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519B1 -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519B1
KR100302519B1 KR1019990031209A KR19990031209A KR100302519B1 KR 100302519 B1 KR100302519 B1 KR 100302519B1 KR 1019990031209 A KR1019990031209 A KR 1019990031209A KR 19990031209 A KR19990031209 A KR 19990031209A KR 100302519 B1 KR100302519 B1 KR 100302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blowing
soot
furnace
pollution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707A (ko
Inventor
강문현
Original Assignee
윤영석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김징완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석,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김징완,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영석
Priority to KR1019990031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519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2Washing-o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56Boiler cleaning control devices, e.g. for ascertaining proper duration of boiler blow-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03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목적 : 보일러 내부에 침착된 수트를 블로잉하는 과정에서 오염도 판정 기준을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보일러 운전 후에 연료의 상태가 변하거나 운전 조건이 변화하더라도 수트 블로어를 최적으로 운전할 수 있게 하는,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
구성 : 보일러(6) 내부의 침착물을 제거하는 수트 블로잉 동작 후, 보일러의 분산제어수단(42)으로부터 보일러내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로부터 센싱 값을 입력 받아서 프로그램 로직 제어 수단(44)에서 보일러 효율 및 연소로(16)의 출구 증기 온도, 연소로의 출구 가스온도, 화로부 상단의 전열부 및 연소로 내부의 열흡수율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의해 현재 측정된 보일러 효율 변화량과, 상기 현재 측정전의 세 번의 블로잉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블로잉 효과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오염도 판정 기준을 수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효과 : 보일러 운전 조건 및 보일러 상태의 변화에 기인하여 오염도 판단 기준이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이를 단순하고 효과적인 제어방법으로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수트 블로잉용 스팀의 사용량을 줄이고 보일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 방법{Automatic Correct Method of Standard Dirty Level in Boiler Soot Blowe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보일러에 있어서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연소시 발생되어 보일러의 효율이나 부하율을 감소시키는 수트(soot)를 증기 또는 공기의 분사로 세정하는 수트 블로워를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는 밀폐된 강판제 용기로 이루어진 연소로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열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이러한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서 전력을 얻거나 가열된 물을 온수나 난방에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일러에는 증기를 내부에서 순환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전열관이 배열되는데, 이들 전열관의 표면에는 연소시 발생되는 수트가 침착되어 전열관 표면의 열전달율을 저하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보일러의 전체 효율과 부하율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높은 열효율과 부하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열관 표면에 침착된 수트를 제거해야 한다.
상기한 전열관 표면에 장착된 수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보일러의 연소로에 구비되는 장치가 수트 블로어이다.
수트 블로어는 수트 제거시, 전열관을 순환하는 고압증기를 일부 바이패스하여 사용하는 장치로, 이들 증기의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면 터빈을 회전시키는 고압증기의 압력이나 유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적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수트 블로잉 방법은 작업자가 보일러의 내부가 오염되었다고 판단한 연후에 수동으로 작동하는 방식과, 타이머에 의해 동작시키는 방식 및 보일러의 운전상태를 가시적으로 단순평가하여 기동하는 방식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공지된 방식으로 수트 블로어를 동작시켰을 때, 전열관의 표면에 침착된 수트의 양이나 오염정도를 판단할 근거가 없으므로 운용자의 가시적 판단과 직관적인 판단에 의존하여 수트 블로잉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증기의 소모량이 증가되거나, 또는 블로잉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블로잉을 행하지 못하여 보일러 전열면에 침착된 오염물질에 의해 열전달 효율이 급속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98-37975호에 보일러 수트 블로워 제어 시스템과 제어 방법이 개시한 바 있다.
