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475B1 - 가스누출시가스통차단밸브 - Google Patents

가스누출시가스통차단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475B1
KR100303475B1 KR1019980053263A KR19980053263A KR100303475B1 KR 100303475 B1 KR100303475 B1 KR 100303475B1 KR 1019980053263 A KR1019980053263 A KR 1019980053263A KR 19980053263 A KR19980053263 A KR 19980053263A KR 100303475 B1 KR100303475 B1 KR 100303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mpartment
gas passage
passage hol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311A (ko
Inventor
김재천
최승호
Original Assignee
김재천
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천, 최승호 filed Critical 김재천
Priority to KR101998005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47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8Detecting leaked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통과 가스기구를 연결하는 배관 또는 연결구 등이 파열됨에 있어서, 파열 초기에는 가스통과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가스의 흐름속도가 빨라지게 되며, 그후 개폐밸브에서는 가스통과공이 차단되게 됨에 따라 가스통의 내부에서는 압력 평형이 발생되어 가스흐름이 정지 되는데, 이때 가스통과공을 차단하고 있던 승강개폐시트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스통의 가스 차단후 계속적으로 기밀을 유지함으로서, 가스누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가스누출시 가스통 차단밸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의 중간에 형성되며 가스통과공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격벽의 하측에 형성되며, 중앙에 격실 고정부와 가스통과공을 차단하는 승강부로 구성된 개폐부가 장착되고, 일측에 안전변이 형성된 가스 잔류격실과; 상기 격벽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부를 단속하는 밸브가 장착된 가스 통과격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누출시 가스통 차단밸브(A cut-off valve of gas container when gas escaping)
본 발명은 가스누출시 가스통 차단밸브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가스통과 가스기구를 연결하는 배관 또는 언결구 등이 파열됨에 있어서, 개폐밸브에 형성된 가스통과공을 차단하고 있던 승강개폐시트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스통의 가스 차단후 계속적으로 기밀을 유기함으로서, 가스누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가스누출시 가스통 차단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스누출 안전장치는, 가스기구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화염의 점화여부를 감지하여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안전장치는 가스기구의 내부에 장착됨으로서, 가스통과 가스기구를 연결하는 배관 또는 연결구가 파열될 경우에 가스통으로 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차단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어 대형사고를 유발시기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가스통의 배출공과 가스배관 사이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가스 차단밸브가 공지되어 사용중에 있으며, 첨부도면 도4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갈다.
내부 중앙에는 상기 하부에서 유입되는 가스가 통과될 수 있도록 직경이 작은 통과홀(54)을 통해 관통된 제1,2격실(51,52)이, 제2격실(52)의 상측에는 가스가 통과되는 가스 통과공(55)이, 상기 제1격실(51)의 상측과 제2격실(52)의 외측에는 제1,2격실(51,52)과 관통되며 일측에 안전변(56)이 장착되어 있는 제3격실(53)이 형성되이 있는 가스 잔류격실(5)과; 상기 제2격실(51)에 장착되는 스프링(61)의 상측에 위치되어 배관의 파열시 상기 가스 통과공(54)을 막아주는 볼(62)로 구성된 배출공 개폐부(6)와; 상기 가스 통과공(54)의 상측에는 상기 볼(62)의 상승을 제어하는 승강축(72)이 형성된 밸브(71)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가스배관(74)과 연결되는 가스통로(72)가 형성되어 있는 가스 통과격실(7)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단 밸브의 동작관계를 첨부도면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a는 가스의 정상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가스 통과격실(7)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는 밸브(7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스 잔류격실(5)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통과공(54)을 개방시키게 되면, 가스통의 내부에 체워진 가스가 제1격실(51)과 제2격실(52)을 통과한 후, 가스통과공(54)과 가스 통과격실(7) 및 가스통로(72)를 통과하여 배관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개폐부(6)를 이루는 볼(62)은 제2격실(52)의 중간에 위치됨으로서, 가스의 가스통과공(54)을 통해 상승되게 하는 것이다.
