내부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14, 15)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다시 최종의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변환 장치의 중복으로 시스템 가격의 상승과 여러 단계의 변환을 통해 데이터 손실이 발생되어서 화질이 떨어진다. 그리고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선이 매우 복잡하고, 모두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므로 잡음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연결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모니터(200)에 연결된 USB 카메라(12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USB 포트(DC2, DP1)를 통하여 호스트(100)로 전송한다.그리고 호스트는 이를 통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과 동일하게 마이크 장치(160)와 스피커 장치(150)가 호스트(100) 예컨데 사운드 컨트롤러의 오디오 입출력 단자(CN1, CN2)에 연결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므로 여전히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스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되어 입체 음향, 톤 및 발런스 등의 오디오 데이터 관련 음향 효과 및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필터를 모니터(200)에 구현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처리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USB 시스템을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 통신에 적합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컴퓨터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에 적합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신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USB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그리고
도 9는 도 6에 도시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호스트 200 : 디스플레이 장치
220 : 마이크로컴퓨터 230 :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232 : DSP 코어 234 : 범용 입출력 포트
235 : 어드레스 발생 회로 236 : A/D 컨버터
238 : D/A 컨버터 240 : ROM
250 : USB 제어부 252 : USB 리피터
254 : USB 컨트롤러 256 : 병렬-직렬/직렬-병렬 변환기
258 : 병렬 포트 260 : RAM
270 : 증폭기 500 : 디지털 카메라
600 : 마이크 장치 700, 710 : 스피커 장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USB(Universal Serial Bus) 허브를 갖는 호스트에 연결되어서 상기 호스트의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발생하는 비디오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다수의 클럭들을 받아서 상기 카메라의 제반 동작과 상기 메모리의 기입/독출을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로 상기 독출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서 적어도 하나의 USB 허브 포트를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간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USB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USB 제어부를 통하여 화상 통신 모드/일반 동작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받아들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화상 통신 모드이면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일반 동작 모드이면 상기 호스트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USB 제어부와의 데이터 병렬 전송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범용 I/O 포트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메모리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USB 제어부로 전송하는 비디오 데이터 전송부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USB 제어부로 전송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USB 제어부는: 복수 개의 허브 포트들과; 상기 허브 포트들과의 직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허브 리피터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허브 리피터의 데이터 전송 동작을 제어하는 허브 컨트롤러 및;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상기 허브 리피터 사이에 연결되어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직렬/병렬 및 병렬/직렬 변환을 수행하는 병렬-직렬/직렬-병렬 컨버터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기입/독출을 제어하기 위한 어드레스 발생 회로를 더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D 및 D/A 변환기들은 오디오 신호들을 처리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기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D/A 변환기에 연결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에 연결되는 라우드 스피커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들과 관련된 음향 효과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다수의 클럭 신호와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받아 메모리에/로부터 기입/독출하고, 직접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병렬로 USB 허브에 전송한다.
그리고 USB 허브는 USB 허브로 제공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고 이를 호스트로 전송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호스트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관련된 음향 효과를 조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에 적합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화상 통신 시스템은 크게 모니터 장치(200)와 호스트(100)가 USB 케이블(290)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500)와 마이크로폰(600) 및 스피커 장치(700, 710)가 상기 모니터 장치(20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호스트(100)는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루트 허브(Root Hub : RH1, RH2)가 구비되어 있다. 그 중 하나의 루트 허브(RH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모니터 장치(200)에 구현된 허브의 업스트림 포트(UP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 장치(200)의 다운스트림 포트(DP1, DP2)에는 USB 허브 포트(DC2, DC3)를 통하여 USB 마우스(300) 및 USB 키보드 장치(40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 장치(200)에 구현된 USB 허브는 자기 스스로가 전원을 공급하는 자기 전원 공급 디바이스(self-powered device)로서, 이 허브에 접속된 USB 디바이스(300, 400)(예를 들어 USB 마우스 및 USB 키보드 장치 등)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500)와 마이크(600) 및 스피커 장치(700, 710)는 상기 모니터 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도 6에 도시됨 : 230)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 장치(200)는 호스트(100)의 제어를 받아서 화상 통신에 적합한 동작(이하 화상 통신 모드라 한다)을 수행한다. 