상기에 개시된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은 보일러 내부의 각 부분의 오염도를추론하여 오염된 부분을 자동 블로잉함으로써 블로잉 작업에 사용되는 증기를 최소화하여 보일러 효율을 최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블로잉 결과를 피드백 하여 자가 습득 알고리즘을 반복 실시함으로써 보일러 운전 후에 연료의 상태가 변하거나 운전조건이 변화하더라도 수트 블로어를 최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보일러 운전 후에 연료의 상태가 변하거나 운전 조건이 변화하더라도 수트 블로어를 최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평가 모듈에 있어서, 모든 그룹을 같은 조건으로 평가함으로 인한 계산량 과다로 시스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평가 결과가 자가 습득 알고리즘 모듈로 전송되어 오염도 추론용 모듈과 효과 평가용 모듈의 두 모듈의 파라메타를 동시에 자동 수정해야 하는 복잡한 시스템 구성이 필요하게 되며, 이 경우 파라메타 조정의 기준이 불명확하여 시스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로잉을 너무 늦게 시키면 블로잉이 끝난 후에도 깨끗한 상태가 되지못하고, 이 때 남아 있는 수트로 인해 깨끗한 상태의 센서값으로 복귀하지 못한다. 즉 이전의 블로잉이 제대로 이루어 졌다면 이전의 블로잉의 값에 미치지 못하고 블로잉이 끝나게 된다. 블로잉을 늦게 시킴으로 인해 수트 제거 상태가 미흡하고 이러한 결과가 계속 누적되면 보일러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은 보일러의 운전 조건 및보일러상태가 변함에 따른 오염도 판단 기준이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기준을 자동으로 수정함으로써, 수트 블로잉용 스팀의 사용량을 줄이고 보일러 효율을 최상으로 유지함에 있어서 보일러의 운전조건 변화에 관계없이 수트 블로어를 최적 상태로 운전되게 제어하는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보일러의 효과 평가 및 오염도 판정기준을 갱신하는 알고리즘은 블로잉 위치를 결정하는 각 그룹의 특성과 데이터의 종류를 고려하여 두 가지를 택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보일러의 출구 온도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보일러의 출구온도는 보일러의 전체 효율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하나의 그룹을 블로잉 시켰을 때, 전체 보일러의 효율 변화가 어떠한지는 보일러의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각 그룹의 블로잉 명령을 결정하는 오염도 판정 기준을 이 전체 보일러 효율의 변화를 최대화 시키는 방향으로 갱신하는 알고리즘이 첫 번째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화로부 그룹의 온도나 열흡수율의 변화폭을 최대화시키는 방법이다. 첫 번째 방법은 출구와 가까운 그룹에 적용시키는 때에는 신뢰성이 높지만 화로에 가까운 그룹의 블로잉 명령을 결정하는 오염도 판정 기준의 갱신에 적용하기에는 타당성이 많이 떨어진다. 그래서 출구와 먼 화로부 그룹은 블로잉을 시킨 후의 상승 또는 감소하는 각 그룹의 연소로의 출구 증기온도, 연소로의 출구 가스온도, 화로부 상단의 전열부 및 연소로 내부의 열흡수율의 센서값을 이용한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도 판정 기준을 조정하는 양은 이전 세 번의 블로잉 결과와 현재의 결과를 비교하여 결정하도록 한다. 이전 세 번의 블로잉 결과와 현재의 결과를 비교하여 현재의 블로잉 값이 적으면 블로잉을 늦게 시켜서 깨끗한 상태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라고 판단되므로 좀 더 빨리 블로잉을 시키도록 두 값의 차이의 절반만큼 증가시켜 준다.
