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879B1 - 액체연료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연료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879B1
KR100303879B1 KR1019940025514A KR19940025514A KR100303879B1 KR 100303879 B1 KR100303879 B1 KR 100303879B1 KR 1019940025514 A KR1019940025514 A KR 1019940025514A KR 19940025514 A KR19940025514 A KR 19940025514A KR 100303879 B1 KR100303879 B1 KR 10030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head
cylinder
ceiling
flame hol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757A (ko
Inventor
구와꼬시게루
이라이다까오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riority to KR1019940025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879B1/ko
Publication of KR96001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879B1/ko

Links

Landscapes

  • Spray-Type Burn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액체연료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과제
각 화염구멍에 형성되는 화염의 균일화를 도모하면서 역화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하고 더구나 버어너헤드의 내부구조를 복잡화시키지 않는 액체연료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발명의 겨결방법의 요지.
버어너헤드(29)의 각 화염구멍으로부터는 다수의 작은구멍(36),(37)을 통과하므로서 균일화된 혼합가스를 분출시켜서 버어너헤드(29)의 전체원주에 걸쳐서 안정된 균일한 화염을 형성하고 연소소음이 작은 양호한 연소를 행할수가 있음과 동시에 고칼로리형의 것이라도 버어너헤드에 내장한 하나의 혼합정류통에 의해 역화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고 버어너헤드의 내부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일이없이 구조가 단순하고 더구나 강연소로부터 약연소까지 안정된 연소상태를 얻을수가있고 또한 혼합가스가 버어너헤드(29)나 혼합정류통의 내부에서 액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버어너헤드(29)내부에서의 타르의 축적을 억제할 수가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석유팬히이터등에 사용되는 석유기화식의 액체연료연소장치이다.

Description

액체연료 연소장치
제1도는 본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액체연료연소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제2도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3도는 액체연료연소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혼합정류통의 평면도.
제5도는 혼합정류통의 반단면측면도.
제6도는 버어너헤드의 반단면측면도.
제7도는 종래예의 주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화통 11 : 공기도입구
20 : 연료노즐 25 : 스로틀판
25A : 스로틀통로 29 : 버어너헤드
29B : 버어너헤드의 원주벽부 30 : 화염구멍
33 : 혼합정류통 34 :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
34A : 천정면부 35 : 환상평면부
36,37 : 작은구멍 a : 상단화염구멍열
b : 하단화염구멍열
본발명은 주로 석유팬히이터등에 사용되는 석유기화식의 액체연료연소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이런종류의 액체연료연소장치는 제7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이 원주벽부에 기화용전기히이터(1)이 매설됨과 동시에 원주벽부의 일부에 공기도입구(2) 및 연료노즐(3)을 설치한 저면이있는 통형상의 기화통(4)와 이 기화통(4)의 상부개방구에 장착되고 혼합가스가 분출되는 복수의 화염구멍(5)(5)를 상하 복수단으로 분할해서 원주벽(6A)에 설치한 원통형의 버어너헤드(6)과 기화통(4)내에서 기화예비혼합된 혼합가스를 증앙부에 설치한 스로틀통로(7A)를 퉁해서 버어너헤드(6)내로 도입하는 스로틀판(7)과를 구비하고 있고 그리고 스로틀판(7)상에 탑재된 버어너헤드(6)의 저면벽(6B)에는 스로틀판(7)의 스로틀롱로(7A)를 통과한 혼합가스를 버어너헤드(6)내로 도입하기위한 다수의 통기구멍(8)(8)을 천설하고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액체연료연소 장치에 있어서는 연료노즐(3)으로부터 분출한 등유등의 액체연료는 기화용전기히이터(1)혹은 연소열로서 고온으로 가열된 기화통(4)의 내부벽면에 접촉되어 기화되고 이 기화가스는 공기도입구(2)로부터 기화통(4)내로 보내진 1차공기와 기화통(4)내에서 예비혼합되어 이 혼합가스는 스로틀판(7)의 스로틀통로(7A) 및 버어너헤드(6)의 저면벽(6B)의 통기구멍(8)(8)을 통해서 버어너헤드(6)내로 유입한후 각 화염구멍(5)(5)로터 분출해서 연소한다.
