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946B1 - 소프트웨어의생산방법및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의생산방법및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946B1
KR100303946B1 KR1019980703219A KR19980703219A KR100303946B1 KR 100303946 B1 KR100303946 B1 KR 100303946B1 KR 1019980703219 A KR1019980703219 A KR 1019980703219A KR 19980703219 A KR19980703219 A KR 19980703219A KR 100303946 B1 KR100303946 B1 KR 100303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c
screen
pallet
chai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258A (ko
Inventor
후미오 네고로
Original Assignee
후미오 네고로
소프트웨어 세이산 기쥬쓰 겐큐쇼 가부시키가이샤
네고로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스데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미오 네고로, 소프트웨어 세이산 기쥬쓰 겐큐쇼 가부시키가이샤, 네고로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스데 겐큐쇼 filed Critical 후미오 네고로
Publication of KR1999006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6/00Data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Y10S706/902Application using ai with detail of the ai system
    • Y10S706/919Designing, planning, programming, CAD,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evices For Executing Special Programs (AREA)

Abstract

먼저 생산할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화면인 정의체 식별자를 결정한다. 다음에, 정의체 식별자에 존재하는 단어를 발췌함과 동시에, 정의체 식별자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모든 팰릿을 처리의 흐름에 따라 배치한 처리경로도를 작성한다. 이어서, 발췌한 단어 및 작성한 처리경로도에 기초하여 필요한 파일을 결정한다. 이어서, 발췌한 모든 단어에 대하여, 화면편집 또는 파일편집을 행하는 제 1 기저논리, 처리경로를 결정하는 제 2 기저논리 및 파일갱신을 행하는 제 3 기저논리를 작성한다. 다음으로, 화면단위로 상기 제 1 에서 제 3 의 기저논리를 각각 포괄하게 되는 3종류의 팰릿을 작성함과 동시에, 각 팰릿 내에서 각 기저논리를 자율적으로 유의성으로써 실행시키는 팰릿함수를 작성한다. 그리고, 제 1 기저논리에 관한 팰릿함수에 기초한 화면을 송신하고, 화면을 수신하여 제 2 기저논리에 관한 팰릿함수를 실행하여, 이 실행결과에 기초하여 제 3 기저논리에 관한 팰릿함수의 실행을 적어도 하나의 처리경로로 하는 복수의 처리경로로부터 하나의 처리경로를 결정하는 구조의 팰릿연쇄함수에, 상기의 3종류의 팰릿함수를 조합한다.

Description

소프트웨어의 생산방법 및 처리장치
어느정도 OS나 패키지가 잘 만들어졌어도, 그정도로서는 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소프트에는 사용자가 자체로 개발해야만 하는 논리부분이 반드시 존재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그 부분에 대하여 소프트의 생산 기술이 적용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즉, 생산 기술이란 소프트의 단기개발, 보수과제로부터의 해방, 상위수단과 프로그램수단을 연접하는 방법, 프로그램 등의 기능품질을 보증하는 등의 효과가 발휘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 방법은 요건기능을 추출하여 소프트화하는 기능분할법이지만, 기능분할법으로부터 부가적인 논리가 파생하는 것은 대부분의 점에서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 사고방법에는 기본적인 결함이 있어, 모든 소프트 과제는 여기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문제를 기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 사고방법을 대신하는 새로운 개념, 즉, 요건사상(要件事象)을 봉입하는 개념분할법의 이론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개념분할법의 이론을 안출하여, 이것을LYEE(GOVERNMTALMETHODOLOGYfor SOFTWAREPROVlDENCE)이라고 명명하였다. 본 이론은 미래를 향한 새로운 사고방법의 기준을 부여하는 것이다.
소프트의 생산유지성의 비효율성은 소프트 구축수단을 소프트의 특질을 무시한 기계기능적인 패키지화를 향하도록 하고 있다. 이 소프트자체도 비정해형(非正解型)이며, 또한, 비생산적인 채로 개발 및 보수가 행해지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이용자의 이용환경은 점차로 신뢰성, 가용성, 적용성(RAS) 기능의 국면에서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이 시기에 필요한 것은 생산을 위한 기반정비이다.
이 분야에 있어서는, 생산 기술의 문제에 손을 대지 않으면서, 즉, 프로그램의 단위적인 처리기능을 품질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가지지 않고, 상류에서만 양질의 소프트를 결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비정상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소프트의 생산방법은 상위 하위로 나뉘어 행해지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이론적으로 파악하는 곳에서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안된다. LYEE 이론은 바로 이것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와 같다.
(1) 소프트 개발자 및 보수자의 생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2) 상류정보와 하류정보를 이론적으로 연접시키는 것.
(3) 단지 업무 소프트의 개발에 한정되지 않고, OS, 중간소프트, 게임소프트등 폭넓은 소프트분야의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구조를 제공하는 것.
(4) 상류정보를 최소화하고 원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것.
본 발명은, 업무용 소프트웨어나 게임용 소프트웨어, 기타 모든 분야의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생산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매출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단골거래처코드를 참조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품입하의 확정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출하의뢰일람표를 출력조작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출하의뢰일람표의 장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출하의뢰일람표의 장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매출입력」에 대한 처리경로도를 나타낸느 도면이다.
도 10은 「입하확정입력」에 대한 처리경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출하일람표」에 대한 처리경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WO4이송요소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WO4논리요소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WO2논리요소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WO2논리요소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WO3이송요소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WO3논리요소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팰릿함수의 구조패러다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팰릿연쇄함수의 구조패러다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시나리오연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종래의 소프트웨어의 작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의 개념적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시간섭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공간모델과 그 중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관한 단어와 공간모델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관한 논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관한 기저논리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기저논리의 예(WO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관한 기저논리의 예(WO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관한 기저논리의 예(WO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관한 팰릿함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관한 팰릿연쇄함수(ФO)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관한 팰릿연쇄함수(Фl)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자의 논문
「제목: 소프트의 존재유래
부제목: 소프트의 진상(眞相)구조
부제목: 삼차원 사고방법을 이차원 사고방법으로부터 유도하는 이론」의 일부를 발췌한다.
존재에는 진상(眞相)과 실상(實相)이 있다.
그들은 양상의 연쇄(連鎖)로 다루어지고 있다.
진상이란 존재유래이고, 그 연쇄는 연상하여 성립유래를 나타내는 연쇄로 된다.
실상이란 성립유래의 연쇄가 중복하여 나타내는 사상(事象)인 것이다.
생명체도 그 사고방법도 존재는 모두가 실상임에 틀림없다.
실상에 이르는 두개의 연쇄와 중복연쇄를 총칭하여 실상연쇄, 그 연쇄를 성립시키는 작용을 논리화작용이라고 부른다.
생명체가 자각하는 존재란, 예컨대, 물은 HHO이다라고 말하는 같은 실상인 것에 대해서 뿐이며, 물의 진상을 자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뉴튼도 아인슈타인도 자각한 것은 실상이며, 가령, 두사람을 통합하였다고 해도 그 자연 법칙의 진상이 해명되는 것은 아니다.
양상은 고유의 시간을 가지며 존재하고, 그 값은 동일하지 않다.
그리고, 시간속도가 다른 양상은 같은 공간을 차지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점유하는 공간은 다르게 된다.
진상을 나타내는 양상의 시간속도는 존재의 방법으로서 실상을 나타내는 양상의 시간속도보다도 선행하여 성립해야하므로,
진상을 나타내는 연쇄는 인식공간이라고 부르는 영역에, 실상을 나타내는 연쇄는 인식공간이라고 부르는 시간속도가 다른 영역으로 전개한다.
기억이란 생명체가 창조하는 인식공간의 부분집합이다. 그곳에는 인식공간의 양상이 존재한다. 생명체는 이 기억을 사용하여 다른 연쇄를 창조하고, 기존의 실상연쇄와의 사이에서 동화를 도모한다. 동화란 두 개의 연쇄의 대응관계의 성부(成否)를 도모하는 작용인 것이다. 동화작용이 성립하면 실상연쇄는 기억으로서 수용된다.
생명체도 자신고유의 시간속도를 가지는 인식공간에 존재하는 실상인 것이다. 그러므로, 생명체가 창조하는 연쇄도 실상을 나타내는 연쇄가 된다. 그리고,
그 연쇄의 양상은 기억으로서 존재하는 양상에 한정되는 것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생명체는 시간속도가 다른 양상을 연쇄하는 것은 원리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생명체가 기억하는 양상은 생명체가 창조할 수 있는 양상에 한정되고, 진상을 나타내는 양상은 수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생명체의 자각이란생명체가 창조하는 실상인 한, 기억되어 있지 않은 진상이 자각으로서 현상화되는 것은 아닌 것이다.
생명체가 창조하는 양상은 그 조밀한 진전과 함께 생명체의 물리성에 효과적이 되며, 결과적으로, 그 양상에 지배를 위임하는 형이 되었다.
바꾸어 말하면, 생명체는 진상보다도 실상에 의한 지배를 선택한 것이다.
만약, 생명체가 진상을 자각할 수 있는 사고방법에 눈을 뜬다면, 그 진전은 실상효과의 비는 아닌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진상을 이론적으로 구하는 사고방법을 논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진상의 구조가 소프트 과제를 극복하는 궁극의 소프트구조가 되기 때문이다.
제 1 장
1. 1 논리방정식
양상은 의미성·유의성·시간속도를 구조요소로 하는 독립된 구조체이다.
의미성이란 존재를 나타내기 위한 의지이다.
이 의지는 출현 순서로 결정된다.
출현순서와 이 의지는 유일한 쌍을 이루고, 그 때문에 동질 양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논리방정식의 연쇄순서는 이 출현순서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 의지는 공간적 넓이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유의성(有意性)이란 의미성과 함께 존재하며 의미성의 존재성을 확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의미성은 이 유의성에 기초하여 다른 양상의 의미성과 연쇄한다. 후술하는 연쇄는 이 의지의 작용으로 유도되는 것이다.
유의성의 확대작용은 보편적이다.
본 이론에서는 이 유의성을 논리화함수로서 나타낸다.
시간속도는 양상에 대동하여 그 양상의 고유한 시간속도에 의해 존재하는 공간을 결정한다. 양상이 존재하는 공간영역의 것을 모집단이라고 부른다. 의식공간, 인식공간은 이 모집단인 것이다.
의미성은 그 공간이 존재하는 공간역(空間域)에 의해 상태를 바꾼다.
즉, 의식공간에서는 크기를 가진 일정한 공간적 넓이로서 존재한다.
인식공간에서는 다양하고 다중적인 공간적 넓이로서 존재한다.
시간속도는 후술한다.
연쇄는 결정된 모집단의 부분집합의 양상의 공간적 넓이를 크기의 내림차순으로 열거한 것이다. 이 순서열을 내림차순 순서열이라고 부른다.