이전 세 번의 블로잉 결과와 현재의 결과를 비교하여 현재의 블로잉 후의 값이 크거나 같다면 앞의 경우와 반대이거나 깨끗한 상태에 이미 도달하고도 스팀이 남는 경우라고 판단되므로 블로잉을 천천히 시켜 주도록 두 값의 차이의 절반만큼 감소하게 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치가 기준범위에 도달하게 되면 최적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의 과정을 중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일러가 구비된 증기 원동소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보일러의 연소로 구조와 수트 블로어의 세정위치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보일러의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오염도 판정이 자동으로 보정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해 연소로 출구 증기 온도를 이용하여 오염도 판정 기준을 자동 보정한 블로잉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이전 3회 측정치에 비해 저효율일 때 블로잉한 그래프이고 도 5b는 이전의 3회 측정치에 비해 고효율일 때 블로잉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 보일러 16 : 연소로
40 : 수트 블로어 42 : 분산 제어수단
44: 프로그램 로직 제어수단 46 : 수트 블로잉용 컴퓨터
100∼600:보일러 효율에 따른 오염도 판정 기준 보정 단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3에 도시한 내용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98-37975호에 개시한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증기 원동소는 석탄조(2)에서 공급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로(4)가 구비되는 보일러(6)와, 이 보일러(6)의 내부에 일정한 양태로 전열관(8)이 배치되고, 상기 전열관(8) 내부를 흐르는 증기가 연소로(4)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고압의 증기로 전환하며, 이어서 상기 증기가 증기 터빈(10)을 회전시킴으로써 증기 터빈(10)과 연결되는 발전기(12)가 전력을 생성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된다. 여기서 화석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배가스는 스택(stack;14)을 통해 배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보일러(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화석 연료를 측방에서 공급받는 보일러(6)는 브리지(bridge) 형태를 가지며 좌방에는 연소로(16)가, 우방에는 격벽(18)을 사이에 두고 재열기(reheater;20)와 제1과열기(primary super heater;22)가 배치되고, 또한 재열기(20)와 제1과열기(22)의 하부에는 절탄기(economizer;24)가 배치된다. 이 절탄기(24)의 튜브는 연소로(16)로 연장되어 나선형 구조로 배열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일러(6) 우방의 배가스 출구에 장착되는 에어 히터(air heater;26)는 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보일러(6)로 보내지는 연소용 공기를 예열시키게 된다.
특히, 보일러(6)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과열기(28)는 과열기 튜브(30)의 일단이 증기 터빈(10)으로 연계되고, 상기 재열기(20)에 연장되는 재열기 튜브(32)의 일단이 상기 과열기 튜브(30)의 일단과 연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증기 터빈(10)으로 연계되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과열기(28)는 3부분으로 나뉘어지되, 보일러(6)의 좌방에서우방을 향하여 펜던트 과열기(pendant super heater;34), 플래튼 과열기(platen super heater;36) 및 상기 과열기 튜브(30) 순서로 배열된다.
한편, 수트 블로어(40)는 보일러(6)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보일러(6) 내부의 오염도에 따라 세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사용되는 증기는 재열기(20)에서 바이패스하여 얻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보일러(6)는, 연소로(16) 내부에서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생성된 열이 발생되고, 이 열에 의해 전열관 내부의 물이 증발하여 포화증기 상태로 되며, 이 포화증기는 제1~2과열기(22)(28)를 거치면서 고압의 증기로 전환되어 증기 터빈(10)을 일차로 회전시킨다.
이어서, 회전하고 난 증기는 재열기(20)에서 재열됨에 따라 상기 고압의 증기에 근접한 압력을 지닌 증기로 전환되고, 재열기 튜브(32)를 통과하여 증기 터빈(10)을 회전시키는 것이며, 이 증기는 도시 생략된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물로 변환된 다음 절탄기(24)로 유입되고 여기서 예열되어 보일러(6)로 급수되어진다.
이러한 연소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수트는 배가스와 함께 연소로 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마련인데, 일부는 배출 후 집진되어 후처리가 가능하지만 나머지는 연소로(16) 내부의 전열관, 즉 제2과열기(28), 재열기(20), 제1과열기(22) 및 절탄기(24)에 침착되거나 연소로(16) 내부 혹은 연소로 배가스 출구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침착되는 수트로 인하여 전열관 내부를 흐르는 증기가 연소로(16)의 열과 제대로 열교환되지 못함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트 블로워 시스템에의하여 연소로 내부의 오염을 자동으로 제거하게 된다. 보일러 내부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위치는 보일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연소로의 노즈부(A), 제2과열기부(B), 재열기부(C), 제1과열기부(D) 및 에어히터부(E)로 구분하여 설명을 하였다.
상술한 보일러(6)의 내부에는 다수의 센서가 설치되고, 이들 센서들과 연결되어 보일러(6)의 가동시 각종 데이타를 획득하는 분산 제어수단(42)이 구비되며, 상기 분산 제어수단(42)에는 프로그램 로직 제어수단(44)이 연계되어 수트 블로어(40)의 가동을 콘트롤하게 된다.
