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652B1 - 스캐닝램프밝기제어방법및그장치 - Google Patents

스캐닝램프밝기제어방법및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652B1
KR100303652B1 KR1019980044630A KR19980044630A KR100303652B1 KR 100303652 B1 KR100303652 B1 KR 100303652B1 KR 1019980044630 A KR1019980044630 A KR 1019980044630A KR 19980044630 A KR19980044630 A KR 19980044630A KR 100303652 B1 KR100303652 B1 KR 10030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amp
current
switching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6889A (ko
Inventor
김장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652B1/ko
Publication of KR20000026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열신호와 점등신호에 의해 예열 및 점등상태가 제어되며, 기 설정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발진전압을 이용하여 예열동작을 수행하는 스캐닝램프를 포함하는 스캐너에 있어서: 예열신호에 따라 직류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를 통하여 공급된 직류전압을 기 설정된 소정주파수로 발진하는 발진회로와; 발진회로에서 발진된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발진회로에서 발진된 소정주파수의 발진전압을 스캐닝램프에서 요구하는 전압레벨로 승압하는 승압회로와;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승압회로에 흐르는 전류량을 가변하는 전류제어부와; 점등신호에 따라 전류제어부에 의해 전류량이 제어된 램프전압이 스캐닝램프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여 스캐닝램프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캐닝램프에 제공되는 발진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 오차량에 대응하여 전류량을 가변함으로써, 스캐닝램프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스캐닝램프의 온-오프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스캐닝램프의 밝기값이 가변되는 경우에도 스캐닝램프에서 방사되는 광의 휘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안정된 스캐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스캐닝램프 밝기제어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스캐닝램프 밝기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캐닝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함으로써, 스캐닝램프의 밝기값을 주변환경(예컨대, 스캐닝램프의 수명 등)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스캐닝램프 밝기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캐너는 원고면에 광을 주사하고 반사되는 광량의 차를 이용하여 기록된 화상정보를 획득하도록 한 장치로서, 최근 사무자동화(OA: Office Automation)의 급격한 발전에 힘입어 많은 사무자동화기기에 부가적인 요소로 사용되거나 독립적인 단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스캐너는 원고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량의 차를 이용하여 기록된 화상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스캐닝램프에서 방사되는 광량이 항상 일정한 밝기값을 유지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스캐닝램프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의 스캐닝램프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상세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램프(101)의 예열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직류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02)와, 스위칭부(102)에서 스위칭된 직류전압을 고주파(20∼50㎑)로 발진하는 발진회로(103)와, 발진회로(103)에 의해 발진된 직류전압을 램프(101)에서 요구하는 교류전압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소정레벨로 승압시키는 승압회로(104)와, 승압회로(104)에 의해 승압된 교류전압의 전류량을 제한하는 전류제한부(105)와, 승압회로(104)에서 발생한 승압전압이 램프(101)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칭부(106)와, 전원스위칭부(106)에 의해 스위칭되고 전류제한부(105)에 의해 제한된 전류량을 갖는 교류전압을 인가받아 광을 발생하는 램프(101)로 구성된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스캐닝램프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중앙처리장치 등과 같은 제어장치로부터 "로우" 엑티브상태의 예열신호(PREHEAT_L)가 공급되면, 스위칭부(102)내의 PNP형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직류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압(+DC)은 발진회로(103)내에 구성된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 Q3)의 베이스단자에 유기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 Q3)는 턴-온되고, 직류전압(+DC)은 승압회로(104)내에 구성된 쵸크코일(L1)과 한 쌍의 1차측 권선(NP1, NP2)을 통하여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 Q3)의 컬렉터단자에 공급된다.