그런데 기화통(4)의 원주벽부의 일부에 공기도입구(2)를 설치한 액체연료 연소장치에서는 공기도입구(2)로부터 기화통(4)내로 주입된 공기는 기화통(4)의 내부벽면에 따라서 선회상으로 흘러서 기화가스와 혼합되고 그리고 공기도입구(2)로부터 떨어진곳에 도달하면 거기서부터 스로틀판(7)의 스로틀통로(7A)로 향해서 흐르고 그 스로틀통로(7A)를 통과한다. 여기서 스로틀통로(7A)에 유입되는 혼합가스의 공기량은 제7도의 화살표 (가) 와 (나)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공기도입구(2)와 대향하는측이 많고 공기도입구(2)측이 적은 경향이있고 그때문에 공기도입구(2)와 대향하는측의 화염구멍(5)로부터는 리프팅하기쉬운 공기량과잉의 혼합가스가 분출되기쉽고 공기도입구(2)측의 화염구멍(5)로부터는 적화가되기 쉬운 공기량부족의 혼합가스가 분출되기쉽다.
이와같이 버어너헤드의 화염구멍에 형성되는 화염이 불균일하면 연소소음이 증가하거나 탄산가스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그때문에 종래의 액체연료연소장치는 제7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이 버어너헤드(6)의 저면벽(6B)에 다수의 통기구멍(8)(8)을 천설해서 화염의 안정 균일화를 도모하고 있었다.
또 버어너헤드의 저면벽에 스로틀통로를 형성한것(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61-9230호 공보)에서는 스로틀통로를 덮도록 버어너헤드 내의 하부에 다수의 작은 구멍을 뚫은 균압판을 설치하든가 해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었다.
또 근년에는 혼합가스가 분출하는 화염구멍을 약 3∼5mm의 적은 구멍으로 해서 버어너헤드의 원주벽에 화염구멍을 상하복수단으로 분할해서 설치하므로서 연소량이 큰 강연소로부터 극히 연소량이 작은 약연소까지의 광범위에 걸쳐서 리프팅현상이나 화염구멍철망의 열파손의 문제를 해결하여 넓은 범위에서 연소조절이 행해질수 있도록 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액체연료연소 장치에 있어서 최대연소량을 약 4000Kcal/h정도의 고칼로리형으로 한경우 최대발열량이 약 2500Kcal/h 정도의 저칼로리형의 것보다도 화염구멍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생겨 버어너헤드의 높이를 종래보다도 높게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높이를 높게한만큼 버어너헤드내의 공간이 넓어진다.
그때문에 화혁을 줄여서 약연소시킨 경우에 버어너헤드 내의 상부중앙 부근에 혼합가스의 정체가 생기고, 이 정체가 원인이 되어서 역화가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이와같은 역화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버어너헤드내에 각종의 내장물을 조립하므로서 해소할수 있으나 그 경우 버어너헤드 내부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부품수나 작업공정수가 증가하여 대폭적인 가격상승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화염구멍에 형성되는 화염의 균일화를 도모하면서 역화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하고 더구나 버어너헤드의 내부구조를 복잡화시키지 않는 액체연료연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허청구범위 1기재의 발명에서는 원주벽부에 공기도입구 및 연료노즐을 설치한 기화통과, 이 기화통의 상부에 장착되고 혼합가스가 분출하는 화염구멍을 상하복수단으로 분할해서 원주벽에 설치한 원통상의 버어너헤드와, 기화통내의 혼합가스를 중앙부에 설치한 스로틀 통로를 통해서 버어너헤드내로 도입하는 스로틀부와, 이 스로틀부의 스로틀 통로를 덮도록 버어너 헤드 내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천정을갖는 통형상부를 가짐과 동시에 하부외부 원주에 환상평면부를 갖는 대략 볼록한형상의 혼합정류통를 구비하고, 이 혼합정류통에는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의 천정면부과 환상평면부의 각각에 다수의 작은구멍이 형성되어있는 구성이다.
특허청구범위 2에 기재된 본발명은 원주벽부에 공기도입구 및 연료노즐을 설치한 기화통과, 이 기화통의 상부에 장착되고 혼합가스가 분출하는 화염구멍을 상하 복수단으로 분할해서 원주벽에 설치한 원통상의 버어너헤드와, 기화통내의 혼합가스를 중앙부에 설치한 스로틀통로를 통해서 버어너헤드내로 도입하는 스로틀부와 이 스로틀부의 스로틀통로를 덮도록 버어너헤드내에 설치되고 증앙부에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를 가짐과동시에 하부외부원주에 환상평면부를 갖는 대략 볼록한형상의 혼합정류통를 구비하고 이 혼합정류통에는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의 천정면부과 환상평면부의 각각에 다수의 적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천정을 갖는 통부의 천정면의 높이가 버어너헤드의 최상단의 화염구멍열과 대략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게설정되고 또한 환상평면부의 높이가 버어너헤드의 최하단의 화염구멍열 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기화통으로부터의 혼합가스는 스로틀부의 스로틀통로를 통과해서 버어너헤드내에 배치된 대략 볼록한형상의 혼합정류통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혼합정류통내로 유입된 혼합가스의 일부는 환상평면부에 설치된 다수의 작은구멍을 통해서 하단의 화염구멍으로 향해서 흐르고 하단의 화염구멍으로부터 분출하여 연소하고 잔여혼합가스는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내를 상승하여 그 천정면부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구멍을 통해서 상단의 화염구멍을 향해서 흐르고 상단의 화염구멍으로부터 분출해서 연소한다.