또한, 수트 블로잉용 컴퓨터(46)는 상기 분산 제어수단(42)과 연결되어 작업자에 의해 지시되는 데이타나 상기 각종 센서들에 의해 획득된 보일러 상태에 대한 파라메타를 매핑함으로써 프로그램 로직 제어수단(44)이 수트 블로어(40)를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며, 모든 결과치는 상기 수트 블로잉용 컴퓨터(46)에 연결되는 프린터(48)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수트 블로잉을 위한 각종 모듈들의 연결고리와 상호 관계를 설명하면, 상기 다수의 센서 및 상기 분산 제어수단(42)으로부터 보일러(6)의 운전 데이타들이 신호 인터페이스 모듈(50)에 의해 획득되어지고, 상기 수트 블로잉용 컴퓨터(46)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로직 제어수단(44)으로부터 각종 파라메타의 정보가 주문 도구 모듈(52)로 입력되어진다.
여기서, 보일러(6)의 오염도를 판단하기 위해 획득되는 각종 데이타와 파라메타는 보일러(6)의 가동에 따른 실제치와 수트 블로어(40)의 가동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서 입력되어지는 기준치이다.
특히, 연소로(16)의 오염도를 판단할 경우에는 보일러(6)의 실운전 데이타를 입력 받아서 5가지 기준 요소에 따라 각각 계산된 실제치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오염도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5가지 기준 요소는 연소로의 출구 배가스 온도와, 상기 전열관 중에서 재열기의 가스 댐퍼 개도량과, 상기 연소로의 노즈 출구 증기온도와, 상기 연소로의 출구 가스온도 및 연소로 내부의 열흡수율이다.
이렇게 획득되는 실제치와 기준치는 상기 신호 인터페이스 모듈(50) 및 주문 도구 모듈(52)과 각각 연계되는 열역학 모델링 모듈(54)과 모델 확인 모듈(56)에서 생성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열역학 모델링 모듈(54)과 모델 확인 모듈(56)은 오염도 추론용 모듈(58)에 동시에 연결되고, 오염도 추론용 모듈(58)은 이에 연결되는 운전 지식 베이스 툴(60)을 이용하여 특정부위의 오염도를 판정한다.
판정된 결과치는 상기 신호 인터페이스 모듈(50)을 통해 상기 수트 블로어(40)의 블로잉 위치와 초기 구동명령을 상기 분산 제어수단(42)에 전송함으로써 프로그램 로직 제어수단(44)이 상기 수트 블로어(40)를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열역학 모델링 모듈(54)과 모델 확인 모듈(56)은 효과 평가용 모듈(62)에도 동시에 연계되고, 이 효과 평가용 모듈(62)에는 상기 운전 지식 베이스 툴(60)이 연결되어져서 수트 블로잉 후의 효과를 판정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효과 평가용 모듈(62)과 오염도 추론용 모듈(58)에 동시에 연결되는 자가 습득 알고리즘 모듈(64)은 상기 효과 평가용 모듈(62)에서 전송되는 상기 수트 블로잉 판정 결과의 파라메타를 자동 수정하여 상기 효과 평가용 모듈(62)과 오염도 추론용 모듈(58)로 피드백한다.
상기의 내용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 제 98-37975호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이다.
상기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제어 방법은, 수트 블로잉 후 효과를 평가할 때 수트 블로잉 동작 후의 보일러의 전체 효율의 변화량 및 연소로의 출구 증기 온도, 연소로의 출구 가스온도, 화로부 상단의 전열부 및 연소로 내부의 열흡수율을 산출하고, 이전 세 번의 블로잉의 결과와 현재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블로잉 효과를 판정하여 오염도 판정 기준을 보정하고 이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 제시한 내용의 알고리즘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보일러 효율에 따른 효과 평가 방법에서 배가스 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오염도 판정 기준을 자동으로 수정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첫 번째 단계(100)는 수트 블로잉 동작 전 분산 제어 수단(42)으로부터 보일러내부에 설치된 센서값을 입력 받아 수트 블로잉 컴퓨터(46)에서 배가스 출구온도에 따른 보일러 효율을 계산한다.