이때, 승압회로(104)내에 구성된 한 쌍의 1차측 권선(NP1, NP2)과 발진회로(103)내에 구성된 공진커패시터(C1) 사이에는 20∼50㎑의 주파수를 갖는 공진전류가 흐른다. 이 공진전류에 의해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 Q3)의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에는 공진전압파형이 인가된다. 이 공진전압파형은 3차측 권선(NF)에도 권선비에 대응하는 전압이 유기되는데, 공진전압파형이 플러스(+)인 구간에서는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 Q3) 중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소정전압이 공급되어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고, 공진전압파형이 마이너스(-)인 구간에서는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 Q3) 중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에 소정전압이 공급되어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며, 공진전압파형이 "0"인 구간에서는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 Q3)는 모두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 Q3)가 교대로 온-오프함에 따라 발진회로(103)의 각 권선(NP1, NP2, NH, HS, HF)에는 고주파 전압이 발생하고, 2차측 권선(NH)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전압에 의해 형광등의 전극이 예열된다.
이후, 제어장치(예컨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점등신호(LAMPON_L)가 인가되면, 전원스위칭부(106)내의 PNP형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4)는 턴-온되고, 이에 따라 2차측 권선(NS)에서 출력된 고주파 공진전압이 램프(101)의 양단에 공급되면서 램프(101)는 방전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스캐닝램프 제어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스캐닝램프를 장시간 사용한 경우 스캐닝램프의 휘도가 감소하고, 스캐닝램프의 온-오프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스캐닝램프의 수명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원고를 스캐닝할 때 획득된 화상이 어둡게 표시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런데, 스캐닝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획득된 화상의 왜곡에 대해서 보정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캐닝램프에 제공되는 발진전압의 레벨과 기 설정된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그 오차량에 대응하여 전류량을 가변함으로써, 스캐닝램프에서 방사되는 광의 휘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스캐닝램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캐닝램프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스캐닝램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캐닝램프 제어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램프 밝기제어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세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램프 202: 스위칭부
203: 발진회로 204: 비교부
205: 승압회로 206: 전류제어부
207: 전류제한부 208: 전원스위칭부
Q11, Q12, Q13, Q14, Q15: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COMP11: 비교기 C11: 공진커패시터
L11: 쵸크코일 T: 트랜스포머
NP1, NP2: 1차측 권선 NH, NS: 2차측 권선
NF: 3차측 권선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예열신호와 점등신호에 의해 예열 및 점등상태가 제어되며, 기 설정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발진전압을 이용하여 예열동작을 수행하는 스캐닝램프를 포함하는 스캐너에 있어서: 램프에 제공되는 발진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에 대응하는 전류량을 스캐닝램프에 제공되는 기준전류량으로부터 가감함으로써, 스캐닝램프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제어하도록 한 점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예열신호와 점등신호에 의해 예열 및 점등상태가 제어되며, 기 설정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발진전압을 이용하여 예열동작을 수행하는 스캐닝램프를 포함하는 스캐너에 있어서: 예열신호에 따라 직류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를 통하여 공급된 직류전압을 기 설정된 소정주파수로 발진하는 발진회로와; 발진회로에서 발진된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발진회로에서 발진된 소정주파수의 발진전압을 스캐닝램프에서 요구하는 전압레벨로 승압하는 승압회로와;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승압회로에 흐르는 전류량을 가변하는 전류제어부와; 점등신호에 따라 전류제어부에 의해 전류량이 제어된 램프전압이 스캐닝램프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여 스캐닝램프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점에 있다.
여기서, 스위칭부는 "로우" 액티브상태의 예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이 발진회로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PN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발진회로는 공통 이미터단자를 갖는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와; 공진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는 각각 승압회로에서 제공되며 위상이 0° 및 180°의 스위칭전압을 공급받아 번갈아 온-오프된다.
또한, 비교부는 발진회로내에 구성된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의 공통 이미터단자에 걸리는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공통 이미터단자에 걸리는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 사이의 전압차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류제어부는 비교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승압회로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승압회로는 전류제어부에 의해 전류량이 제어되는 쵸크코일 및 한 쌍의 1차측 권선과; 권선비에 따라 한 쌍의 1차측 권선으로부터 유기된 전압을 소정레벨로 승압시키는 2차측 권선과; 1차측 권선으로부터 유기된 전압을 발진회로내에 구성된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제공하여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를 번갈아 스위칭하는 3차측 권선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류제한부는 2차측 권선으로 유기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량을 일정비율로 제한하여 스캐닝램프에 공급한다.