또한 호스트(1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서 오디오 효과에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 처리 동작(이하 일반 동작 모드라 한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SB 허브를 통하여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가 받아서 오디오 데이터의 톤, 발런스, 볼륨 및 입체 음향 등을 조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 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모니터 장치(200)의 구성 회로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모니터 장치(200)는 크게 전원 플러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모니터 회로에 필요한 여러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고 또한 전원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원 관리 기능을 갖는 전원 공급부(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비디오 신호 처리부(204)와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 처리부(208) 및 모니터 동작을 위한 전반적인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220) 및 CRT(206)를 포함한다. 더욱이 화상 통신을 위한 신규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와 USB 허브 시스템(250, UP1, DP1∼DP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500)와 메모리(260)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마이크 장치(600)와 스피커 장치(70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갖는 롬(ROM : 240)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 외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롬(240)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는 상기 롬(240)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화상 통신 모드 또는 일반 동작 모드의 제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500)는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로 다수의 클럭들(clocks)을 출력한다. 이들 클럭들(clocks)은 디지털 카메라(500)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레지스터(미도시됨)를 제어하거나 비디오 데이터를 조정하기 위한 프레임(frame)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는 이들 클럭들(clocks)을 받아서 디지털 카메라(500)의 상하, 좌우 이동 등을 조정하고 또는 이미지로부터 화상 통신 규격에 적합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디지털 카메라(500)를 제어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500)의 줌 기능, 포커스 조절 등의 부가적인 기능들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260)는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기입/독출하기 위한 어드레스 및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디지털 카메라(500)로부터 발생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카메라(500)는 CIF(Common Intermediate Format), QCIF(Quarter CIF), Sub-QCIF 등에 의한 4 : 2 : 0 비디오 녹화 방식(YUV)으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를 상기 디지털 카메라(500)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여러 클럭 신호들(clocks)을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로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상기 메모리(260)의 어드레스 및 제어 신호를 상기 메모리(260)로 제공하여 초당 30 프레임으로 계속해서 상기 메모리(26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500)의 줌, 포커스 조정 등의 기능을 위한 내부 레지스터(미도시됨)들을 지정하거나 상기 디지털 카메라(500)의 여러 동작들을 위한 제어들을 수행한다.
따라서 화상 통신이 실행되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는 현재 메모리(260)에 저장된 임의의 프레임을 독출하거나 현재 저장 중인 경우에는 그 프레임이 저장될 때까지 대기한 후에 그 해당 프레임을 독출한다.
상기 마이크 장치(600)는 화상 통신을 위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10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는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증폭부(270)를 통하여 스피커 장치(7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 장치(600)와 스피커 장치(700)는 상기 모니터 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거나 외부로 분리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USB 허브 시스템은 복수 개의 허브 포트(UP1, DP1∼DP3)들과 USB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USB 제어부(250)는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와의 정보(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병렬 통신 접속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 포트들(UP1, DP1∼DP3)과 호스트(100)의 루트 허브(RH1)를 통하여 상호 전송되는 정보(데이터 및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USB 제어부(250)는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에서 제공되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거나 상기 호스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직렬 데이터를 병렬로 변환하는 병렬-직렬/직렬-병렬 변환기(256)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업스트림 포트(UP1)를 통하여 입력하고, 이를 다운스트림 포트(DP1∼DP3)로 중계(repeater)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허브 포트(UP1)는 상기 호스트(100)의 루트 허브(RH1)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및 데이터를 입력하는 업스트림 포트(Upstream Port)이고, 그리고 상기 허브 포트(DP1∼DP3)는 키보드(130)와 마우스(140) 및 프린터(미도시됨) 등의 USB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 및 정보 전달을 수행하는 다운스트림 포트(Downstream Port)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효율적인 절전기능을 구비하여 있으며, 모니터 장치(200)에 필요한 전원, 즉 +80V, +150V, +24V, +12V, +5V 등의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5V의 전원은 모니터 장치(200)에 구현된 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다운스트림 포트(DP1∼DP3)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는 상기 롬(2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구동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는 DSP 코어(CORE : 232)와 범용 I/O 포트(General I/O Port : 23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A/D 컨버터(236)와 D/A 컨버터(238)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내부에 구비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Internal Bus)에 연결되어 상기 DSP 코어(222)의 제어 동작에 따라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는 상기 메모리(260)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어드레스 발생 회로(External Generator ASIC : 235)을 구비한다. 이는 상기 메모리(260)와 상기 범용 I/O 포트(23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의 빠른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메모리 독출시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DSP 코어(232)의 제어 신호(Control1)를 받아서 어드레스(ADDR2)를 발생한다.
