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137B1 - 엠펙디코더를이용한영상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엠펙디코더를이용한영상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137B1
KR100303137B1 KR1019980012021A KR19980012021A KR100303137B1 KR 100303137 B1 KR100303137 B1 KR 100303137B1 KR 1019980012021 A KR1019980012021 A KR 1019980012021A KR 19980012021 A KR19980012021 A KR 19980012021A KR 100303137 B1 KR100303137 B1 KR 10030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mpeg decoder
image data
resolution
reduc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410A (ko
Inventor
정호성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1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137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04N19/4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using memory downsiz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엠펙 디코더와 축소필터, 메모리, 픽쳐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축소필터는 엠펙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 데이타를 입력받아 단위 프레임의 수직 해상도 또는 수평 해상도를 제어한다. 메모리는 축소필터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타를 저장한다. 픽쳐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타를 입력받아 축소필터에서 제어된 수직 해상도 또는 수평 해상도에 따라 단위 프레임의 수직크기 또는 수평크기를 제어하여 소정의 출력장치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엠펙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영상 데이타를 축소하거나 수직/수평 비율을 제어할 수 있는 축소필터를 엠펙 디코더와 메모리 사이에 구비하여, 필요한 경우 엠펙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완전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축소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완전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저장하는 경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추가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
본 발명은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엠펙 디코더를 이용하여 디코딩한 데이타를 소정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해 두었다가 픽쳐 제어부를 통하여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엠펙 디코더는 인코더를 통하여 압축 변환된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전송받아 이를 원래의 디지탈 영상 데이타로 복원하는 장치이다. 대부분의 엠펙 디코더는 인코더를 내장하고 있으며, 인코더와 디코더가 함께 결합된 것을 통칭하여 엠펙 디코더라고 한다.
이 엠펙 디코더는 압축 변환된 디지탈 영상 데이타(이하 비트 스트림이라고 칭함)를 입력받아 이를 원래의 영상 데이타로 복원하여 소정의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엠펙 디코더(11)는 비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이를 복원하여 출력한다. 이때 엠펙 디코더(11)에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에는 I픽쳐(Intra picture)와 P픽쳐(Predictive picture), B픽쳐(Bidirectional predictive picture)의 영상 데이타가 포함된다. I픽쳐와 P픽쳐는 움직임 보상과 예측에 사용되며, B픽쳐는 I픽쳐와 P픽쳐를 통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출력장치를 통하여 실제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타이다.
엠펙 디코더(11)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영상 데이타는 일단 메모리(12)에 저장된다.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타 가운데 I픽쳐와 P픽쳐는 그대로 티브이 인코더(14)에 전달되지만, B픽쳐는 픽쳐 제어부(13)에서 소정의 변환과정을 거친 다음 티브이 인코더(14)에 입력된다. 픽쳐 제어부(13)에서 이루어지는 B픽쳐의 변환으로는 수직 해상도 또는 수평 해상도를 제어하는 것이 있는데, 이를 통하여 화면의 크기를 축소하거나 화면의 수직/수평 비율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픽쳐 제어부(13)의 역할은 엠펙 디코더(11)에서 디코딩되어 메모리(12)에 입력된 완전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적절히 변환하여 전체화면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축소된 화면을 만들거나, 수평/수직 화면비가 16대 9인 와이드 영상을 4대 3의 일반 화면 크기로 변환하는 것이다. 픽쳐 제어부(13)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타는 티브이 인코더(14)에 전달되어 티브이 등을 통하여 최종 출력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는 실제로 출력할 화면의 크기가 정상적인 경우보다 작은 경우에도 영상 데이타 전부를 디코딩하여 메모리에 저장해야 하므로 적어도 I픽쳐와 P픽쳐, B픽쳐를 각각 하나씩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이 요구된다. 이 가운데 I픽쳐와 P픽쳐는 B픽쳐를 만드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하나의 픽쳐그룹(GOP, Group of Picture)의 출력이 완료될 때까지는 메모리에 저장할 필요가 있지만, B픽쳐의 경우에는 일단 출력되면 더이상 메모리에 존재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화면을 축소시켜서 출력하는 경우에는 완전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저장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엠펙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영상 데이타를 축소하거나 수직/수평 비율을 제어할 수 있는 축소필터를 엠펙 디코더와 메모리 사이에 구비하여, 필요한 경우 엠펙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완전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축소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완전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저장하는 경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추가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엠펙 디코더와 축소필터, 메모리, 픽쳐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축소필터는 엠펙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 데이타를 입력받아 단위 프레임의 수직 해상도 또는 수평 해상도를 제어한다. 메모리는 축소필터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타를 저장한다. 픽쳐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타를 입력받아 축소필터에서 제어된 수직 해상도 또는 수평 해상도에 따라 단위 프레임의 수직크기 또는 수평크기를 제어하여 소정의 출력장치로 출력한다.