도5b는 가스의 누출시 가스공급을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스기구가 아닌 상기 배관(74) 또는 연결구등이 파열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에는 가스통과 외부사이에는 급격한 압력 변화가 생기게 됨으로서 가스 배출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가스통으로 부터 배출되는 빠른 속도를 갖는 가스가 상기 제2격실(52)의 중간에 위치한 볼(62)을 상승시켜 상기 가스통과공(55)을 차단함으로서, 급격한 압력차에 의한 가스의 과류 발생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관 또는 연결구 등이 파열되는 초기에는 가스통으로 부터 급격한 압력차이 발생됨에 따라서 가스의 배출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볼이 상기 가스통과공의 하측과 밀착되게 되고, 그후 가스통 내부에서는 압력 평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가스통 내에서 가스의 흐름이 정지되어 볼이 미세히 하강됨으로서, 가스가 계속적으로 누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잔가스 회수시 상기 볼이 가스통과공의 하측에서 롤링됨으로서, 가스통과공의 배출을 방해함에 따라서 잔가스 회수시 과다한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가스통의 전도시 상기 볼이 제2격실의 내경으로 흐르게 됨으로서, 전도시 가스차단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가스배관 또는 연결구 등이 파열되게 되면 개폐밸브에서는 가스통과공이 차단되게 됨에 따라 가스통의 내부에서는 압력 평형이 발생되어 가스흐름이 정지되는 데, 이때 가스통과공을 차단하고 있던 승강 개폐시트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가스통의 가스 차단후 계속적으로 기밀을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개폐부를 이루는 승강부에 보조 승강격판을 장착함으로서, 전체적인 승강부의 부력을 상승시킴에 따라 주,보조 격판의 외경과 가스 잔류격실의 내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서, 잔가스 회수시간 및 충전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또, 가스통의 전도시에도 개폐부의 승강 개폐시트가 가스통과공을 차단시킴으로서, 가스통의 전도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중간에 형성되며 하부 주연부에 경사 시트면이 형성된 가스통과공을 가지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하측에 형성되어 일측에는 안전변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 잔류격실과, 상기 격벽의 상측에 형성되어 하부에 승강대를 갖는 밸브가 장착되고 일측에 배관이 연결되는 가스통로가 형성된 가스 통과격실로 이루어진 통상의 가스통 차단밸브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측인 가스잔류격실에는 상기 가스통과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가이드축를 갖는 격실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축에 장착되는 승강부로 이루어진 개폐부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차단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 따른 차단 밸브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2a는 가스의 정상공급 상태를 나타내며,
도2b는 가스의 누출시 가스공급을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3은 종래의 차단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종래 차단 밸브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4a는 가스의 정상공급 상태를 나타내며,
도4b는 가스의 누출시 가스공급을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격벽 11 : 가스통과공
111 : 경사시트면 2 : 가스 잔류격실
21 : 개페부 22 : 격실 고정부
221 : 격판 222 : 격벽
223 : 통과공 224 : 브라켓
225 : 가이드축 23 : 승강부
231 : 간격유지 부시 232 : 보조 승강격판
233 : 승강 개폐시트 235 : 주 승강격판
236 : 차단 돌출부 236a : 차단경사면
24 : 안전변 3 : 가스 통과격실
31 : 밸브 314 : 핸들
32 : 가스통로 321 : 배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차단밸브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의 중간에 형성되며 하부 주연부에 경사 시트면(111)이 형성된 가스통과공(11)을 가지는 격벽(1)과; 상기 격벽(1)의 하측에 형성되어 일측에는 안전변(24)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 잔류격실(2)과; 상기 격벽(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하부에 승강대(311)를 가지며 핸들(314)을 통해 승강되는 밸브(31)가 장착되어 있고, 일측에 배관(321)이 연결되는 가스통로(32)가 형성된 가스 통과격실(3)로 이루어진 통상의 가스통 차단밸브에 있어서; 상기 격벽(1)의 하측인 가스잔류격실(2)에는, 상기 가스통과공(11)의 개폐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가이드축(225)를 갖는 격실 고정부(22)와 상기 가이드축(255)에 장착되는 승강부(23)로 이루어진 개폐부(2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격실고정부(22)는, 주연부에 격벽(222)이 형성되고 다수의 통과공(223)이 형성된 격판(221)과, 격판(221)의 중앙에 형성된 브라켓(224)과, 