상기 DSP 코어(232)는 상기 롬(2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수순에 의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한다. 즉, 화상 통신 모드 또는 일반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범용 I/O 포트(235)는 비디오 데이터 전송부 및 오디오 데이터 전송부(미도시됨)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비디오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메모리(260)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상기 USB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A/D 컨버터(240) 또는 상기 USB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이에 관련된 음향 효과 예를 들어, 입체 음향, 톤 및 발런스 등을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서 조정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범용 I/O 포트(235)는 상기 DSP 코어(232)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메모리(260)로부터 독출된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마이크로폰(60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상기 USB 제어부(250)로 병렬 전송하거나 상기 USB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A/D 컨버터(240)는 상기 마이크 장치(600)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범용 I/O 포트(235)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화상 통신을 하거나 호스트(100)의 노래방 기능을 이용할 경우에 마이크로폰(600)으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호스트(100)로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때, 호스트(100)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어, 모뎀 등)을 이용하여 화상 통신용 국제 규격에 적합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화상 통신용 오디오 국제 규격은 16 비트 해상도(resolution)의 보이스(voice) 디지털 데이터를 요구하므로,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D/A 컨버터(242)는 상기 호스트(100)로부터 USB 제어부(250)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증폭기(AMP : 270)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증폭기(270)는 이를 스피커 장치(700, 710)로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USB 제어부(250)는 허브 콘트롤러(254)와 허브 리피터(252) 및 병렬-직렬/직렬-병렬 변환기(256)로 구성된다.
상기 허브 리피터(252)는 업스트림 포트(UP1)와 다운스트림 포트(DP1∼DP3) 사이에 있는 USB 프로토콜 제어 스위치로서 상기 포트들간의 신호 전송을 위한 하드웨어 지원 장치를 갖는다.
상기 허브 컨트롤러(254)는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 또는 호스트(100)로부터 제어 신호(control4)를 받아서 화상 통신 모드 또는 일반 동작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100)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레지스터(미도시됨)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상기 호스트(100)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100)와의 데이터 통신 속도 및 상기 허브 포트(DP1∼DP3)를 통해 연결된 USB 디바이스의 전원 공급을 관리한다.
상기 병렬-직렬/직렬-병렬 변환기(256)는 상기 허브 리피터(252)로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직렬로 받아들여서 병렬로 변환하거나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로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병렬로 받아들여서 USB 프로토콜에 의한 직렬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상술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의 동작 수순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 S900에서 모니터 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는 내부적으로 초기화된다. 단계 S902에서 호스트(100)로부터 발생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control4)를 USB 제어부(250)를 경유하여 범용 I/O 포트(235)로 받아들인다.
이어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0)는 단계 S904에서 상기 제어 신호(control4)를 통해 화상 통신 모드 또는 일반 동작 모드인지를 판별한다. 즉, 이 제어 신호(control4)가 화상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지 아니면,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화상 통신 모드이면, 이 진행은 단계 S906으로 진행하여 디지털 카메라(500)를 제어하고, 비디오 데이터를 기입/독출하기 위하여 메모리(260)를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크 장치(60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어서 단계 S908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USB 제어부(250)로 병렬로 전송한다. 따라서 USB 제어부(250)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고 이들 변환된 데이터를 USB 프로토콜에 의하여 호스트(100)로 전송한다.