이 부분집합은 모집단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양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양상의 유의성은 연쇄되어 단위화된다. 그것으로 부분집합화된 양상의 공간적 넓이의 총화나 중복관계를 성립한다.
총화에 가장 근사한 양상이 모집단에 존재하면, 그것을 연쇄에 대하여 등가인 양상이라고 한다.
총화, 등가, 중복은 후술한다.
연쇄는 연쇄와 등가인 양상의 출현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논리방정식은 이 관계를 정규화한 것이다. 그리고, 이 논리방정식을 사용하여 연쇄에 관한 다른 상태를 추론하기 위해 이용한다.
연쇄와 등가인 양상이 단 하나인 경우, 그 연쇄와 연쇄의 양상은 유일적이다.
여리개 존재하면 다의적인 것을 나타낸다.
만약, 존재하지 않으면 그들은 모두 부정이 된다.
의식공간에 존재하는 양상은 그 고유한 시간속도로부터 독립이다. 그리고, 이 양상은 중복하여 존재하지 않는다. 이 양상을 의미요소라고 한다.
당연히, 그 연쇄도 중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연쇄도 의식공간에 있어서만 성립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의식공간은 단 하나의 공간으로서 지배될 수 있다.
한편, 의식공간에 존재하는 양상은 그 고유한 시간속도로부터 독립하여 존재할 수 없다. 그리고, 이 양상은 중복하여 존재한다. 이 양상을 상태요소라고 부른다.
당연히, 그 연쇄도 중복한다.
그러므로, 그 연쇄도 인식공간에서만 성립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의식공간은 중복되는 것에 있어서, 의식공간과 같이 유일한 하나의 공간이 아니라, 부분공간은 다의적이며, 전체는 부정이 된다.
중복과는 그 양상의 공간적 넓이가 다중적으로 확대되는 것이다.
연쇄는 다른 연쇄를 유도한다. 이 관계에 있어서, 새로운 연쇄와 등가인 양상을 귀결양상, 새로운 연쇄를 유도하기 위해 매개가 되는 연쇄에 등가인 양상을 매개양상이라고 한다.
의식공간에서 성립하는 연쇄를 의식연쇄, 인식공간에서 성립하는 연쇄를 전위연쇄라고 한다. 의식연쇄는 존재의 진상, 즉, 존재유래를 나타내며, 전위연쇄는 존재의 실상, 즉, 성립유래를 나타낸다. 예컨대, 물이 여러가지 실상을 나타내는 것은 물을 나타내는 전위연쇄의 중복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중복한 전위연쇄를 상태연쇄라고 한다.
전위연쇄를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의식연쇄와 전위연쇄를 연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두개의 연쇄가 존재하는 공간은 같지 않기 때문에, 시간속도가 다르고, 직접연상을 할 수 없다. 이 이유로부터 의식공간에는 의식연쇄로 연상하는 상대연쇄가 필요하게 된다. 상대연쇄는 중복할 수 없는 의식연쇄를 중복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의식연쇄는 어느 시간 동안만은 가장 저위의 중복을 성립시키는 상대연쇄를 나타내게 한다. 이 시간을 전위시간이라고 한다. 전위시간은 대상이 다른 의식공간에 존재하는 양상의 시간속도와 연상되는 인식공간의 양상의 시간속도의 비율로 결정되는 시간인 것이다.
의식연쇄는 상대연쇄를 통해 전위연쇄로 연상한다.
유일한 양상은 영원히 존재하지만, 다의적인 양상은 소멸한다. 그러나, 부정이 아니면 의미요소와 동화할 가능성을 가진다. 의미요소와 동화하는 양상을 회귀양상이라고 한다. 회귀양상은 의미요소와 같이 영원히 존재할 수 있다. 부정이 되는 양상은 다만 반드시 소멸할 뿐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연쇄는 양상의 유의성의 작용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이다.
그것은, 모집단의 부분집합, 부분집합에 속하는 양상의 내림차 순서열, 그리고, 그 내림차 순서열과 등가인 양상을 모집단으로부터 결정하는 것이다.
유의성의 작용을 논리화함수로 한다.
이하에 그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① 매개양상에 속하는 양상 각각에 대하여 근사한 양상을 모집단으로부터 추출한다. 근사한 양상은 그 양상의 의미성이 나타내는 공간적 넓이의 크기가 근사한 것이다.
근사에는 +측과 -측의 공간적 넓이의 크기가 있으므로, 그 양쪽을 추출한다. ±의 양상이 하나가 되는 경우에는 그 하나의 양상이 추출되지만, 또, 그 하나가 추출한 양상에 대하여, 더욱 근사한 두개의 양상을 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두개의 양상이 추출될때까지 이 작용은 계속된다.
추출하는 양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 작용은 거기까지로 한다.
추출하는 양상이 다의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중 어떤것을 임의적으로 추출한다.
② 추출한 모든 양상과 매개양상의 양상을 더하여 새로운 연쇄의 양상의 집합으로 한다.
집합에 속하는 양상이 다른 모집단을 가지는 경우,
양상의 수가 큰 쪽의 모집단과 그 양상이 남고, 양상의 수가 작은 쪽의 모집단과 그 양상은 배제된다.
③ 같은 양상이 존재하면 단 한개로 정규화된다.
④ 새로운 집합의 양상이 나타내는 공간적 넓이의 크기를 내림차순으로 열거한다. 이것을 내림차 순서열이라고 한다.
⑤ 내림차 순서열과 등가인 양상을 모집단으로부터 결정한다.
등가인 양상은 총화관계로 산정한다.
연쇄는 공간적 넓이의 크기가 +측에 근사한 양상의 것이다.
총화관계와는
내림차 순서열의 양상순위가 홀수순위에 있는 양상의 공간적 넓이를
양상순위의 첫번째 양상의 공간적 넓이 속으로 흡수하고,
짝수순위에 있는 양상의 공간적 넓이를 양상순위의 첫번째 양상의 공간적 넓이로, 산술적으로 더하여 공간적 넓이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1) 논리방정식
Ek,R= Φk-1(Ek-1,R+{EmD)
논리방정식은 매개양상 Ek-1,R와 그 모집단{EmD의 양상에 작용하는 논리화함수의 Φk-1로부터 유도되는 귀결양상 Ek,R의 관계를 나타낸다.
첨자 K는 연쇄가 반복되는 경우의 순서로 연쇄순서를 나타낸다.
연쇄순서는 l≤K의 자연수로서 규약된다.
본 이론에서는 의식공간의 단위시간을 연쇄로부터 연쇄가 유도되는 시간과 정의로 파악하였으므로, 연쇄순서는 의식공간의 단위시간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연쇄순서는 중복하지 않고 항상 유일하다.
첨자 R는 연쇄가 중복하는 경우의 순서로 중복순서를 나타낸다.
중복순서는 0≤ R의 자연수로서 규약된다.
본 이론에서는 인식공간의 단위시간을 중복으로부터 중복이 유도되는 시간과 정의로 파악하였으므로, 중복순서는 인식공간의 단위시간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중복순서는 다의적이다.
즉, 인식공간에서는 같은 실상이 다른 중복순서로 출현하게 된다.
연쇄순서와 중복순서는 동시에 변하는 일이 없다.
연쇄순서가 변할 경우는 중복순서는 R= 0으로 고정되고,
중복순서가 변할 경우는 연쇄순서가 고정된다.
매개양상에 작용하는 논리화함수의 ΦK-1를 바꿔 말하면, 연쇄순서 K-1의 연쇄에 작용하는 논리화함수가 된다.
모집단의 {EmD의 첨자 D는 의식공간의 경우 W, 인식공간의 경우 C로 나타낸다.
귀결양상과 매개양상의 부분집합의 양상의 수는 NK+1≥ NK의 관계이다.
논리방정식은 이하와 같이 전개할 수 있다. 즉,
EK,R= ΦK-1(EK-1,R+{EmD)
EK-1,R= ΦK-2(EK-2,R+{EmD)
(2) 실상연쇄
실상연쇄는 3종류의 연쇄에 연상을 성립시켜 또 그 하나인 전위연쇄에 중복을 성립시키는 것이다. 본 이론에서는 실상연쇄를 성립시키는 것, 즉, 논리화작용을 인식적으로 행하는 것을 해법이라고 한다. 해법에 있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는 실상연쇄를 나타내는 모든 연쇄를 논리방정식으로 설명한다.
01. 의식연쇄(K≥ 1, R= 0)
의식연쇄는 의식공간에서 성립하는 의미용을 연쇄양상으로 하는 진상을 나타내는 연쇄이다.
즉,
MK,0= ΦK-1(MK-1,0+{Mmw)
= ΦK-1ΦK-2‥Φ2Φ1Φ0(M0,0+{Mmw)
논리화함수는 단 하나이기 때문에, 그것을 Φ로 나타내면, 상기식의 논리화함수열은 ΦK이다. 따라서, 상기식을 이하와 같이 나타낸다. 즉,
MK,0= ΦK(M0,0+{Mmw)
여기서, M0,0을 경계조건이라고 한다.
의식연쇄가 소프트화되는 경우,
경계조건은 정의체로 치환된다.
의미요소의 수를 M이라고 하면, 의식연쇄의 성립수 GM는 이하와 같다.
즉, GM = MC1+ MC2+· · ·+ M-1CN-l + MCN, 기호 C는 조합계산식을 나타낸다.
최대의 의식연쇄란 의식공간의 모든 의미요소로 이루어지는 연쇄이다.
의식연쇄가 이 수에 도달하면 의식공간에 있어서 논리화작용은 정지한다.
02. 상대연쇄(K≥1, R= 1)
의식연쇄를 상대연쇄로 연상하기 위해서 의식연쇄로부터 유도되는 의식공간에서 성립하는 연쇄이다. 즉,
MK,1= ΦK(M0,1+{Mmw)
03. 전위연쇄(K≥ 1. R= 1)
상대연쇄로부터 연상되는 의식공간에 존재하는 상태요소를 연쇄양상으로 하는 인식공간에서 성립하는 성립유래의 연쇄이다.
연상시, 모집단이 의식공간으로부터 인식공간으로 치환된다. 즉,
SK,1= ΦK(M0,1+{SmC)
생명체는 전위연쇄의 연상이 전위시간내로 종료시켜지지 않은 경우, 이 연상은 폐기되든지, 혹은, 기억정보를 사용하여 대체적으로 창조하든지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러나, 창조되는 전위연쇄는 논리화작용의 섭리에 반하는 것인 것은 분명하다. 이 관점에서 보면, 생명체의 창조란 다의적이고 모조성이며,
바꾸어 말하면,
인류의 문명이란 모조성의 한계를 목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04. 상태연쇄(K=고정, R≥ 2)의 논리방정식
전위연쇄의 중복으로부터 연상되는 실상을 나타내는 연쇄이다.