여기서 상단의 각 화염구멍과 하단의 각 화염구멍에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통과하므로서 균일화된 혼합가스가 흐르기 때문에 각 화염구멍에는 버어너헤드의 전체원주에 걸쳐서 안정된 균일한 화염이 형성된다.
또 버어너헤드내에 대략 볼록한형상의 혼합정류통을 배치하고 이 혼합정류 통의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의 천정면부에 혼합가스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형성한것 때문에 버어너헤드의 높이를 비교적높게 설정한 경우에도 버어너헤드내에는 혼합가스의 정체가 생기는 곳이 없게되어 연소량을 극히 작은 약연소로 조절해도 역화가 생기지 않게 된다.
또 버어너헤드내에는 한부품의 혼합정류통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화염의 균일화를 도모할수 있음과 동시에 역화의 발생이 방지되고 버어너헤드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게 되지 않도록 할수있다.
특허청구범위 2에기재된 본발명의 액체연료연소 장치에 있어서는 혼합정류통에 있어서의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의 천정면부의 높이가 버어너헤드의 최상단의 화염구멍열과 대략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게 설정되고 또한 환상평면부의 높이가 버어너헤드의 최하단의 화염구멍열 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천정평면부에 형성된 작은 구멍을 통해서 혼합가스를 최하단의 화염구멍열의 화염구멍에 원활하게 흐르게 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의 천정면부을 연소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버어너헤드의 천정판부에 접근 시킬수가 있고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내를 상승하는 때에 온도강하한 혼합가스의 온도를 재차 상승시켜서 혼합가스를 버어너헤드의 내부에서 액화되지 않도록 할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의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0)은 상부를 개방한 알루미늄다이케스팅제로서 저면이 있는 원통형상의 기화통이며 이 기화통(10)은 내열성이 우수한 Al-Mn 계의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작되어있고 이 기화통(10)의 원주벽부의 일부에는 그 원주벽부의 접선방향을 향해서 개방된 공기도입구(11)을 형성하고 있다.
(12)는 기화통(10)의 원주벽상부에 매설된 시이즈히이터등의 기화용전기히 이터, (13)은 일단부가 기화통(10)의 공기도입구(11)에 접속된 1차공기통이며 이 1차공기통(13)의 타단부는 전동기(14)로 구동되는 공기공급팬(15)를 내장시킨 송풍기(16)의 케이스(17)에 접속되어 있다.
(18)은 기화통(10)의 외부원주에 설치된 저면이있는 통형상의 버어너케이스, (19)는 버어너케이스(18)와 기화통(10)과의 사이의 공간(X)에 연소2차공기를 송출하는 2차공기관으로서 이 2차공기관(19)는 1차공기통(13)과 마찬가지로 송풍기(16)의 케이스(17)에 접속되어 있다.
(20)은 공기도입구(11) 및 1차공기통(13)의 일단부내에 그들과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주사침형상의 연료노즐이며 이 연료노즐(20)은 그 선단분출구(20A)를 기화통(10)의 내부에 임하게해서 등유등의 액체연료를 기화통(10)내부에 분출시키는것으로서 타단부는 연료공급관(21)및 전자펌프등의 연료펌프(22)를 거쳐서 연료탱크(23)내로 연달아 통하고 있다. (24)는 연료탱크(23)에 액체연료를 보급하는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로운 카아트리지탱크이다.
(25)는 상기한 기화통(10)의 상부개방구에 끼워맞추어 장착한 알루미늄다이캐스팅제의 스로틀판이며 이 스로틀판(25)는 기화통(10)과 마찬가지로 내열성이 우수한 Al-Mn 계의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작되어 있고 이 스로틀판(25)의 중앙부에는 스로틀통로(25A)를 형성하는 원통부(26)이 일체로 늘어져 형성되고 또 외부원주부의 상면측에는 환상 볼록한부(27)을 일체로 세워설치 하고 있다. (28)은 스로틀판(25)의 원통부(26)의 바로아래에 배치된 원판상의 방해판이며 원통부(26)과는 간격을 두고 있다.