브라켓(224)의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승강부(23)가 삽입되는 가이드축(225)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23)는, 상기 가이드측(225)의 제일 하측에서부터 순서적으로 삽입되는 간격유지 부시(231)와, 보조승강격판(232)과, 중간에 주 승강격판(235)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상기 승강대(311)의 하단과 밀착되는 승강 개폐시트(233)가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 개폐시트(233)의 상측에는 차단 돌출부(236)가 형성되어 그 상측 주연부에는 상기 가스통과공(11)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된 경사 시트면(111)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의 차단 경사면(236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주, 보조 승강격판(235,232)의 외경은 상기 가스 잔류격실(2)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격벽(1)의 가스 통과공(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보조 승강격판(235,232)의 외경을 서로 달리함으로서, 개폐부의 차단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는 가스의 정상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가스 통과격실(3)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는 밸브(31)의 핸들(314)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격벽(1)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통과공(11)을 개방시키게 되면, 가스통의 내부에 체워진 가스가 일정한 속도로 가스 잔류 격실(3)을 통과한후, 가스통과공(11)과 가스 통과격실(3) 및 가스통로(32)를 통해 배관(321)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승강부(23)의 주,보조 승강격판(235,232)은 하강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2b는 가스의 누출시 가스공급을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스기구가 아닌 상기 배관(321) 또는 연결구등이 파열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에는 가스통으로 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속도가 급격히 상승된다. 따라서, 가스통으로 부터 배출되는 고압의 가스가 먼저, 격판(221)에 형성된 통과공(223)을 통과하여 상승되고, 이때 빠른 속도를 갖는 가스는 상기 승강부(23)를 이루는 보조 승강격판(232)의 하측에서 1차 와류를 발생시키며 상승되고, 그 후 승강된 가스는 주 승강격판(235)의 하측에서 2차 와류를 발생시기게 된다.
따라서, 먼저 주 승강격판(235)이 형성된 승강 개폐시트(233)가 상승되게 되그, 그 후 승강 개폐시트(233)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던 보조 승강격판(232)이 상승되게 됨으로서, 승강 개폐시트(233)가 상기 가스 통과공(11)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승강 개폐시트(233)의 차단경사면(236a)과 상기 가스통과공(11)의 경사시트면(111)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가스통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면 가스통에서 가스 흐름이 정지되게 됨으로서, 상기 주,보조 승강격판(235,232)을 밀어주는 힘이 감소되어 가이드축(225)을 따라 보조 승강격판(232)만이 하강된다. 따라서, 적은 중량을 갖는 승강 개폐시트(233)는 가스통과공(1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가스통 내에서 흐름이 정지 될 경우에도 가스유출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스통의 전도시에도 상기 승강부(23)가 가이드축(225)을 따라 가스통과공(11) 쪽으로 이동되어 가스통과공(11)을 차단함으로서, 가스통 내에 체워져 있는 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승강부(23)에 보조 승강격판(232)을 장착함으로서, 전체적인 승강부의 부력이 상승됨에 따라서 주,보조 승강격판(235,232)의 외경과 가스 잔류격실(2)의 내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다. 즉, 주,보조 승강격판(235,232)의 외경을 축소하여도 충분한 부력을 얻을 수 있음에 따라서, 상기 주,보조 승강격판(235,232)의 외경과 가스 잔류격실(2)의 내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잔가스의 회수 및 가스를 충전시킴으로서, 잔가스 회수시간 및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스배관 또는 연결구 등이 파열된 후 가스통과공을 차단하고 있던 승강개폐시트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스통의 가스 차단 후 계속적으로 기밀을 유지함으로서 가스누출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개폐부를 이루는 승강부에 보조 승강격판을 장착함으로서, 전체적인 승강부의 부력을 상승시킴에 따라 주,보조 격판의 외경과 가스 잔류격실의 내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서, 잔가스 회수시간 및 충전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또, 가스통의 전도시에도 가스통의 가스배출을 차단 시킴으로서, 가스통의 전도로 인한 누출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