SK,R= ΦK(M0,1+{SmC)R
그러므로, 상태연쇄는 그 중복도에 따라 그 귀결양상은 여러가지 실상을 현상화시킨다.
중복순차(R)는 결정된 전위연쇄에 작용한다.
상태연쇄의 구조는 다른 연쇄와 다르고,
전위연쇄에 속하는 양상의 공간적 넓이가 다중화되는 것이다.
예컨대, 물의 성립양상이 여러가지인 것은 전위연쇄의 중복정도에 의한 것이다. 생명체가 창조하는 상태논리의 양상은, 자각·감정·말·문장·태도·행동으로 현상화된다.
05. 회귀논리(생략)
(3)논리화작용
논리화작용은 의식연쇄, 상대연쇄, 및, 전위연쇄와 그 중복인 상태연쇄를 연상시키는 것이다.
전위연쇄로부터 상대연쇄를 유도하는 논리방정식을 이하에 나타낸다.
즉, M0,1= Φ-K(SK,1+{Mmw) ①
전위연쇄와 상태연쇄는 이하의 관계에 있다. 즉,
SK,R= (SK,1)R
따라서, SK,1= (SK,R)-R
식③을 식①에 대입하여 식①을 고친다. 즉,
M0,1= Φ-K((SK,R)-R+ {MmC) ④
식④는 생명체는 상태연쇄밖에 자각하는 것을 할 수 없으므로, 식③에서 중복순서(R)로 결정되는 상태연쇄로부터 전위연쇄를 구하여, 그 전위연쇄로부터 의식연쇄를 구하기 위한 논리방정식이다. 식①,식②에서 나타나는 역논리화함수는 논리화함수가 보편적이므로 반드시 성립하여 구할 수 있다.
그 결과, 의식공간의 양상을 가정할 수 있으면, 거기에 존재하는 의식연쇄를 구할 수 있다. 식④를 역논리방정식이라고 한다.
해법이란 바로 이러한 작용이다.
1. 2 시간섭리(도 23참조)
의식논리가 결정되는 시간을 의식논리의 단위시간으로 한다.
전위시간이 중복되는 시간을 인식공간의 단위시간으로 한다.
의식공간에 있어서 연쇄순서는 유일적이다.
인식공간은 부분적으로 성립하고 전체는 부정이기 때문에, 인식공간에 있어서 중복순서는 부분공간마다 정해져 다의적이 된다.
단위시간이 양상의 개별적인 사정으로 서로 틀린 것을 *부도(付度)하고, 절대시간으로 파악한 양상의 고유시간을 단위시간의 역수로 나타내어 시간속도라고 부른다.
상태연쇄는 동화하여 생명체의 기억이 되며, 그 기억이 감정·말·행동·문서 등으로 현상화된다. 그러나, 그 이전에 그 발단이 되는 의식연쇄는 성립하여 존재해야 한다.
즉, 의식연쇄가 성립하는 시간속도는 상태연쇄가 성립하는 시간속도보다도 크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필연이다.
단위시간, 시간속도, 전위시간, 회귀시간 총칭하여 시간섭리라고 부른다. 이하에, 정의를 기술한다.
(1)단위시간
의식연쇄를 결정하는 단위시간 : tU( MK,0)
상태연쇄를 결정하는 단위시간 : tU( SK,R)
두 개의 공간의 단위시간의 관계 : tU( MK,0) << tU( SK,R)
(2) 시간속도
의식연쇄의 시간속도 : tV( MK,0) = 1/ tU( MK,0)
상태연쇄의 시간속도 : tV( SK,R) = 1/ tU( SK,R)
두개의 공간의 시간속도의 관계 : tV( MK,0) >> tV( SK,R)
시간속도의 큰 양상은 독립하여 존재한다.
시간속도의 작은 양상은 독립하여 존재할 수 없다.
(3) 전위시간
인식공간에서의 전위시간 : tT= tV( MK,0) / tV( SK,R)
(4) 회귀시간(생략)
제 2 장 소프트화 해법
의식연쇄를 유도하는 역논리방정식, 즉, M0,1= Φ-K((SK,R)-R+ {MmC)의 해법은 특정된 인식사상(상태연쇄)에 관하여 성립한다.
본 장에서는 특정된 인식사상을 전산기로 가동하는 소프트로서 해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서술한다. 그리고, 이 해법론을 소프트화 해법이라고 한다.
소프트화 해법으로 고쳐 쓰이는 역이론방정식을 시나리오함수라고 한다. 시나리오함수의 설명은 제 3 장에서 한다.
시나리오함수는 소프트의 유일한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귀결한다.
그러므로, 본 이론에서는 소프트개발작업은 이 시나리오함수를 만족시키는 작업으로 귀결된다.
바꾸어 말하면, 소프트화 해법의 과정에 나타나는 조건을 구상화하는 것과 동질의 작업이 된다.
그것은 해법과정에 나타나는 조건이 결정되어야할 작업의 엄밀한 명제를 파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통상, 사고방법 안에서 정형화할 수 있는 사고방법을 총칭하여 방법론이라고 바꿔 말하는 것이다.
본 이론의 경우, 구상화하기 위한 사고방법은
그 명제 자체가 경험적 지식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해법이라고 하는 논리적과정안에서 파악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필연적으로 고비율로 정형화되게 된다.
제 3 장 개발방법론
소프트화 해법을 개발 방법론화하는 것에 대하여 서술한다.
종래의 소프트라 함은 요건사상, 즉, 상태연쇄를 SE의 속인적 능력(경험, 지식, 응용력)으로 미리 기능적으로 규약하여 그것을 프로그램화하는 것이다.
이 경우의 전산기는 그 프로그램으로부터 SE가 미리 기지(旣知)로 한 상태연쇄를 단시간에 정보적으로 재현하는 역할을 맡는 것이다.
즉, 종래의 프로그램은 전산기를 통하여 단시간에 기지되는 상태를 재현하는 것이며, 새로운 상태연쇄를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새로운 상태연쇄는 재현된 정보가 충동적으로 행해지는 생명체의 논리화작용에 맡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 이론을 개발 방법론화하는 것은 의식연쇄를 나타내는 프로그램을 종이상(인식적)에 만들어 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전산기로 구조적으로 중복시키는 것에 의해, 그 의식연쇄로 연상하는 상태연쇄를 전산기로부터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소위, 요건사상이란 상태연쇄인 것이고, 그것은 항상 다의적(CHAOS)으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반복(훈련)에 의한 자기귀결은 동화되기 쉬운 경향을 나타내지만,
성립유래의 중복연쇄를 창조하는 것을 전제로 함에 있어서
결과적으로 비생산적인 것이 되는 데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었다.
그러므로, 요건사상의 상태연쇄의 성립은 사전에 규약하는 것 밖에 방법은 없고, 전산기에 그것을 위임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한 것이었다.
예컨대, 연산적으로 그것을 유도한다고 하는 발상은 AI으로 불리는 것으로 대표되지만, 단순히 상업적인 희망적 착상의 영역을 넘어서는 것은 아니다.
본 이론은 이 문제를 전산기로 대체가능하게 하는 유도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의식연쇄를 파악하는 프로그램의 구조는 상태연쇄를 파악하는 구조에 비하여 현저히 간이화된 것이 된다.
그 결과, 의식연쇄를 만들어내는 소프트를 결정하는 인위적 작업도 필연적으로 간이화된다.
그 결과, 소프트의 개발 및 보수의 작업국면에 현저한 개선적 효과를 가져온다.
그 결과의 요점을 이하에 언급한다.
① 종래 방법에서는 불가결한 것으로 되어 있는 SE 작업의 50%는 불필요하게 된다.
② 관계자의 논리화작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즉, 상태연쇄를 파악하는 종래의 인위적 작업으로서는 그 중의 10% 정도밖에 기계화할 수 없다. 90%가 작업자 개인의 능력에 맡겨질 수 밖에 없었다. 의식연쇄를 파악하는 본 이론의 경우에서는 그 중의 70%를 기계화할 수 있다.
③ 종래 방법에서의 원시 프로그램의 논리부분은 20% 까지 압축된다.
④ 종래 방법에서는 그 상위공정과 하위공정이 프로그래머의 자기적인 논리화작용으로 연상되는 것밖에 수단이 없었으므로, 상위공정과 하위공정의 관계는 당사자 이외에는 알기 어렵고, 그 때문에, 보수작업의 생산성은 개발작업에 비해 10분의 1정도로 저하되어 있었다. 본 이론의 경우, 상위와 하위의 관계가 이론적으로 연상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프로그래머의 개인적인 논리화작용은 불필요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그 관계는 개인적인 심인에 매몰한 것이 아니게 되고, 본 이론의 논리적구조를 이해하면 누구나 같은 논리화작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보수작업의 생산성은 비약적으로 개선되게 된다.
(01) 시나리오함수
후술하는 공간모델을 사용하여 소프트화 해법된 역논리방정식은 소프트의 의식연쇄의 구조를 나타낸다. 의식연쇄의 구조는 보편적으로 단 하나로 되기 때문에, 이 경우의 소프트구조도 필연적으로 단 한개로 된다. 이것을 시나리오함수라고 부른다.
화면을 기저 정의체로 하는 시나리오함수 T0를 이하에 나타낸다. 즉,
T0= Φ0({Φp,k{Li,2, T1,f}}+ {Φp,k{Li,3, T1,g}}
+{Φp,4{Li,4, T1,q}}
Φ0는 기저(基底) 정의체를 화면으로 하는 팰릿(pallet) 연쇄함수를 나타낸다.
Φp,k는 팰릿함수를 나타낸다. 첨자 k는 화면 식별자를 나타낸다.
Li,2는 단어 i 의 의미영역(W02)의 기저논리를 나타낸다.
Li,3는 단어 i 의 의미영역(W03)의 기저논리를 나타낸다.
Li,4는 단어 i 의 의미영역(W04)의 기저논리를 나타낸다.
W02, W04의 단어 i 는 화면 k에 존재하는 단어이다.
W03의 단어 i 는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단어이다.
T1는 기저 정의체를 파일로 하는 시나리오함수이고, 종래형 프로그램을 연상한다. 그 첨자 f, g, q 는 파일 식별자를 나타낸다.
즉, T1도 또 기저 정의체를 파일로 하는 시나리오함수이다. 이 경우 팰릿연쇄함수의 Φ1이다. 즉,
T1,f= Φ1({Φp,k{ Lj,2}}+ {Φp,k{ Lj,3}}+{Φp,4{ Lj,4}}
Lj,2는 단어 j의 의미영역(W02)의 기저논리를 나타낸다.
Lj,3는 단어 j의 의미영역(W03)의 기저논리를 나타낸다.