두 번째 단계(200)는 수트 블로잉 동작 후 분산 제어 수단(42)으로부터 배가스 출구의 센서 값을 입력 받아 수트 블로잉용 컴퓨터(46)에서 배가스 출구온도에 따른 보일러 효율을 계산한다.
세 번째 단계(300)는 상기 수트 블로잉 동작 후 현재의 보일러 효율의 변화량을 계산한다.
네 번째 단계(400)는 이전 세 번의 블로잉의 결과 각각의 보일러 효율의 변화량의 평균치를 계산한다.
다섯 번째 단계(500)는 △E와 E3을 비교한다.
여섯 번째 단계(600)는 오염도 판정 기준 보정 단계로써 블로잉 효과를 판정하여 다섯 번째 단계(500)에서 'YES'인 경우에는 블로잉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차후 블로잉 시간 간격을 증가 조정하며, 다섯 번째 단계(500)에서 'NO'인 경우에는 블로잉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여 차후 블로잉 시간 간격을 감소시킨다.
도 5는 상기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 방법에 의해 블로잉 시간을 조정함으로서 가능한 최적의 수트 블로잉 효과를 그래프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상단 그래프는 현재의 블로잉 효과가 낮을 때 오염도 판정 기준을 높이고 블로잉 시간을 감소시켜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6의 하단 그래프는 현재의 블로잉 효과가 높을 때 오염도 판정 기준을 낮추고 블로잉 시간을 증가시켜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상기의 수트 블로잉 효과 평가시, 수트 블로잉 동작 후의 보일러의 출구 온도에 따른 보일러의 전체 효율의 변화량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후단 전열부의 블로잉 명령을 결정하는 오염도 판정 기준을 이 전체 보일러 효율의 변화를 최대화 시키는 방향으로 갱신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의 효과 평가시에 수트 블로잉 동작 후의 연소로의 출구 증기온도, 연소로의 출구 가스온도, 화로부 상단의 전열부 및 연소로 내부의 열흡수율의변화량을 사용하고, 화로부의 블로잉 명령을 결정하는 오염도 판정 기준을 각 그룹의 온도나 열흡수율의 변화폭을 최대화시키는 방향으로 갱신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첫째, 보일러의 운전 조건 및 보일러 상태가 변함에 따른 오염도 판단 기준이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자동으로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일러의 효율을 고려한 최적의 수트 블로어 운전이 가능하므로 수트 블로잉용 스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보일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효과 평가 모듈에 있어서, 모든 그룹을 같은 조건으로 평가함으로 인한 계산량의 과다가 초래하는 시스템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셋째, 평가 결과가 자가 습득 알고리즘 모듈로 전송되어 오염도 추론용 모듈과 효과 평가용 모듈의 파라메타를 동시에 자동수정하는 복잡한 시스템을 피하고, 파라메타 조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여 시스템 오류의 발생가능성을 피할 수 있다.