(29)는 상기한 기화통(10)의 상부에 장착된 천정이 있는 원통형상의 버어너헤드이며 이 버어너헤드(29)는 내열스테인레스강판의 드로잉가공에 의해 천정판부(29A)와 원주벽부(29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고 또한 그 원주벽부(29B)에는 혼합가스를 분출시키는 다수의 화염구멍(30)(3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다수의 화염구멍(30)(30)에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하 3단으로 분할해서 버어너헤드(29)의 원주벽부(29B)에 형성되어있고 그리고 이 각화염구멍열(a),(b),(c)의 각 화염구멍(30)(30)은 직경이 약 5mm의 적은 둥근구멍으로 형성되어있다. (31)은 하단 화염구멍열(c)의 화염구멍(30)보다도 아래쪽위치에 형성한 1개의 점화용 화염구멍이며 이 점화용화염구멍(31)은 상기한 각 화염구멍(30)보다도 작은 둥근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32)(32)는 상기한 버어너헤드(29)의 원주벽부(29B)의 내외양면에 밀착시켜서 설치한 화염구멍철망이다.
(33)은 상기한 스로틀판(25)의 스로틀통로(25A)를 위로부터 덮도록 버어너헤드(29)내에 재치한 혼합정류통이며 이 혼합정류통(33)은 내열 스테인레스강판의 드로잉가공에 의해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정류통(33)은 그 중앙부에 설치된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의 천정면부(34A)와 하부외부원주에 형성된 환상평면부(35)와에 각각 직경이 약 2mm 로 설정된 다수의 작은구멍(36)(36)(37)(37)을 형성하고 있고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의 원주벽부(34B)는 구멍이 없는 벽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혼합정류통(33)의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는 스로틀판(25)의 스로틀통로(25A)의 직경보다도 큰직경으로 되어 있고 천정면부(34A)의 높이는 버어너헤드(29)의 상단화염구멍열(a)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고 환상평면부(35)의 높이는 버어너헤드(29)의 하단화염구멍열(c)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스로틀판(25), 버어너헤드(29) 및 혼합정류통(33)은 복수의 부착나사(3B)로 기화통(10)에 고정되어 있다.
(37)는 버어너헤드(29)의 외부원주에 배치된 연소링이며 이 연소링(39)는 내열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고 기화통(10)의 상단부에 탑재되어서 나사(도시생략)로 조여져 있다. 또 버어너헤드(29)의 원주벽부(29B)에 대향하는 연소링(39)의 환상벽(39A)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세로슬릿(40)(40)을 형성하고 있다.
(41)은 화염(F)의 유무를 검출함과 동시에 산소농도를 검출하는 프레임로드, (42)는 점화로드이며 이 점화로드(42)의 선단방전 부분은 상기한 점화용화염구멍(31)에 대향시키고 있다. (43)은 연소통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가화용전기히이터(12)에의 통전에 의해 기화통(10)이 액체연료의 기화가능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송풍기(16)과 연료펌프(22)가 작동하고 연료공급관(21)을 거처서 연료노즐(20)으로부터 액체연료가 또 1차공기통(13)을 거처서 공기도입구(11)로부터 연소용 1차공기가 각각 기화통(10)내로 공급된다.
여기서 기화통(10)내로 공급된 연료는 기화통(10)의 내벽면에 접촉하여 기화되고 이 기화가스는 1차공기와 혼합되어서 혼합가스가 되고 이 혼합가스는 스로틀판(25)의 스로틀통로(25A)를 통해서 혼합정류통(33)내로 유입된다.
이 혼합정류통(33)내로 유입된 혼합가스는 그 일부가 환상평면부(35)의 다수의 작은구멍(37)(37)을 통해서 하단 화염구멍열(c)의 화염구멍(30)및 중단화염구멍열(d)의 화염구멍(30)을 향해서 흐르고 이들 각 화염구멍(30)(30)으로부터 분출하고 나머지는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내를 상승하여 이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내에서 혼합이 촉진되면서 천정면부(34A)로 향하고 이 천정면부(34A)의 다수의 작은구멍(36)(36)을 통과한다. 이 작은구멍(36)(36)을 통과한 혼합가스는 버어너헤드(29)의 천정판부(29A)의 하면을 따라 흐르고 상단화염구멍열(a)의 각 화염구멍(30) 및 중단화염구멍열(b)의 각 화염구멍(30)으로 향하고 그들 화염구멍(30)으로부터 분출한다. 이와같이해서 각 화염구멍(30)으로부터 분출한 혼합가스는 점화로드(42)의 스파아크로 착화되고 화염(F)를 형성해서 연소를 개시한다.