Lj,4는 단어 j의 의미영역(W04)의 기저논리를 나타낸다.
W02, W04의 단어 j는 파일(f)에 존재하는 단어이다.
W03의 단어 j는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단어이다.
(2)공간 모델(도 24, 25, 26 참조)
소프트란 존재의 실상과 진상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이다.
소프트의 개발이란 실상연쇄를 성립시키는 것에 있지만, 이상을 서술하면, 의식연쇄를 성립시키는 것에 귀착한다. 그러나, 의식연쇄는 영구히 불분명하며, 그 의식연쇄를 성립시키는 데에는 상태연쇄로부터 의식연쇄를 유도하는 역연상을 성립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 필수의 조건은 인식공간과 의식공간의 구조적인 성립성을 다만 하나의 공간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본 이론에서는 이 공간을 공간모델이라고 한다.
공간모델은 소프트화 해법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해법조건으로부터 유도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소프트는 공간모델로 귀착하고,
소프트 개발은 이 공간모델을 결정하는 작업과 동의가 된다.
공간모델의 구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해법조건이 나타내는 인식공간의 율성(律性)은 수용, 논리, 상대로 구분된다. 이 율성을 3종류의 이차원영역로 치환한다. 그리고, 이것을 의미영역으로 총칭한다.
의미영역은 W02, W03, W04로 기재되며,
W02로는 수용율성,
W03로는 논리율성,
W04로는 상대율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의식공간의 율성은 의미영역과 역연상의 관계에 있는 삼차원의 공간개념으로 치환된다. 즉, 공간모델과 의미영역의 연쇄로 인식공간을 나타내고,
그 의미영역이 구성하는 삼차원공간에서 의식공간을 나타내는 구조체인 것이다. 그리고,
본 이론에서 말하는 의미요소는 인식적으로 실현할 수 없으므로, 개발 방법론화되는 경우, 의미요소는 단어로 대체하도록 한다.
즉, 단어는 의미영역이 구성하는 삼차원공간에 배치된다.
그리고, 단어는 의미영역에 전위(벡터분해)되고, 각각의 율성으로 그 의미성을 기저논리(프로그램)로 치환한다. 기저논리는 후술한다.
덧붙여, 종래의 프로그램은 요건사상의 의미성이 경험이나 지식으로 수단화되고, 그것이 논리화되었다. 기저논리는 의미영역의 각각의 율성이 경험이나 지식에 대신하여 단어의 의미성을 기저논리로 치환하는 수단이 된다.
이 기저논리를 영역적으로 연쇄시키면 인식적인 상태의 요건사상과 등가인 기능적 양상이 된다. 기술해 온 연상이란 단어의 의미성과 그 기저논리가 영역적으로 연쇄하여 출현시키는 기능적 양상의 대응관계가 성립하는 것이다.
영역적인 연속이란 의미영역에 순서성을 주는 것으로, 이론상, 그 형식은 3종류로 된다.
그러나, 개발 방법론화한 경우, 전산기의 방식적인 사정에서 5형식이 된다. 이 순서성은 후술하는 처리경로도로서 나타낸다.
그리고, 이 순서성은 실상의 요건사상으로부터 진상을 유도하기 위한 역연상의 성립조건을 규약하는 것이 된다.
의미영역의 율성은 해법조건으로서 기지(旣知)이며,
시스템에 존재하는 단어를 의미요소에 대체시키는 것으로, 기저논리를 만족시키고, 기저논리가 존재하는 의미영역의 영역적 연쇄는 3형태를 기초로 하면, 그 조합으로 어떤 양상이라도 모두 지배할 수 있으므로, 그것은 기지와 등가이다.
그리고, 이 공간모델의 구조로부터 의식연쇄를 유도하기 위한 역연상을 성립시킬 수 있다.
(3) 기저논리(도 27 참조)
시스템에 존재하는 단어를 의식공간에 존재하는 의미요소로 대체하도록 한다. 의미요소가 그 유의성으로부터 부분집합화 되도록, 단어는 정의체에 의해서 집합화된다.
그리고, 집합화된 의미요소가 그 유의성으로 연쇄된 바와 같이, 정의체 상의 단어는 생명작용으로 연쇄되고, 요건사상을 성립시키고 있다.
예컨대, 화면은 그 화면상의 단어를 사용하여 생명체에 연쇄를 성립시킨다.
장표(帳表)는 그 장표 상의 단어를 사용하여 생명체에 연쇄를 성립시킨다.
파일은 파일 상의 단어를 사용하여 생명체에 연쇄를 성립시킨다.
생명체에 연쇄를 성립시키는 것에 있어서, 이 정의체는 요건사상이 될 수 있다.
소프트를 그 생명작용을 대체시키는 수단으로서 규정하면, 소프트의 역할은 정의체에 존재하는 단어만으로는 성립시켜지지 않는 단어의 연쇄를 성립시키기 위해 새로운 단어를 보완하여 연쇄를 성립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소프트는 그 새로운 단어와 연쇄의 결정은 사전에 SE로 결정시킨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개발방법론에서 유도하는 소프트는 이 것을 스스로 행한다는 것이다.
부언하면, 소프트란 본질적으로 이러한 것이 아니면 안되는 것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기저논리는 집합화된 단어는 의미영역으로 전위되고, 그것을 의미영역의 율성으로 프로그램에 치환된 것이다. 즉, 기저논리는 정의체, 단어, 전위된 의미영역에서 규약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그 역할은 전위된 단어의 의미성을 그 전위된 의미영역의 율성으로 치환하여 그 단어번지로 세트하는 것이다.
이 단어번지에 세트되는 의미성은 기능을 창출하는 의미영역의 연쇄를 성립시키기 위하여 두 개의 방법으로 결정된다. 하나는 다른 의미영역에 존재하는 같은 단어의 의미성을 위상적으로 세트하는 방법이다. 또 하나는 같은 의미영역의 다른 용어의 의미성으로부터 연산적으로 도출하여 세트하는 방법이다. 이 작용은 어느 하나의 방법만으로 만족시키면 된다. 그리고, 양자가 함께 성립하는 경우에는 전자가 우선 이용된다. 전자를 위상요소, 후자의 프로그램을 논리요소라고 한다.
정의체의 모든 단어를 의미영역으로 전위하고, 그것을 기저논리로 치환한 경우, 그 의미영역을 팰릿이라고 한다. 그리고, 팰릿은 후술하는 팰릿함수로 기저논리를 집합화한다.
팰릿 상의 기저논리는 실행에 대비하여, 예컨대, CALL 명령으로 순서열화되어 열거된다. 이 열거된 방법은 위상요소와 논리요소와의 집합 사이의 순서성은 필요하지만, 집합내에서의 순서성은 불필요하다.
부언하면, CALL과 기저논리의 쌍은 기계어의 명령부와 오퍼랜드부의 쌍과 기능구조적으로 등가가 되는 것이다. 그것은 기저논리가 오퍼랜드기능과 등가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기저논리는 이 의미에서 종래의 기능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의미영역에 존재하는 단어를 제어하기 위한 논리가 된다. 이것은 프로그램은 논리에서 비롯된다고 하는 하나의 논거인 것이다.
단어의 의미성을 전위한 의미영역의 율성(律性)에서 치환하는 수단을 그 의미영역의 율성 그자체인 종래의 것과 같이 요건기능이 수단이 아니라도 좋은 이유이다.
프로그램화를 위한 사양조건인 의미영역의 율성에 대하여 서술한다.
(1)수용율성(W02)
생명작용이 하는 의식작용에 대응하고,
의식연쇄를 창출하기 위하여 역연상시키는 처리경로를 결정하는 율성이다.
공죄는 논하지 않지만, 최근의 0S에서는 이 의미영역의 위상요소는 불필요하다.
논리요소는 처리경로의 결정을 행한다.
인식작용과 파일이 직접관계하는 경우,
W03에서 말하는 기억작용이 W03에 대신하여 행하여진다.
(도 28참조)
(2)논리율성(W03)
단어의 의미성을 논리화하기 위한 율성이다.
논리화의 성립과 그 의식연쇄의 귀결과는 동일한 의미이다.
귀결된 의식연쇄는 불가피하게 기억된다.
이 경우의 기억이란 그 의식연쇄를 파일화하는 것이다.
덧붙여서, 장표출력은 이 기억과 동의이다.
기억작용은 종래형의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도 좋지만,
그 기능결정은 소프트의 입장에서 말하면 본의가 아닌 작업이 되기때문에,
본 개발방법론은 이 과제에도 대처하고 있다.
위상요소는 논리화에 필요한 정보를 W02의 의미영역에서 취득하는 것이다. W02에 그 정보가 없는 경우, 이 작용은 행할 수 없다.
논리요소는 자기의 단어번지(單語番地)에 정보가 존재하지않은 경우, 같은 W03에 존재하는 자기이외의 단어번지의 정보를 써서 도출한다.
도출을 성립시키는 원리나 필요한 단어번지의 정보가 존재하지않은 경우, 이 작용은 행할 수 없다.
(도 29참조)
(3)상대율성(W04)
연쇄는 또한 연쇄하여 새로운 양상을 나타낸다. 이 의미영역은
의식연쇄를 더욱 연쇄하기 위한 율성을 담당한다.
의미영역이 화면정보를 반영하는 경우, 이 의미영역은 출력하는 화면편집을 한다. 파일정보의 경우, 출력하는 파일편집을 행한다.
위상요소는 편집에 필요한 정보를 W02, W03의 의미영역에서 취득한다. 정보가 부재한 경우, 그 작용을 행할 수 없다. 양쪽의 의미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W02의 정보를 우선한다.
논리요소는 편집에 필요한 정보를 같은 W04의 자기이외의 단어번지의 정보로부터 도출한다.
도출을 성립시키는 원리나 필요한 단어번지의 정보가 존재하지않는 경우, 이 작용은 행할 수 없다.
(도 30참조)
(4) 팰릿 (도 31참조)
의식공간에 존재하는 단어는 정의체마다 집합화된다. 마찬가지로, 기저논리도 이 정의체마다 집합화된다. 팰릿이란 이 기저논리의 집합을 말한다. 즉, 팰릿은 정의체와 3종의 의미영역에서 구별화되는 기저논리의 집합체를 말한다. 팰릿은 팰릿함수로 기저논리를 구조화한다.
팰릿함수의 구조는 다만 한개이지만 팰릿마다 필요하다.
(5) WT 단위
종래의 요건사상은 정의체로 규약된다.
기능적으로 정리되어 정의체를 WT 단위(WALK-THROUGH-Unit)라고 부른다.
(6) 팰릿연쇄함수(도 32, 도 33참조)
팰릿연쇄함수는 공간 모델을 다루기 위한 것으로, 의식연쇄를 도출하기 위하여 의미영역에 순서성을 주기 위한 논리이다.