도 1은 종래의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엠펙 디코더에서 다루어지는 단위 영상 데이타인 매크로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 : 엠펙 디코더 12, 22 : 메모리
13, 23 : 픽쳐 제어부 14, 24 : 티브이 인코더
25 : 축소필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엠펙 디코더에서 다루어지는 단위 영상 데이타인 매크로 블록(macro block)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엠펙 디코더(21)는 비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이를 복원하여 출력한다. 이때 엠펙 디코더(21)에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에는 I픽쳐와 P픽쳐, B픽쳐의 영상 데이타가 포함된다. I픽쳐와 P픽쳐는 움직임 보상과 예측에 사용되며, B픽쳐는 I픽쳐와 P픽쳐를 통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출력장치를 통하여 실제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타이다.
엠펙 디코더(21)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영상 데이타 가운데 B픽쳐는 축소필터(25)에 입력되어 필요에 따라 소정 크기로 축소되거나 수직/수평 비율이 변환된다. 축소필터(25)에서 변환된 B픽쳐는 메모리(22)에 저장된다. 이때 B픽쳐와 함께 I픽쳐와 P픽쳐도 함께 저장된다.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타 가운데 B픽쳐는 그대로 티브이 인코더(24)에 전달되지만, I픽쳐와 P픽쳐는 픽쳐 제어부(23)에서 소정의 변환과정을 거친 다음 티브이 인코더(24)에 입력된다. 픽쳐 제어부(23)에서 이루어지는 B픽쳐의 변환으로는 수직 해상도 또는 수평 해상도를 제어하는 것이 있는데, 이를 통하여 화면의 크기를 축소하거나 화면의 수직/수평 비율을 제어하는 것이다. 픽쳐 제어부(23)에 의해 제어된 영상 데이타는 티브이 인코더(24)에 전달되어 티브이 등을 통하여 최종 출력된다.
엠펙 디코더(21)에서 출력되는 완전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의 수직크기와 수평크기를 각각 1/2로 축소시켜서 출력할 때 축소필터(25)에서 이루어지는 영상 데이타의 축소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낸 매크로 블록은 16×16=256개의 화소로 구성된다. 이 매크로 블록은 다시 8×8=64개의 화소로 구성되는 블록(block)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의 매크로 블록은 네 개의 블록 또는 256개의 화소로 구성되는 것이다. 단 도 3에 나타낸 매크로 블록은 영상 데이타 가운데 휘도 신호(luminance)를 나타낸 것이며, 색신호(chrominance)의 경우에는 Cb신호와 Cr신호가 각각 두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휘도 신호와 Cb 신호 Cr 신호의 비는 4:2:2가 된다.
화면의 크기를 1/2로 축소하는 것은 매크로 블록의 가로와 세로의 화소를 1/2로 감소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때 휘도 신호만을 1/2로 축소시키면 색신호와의 비가 2:2:2로 균형을 이루게되므로 화소의 수를 1/2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휘도 신호를 1/2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3에서 수직크기를 1/2로 축소하기 위하여 첫 번째 열(row)(1, 2, 3, ···, 15, 16)의 휘도와 두 번째 열(17, 18, 19, ···, 31, 32)의 휘도의 중간값을 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세 번째 열(33, 34, 35, ···, 47, 48)과 네 번째 열(49, 50, 51, ···, 63, 64)을 비롯한 나머지 열 가운데 이웃한 두 개의 열의 휘도의 중간값을 취하여 1/2로 축소된 새로운 휘도 신호를 만들어낸다.
수평크기를 1/2로 축소할 때에도 상술한 수직크기의 축소와 같은 개념이 적용된다. 즉, 첫 번째 행(column)(1, 17, 33, ···, 225, 241)과 두 번째 행(2, 18, 34, ···, 226, 242)의 휘도의 중간값을 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세 번째 행(3, 19, 35, ···, 51, 67)과 네 번째 행(4, 20, 36, ···228, 244)을 비롯한 나머지 행 가운데 이웃한 두 개의 행의 휘도의 중간값을 취하여 1/2의 새로운 휘도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16×16=256개의 화소가 8×8=64개의 화소로 축소되는 것이다.
도 2의 엠펙 디코더(21)에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의 영상이 16대 9의 와이드 영상일 때 축소필터(25)에서 이를 4대 3의 일반 영상 크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역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6대 9의 비율을 갖는 영상을 4대 3의 비율로 축소하기 위해서는 매크로 블록의 수직크기를 3/4로 축소시켜야 하기 때문에 매크로 블록의 행을 구성하는 16개의 화소를 12개로 감소시킨다.
16개의 화소를 12개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하나의 행을 구성하는 화소들을 모두 네 그룹으로 나누고,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는 네 개의 화소를 세개로 감소시킨다. 도 3에서 첫 번째 그룹(1, 17, 33, 49)의 첫 번째 화소(1)를 a, 두 번째 화소(17)를 b, 세 번째 화소(33)를 c, 네 번째 화소(49)를 d라고 가정하여 화소의 수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소 a와 b의 휘도의 중간값을 얻기 위해서는 1/4(3a+b)를 만족하도록 휘도를 변환하면 된다. 다음으로 화소 b와 c의 휘도의 중간값을 얻기 위해서는 1/2(b+c)를 만족하도록 휘도를 변환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화소 c와 d의 휘도의 중간값을 얻기 위해서는 1/4(c+3d)를 만족하도록 휘도를 변환하면 된다.