1차공기관(19)를 거쳐서 버어너케이스(18)내의 공간(X)로 보내진 1차공기는 그 공간(X)를 상승하여 연소링(39)의 외부 원주 가까이로 흐르고 화염(F)에 공급되어 1차연소를 촉진시킨다. 그 후 화염(F)의 열이 연소링(39)를 거쳐서 혹은 직접 기화통(10)으로 회수되고 이 회수열에 의해 기화통(10)이 기화부의 온도가 액체연료의 기화 가능 온도로 유지되도록 되면 기화용 전기히이터(12)에의 통전은 정지되지만 연소는 계속해서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로틀판(25)의 스로틀통로(25A)를 덮도록 버어너헤드(29)내로 대략 볼록한 형상의 혼합정류통(33)을 배치하고 이 혼합정류통(33)에는 중앙부에 설치된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의 천정면부(34A)와 하부 외부 원주의 환상평면부(35)와에 직경이 약2mm의 다수의 작은구멍(36), (36), (37), (37)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 3단으로 분할해서 버어터\너(29)의 원주벽부(29B)에 형성된 각 화염구멍열(a),(b),(c)의 각 화염구멍(30)(30)에는 천정부(34A)와 환상평면부(35)의 다수의 적은구멍(36),(36),(37),(37)을 통과하므로서 균일화된 혼합가스가 흐르기 때문에 강연소로부터 약연소까지의 광범위에 걸쳐 버어너헤드(29)의 전체원주에 안정되고 균일한 화염(F)가 형성되고 연소소음을 억제할수 있음과 동시에 탄산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다.
버어너헤드(29)내에 배치된 혼합정류통(33)의 형상을 측면으로 보아서 대략 볼록한 형상으로 하고 이 혼합정류통(33)의 중앙부에 설치된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의 천정면부(34A)에 혼합가스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작은구멍(36)을 형성하므로서 버어너헤드(27)의 높이를 높게해서 최대연소량이 4000Kcal/h의 고칼로리형으로한 경우에도 천정면부(34A)의 다수의 작은구멍(36)의 작용으로 혼합가스를 버어너헤드(29)의 천정판부(29A)의 하면근방으로 흐르게 할수가 있고 그 결과 버어너헤드(29)내에는 혼합가스의 정체가 생기는 곳이 없어지고 연소량을 약 700Kcal/h의 극히 작은 약연소로 조절해도 역화가 생기지 않게 할수있어 연소조절 폭을 약 4000Kcal/h로부터 약 700Kcal/h 까지의 광범위로 할 수가 있다.
또 버어너헤드(29)내에는 한부품인 혼합정류통(33)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화염의 균일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역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버어너헤드(29)의 내부구조가 복잡하게 되지 않고 가격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혼합정류통(33)은 천정을갖는통형상부(34)의 천정면부(347)의 높이가 버어너헤드(29)의 상단화염구멍열(a)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고 환상평면부(35)의 높이가 버어너헤드(29)의 하단화염구멍열(c) 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환상평면부(35)에 형성된 작은구멍(37)을 통해서 혼합가스를 하단화염구멍열(c)및 중단화염구멍열(b)의 각 화염구멍(30)으로 원활하게 흐르게 할수 있는 것은 물론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의 천정면부(34A)를 연소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시키는 버어너헤드(29)의 천정판부(29A)에 접근 시킬수가 있고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내를 상승하는 때에 온도강하한 혼합가스의 온도를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의 천정면부(34A)및 버어너헤드(29)의 천정판부(29A)로 재상승 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때문에 혼합가스가 버어너헤드(29)나 혼합정류통(33)의 내부에서 액화할 염려가 없고 버어너헤드(29)내부에서의 타르의 축적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혼합정류통(33)에 있어서의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의 천정면부(34A)의 높이를 버어너헤드(29)의 상단화염구멍열(a)와 대략 동일하게했으나 상단화염구멍열(a)보다도 높게 설정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액체연료연소장치에 의하면 버어너헤드의 각 화염구멍으로부터는 다수의 작은구멍을 통과하므로서 균일화된 혼합가스를 분출시켜서 버어너헤드의 전체원주에 걸쳐서 안정된 균일한 화염을 형성하고 연소소음이 적은 양호한 연소를 행할수가 있음과 동시에 고칼로리형의 것이라도 버어너헤드에 내장한 하나의 혼합정류통에 의해 역화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고 버어너헤드의 내부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이 구조가 단순하고 더구나 강연소로부터 약연소까지 안정된 연소상태를 얻을 수가 있다. 