팰릿연쇄함수에는 Ф0, Ф1로 표현되는 2개의 종류가 있다.
전자는 기저정의체를 화면으로 하는 것으로, 후자는 파일을 기저정의체로 하는 것이다. 또한, 후자는 전자의 부분공간으로서 성립하는 것이다.
(7)처리경로도
WT 단위로 집합화된 정의체는 처리경로도에 다시 쓰인다.
처리경로도와 팰릿연쇄간수는 등가이며, 표현의 방법이 다를 뿐이다. 즉, 팰릿연쇄함수는 프로그램이고, 처리경로도는 설계도면이라고 해야할 사양서가 된다. 처리경로도는 작업착수의 초기단계에서 결정할 수 있는 정형화된 유일한 화면이다.
처리경로도는 종래의 요건정의서, 기본설계서, 상세설계서, 프로그램사양서, 텍스트사양서, 조작설명서, 개발관리자료, 보수관리자료등 전 도큐먼트의 총체의 40%를 커버할 수 있다.
부칙
도 23은 시간섭리의 해설도이다.
같은 공간에서 성립하는 단위시간의 확산(해법의 총화시간)은 그 공간의 깊이를 나타낸다.
도 24는 공간 모델과 그 중복구조의 해설도이다.
보충
본 도면은 기저정의체를 화면으로 하는 팰릿연쇄함수 Ф0의 팰릿에 나타나는 종래형 프로그램까지도 LYEE화하는 경우의 공간 모델의 구조를 나타낸다. 즉, 종래형 프로그램(복수)은 기저정의체를 파일로 하는 팰릿연쇄함수 Ф0(복수)에 의해서 T1로 치환되어, 그 프로그램이 출현한 것 Ф0의 팰릿로 다루어지는 구조가 된다.
O1. 팰릿연쇄함수의 Ф0를 처리경로도로 하는 시나리오함수
T=Ф0({ФP,k{Li,2,Tl,f}}+{ФP,k{Li,3,Tl,g}}+{ФP,k{Li,4, Tl,q}}) 02. 팰릿연쇄함수의 Ф1를 처리경로도로 하는 종래형 프로그램을 LYEE화하는 경우의 시나리오함수
T1,f1({ФP,f{Lj,2}+ФP,f{Lj,3}+ФP,f{Lj,4})
03. k는 화면식별자, f, g, q는 파일식별자이다.
04. 처리경로도 Ф0는 화면을 기저로 하는 5종의 처리경로로 나타낸다.
05. 처리경로도 Ф0는 파일을 기저로 하는 3종의 처리경로로 나타낸다.
도 25는 단어와 공간 모델의 관계의 해설도이다.
보충
공간 모델에게 존재하는 단어는 기저정의체로 다루어지고 의미영역에 전이된다. W02, W03에 전위되는 단어는 기저정의체와 함께 그곳에 존재하는 단어가 전위된다. W03에 전위되는 단어는 기저정의체와는 관계없이, 공간 모델에게 존재하는 전단어가 전위된다.
기저정의체란 팰릿연쇄함수가 Ф0인 경우에는 화면, Ф1인의 경우에는 파일이다.
표중, 화면단어란 화면에 존재하는 단어, 파일단어란 파일에 존재하는 단어, 장표단어란 장표에 존재하는 단어를 말한다.
도 26은 논리구조의 해설도이다.
보충
본 도면은 팰릿의 영역개념과 그것에 같이 존재하는 논리, 즉, 기저논리, 종래형 프로그램 P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한편, 종래형 프로그램은 팰릿연류함수 Ф1로 LYEE 화되지만 본 도면에서는 표현하지 않았다.
01. 기저논리가 이용하는 참조계의 FILES는 생략해 둔다.
02. 실선 BOX, 굵은점선 BOX는 기저논리의 논리를 구성하는 오퍼랜드영역을 나타낸다.
03. 굵은 점선 BOX는 종래 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처리 면적(BUFFER)을 나타내다.
04. 종래 프로그램 P와 그 데이터-처리 면적은 정의체(화면, 장표, 파일)의 수만 정의된다.
05. 팰릿의 최대총수는 화면수(G)나 3×G 이다.
06. 실선 BOX의 수는 시스템에 존재하는 단어(a)의 수(W)의 3×W가 정의된다.
07. 기저논리의 수는 정의되는 공간 모델에게 존재하는 단어에 의존하는 실선 BOX의 수이다.
08. 팰릿은 기저논리, 종래 프로그램을 요소로서 팰릿간수(ФP)로 총괄된다.
09. 팰릿은 팰릿연쇄함수(Ф0)로 지배된다.
10. 팰릿연쇄함수(Ф0)로 유도되는 논리를 시나리오함수(T)라 부른다.
11. 이미 실행환경으로서 편성이 된 PKG 소프트를 쓰는 경우의 경계조건은 종래 프로그램으로 규약한다.
12. 가는 점선 BOX는 팰릿연쇄함수가 사용하는 경로지정정보의 면적이다.
13. 굵고 가는 점선 BOX는 WFL라고 불린다.
도 27은 기저논리의 의미의 해설도이다.
01. 팰릿은 팰릿함수로 다루어지는 기저논리의 집합체로, 그 자체가 프로그램이다.
02. 팰릿과 같이 나란히 설 수 있는 동족의 기저논리는 그 논리구조의 성질로부터 순부동(順不同)이라도 좋다.
03. CALL과 기저논리의 관계는 구조적으로 CALL이 기계어의 명령부, 기저논리가 오퍼랜드에 해당한다.
04. 기계어명령은 오퍼랜드에 작용하여, 오퍼랜드와는 그 명령에 필요한 데이터면적번지를 가리키는 정보의 것이다.
05. 이 관계에서, 기저논리는①명령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면적의 번지를 결정하고, ②그 번지정보로부터 결정되는 CALL에 대신하는 연산을 하여, ③그 결과를 목적번지에 세트하는 내용이 된다.
06. 명령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면적번지는 의미영역에 존재하는 전위된 단어정보로부터 저절로 판명한다.
07. CALL에 대체하는 연산은 의미영역에 부과된 보편적인 율성(기저논리의 패러다임) 과 단어의 의미성(연산성)부터 저절로 결정되는 것이다.
08. 기저논리가 그의 내부에서 쓰이는 종래형의 프로그램은 그 자체로 고유한 데이터면적을 정의내리지 않으면 안된다.
09. 기저논리가 종래형의 프로그램에서도 CALL:기저논리의 관계에서 팰릿에 필적되는 것이면 기저논리와 같은 모양에 의미영역의 데이터면적을 사용해도 좋다.
비고:이론용어와의 관계
01. 시나리오함수(T)는 의식연쇄와 동의이다.
02. 팰릿는 의미영역에 존재하는 단어를 기저논리로 바꿔둔 경우의 의미영역을 말한다.
03. 의식연쇄는 의식공간에서 성립하는 요건사상의 존재유래, 즉, 진상을 나타내는 논리를 말한다.
04. 의식연쇄의 구조는 항상적으로 단 하나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소프트의 구조 패러다임도 유일하다.
05. 의식연쇄가 상대연쇄를 지나서 전위연쇄를 연상하여, 그의 전위연쇄의 중복이 인식공간에 존재하는 삼라만상이다.
06. 삼라만상이란 실상이고 상태연쇄이다.
07. 요건사상이란 부분적인 삼라만상이다.
08. 전위연쇄란 성립유래를 나타내는 연쇄를 말한다.
09. 전위연쇄의 중복이란 전위연쇄의 연쇄요소에 데이터치를 주는 빈도를 말한다.
10. 전위연쇄의 중복은 시나리오함수의 중복(Tn)을 말한다.
도 28은 기저논리의 예(W02)의 해설도이다.
단어:매출(화면에 존재하는 항목)
도 29는 기저논리의 예(W03)의 해설도이다.
단어:매출(화면에 존재하는 항목)
도 30은 기저논리의 예(W04)의 해설도이다.
단어:매출(화면에 존재하는 항목)
도 31은 팰릿함수(ФP)의 해설도이다.
보충
팰릿함수는 기저논리, 즉, 위상요소와 논리요소를 집합화하고 팰릿를 구성하기 위한 논리이다.
O1. 팰릿함수는 팰릿연쇄함수로부터 기동되며 또한 되돌아간다.
02. 파일의 개시개폐는 실행기기환경과의 관계로부터 기저논리에 가르더라도 좋다.
03. 가장 간단한 팰릿함수는 CALL문의 열이다.
04. 팰릿재기동플래그는 팰릿함수고유의 면적이다.
도 32는 팰릿연쇄함수(Ф0, 기저정의체=화면)의 해설도이다.
보충
01. 연쇄의 개념도
02. 팰릿연쇄함수와 처리경로도는 동질이다.
03. 플로우의 공간 박스는 무시할 것.
도 33은 팰릿연쇄함수(Фl, 기저정의체=파일)해설도이다.
보충
01. 팰릿연쇄함수와 처리경로도는 동질이다.
02. 플로우의 공간 박스는 무시할 것.
즉, 본 발명에서는, 우선 생산하는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화면인 정의체식별자(定義體識別子)를 결정한다. 다음에, 정의체식별자에 존재하는 단어를 뽑아냄과 동시에, 정의체식별자에 근거하여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모든 팰릿를 처리의 흐름에 따라 배치한 처리경로도를 작성한다. 다음에, 뽑아낸 단어및 작성한 처리경로도에 근거하여 필요한 파일를 결정한다. 다음에, 뽑아낸 모든 단어에 대하여, 화면편집 또는 파일편집을 하는 제1의 기저논리, 처리경로를 결정하는 제2의 기저논리및 파일갱신을 하는 제3의 기저논리를 작성한다. 다음에, 화면단위로 상기 제1∼제3의 기저논리를 각각 묶어이루어지는 3종의 팰릿를 작성함과 동시에, 각 팰릿내에서 각 기저논리를 자율적으로 유의성을 가지고 실행시키는 팰릿함수를 작성한다. 그리고, 제1의 기저논리에 관한 팰릿함수에 근거하는 화면을 송신하고, 화면을 수신하여 제2의 기저논리에 관한 팰릿함수를 실행하여, 이 실행결과에 근거하여 제3의 기저논리에 관한 팰릿함수의 실행을 적어도 1개의 처리경로로 하는 복수의 처리경로로부터 1개의 처리경로를 결정하는 구조의 팰릿연쇄함수에, 상기의 3종의 팰릿함수를 편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정의체식별자를 결정하여 (스텝101), 단어를 결정함과 동시에(스텝102) 처리경로도를 작성하고(스텝103), 파일을 결정하여(스텝104), 기저논리를 작성하고(스텝105), 팰릿함수를 작성하여(스텝106), 팰릿연쇄함수로 편성하는(스텝107)것으로 원하는 소프트웨어가 작성된다.