Claims (4)

  1. 보일러 내부에 침착된 수트를 블로잉하여 제거하도록 하는 보일러의 수트 블로워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보일러(6) 내부의 침착물을 제거하는 수트 블로잉 동작 후, 보일러의 분산 제어수단(42)으로부터 보일러내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로부터 센싱 값을 입력 받아서 수트 블로잉용 컴퓨터(46)에서 전체 보일러 효율, 연소로(16)의 출구 증기온도, 연소로의 출구 가스 온도, 화로부 상단의 전열부 및 연소로 내부의 열흡수율을 산출하고, 이에 의하여 현재 측정된 결과의 보일러 효율 변화량과 측정하기전의 세 번의 블로잉의 결과의 평균치를 비교함으로써 블로잉 효과를 판정하여 오염도 판정 기준치를 자동 수정하고, 블로잉 시간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보일러 운전 조건 및 노후로 인하여 상태가 변화하더라도 오염도 판정 기준치가 자동으로 보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계는,
    상기 보일러 운용시, 수트 블로잉 동작 전 분산 제어 수단(42)으로부터 보일러 배가스 출구에 설치된 센서값을 입력 받아 수트 블로잉 컴퓨터(46)에서 배가스 출구온도에 따른 보일러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100)와;
    상기의 수트 블로잉 동작 후 분산 제어 수단(42)으로부터 배가스 출구의 센서값을 입력 받아 수트 블로잉 컴퓨터(46)에서 배가스 출구온도에 따른 보일러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200)와;
    상기 수트 블로잉 동작 후 현재의 보일러 효율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단계(300)와;
    상기 수트 블로잉 동작 이전 세 번의 블로잉의 결과 각각의 보일러 효율의 변화량의 평균치를 계산하는 단계(400)와;
    △E와 E3을 비교하는 단계(500)와;
    상기 비교한 값을 통해 'YES'인 경우에는 블로잉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차후 블로잉 시간 간격을 증가 조정하며, 'NO'인 경우에는 블로잉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여 차후 블로잉 시간 간격을 감소 조정하는 오염도 판정 기준 보정 단계(600)로 이루어 지는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단 기준 자동 보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트 블로잉 효과 평가 방법으로서, 수트 블로잉 동작 후의 보일러의 출구온도에서 측정한 보일러의 전체 효율의 변화량을 사용하여 후단 전열부의 블로잉 명령을 결정하는 오염도 판정 기준을 측정한 전체 보일러 효율의 변화폭을 최대화시키는 방향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트 블로잉 효과 평가 방법으로서, 수트 블로잉 동작 후 상기 연소로의 출구 증기온도, 연소로의 출구 가스온도, 화로부 상단의 전열부 및 연소로 내부의 열흡수율의 변화량을 사용하고, 출구와 거리가 먼 화로부의 블로잉 명령을 결정하는 오염도 판정 기준을 보일러 내부 각각의 블로잉 위치 그룹의 온도나 열흡수율의 변화폭을 최대화 시키는 방향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 방법
KR1019990031209A 1999-07-30 1999-07-30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방법 KR100302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209A KR100302519B1 (ko) 1999-07-30 1999-07-30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209A KR100302519B1 (ko) 1999-07-30 1999-07-30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707A KR20010011707A (ko) 2001-02-15
KR100302519B1 true KR100302519B1 (ko) 2001-09-13

Family

ID=1960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209A KR100302519B1 (ko) 1999-07-30 1999-07-30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989B1 (ko) * 2017-11-24 2019-10-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트 블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707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75739B (zh) 利用统计过程控制来控制烟灰吹除的方法和装置
US5181482A (en) Sootblowing advisor and automation system
CA243007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otblowing recovery boiler
US67360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ootblowing optimization
JP5142508B2 (ja) スートブロワ装置の運転方法
KR100302519B1 (ko)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오염도 판정 기준 자동 보정방법
KR100309163B1 (ko) 보일러의수트블로어제어시스템및이의제어방법
JP2002317919A (ja) 熱交換装置
JP5164561B2 (ja) 再熱蒸気温度制御方法
JP3661068B2 (ja) 排ガス処理システム
KR20010011706A (ko) 보일러의 슈트 블로잉 제어 시스템
JP2936449B2 (ja) 蓄熱式交番燃焼バーナシステムを備えた加熱炉の操炉方法
KR100345501B1 (ko) 보일러 수트 블로어 제어시스템의 열역학 모델링 모듈
JPH0258528B2 (ko)
CN111637478A (zh) 一种炉膛吹灰方法
CN111609416A (zh) 一种回转式空气预热器优化吹灰系统和吹灰方法
JP2001132934A (ja) ボイラのスートブロワ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3018039B2 (ja) スートブロワ起動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0196935A (ja) 再熱蒸気温度管理システム
JP2011094901A (ja) ガスガスヒータ及びガスガスヒータの制御方法
CN110455855B (zh) 考虑燃煤锅炉全局传热影响的受热面积灰程度判断方法
JPS6026213A (ja) ス−ツブロアの最適制御システム
Sarunac et al. Sootblowing operation: the last optimization frontier
JP2024037672A (ja) 廃棄物処理設備及び廃棄物処理方法
JP2008180396A (ja) 汽力発電設備におけるスートブロワの流量制御装置及び流量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