특허청구범위 2에 기재된 액체연료 연소장치에 의하면 혼합가스가 버어너헤드나 혼합정류통의 내부에서 액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버어너헤드 내부에서의 타르의 축적을 억제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원주벽부에 공기도입구(11) 및 연료노즐(20)을 설치한 기화통(10)과, 이 기화통(10)의 상부에 장착되고, 혼합가스가 분출하는 화염구멍(30) 을 상하복 수단으로 분할해서 원주벽에 설치한 원통상의 버어너헤드(29)와, 기화통(10)내의 혼합가스를 중앙부에 설치한 스로틀통로(25A)를 통해서 버어너헤드내(29)로 도입하는 스로틀부(25)와, 이 스로틀부(25)의 스로틀통로(25A)를 덮도록 버어너헤드(29)내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를 가짐과 동시에 하부외부 원주에 환상평면부(35)를 갖는 대략 볼록한 형상의 혼합정류통(33)과를 구비하고, 이 혼합정류통(33)에는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의 천정면부(34A)와 환상평면부(35)의 각각에 다수의 작은구멍(36)(3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연소장치.
  2. 원주벽부에 공기도입구(11) 및 연료노즐(20)을 설치한 기화통(10)과, 이 기화통(10)의 상부에 장착되고 혼합가스가 분출하는 화염구멍(30)을 상하 복수단으로 분할해서 원주벽에 설치한 원통상의 버어너헤드(29)와, 기화통(10)내의 혼합가스를 중앙부에 설치한 스로틀통로(25A)를 통해서 버어너헤드(29)내로 도입하는 스로틀부(25)와, 이 스로틀부(25)의 스로틀통로(25A)를 덮도록 버어너헤드(29)내에 설치되고 증앙부에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를 가짐과 동시에 하부외부 원주에 판상평면부(35)를 갖는 대략 볼록한 형상의 혼합정류통(33)를 구비하고, 이 혼합정류통(33)에는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의 천정면부(34A)와 환상평면부(35)의 각각에 다수의 작은구멍(36),(37)이 형성되어있고 상기한 천정을 갖는 통형상부(34)의 천정면부(34A)의 높이가 버어너헤드(29)의 최상단의 화염구멍열(a)과 대략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게 설정되고, 또한 환상평면부(35)의 높이가 버어너헤드(29)의 최하단의 화염구멍열(c)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연소장치.
KR1019940025514A 1994-10-06 1994-10-06 액체연료연소장치 KR10030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514A KR100303879B1 (ko) 1994-10-06 1994-10-06 액체연료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514A KR100303879B1 (ko) 1994-10-06 1994-10-06 액체연료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757A KR960014757A (ko) 1996-05-22
KR100303879B1 true KR100303879B1 (ko) 2001-12-01

Family

ID=6676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514A KR100303879B1 (ko) 1994-10-06 1994-10-06 액체연료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8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757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273B2 (en) Premixed fuel burner assembly
KR100303879B1 (ko) 액체연료연소장치
JPS63238319A (ja) 輻射炉用バ−ナ
GB2053447A (en) Blue flame burner
JP3037078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0135816Y1 (ko) 고화력 버너
KR200162667Y1 (ko) 석유 연소기 버너링
US20210254860A1 (en) ULTRA-LOW NOx BURNER
JPH08135927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200141450Y1 (ko) 나선형 분사방식의 고화력 버너
US3855993A (en) Radiating tube burner
JP4085047B2 (ja) ガスコンロ
JP3086524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5233497A (ja) ガスコンロ
KR100249225B1 (ko) 석유 연소기의 화염 활성화장치
JP3081283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H08135926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GB2096761A (en) Blue flame oil burner
JPS63243615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CA2423551C (en) Chimney mount for heater
KR100271363B1 (ko) 연소기기
JPS629110A (ja) 燃焼器
JPH06265113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S61153406A (ja) 燃焼装置
KR19980011768U (ko) 기화식 석유팬히터의 분사니들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