정의체식별자의 결정
예컨대 어떤 회사에서의 매출을 입력하기 위한「매출입력」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보면, 예컨대 매출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도 2)및 거래처 코드를 참조하기 위한 화면(도 3)을 결정한다. 단골거래처코드참조화면뿐만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이 화면과 같은 담당자코드참조화면, 거래구분화면, 청구처 코드화면, 상품 코드화면등을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어떤 회사에서의 상품입하의 확정을 입력하기 위한「입하확정입력」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보면, 예컨대 상품입하의 확정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도 4)및 창고 코드를 참조하기 위한 화면(도 5)을 결정한다.
또한 어떤 회사에서의 상품출하의뢰의 일람표를 출력하기 위한「출하의뢰일람표」라는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보면, 예컨대 출하의뢰일람 표를 출력조작하기 위한 화면(도 6)및 그 일람표의 장표(도 7, 도 8)를 결정한다.
단어의 결정
단어의 결정이란, 결정된 상기의 화면 및 장표로부터 모든 단어를 뽑아 내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의「매출입력」의 도 2의 화면에서는,
「OPCD」
「매출번호」
「매출구분」
「매출일」
「단골거래처」
「입금일」
「청구처」
「소비세」
「담당자」
「전단 발주번호」
「납품장소」
「TEL」
「비고」
「상품 코드」
「수량」
「단가」
「가격인하」
「금액」
「상품명」
「기종·미디어」
「품번」
「매출합계」
「소비세」
「가격인하합계」
「총합계」
「실행」
「F1」
「F3」
「F4」
「F8」
을 뽑아 낼수가 있고, 이들이 결정된 단어이다.
또한 상기의「매출입력」의 도 3의 화면에서는,
「번호」
「단골거래처」
「단골거래처명(약칭)」
「단골거래처명」
「주소」
「담당자」
「선택번호」
「거래처명카나」
「구 코드」
「실행」
「F12」
를 뽑아 낼 수가 있고, 이들이 결정된 단어이다.
또한 상기의「입하확정입력」의 도 4의 화면에서는,
「OPCD」
「창고 코드」
「H/S 구분」
「중개구분」
「실행」
「F1」
「F3」
「F4」
를 뽑아 낼 수가 있고, 이들이 결정된 단어이다.
또한 상기의「입하확정인력」의 도 5의 화면에서는,
「번호」
「창고 코드」
「창고명」
「선택번호」
「실행」
「F12」
를 뽑아 낼 수가 있고, 이들이 결정된 단어이다.
또한 상기의「출하의뢰일람표」의 도 6의 화면에서는,
「출하의뢰일」 「실행」
「F2」
「F3」
를 뽑아 낼 수가 있고, 이들이 결정된 단어이다.
또한 상기의「출하의뢰일람표」의 도 7및 도 8의 장표에서는,
「부문」
「납품처」
「청구처」
「주소1」
「주소2」
「TEL」
「부서1」
「담당자」
「상점담당」
「출하의뢰일」
「출하번호」
「상품 코드」
「상품명」
「수량」
「갱신」
「수주일」
「수주번호」
「행」
「수주담당」
「품번」
「날짜」
「귀사주문번호」
「인스트」
「시티」
「출하」
「매출」
을 뽑아 낼 수가 있고, 이들이 결정된 단어이다.
처리경로도의 작성
처리경로도는 결정된 정의체식별자(화면이나 장표)에 근거하여 작성된다. 처리경로도는 인간이 작성하여도 좋고, 기계화하여도 좋다.
처리경로도는 각 화면이나 각 장표에 해당하는 팰릿(박스로 표시)를 선으로 접속한 것이다. 선은 팰릿연쇄함수를 의미한다. 화면이나 장표가 결정되어 있으면 팰릿사이의 접속은 필연적으로 결정된다.
도 9는 상기「매출입력」에 대한 처리경로도이다.
91은 메뉴화면을 말한 것이고, 메뉴화면으로부터「매출입력」을 선택할 수가 있다.
92는 매출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도 2)에 대한 W04팰릿, 93은 그 W02팰릿이다.
94는 매출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실행」이 선택되었을 때의 W03팰릿이다.
95는 매출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등록」이 선택되었을 때의 W03팰릿이고, WFL(Work File aria)(96)은 파일에의 기입을 의미한다.
97은 매출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단골거래처 코드」의「참조」가 선택되었을 때의 화면(도 3)에 대한 W04 팰릿, 98은 그 W02 팰릿이다.
매출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종료」가 선택되었을 때는 메뉴화면으로 되돌아간다.
각 팰릿에 있어서, 박스외상부에는 팰릿의 종별, 박스내상단에는 화면의 명칭, 박스내하단에는 화면의 식별번호, 박스외하부의 점선박스에는 결정된 파일명(후술한다.)가 기술된다.
팰릿와 팰릿를 맺는 선의 상부에는 앞에 화면에서 선택된 버튼명(「실행」이나「등록」등), 팰릿와 팰릿를 맺는 선의 하부에는 처리의 절대적종별(R0∼R5)이 기술된다(후술한다.).
도 10은 상기「입하확정입력」에 대한 처리경로도이다.
101은 메뉴화면을 말하는 것이고, 메뉴화면으로부터 「입하확정입력」을 선택할 수가 있다.
102는 입하의 확정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도 4)에 대한 W04팰릿, 103는 그 W02팰릿이다.
104는 입하의 확정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창고 코드」의「참조」가 선택되었을 때의 창고 코드참조화면(도 5)에 대한 W04팰릿, 105는 그 W02팰릿이다.
입하의 확정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실행」이 선택되었을 때는 입하의 확정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 되돌아간다.
입하의 확정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등록」이 선택되었을 때는 WFL(Work File aria)(106)을 통해 파일에의 기입이 행해진다.
입하의 확정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종료」가 선택되었을 때는 메뉴화면에 되돌아간다.
도 11은 상기「출하의뢰일람표」에 대한 처리경로도이다.
111은 메뉴화면을 말하며, 메뉴화면으로부터「출하의뢰일람표」를 선택할 수가 있다.
112는 출하의뢰일람표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도 6)에 대한 W04팰릿, 113은 그 W02팰릿이다.
출하의뢰일람표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인쇄」가 선택되었을 때는 WFL(Work File aria)(114)을 통해 장표의 출력(인쇄)가 행해진다.
출하의뢰일람표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실행」이 선택되었을 때는 출하의뢰일람표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에 되돌아간다.
출하의뢰일람표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에 있어서「종료」가 선택되었을 때는 메뉴화면에 되돌아간다.
이상과같이 처리경로도에 있어서는, 예컨대 어떤 화면이 결정되면 그 화면에서의 처리내용(실행, 등록등의 제어단어)부터 다음에 필요한 처리(화면의 표시, 장표의 출력, 파일에의 등록, 파일로부터 읽어 내기, 연산등)가 필연적으로 결정되기때문에, 상기 처리내용에 따라서 화면등의 사이를 선으로 묶고 있다.
파일의 결정
작성된 처리경로도및 결정된 단어에 근거하여 필요한 파일을 결정한다. 즉 필요한 파일은 처리경로도및 단어에서 필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한 파일은 처리경로도의 박스외하부의 점선 박스등에 기술한다.
예컨대 도 9의 부호(93)로 나타내는 W02팰릿에는, 그 처리경로도및 단어에서 필연적으로
「종업원M(마스터 파일)」
「명칭M」
「고객정보F(파일)」
「부문M」
「W03-S/F」
「상품리스트F」
의 파일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저논리의 작성
각 단어에 대한 기저논리(프로그램)를 작성한다. 즉, 각 단어에 대한 기저논리를 디코딩한다.
기저논리에는,
W04이송요소
W04논리요소
W02이송요소
W02논리요소
W03이송요소
W03논리요소
의 6종이 있으며, 각 단어마다 6종의 기저논리(프로그램)를 작성한다. 단, W02이송요소가 불필요한 경우도 있다.
예컨대「매출」이라는 단어에 착안하여 기저논리를 작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W04이송요소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성한다.
우선 해당하는 W02매출의 항목(파일)에 매출치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1201).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매출치를 W04매출의 항목에 세트하여(스텝1202), 처리를 종료한다.
존재하지않은 경우에는 W03매출의 항목에 매출치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1203).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매출치를 W04의 매출의 항목에 세트하고 (스텝1204), 처리를 종료한다. 존재하지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단어에 따라서는 필요에 따라, 스텝1201에 전에 실행유무를 확인하는 스텝을 마련한다. 또한, 스텝1204 후에 목적처리의 성립의 유무를 확인하는 스텝를 마련하여, 목적처리가 성립하지 않는 때에는 팰릿를 재기동하는 플래그를 세트한다.
중요한 것은 어떤 단어에 대하여도 항상 이 구조로 프로그램을 작성한다는 것이며, 이것은 이하의 프로그램에 관해서도 동일한다.
W04논리요소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성한다.
우선 W04매출의 항목에 매출치가 입력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1301). 입력이 끝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입력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W04매출의 항목에 대한 매출치가 편집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1302). 즉, 예컨대 매출치가 가격×개수라고 한다면, W04가격의 항목및 W04개수의 항목에 이미 수치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편집가능하다면 편집하고(예컨대 존재하는 가격과 개수로부터 매출을 구한다.)(스텝1303), 편집결과(예컨대 요청된 매출치)를 W04매출의 항목에 세트한다(스텝1304).
편집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스텝1305) 팰릿를 재기동하는 플래그를 세트한다(스텝1306). 즉, 매출치의 결정은 일단 유보되고, 상기의 예로 말하면 가격과 개수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그 결정이 유보된다. 이것은, 요컨대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이 자율적으로 유의성을 결정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W02논리요소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성한다.
우선 매출치가 입력이 끝난 것인가(W04매출의 항목에 세트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1401). 입력이 끝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입력이 끝난 경우에는 입력매출치를 W02매출의 항목에 세트하여(스텝1402),처리를 종료한다.
단어에 따라서는 필요에 따라, 스텝1401 전에 실행유무를 확인하는 스텝을 마련한다. 또한, 스텝1402 후에 목적처리 성립의 유무를 확인하는 스텝을 마련하고, 목적처리가 성립하지 않은 때에는 팰릿를 재기동하는 플래그를 세트한다.
또, 예컨대 단어「실행키」와 같은 제어단어의 경우에는, 상기의 스텝1402가 처리경로 플래그를 세트하는 처리가 된다(도 15참조). 처리경로 플래그(R=0∼5, 단지 R=0은 예외적)는 처리경로도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팰릿연쇄함수에 있어서 경로를 가르는 처리가 가능해진다.
W03논리요소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성한다.