또한, 전원스위칭부는 "로우" 액티브상태의 점등신호를 인가받아 2차측 권선에 유기된 전압을 램프에 제공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블록 혹은 회로의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제거되거나 변형되더라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램프 밝기제어장치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상세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램프(201)의 예열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직류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202)와, 스위칭부(202)에서 스위칭된 직류전압을 고주파(20∼50㎑)로 발진하는 발진회로(203)와, 발진회로(203)에 의해 발진된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204)와, 비교부(204)의 비교결과에 따라 승압회로(205)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전류제어부(206)와, 발진회로(203)에 의해 발진된 직류전압을 램프(201)에서 요구하는 교류전압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소정레벨로 승압시키는 승압회로(205)와, 승압회로(205)에 의해 승압된 교류전압의 전류량을 제한하는 전류제한부(207)와, 승압회로(205)에서 발생한 승압전압이 램프(201)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칭부(208)와, 전원스위칭부(208)에 의해 스위칭되고 전류제한부(207)에 의해 제한된 전류량을 갖는 교류전압을 인가받아 광을 발생하는 램프(201)로 구성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회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위칭부(202)는 "로우" 엑티브상태의 예열신호(PERHEAT_L)에 따라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이 발진회로(203)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1)와, 바이어스저항(R11, R12)으로 구성된다.
발진회로(203)는 공통 이미터단자를 갖는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와, 공진용 커패시터(C11)로 구성되며,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의 베이스단자는 각각 승압회로(205)에서 제공되며 위상이 0° 및 180°의 스위칭전압을 공급받아 전원전압을 20∼50㎑의 주파수대역으로 발진한다.
비교부(204)는 기 설정된 기준전압(Vref)과 발진회로(203)내에 구성된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의 공통 이미터단자에 걸리는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COMP11)로 구성된다.
전류제어부(206)는 비교부(204)내의 비교기(COMP11)에서 출력된 비교결과에 따라 승압회로(205)내의 쵸크코일(L11)과 트랜스포머(T)의 1차측 권선(NP1, NP2)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4)로 구성된다.
승압회로(205)는 전류제어부(206)에 의해 전류량이 제어되는 쵸크코일(L11) 및 한 쌍의 1차측 권선(NP1, NP2)과, 권선비에 따라 1차측 권선(NP1, NP2)으로부터 유기된 전압을 소정레벨로 승압 및 감압시키는 2차측 권선(NH, NS)과, 1차측 권선(NP1, NP2)으로부터 유기된 전압을 발진회로(203)내에 구성된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의 베이스단자에 제공하여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를 번갈아 스위칭하는 3차측 권선(NF)으로 구성된다.
전류제한부(207)는 2차측 권선(NH, NS)으로 유기된 전압으로부터 전류량을 일정비율로 제한하여 램프(201)에 공급함으로써, 램프(201)를 예열시킨다.
전원스위칭부(208)는 "로우" 액티브상태의 점등신호(LAMPON_L)를 인가받아 전원을 램프(201)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처리장치 등과 같은 제어장치로부터 "로우" 엑티브상태의 예열신호(PREHEAT_L)가 공급되면, 스위칭부(202)내의 PNP형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1)가 턴-온되고, 직류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압(+DC)은 발진회로(203)내에 구성된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의 베이스단자에 유기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는 턴-온되고, 직류전압(+DC)은 비교부(204)내의 비교기(COMP11)를 거쳐 쵸크코일(L11)과 승압회로(205)내에 구성된 한 쌍의 1차측 권선(NP1, NP2)을 통하여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의 컬렉터단자에 공급된다.