또한 단계 S904에서 상기 제어 신호(control4)가 일반 동작 모드이면, 단계 S910으로 진행하여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단계 S912에서 오디오 관련 효과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모니터 장치(200)는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USB 허브 시스템을 이용하여 호스트(100)로 제공하고 상기 호스트(100)의 내부에 구비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와 마이크 및 스피커 장치를 모니터 내부에서 직접 제어하고,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USB 시스템을 통하여 호스트에 제공하므로서 주변 장치들과의 연결이 간단해지며 이로 인하여 노이즈를 줄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 장치 내부에 구비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통해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처리하므로서 화상 통신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변환 장치의 중복을 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가적으로 오디오 데이터에 관련된 음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USB(Universal Serial Bus) 허브를 갖는 호스트에 연결되어서 상기 호스트의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발생하는 비디오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다수의 클럭들을 받아서 상기 카메라의 제반 동작과 상기 메모리의 기입/독출을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로 상기 독출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서 적어도 하나의 USB 허브 포트를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간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USB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USB 제어부를 통하여 화상 통신 모드/일반 동작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화상 통신 모드이면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일반 동작 모드이면 상기 호스트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USB(Universal Serial Bus) 허브를 갖는 호스트에 연결되어서 상기 호스트의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발생하는 비디오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다수의 클럭들을 받아서 상기 카메라의 제반 동작과 상기 메모리의 기입/독출을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로 상기 독출된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서 적어도 하나의 USB 허브 포트를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간의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USB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USB 제어부와의 데이터 병렬 전송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범용 I/O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메모리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USB 제어부로 전송하는 비디오 데이터 전송부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USB 제어부로 전송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제어부는:
    복수 개의 허브 포트들과;
    상기 허브 포트들과의 직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허브 리피터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허브 리피터의 데이터 전송 동작을 제어하는 허브 컨트롤러 및;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상기 허브 리피터 사이에 연결되어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직렬/병렬 및 병렬/직렬 변환을 수행하는 병렬-직렬/직렬-병렬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기입/독출을 제어하기 위한 어드레스 발생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D 및 D/A 변환기들은 오디오 신호들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기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D/A 변환기에 연결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에 연결되는 라우드 스피커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들과 관련된 음향 효과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80030440A 1997-12-01 1998-07-28 화상통신시스템에적합한디스플레이장치 KR10030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03,668 US6577337B1 (en) 1997-12-01 1998-12-01 Display apparatus for visual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103 1997-12-01
KR19970065103 1997-12-01
KR1997-65103 1997-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467A KR19990062467A (ko) 1999-07-26
KR100304337B1 true KR100304337B1 (ko) 2001-11-22

Family

ID=3752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440A KR100304337B1 (ko) 1997-12-01 1998-07-28 화상통신시스템에적합한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324A (ja) * 2001-08-27 2005-01-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装置用の処理モジュ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1010A (ko) * 1989-11-28 1991-06-29 강진구 촬상 기능 내장형 tv
KR950012739U (ko) * 1993-10-15 1995-05-17 디지탈 엠프의 디에스피(dsp) 잡음 감쇄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1010A (ko) * 1989-11-28 1991-06-29 강진구 촬상 기능 내장형 tv
KR950012739U (ko) * 1993-10-15 1995-05-17 디지탈 엠프의 디에스피(dsp) 잡음 감쇄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467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7337B1 (en) Display apparatus for visual communication
US5557342A (en) Video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having different scanning frequencies and a multi-screen display system using the video display apparatus
CN101188728B (zh) 具有视频通话功能的显示装置及其方法以及视频通话系统
US5526408A (en) Communication system
CN112616034A (zh) 一种集成式的音视频装置
KR100263552B1 (ko) Usb 디바이스를 구비한 스피커 시스템
US5815583A (en) Audio serial digital interconnect
JP2768338B2 (ja) オーデイオビデオインタフエース回路
KR100304337B1 (ko) 화상통신시스템에적합한디스플레이장치
JP3162231B2 (ja) ディジタル画像表示システム
CN211509211U (zh) 音频控制装置和音频播放系统
KR102026879B1 (ko) Hdmi 겸용 구동부를 통해 데이터 손실 없이 주변기기와의 hdmi 연결, usb 연결, 시리얼 연결 및 오디오 연결을 제공하는 전자교탁 시스템 및 그 연결방법
KR102142542B1 (ko)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JP3312903B2 (ja) 車載用オーディオインターフェース・アダプター
US6141646A (en) Digital sound processor for processing multiple standard sound signals and capable of generating additional audio signals
CN219248043U (zh) 一种带dsp功放的便携显示器
CN218734950U (zh) 音频扩音电路、扩音设备及教育一体机
TWI816071B (zh) 音訊轉換裝置及音訊處理方法
CN115604405A (zh) 电子装置
KR930004797B1 (ko) 컴퓨터 음성학습 시스템
KR100332768B1 (ko) 유에스비를 이용한 스피커 일체형 모니터와 그의 음향 제어 방법
KR200283585Y1 (ko) 비디오 게임기의 영상 및 음성 출력 신호 변환장치
KR960014159B1 (ko) 음성/데이타 전송 장치
KR100202684B1 (ko) 오디오통신이 가능한 사운드카드
TWI514371B (zh) 降低回放音頻延遲之伴唱系統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