우선 W02매출의 항목에 매출치가 입력이 끝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1601). 입력이 끝난 경우에는 그 매출치를 W03매출의 항목에 세트하여(스텝1602), 처리를 종료한다.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단어에 따라서는 필요에 따라, 스텝1601 전에 실행유무를 확인하는 스텝을 마련한다. 또한, 스텝1602 후에 목적처리의 성립의 유무를 확인하는 스텝을 마련하고, 목적처리가 성립하지 않은 때에는 팰릿를 재기동하는 플래그를 세트한다.
W03논리요소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성한다.
우선 W03매출의 항목에 매출치가 입력이 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1701). 입력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입력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W03매출의 항목에 대한 매출치가 도출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1702).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가능한 경우에는 계산가능한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1703). 즉, 예컨대 상기와 같이 매출치가 가격×개수하고 한다면, W03가격의 항목및 W03개수의 항목에 이미 수치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도출가능하다면 계산하여(예컨대 존재하는 가격과 개수로부터 매출을 구한다.)(스텝1704), 계산결과(예컨대 요구된 매출치)를 W03매출의 항목에 세트한다(스텝1705).
계산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스텝1706) 팰릿을 재기동하는 플래그를 세트한다(스텝1707). 즉, 이 경우도 상기와 같이 매출치의 결정은 일단 유보되어, 상기의 예로 말하면 가격과 개수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그 결정이 유보된다. 이것은, 즉 본 발명에 관한는 프로그램이 자율적으로 유의성을 결정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팰릿함수의 작성
W04, W02, W03에 대한 팰릿함수의 작성을 행한다. 도 18은 팰릿함수의 구조 패러다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에 대하여 이러한 구조의 팰릿함수(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된다.
우선 파일을 오픈한다(스텝1801). 즉, 예컨대 W04에 관한 팰릿함수로서는 복수의 W04팰릿로부터 소정의 1개의 W4 팰릿에 관한 파일을 오픈한다. 그리고, 각 이송요소와 논리요소를 순차 실행한다(스텝1802,1803).
그 후, 팰릿기동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1804), 플래그를 리세트함(스텝1805)과 동시에 각 이송요소와 논리요소를 순서대로 재실행한다(스텝1802,1803). 즉, 팰릿함수는, 각 팰릿의 팰릿기동 플래그과 연동하여 프로그램의 자율적인 유의성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팰릿기동 플래그이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파일를 닫고(스텝1806) 처리를 종료한다.
팰릿연쇄함수로의 편성
팰릿연쇄함수의 구조는 어떠한 소프트웨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미리 작성해둔 팰릿연쇄함수에 상술과 같이 작성한 기저논리나 팰릿함수를 편성하면 된다.
팰릿연쇄함수의 구조 패러다임을 도 19에 나타낸다.
즉, 우선 송신정보를 결정한다(스텝1901). 송신정보란, 표시해야 할 화면을 말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처리경로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예컨대 매출입력의 화면(도 2참조)에 있어서「단골거래처 코드」의「참조」가 선택된다(「단골거래처 코드」의 W02팰릿에서 R=3의 처리경로 플래그가 세워져있다.)와 단골거래처 코드조회의 화면(도 3참조)을 송신정보라고 정한다.
송신정보에 시스템을 폐쇄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1902), 시스템을 폐쇄한다(스텝1903). 시스템을 폐쇄하는 정보란,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처리경로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예컨대 매출입력의 화면(도 2참조)에 있어서「F3」가 선택된 것(「F3」의 W02팰릿에서 R=0의 처리경로 플래그가 서있는 것.)이다. 시스템을 폐쇄한다는 것은, 예컨대 상기의 예로 말하면 메뉴화면에 되돌아간다는 것이다.
다음에, WT 단위내의 계속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1904). 이것은 예외적처리에 관한 것이다. 즉, WT 단위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데이터의 등록에 사용되는 등록화면과 해당 데이터의 등록시의 데이터의 참조에 사용되는 참조화면을 1개의 단위로 묶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처리경로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매출입력의 화면(도 2참조)와 단골거래처 코드조회의 화면(도 3참조)을 1개의 단위로서 묶어서 이루어지는 것이 WT 단위이다. 그러나, 다른 처리경로도, 예컨대 입하확정입력(도 10, 도 4참조)의 화면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들과 연쇄해야 한다. 따라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시나리오연쇄, 즉 다른 WT와의 사이에서 연쇄를 행한다(스텝1905,1906). 이것은 거대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WT 단위내의 계속인 경우에는, 해당 WT 단위의 전 팰릿를 세트한다(스텝1907).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처리경로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이 처리전체에 관한 모든 팰릿(W02∼W04)를 각각 워킹메모리상에 세트한다.
그리고, 우선 해당하는 W04팰릿를 실행한다(스텝1908). 즉, 도 18에 나타내는 팰릿함수에 모든 W04이송요소와 W04논리요소가 세트된 W04팰릿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표시해야 할 화면에 관한 데이터가 결정된다.
그리고, 송신기능을 실행한다(스텝1909). 즉, 데이터등이 세트된 화면을 송신한다(표시수단, 예컨대 CRT에 보낸다. ).
그 후, 수신기능을 실행한다(스텝1910). 즉, 데이터등이 입력된 화면을 수신한다(표시수단, 예컨대 CRT에서 받는다. ).
그리고, 수신 데이터가 정상인지 어떤지를 판단하여(스텝1911), 이상인 경우에는 처음부터 다시 한다. 즉, 규칙위반의 데이터등이 없는가를 판단한다.
다음에, 해당하는 W02팰릿를 실행한다(스텝1912). 즉, 도 18에 나타낸 팰릿함수에 모든 W02논리요소가 세트된 W02팰릿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등이 결정된다.
다음에, 처리경로가 결정된다(스텝1913,1914). 처리경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W02논리요소상의 처리경로 플래그(R=1∼5)에 의해서 판단된다.
처리경로 플래그가 R=1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W03팰릿(파일에의 등록을 따르지 않는 W03팰릿)를 실행한다(스텝 1915).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W03팰릿(94)의 라인을 실행한다. 그리고, 최초의 처리(스텝1901)로 되돌아간다. 즉, 처리경로 R=1은 데이터처리의 실행만을 하는 경로처리이다(도 9참조).
처리경로 플래그가 R=2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W03팰릿(파일에의 등록을 따르는 W03팰릿)를 실행한다(스텝1916).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WO3팰릿(95), WFL(96)의 라인을 실행한다. 그리고, 최초의 처리(스텝1901)로 되돌아간다. 처리경로 R=2는 데이터처리의 실행과 데이터의 파일에의 등록을 하는 경로처리이다(도 9참조).
처리경로 플래그가 R=3∼5인 경우에는, 그대로 최초의 처리(스텝190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처리경로 R=3은 그대로 W04팰릿(동일, 이종의 양쪽)로 되돌아가는 경로처리이다(도 9참조).
경로처리 R=4는 데이터를 그대로 파일에 등록하는 처리이다(도 10참조).
처리경로 R=5는 데이터를 그대로 파일로부터 집어내는 처리이다(도 11참조).
이상의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에 관한 소프트웨어는 작성된다. 여기서, 종래 방법을 도 21에 나타내고,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방법을 비교한다. 종래 방법의 스텝2101∼2103의 공정수와 본 발명방법의 스텝101∼104의 공정수를 비교하면 본 발명방법이 약1/5의 공정수가 되어, 종래 방법의 스텝2104∼2106의 공정수와 본 발명방법의 스텝105∼l07의 공정수를 비교하면 본 발명방법이 약1/10∼1/15의 공정수가 된다.
도 22에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의 개념적구조를 나타낸다.
즉 복수의 WO2팰릿(각 팰릿는 k개의 li,2, k개의 Li,2를 포함한다.), WO3팰릿(각팰릿는 k개의 li,3, k개의 Li,3를 포함한다.) 및 WO4팰릿(각 팰릿는 k개의 li,4, k개의 Li,4을 포함한다)를 각각 팰릿 함수(ФP)에 편성시키고, 이것을 팰릿연쇄함수(ФO)에 편성시킨 것이다. 즉,
TO= Ф0({ФP,{li,2,Ll,2}}k+ {ФP{li,3,Ll,3}}k
+ {ФP{li,4, Ll,4}}k)
가 성립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4는 기저정의체를 화면으로 하는 팰릿연속함수의 ФO의 팰릿에 나타나는 종래형 프로그램까지도 LYEE화하는 경우의 공간 모델의 구조를 나타낸다. 즉, 종래형 프로그램(복수)의 기저정의체를 파일로 하는 팰릿연쇄함수ФO(복수)에 의하여 T1로 치환되어, 그 프로그램이 출현한 ФO의 팰릿에서 다루어진 구조가 된다.
도 33은 종래 프로그램을 기저논리와 동등하게 취급하기 위한 프로그램, 즉 종래 프로그램을 LYEE화하기 위한 팰릿연쇄함수 Фl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3의 프로그램은 기저논리와 같이 팰릿함수에 편성된다.
지금까지의 소프트개발작업에서는 속인적능력에의 의존정도가 지극히 높고, 또한, 그것이 작업자 전원에게 요구되는 점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사고방법의 심층에 있는 의식작용을 인식작용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론적으로 파악하여, 그것을 개발 방법론화한 것으로, OS·미들·게임·제어·업무등 분야를 막론하고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도되는 소프트구조는 이론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부터, 재귀성이 있고, 또한, 유일하다. 그 결과,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블랙박스가 아니게 되며, 품질적으로는 인위적 오류가 배제되고, 구조가 선명하고 시스템이 강인하게 된다. 그 때문에, 견적도 보다 정확하게 낼 수가 있게 되고, 개발계획의 책정, 개발관리가 하기 쉽게 된다.
또한 종래와 비교하여 개발기간은 1/2∼1/4, 개발원가는 1/3∼1/5, 개발작업자의 생산성은 10∼15배, 개발 도큐먼트량은 1/15∼1/20이 되는 등 경이적이다. 또한 보수성은 50∼75배에 도달한다.
종래 방법에서는 보수작업의 생산성은 개발작업의 생산성의 10분의 1정도라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발작업의 생산성과 등가가 되기때문에, 개발작업자의 생산성의 10배의 생산성이 보수성의 생산성이라는 의미가 된다. 단지, 개발작업자의 생산성은 종래에서 말하는 작업공정, 즉, 요건정의, 기본설계, 상세설계, 프로그램작성, 검증의 전작업영역에 대한 생산비교치이기때문에, 보수작업의 작업성개념을 그 2분의 1의 범위에 적용하는 등의 경우의 값이다.