이때, 승압회로(205)내에 구성된 한 쌍의 1차측 권선(NP1, NP2)과 발진회로(203)내에 구성된 공진커패시터(C11) 사이에는 20∼50㎑의 주파수를 갖는 공진전류가 흐른다. 이 공진전류에 의해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의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에는 공진전압파형이 인가된다. 이 공진전압파형은 3차측 권선(NF)에도 권선비에 대응하는 전압이 유기되는데, 공진전압파형이 플러스(+)인 구간에서는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 중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단자에 소정전압이 공급되어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가 턴-온되고, 공진전압파형이 마이너스(-)인 구간에서는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 중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단자에 소정전압이 공급되어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3)가 턴-온되며, 공진전압파형이 "0"인 구간에서는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는 모두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가 교대로 온-오프함에 따라 발진회로(203)의 각 권선(NP1, NP2, NH, HS, HF)에는 고주파 전압이 발생하고, 2차측 권선(NH)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전압에 의해 형광등의 전극이 예열된다.
이후, 제어장치(예컨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점등신호(LAMPON_L)가 인가되면, 전원스위칭부(208)내의 PNP형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5)는 턴-온되고, 이에 따라 2차측 권선(NS)에서 출력된 고주파 공진전압이 램프(201)의 양단에 공급되면서 램프(201)는 방전된다.
이때, 램프(201)의 양단에 정격전류에 합당한 전류가 흐르면, 비교부(204)의 기준전압(Vref)이 승압회로(205)에 입력되어 램프(201)는 정격상태에서 점등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그러나, 램프(201)의 양단에 흐르는 전류가 정격전류보다 낮으면 발진회로(205)내에 구성된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의 이미터전압은 낮아지고, 공통 이미터단자에서 검출된 전압은 비교부(204)의 기준전압(Vref)과 비교된다. 이때, 공통 이미터단자에서 검출된 전압이 낮아졌기 때문에 비교부(204)의 출력전압이 증가되어 전류제어부(206)내에 구성된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4)의 베이스단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승압회로(205)에 제공되는 전류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램프(201)에 제공되는 전류량이 증가한다.
한편, 램프(201)의 양단에 흐르는 전류가 정격전류보다 높으면 발진회로(203)내에 구성된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2, Q13)의 이미터전압은 높아지고, 공통 이미터단자에서 검출된 전압은 비교부(204)의 기준전압(Vref)과 비교된다. 이때, 공통 이미터단자에서 검출된 전압이 높아졌기 때문에 비교부(204)의 출력전압이 감소되어 전류제어부(206)내에 구성된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4)의 베이스단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승압회로(205)에 제공되는 전류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램프(201)에 제공되는 전류량이 감소한다.
결국, 램프(201)에 걸리는 현재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에 따라 램프(201)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함으로써, 램프(201)의 휘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안정된 램프(201)의 동작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스캐닝램프 밝기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즉, 스캐닝램프에 제공되는 발진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 오차량에 대응하여 전류량을 가변함으로써, 스캐닝램프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스캐닝램프의 온-오프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스캐닝램프의 밝기값이 가변되는 경우에도 스캐닝램프에서 방사되는 광의 휘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안정된 스캐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9)

  1. (정정) 예열신호와 점등신호에 의해 예열 및 점등상태가 제어되며, 기설정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발진전압을 이용하여 예열동작을 수행하는 스캐닝램프를 포함하는 스캐너의 밝기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램프에 제공되는 상기 발진전압과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발진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의 전압차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전류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발진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크면 상기 스캐닝램프에 제공되는 기준 전류량으로부터 상기 연산된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전류량만큼 감소시켜 상기 스캐닝 램프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발진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스캐닝램프에 제공되는 상기 기준전류량으로부터 상기 연산된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전류량만큼 증가시켜 상기 스캐닝램프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닝램프는 상기 기준전류량으로부터 상기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전류량만큼 가감된 전류량에 의해 밝기가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램프 밝기제어방법.