  1. 하우징의 중간에 형성되며 하부 주연부에 경사 시트면(111)이 형성된 가스통과공(11)을 가지는 격벽(1)과; 상기 격벽(1)의 하측에 형성되어 일측에는 안전변(24)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 잔류격실(2)과; 상기 격벽(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하부에 승강대(311)를 가지며 핸들(314)을 통해 승강되는 밸브(31)가 장착되어 있고, 일측에 배관(321)이 연결되는 가스통로(32)가 형성된 가스 통과격실(3)로 이루어진 통상의 가스통 차단밸브에 있어서; 상기 격벽(1)의 하측인 가스잔류격실(2)에는, 상기 가스통과공(11)의 개폐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가이드축(225)를 갖는 격실 고정부(22)와 상기 가이드축(255)에 장착되는 승강부(23)로 이루어진 개폐부(2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격실고정부(22)는, 주연부에 격벽(222)이 형성되고 다수의 통과공(223)이 형성된 격판(221)과, 격판(221)의 중앙에 형성된 브라켓(224)과, 브라켓(224)의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승강부(23)가 삽입되는 가이드축(225)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23)는, 상기 가이드축(225)의 제일 하측에서부터 순서적으로 삽입되는 간격유지 부시(231)와, 보조승강격판(232)과, 중간에 주 승강격판(235)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상기 승강대(311)의 하단과 밀착되는 승강 개폐시트(233)가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 개폐시트(233)의 상측에는 차단 돌출부(236)가 형성되어 그 상측 주연부에는 상기 가스통과공(11)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된 경사 시트면(111)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의 차단 경사면(236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시 가스통 차단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보조 승강격판(235,232)의 외경은 상기 가스 잔류격실(2)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격벽(1)의 가스 통과공(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보조 승강격판(235,232)의 외경을 서로 달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시 가스통 차단밸브.
KR1019980053263A 1998-12-05 1998-12-05 가스누출시가스통차단밸브 KR100303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263A KR100303475B1 (ko) 1998-12-05 1998-12-05 가스누출시가스통차단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263A KR100303475B1 (ko) 1998-12-05 1998-12-05 가스누출시가스통차단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311A KR20000038311A (ko) 2000-07-05
KR100303475B1 true KR100303475B1 (ko) 2001-11-22

Family

ID=1956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263A KR100303475B1 (ko) 1998-12-05 1998-12-05 가스누출시가스통차단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63U (ko) 2018-08-07 2020-02-17 이왕재 무선통신 방식의 가스누출 자동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63U (ko) 2018-08-07 2020-02-17 이왕재 무선통신 방식의 가스누출 자동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311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65824B2 (ja) 燃料タンクのガス排出装置
US3929155A (en) Float shut off valve for liquefied petroleum gas tank fillers
KR20070083588A (ko) 연료 탱크용 이중 기능 밸브
CA2187601C (en) Pilot operated fluid valve
US5553333A (en) Pressurized water closet flushing system
US20080060701A1 (en) Earthquake safety valve for shutting off overflowing gas
KR100303475B1 (ko) 가스누출시가스통차단밸브
US6810905B1 (en) Propane overflow protection valve
CN112648465B (zh) 一种水锤消除罐
KR20050108889A (ko) 관로내 물, 가스, 기름의 누설차단장치
KR20100032709A (ko) 자동정압밸브
JP3562920B2 (ja) 過充填防止機能付lpガス容器バルブ
KR100311358B1 (ko) 액화석유가스 과류사고방지장치
KR101853249B1 (ko) 2차측 과압 방지 구조가 내장된 소방용 알람 밸브
KR101254535B1 (ko) 가스밸브용 가스누출차단장치
JP2008127080A (ja) タンク設備
JPS6128938Y2 (ko)
JP3734007B2 (ja) 空気弁付き消火栓
JP3610542B2 (ja) 出口弁および液体貯蔵容器
JP2562504Y2 (ja) 水封装置
KR101036141B1 (ko)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자동차단밸브
KR200327577Y1 (ko) 흡배기밸브
KR20000005511U (ko) 액화석유가스 저장탱크
JPS59113383A (ja) 排気量調整弁を有する急速吸気空気弁
JPH07113495A (ja) フロ―ト式スチ―ム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