이와 같은 휘도의 변환과정을 통해 기존의 네 개의 화소가 새로운 휘도를 갖는 세 개의 화소로 감소되는 것이다. 이때 새로운 휘도신호와 색신호인 Cb, Cr은 3:2:2의 비율을 갖기 때문에 균형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의 픽쳐 제어부(23)에서 색신호인 Cb와 Cr의 화소를 4/3배로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엠펙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영상 데이타를 축소하거나 수직/수평 비율을 제어할 수 있는 축소필터를 엠펙 디코더와 메모리 사이에 구비하여, 필요한 경우 엠펙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완전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축소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완전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저장하는 경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추가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정정) 엠펙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 데이타를 입력받아 단위 프레임의 수직 해상도 또는 수평 해상도를 제어하는 축소필터와; 상기 축소필터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타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타를 입력받아 상기 축소필터에서 제어된 수직 해상도 또는 수평 해상도에 따라 단위 프레임의 수직크기 또는 수평크기를 제어하여 소정의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픽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축소필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수직 해상도의 제어는 이웃한 두 개 스캔라인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휘도의 중간값을 취하여 새로운 프레임의 수직 해상도를 결정하고, 상기 축소필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수평 해상도의 제어는 단위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웃한 두 개 화소의 휘도의 중간값을 취하여 새로운 프레임의 수평 해상도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소필터에서 이루어지는 수직 해상도의 제어는 상기 단위 프레임의 수직 해상도를 3/4으로 축소시키는 것이 특징인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축소필터에서 수직 해상도가 3/4으로 축소되는 단위 프레임의 수평크기와 수직크기의 비율이 16대 9인 것이 특징인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소필터에서 단위 프레임의 수직 해상도가 3/4으로 축소되는 경우 상기 픽쳐 제어부는 상기 단위 프레임의 색신호의 해상도를 3/2배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이 특징인 엠펙 디코더를 이용한 영상 출력장치.
KR1019980012021A 1998-04-06 1998-04-06 엠펙디코더를이용한영상출력장치 KR10030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021A KR100303137B1 (ko) 1998-04-06 1998-04-06 엠펙디코더를이용한영상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021A KR100303137B1 (ko) 1998-04-06 1998-04-06 엠펙디코더를이용한영상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10A KR19990079410A (ko) 1999-11-05
KR100303137B1 true KR100303137B1 (ko) 2001-11-22

Family

ID=3752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021A KR100303137B1 (ko) 1998-04-06 1998-04-06 엠펙디코더를이용한영상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700B1 (ko) * 1999-09-04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형 다운/업 샘플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일반화된 격주사선 처리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10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9051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化方法およびストリームデータ
US5973755A (en) Video encoder and decoder using bilinear motion compensation and lapped orthogonal transforms
KR100201981B1 (ko) 메모리제어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디코더
JP2001285876A (ja) 画像符号化装置とその方法、ビデオカメラ、画像記録装置、画像伝送装置
JPH0746628A (ja) 画像信号符号化装置及び画像信号復号化装置
WO2009125673A1 (ja) 動画処理装置及び動画処理方法、動画処理プログラム
KR20050087285A (ko) 디스플레이 처리와 데이터 압축을 동시에 수행하는 촬상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86838A (ko) 화상신호 생성유닛, 디지털 카메라, 및 화상신호 생성방법
US7456866B2 (en) Correction of barycenters of signals obtained by adding and reading charges accumulated in solid-state image sensing device
KR100303137B1 (ko) 엠펙디코더를이용한영상출력장치
JP4997172B2 (ja) 画像分割処理用の画像信号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13487B2 (ja) 映像データ圧縮装置
KR950006769B1 (ko) 고선명 텔레비젼의 색차신호 동벡터 추출방법 및 움직임 보상장치
JP4997167B2 (ja) 画像分割処理用の画像信号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9990003971A (ko) Pdp-tv의 pip 구동장치
JP4329072B2 (ja) テストパターン発生装置、撮像装置、画像出力装置、及び高精細画像表示システム
RU214378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левизион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высокой четкости в камере на обычных пзс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0219176B1 (ko) 영상데이타의 스케일링방법 및 장치
JP4522640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JPH11127325A (ja) 画像処理装置
KR100256647B1 (ko) 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영상 그룹 구성수 자동 변환 장치
JPH0220197B2 (ko)
WO2020188669A1 (ja) 符号化装置、復号装置、符号化方法、復号方法、符号化プログラム、および復号プログラム
JP202300862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243476B1 (ko) 움직임 보상 장치의 반화소 보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