Claims (3)

  1. 생산하는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화면인 정의체식별자(定義體識別子)를 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정의체식별자에 존재하는 단어를 뽑아 내는 공정과,
    상기 정의체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모든 팰릿을 처리의 흐름에 따라 배치한 처리경로도를 작성하는 공정과,
    상기 뽑아낸 단어및 상기 작성한 처리경로도에 근거하여 필요한 파일를 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뽑아낸 모든 단어에 대하여, 화면편집 또는 파일편집을 하는 제1의 기저논리, 처리경로를 결정하는 제2의 기저논리및 파일갱신을 하는 제3의 기저논리를 작성하는 공정과,
    화면단위로 상기 제1∼제3의 기저논리를 각각 묶어 이루어지는 3종의 상기 팰릿을 작성함과 동시에, 각 팰릿내에서 각 기저논리를 자율적으로 유의성을 가지고 실행시키는 팰릿함수를 작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의 기저논리에 관한 팰릿함수에 근거하는 화면을 송신하고,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제2의 기저논리에 관한 팰릿함수를 실행하고, 이 실행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3의 기저논리에 관한 팰릿함수의 실행을 적어도 1개의 처리경로로 하는 복수의 처리경로로부터 1개의 처리경로를 결정하는 구조의 팰릿연쇄함수에, 상기의 3종의 팰릿함수를 편성해넣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의 생산방법.
  2. 생산하는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화면에 존재하는 모든 단어에 대하여 작성된, 화면편집 또는 파일편집을 행하는 제1의 기저논리, 처리경로를 결정하는 제2의 기저논리및 파일갱신을 행하는 제3의 기저논리를 갖는 제1의 수단과,
    화면단위로 상기 제1 내지 제3의 기저논리를 각각 묶어 이루어지는 3종의 각 팰릿내에서 각 기저논리를 각각 자율적으로 유의성을 가지고 실행시키는 제2의 수단과,
    상기 제1의 기저논리에 관한 제2의 수단의 실행에 근거하는 화면을 송신하고, 화면을 수신하고 상기 제2의 기저논리에 관한 제2의 수단을 실행하며, 이 실행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3의 기저논리에 관한 제2의 수단의 실행을 적어도 1개의 처리경로로 하는 복수의 처리경로로부터 1개의 처리경로를 결정하는 제3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3. 생산하는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화면에 존재하는 모든 단어에 대하여 작성된 화면편집 또는 파일편집을 하는 제1의 기저논리, 처리경로를 결정하는 제2의 기저논리및 파일갱신을 하는 제3의 기저논리를 갖는 제1의 수단과,
    화면단위로 상기 제1∼제3의 기저논리를 각각 묶어 이루어지는 3종의 각 팰릿내에서 각 기저논리를 각각 자율적으로 유의성을 가지고 실행시키는 제2의 수단과,
    상기 제1의 기저논리에 관한 제2의 수단의 실행에 근거하는 화면을 송신하여, 화면을 수신하고 상기 제2의 기저논리에 관한 제2의 수단을 실행하고, 이 실행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3의 기저논리에 관한 제2의 수단의 실행을 적어도 1개의 처리경로로 하는 복수의 처리경로로부터 1개의 처리경로를 결정하는 제3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19980703219A 1995-10-30 1996-10-30 소프트웨어의생산방법및처리장치 KR100303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81794 1995-10-30
JP28179495 1995-10-30
PCT/JP1996/003183 WO1997016784A1 (fr) 1995-10-30 1996-10-30 Procede de production de logiciels, processeur et support d'enregistr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258A KR19990067258A (ko) 1999-08-16
KR100303946B1 true KR100303946B1 (ko) 2001-11-22

Family

ID=1764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219A KR100303946B1 (ko) 1995-10-30 1996-10-30 소프트웨어의생산방법및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38268A (ko)
EP (1) EP0859313A4 (ko)
KR (1) KR100303946B1 (ko)
CA (1) CA2235924C (ko)
NZ (1) NZ321670A (ko)
WO (1) WO1997016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47916B1 (en) * 1996-10-30 2002-06-12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Institute Software producing method, processor,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6792594B1 (en) * 1998-03-20 2004-09-14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Institute Apparatus for producing software and method for producing software
JP2001005651A (ja) * 1999-06-21 2001-01-12 Institute Of Computer Based Software Methodology & Technology ソフトウェアの決定方法、ソフトウェアの使用方法、記録媒体、処理装置、ソフトウェアの保守方法、ソフトウェアの移植方法、ソフトウェアの管理方法、処理経路図の作成方法、パレット関数の作成方法、パレットの領域の決定方法、パレット連鎖関数の作成方法、位相要素の作成方法、論理要素の作成方法、作用要素の作成方法、ソフトウェアの実装方法、ソフトウェア開発方法、データ構造の置換方法、データ値の置換方法、従来型プログラムの分析方法、ソフトウェア開発管理方法、ソフトウェアの運用管理方法、並列コンピュータ及び判断補助装置
EP1320028A4 (en) * 2000-05-30 2005-05-11 Inst Comp Based Software PROCESSING METHOD USING SYNCHRONIZATION STRUCTURE OF INFORMATION PROCESSOR
AU2002224089A1 (en) * 2000-11-24 2002-06-03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Institute Software synchronous specifying method, validating method, verifying method, and testing method
US20030088858A1 (en) * 2001-11-07 2003-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osed-loop design methodology for matching customer requirements to software design
CA2493905A1 (en) * 2002-06-20 2003-12-31 Sudeep M. Kumar Electrochemiluminescence flow cell and flow cell components
AU2003272890A1 (en) * 2003-03-10 2004-09-30 Catena Corporation Static analysis method for lyee-oriented software
KR20060121880A (ko) * 2003-09-22 2006-11-29 카테나 가부시키가이샤 소프트웨어 생성방법
JP2005115498A (ja) * 2003-10-06 2005-04-28 Catena Corp ソフトウェア開発前処理方法、ソフトウェア制御方法、ソフトウェア開発方法並びにソフトウェア開発装置
US8250518B2 (en) * 2006-03-30 2012-08-21 Microsoft Corporation Per user file associations
EP2171577A1 (fr) * 2007-06-22 2010-04-07 Novolog Systeme et procede de generation automatique d'une application logicielle
US8898628B2 (en) 2011-09-23 2014-11-25 Ahmad RAZ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veloping softwar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741A (en) * 1988-10-17 1990-10-23 Ncr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an improved human user interface to a knowledge based system
JP2592955B2 (ja) * 1989-04-04 1997-03-19 株式会社東芝 プログラム自動生成装置
US5200888A (en) * 1989-06-14 1993-04-06 Atr Communication Systems Research Laboratories Method for automatically designing a program structure
US5233513A (en) * 1989-12-28 1993-08-03 Doyle William P Business modeling, software engineering and prototyping method and apparatus
JPH04137038A (ja) * 1990-09-27 1992-05-12 Business Syst Kenkyusho:Kk 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作成装置
JPH04142622A (ja) * 1990-10-04 1992-05-15 Oki Electric Ind Co Ltd プログラムジェネレータ
US5490232A (en) * 1990-10-25 1996-02-06 Daiwa House Industry Co., Ltd. Computer-aided thought process simulation design system
US5119475A (en) * 1991-03-13 1992-06-02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Object-oriented framework for menu definition
US5216592A (en) * 1991-04-25 1993-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usiness process automation
EP0525258A1 (en) * 1991-07-29 1993-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on of rules-based computer programs
JPH05324295A (ja) * 1991-09-12 1993-12-07 Fujitsu Ltd ソフトウエアの設計支援装置
JPH0588863A (ja) * 1991-09-27 1993-04-09 Kyoraku Co Ltd プログラム開発支援システム
JP3186117B2 (ja) * 1991-10-18 2001-07-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中心型ソフトウエア部品によるプログラム自動生成システム
EP0549112B1 (en) * 1991-12-26 1999-09-15 Institute Of Software Scientifical Constructions Computer system with programming architecture and method
US5568642A (en) * 1991-12-26 1996-10-22 Institute Of Software Scientifical Constructions Computer system with easy programming architecture and programming method therefor
US5485601A (en) * 1992-05-14 1996-01-16 Ching; Hugh Completely automated and self-generating software system
US5539862A (en) * 1992-12-08 1996-07-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he design of software system using a knowledge base
JPH06176122A (ja) * 1992-12-09 1994-06-24 Casio Comput Co Ltd 図形編集装置
JPH06332678A (ja) * 1993-05-18 1994-12-02 Software Kouchiku Kagaku Kenkyusho:Kk 特定業務用プログラムの製造方法
JP2771951B2 (ja) * 1994-11-10 1998-07-0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リアクティブ・システムのためのプログラム作成装置
US5530869A (en) * 1994-11-30 1996-06-25 Salle; Donald A.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d implementing commands without invoking a menu hierarch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35924C (en) 2001-11-13
CA2235924A1 (en) 1997-05-09
WO1997016784A1 (fr) 1997-05-09
NZ321670A (en) 1999-04-29
EP0859313A4 (en) 1999-01-13
US6138268A (en) 2000-10-24
KR19990067258A (ko) 1999-08-16
EP0859313A1 (en) 1998-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0857B (zh) 关系逻辑管理系统
KR100303946B1 (ko) 소프트웨어의생산방법및처리장치
Fleischmann et al. Whom to talk to? A stakeholder perspective on business process development
US20060015479A1 (en) Contextual navigation and action stacking
Evernden The information framework
Bessen The new Goliaths: How corporations use software to dominate industries, kill innovation, and undermine regulation
Cummins Building the agile enterprise: With capabilities, collaborations and values
Goedertier et al. EM-BrA2CE v0. 1: A vocabulary and execution model for declarative business process modeling
Hildebrandt et al. Decision modelling in timed dynamic condition response graphs with data
Op’t Land et al. Testing the Concept of the RUN-Time Adaptive Enterprise: Combining Organization and IT Agnostic Enterprise Models with Organization Implementation Variables and Low Code Technology
US6532586B1 (en) Software producing method, processor,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Min et al. IBRS: Intelligent bank reengineering system
JP3133343B2 (ja) ソフトウェアの生産方法、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Park Modeling of collaborative design processes for agent-assisted product design
Ichiishi et al. Cooperative interim contract and re-contract: Chandler's M-form firm
Cai et al. Cooperation and contract design in project management with outsourcing
Köpke et al. Measuring the Effects of Confidants on Privacy in Smart Contracts
Wang Requirements modeling: from natural language to conceptual models using recursive object model (ROM) analysis
Lian et al. Flexible coordinator design for modeling resource sharing in multi-agent systems
Costantino et al. Transition from work-as-imagined to work-as-done processes through semantics: An application to industrial resilience analysis
Lehmann Data access in workflow management systems
Liegl et al. A UML profile and add-in for UN/CEFACT's modeling methodology
Gladyshev et al. Dynamics of Causal Dependencies in Multi-agent Settings
US20150277736A1 (en) Method to configure, control, and display data products from a user interface
El Gohary et al. Achieving ontology interoperability using formal concept analysis: an approach to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