  2. 예열신호와 점등신호에 의해 예열 및 점등상태가 제어되며, 기 설정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발진전압을 이용하여 예열동작을 수행하는 스캐닝램프를 포함하는 스캐너에 있어서: 상기 예열신호에 따라 직류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하여 공급된 직류전압을 기 설정된 소정주파수로 발진하는 발진회로; 상기 발진회로에서 발진된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발진회로에서 발진된 소정주파수의 발진전압을 상기 스캐닝램프에서 요구하는 전압레벨로 승압하는 승압회로;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승압회로에 흐르는 전류량을 가변하는 전류제어부; 및 상기 점등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제어부에 의해 전류량이 제어된 램프전압이 상기 스캐닝램프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여 상기 스캐닝램프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스캐닝램프 밝기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로우" 액티브상태의 예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이 상기 발진회로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PN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램프 밝기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회로는, 공통 이미터단자를 갖는 한 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및 공진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는 각각 상기 승압회로에서 제공되며 위상이 0° 및 180°의 스위칭전압을 공급받아 번갈아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램프 밝기제어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발진회로 내에 구성된 상기 한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의 상기 공통이미터단자에 걸리는 전압과 기설정된 상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공통 이미터단자에 걸리는 전압과 기설정된 상기 기준전압 사이의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램프 밝기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어부는,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승압회로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스캐닝램프 밝기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회로는, 상기 전류제어부에 의해 전류량이 제어되는 쵸크코일 및 한쌍의 1차측 권선; 권선비에 따라 상기 한쌍의 1차측 권선으로부터 유기된 전압을 소정레벨로 승압시키는 2차측 권선; 상기 1차측 권선으로부터 유기된 전압을 상기 발진회로 내에 구성된 상기 한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제공하여 상기 한쌍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를 번갈아 스위칭하는 3차측 권선을 포함하는 스캐닝램프 밝기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부는, 상기 2차측 권선으로 유기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량을 일정비율로 제한하여 상기 스캐닝램프에 공급하는 스캐닝램프 밝기제어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칭부는, "로우" 액티브상태의 점등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2차측 권선에 유기된 전압을 램프에 제공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스캐닝램프 밝기제어장치.
KR1019980044630A 1998-10-23 1998-10-23 스캐닝램프밝기제어방법및그장치 KR10030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630A KR100303652B1 (ko) 1998-10-23 1998-10-23 스캐닝램프밝기제어방법및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630A KR100303652B1 (ko) 1998-10-23 1998-10-23 스캐닝램프밝기제어방법및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889A KR20000026889A (ko) 2000-05-15
KR100303652B1 true KR100303652B1 (ko) 2001-11-22

Family

ID=1955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630A KR100303652B1 (ko) 1998-10-23 1998-10-23 스캐닝램프밝기제어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953B1 (ko) * 2002-07-10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형광램프의 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스캐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889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8507B1 (ko) 압전 변압기-인버터 및 그의 제어 회로와 구동 방법
KR100306106B1 (ko) 고압방전등 점등장치
US7816872B2 (en) Dimmable instant start ballast
EP0478306B1 (en) Apparatus for operating a discharge lamp
KR100303652B1 (ko) 스캐닝램프밝기제어방법및그장치
US6225751B1 (en) Fluorescent lamp drive circuit of an image formation apparatus
JPH0992480A (ja) 冷陰極蛍光管点灯装置
US6445140B2 (en) Circuit device
EP0477587A1 (en) Power apparatus
KR100222979B1 (ko) 스캐닝 램프 제어장치
US5008596A (en) Fluorescent lamp high frequency operating circuit
US6376997B1 (en) Circuit arrangement
KR100248750B1 (ko) 스캐너 램프 점등 제어 회로
JP3814770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267242B1 (ko) 스캐너램프제어장치
JP2000501553A (ja) 回路構成
KR100499745B1 (ko) 디밍 기능을 가진 램프전원장치 및 디밍제어 조명장치
KR920007774B1 (ko) 형광 램프 점등 제어회로
JP2007123011A (ja) 放電灯点灯装置
JP5181701B2 (ja) 点灯装置
KR100446990B1 (ko) 전자식 안정기 회로
JP2001273996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該放電灯点灯装置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KR200257237Y1 (ko) 형광램프의 다단계 조광 장치
KR200239224Y1 (ko)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
KR20030023148A (ko) 형광램프의 다단계 조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