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992B1 - 열연고탄소강의냉각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열연고탄소강의냉각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992B1
KR100301992B1 KR1019960069469A KR19960069469A KR100301992B1 KR 100301992 B1 KR100301992 B1 KR 100301992B1 KR 1019960069469 A KR1019960069469 A KR 1019960069469A KR 19960069469 A KR19960069469 A KR 19960069469A KR 100301992 B1 KR100301992 B1 KR 100301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emperature
transformation
carbon steel
high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632A (ko
Inventor
강기봉
이희봉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6006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9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21B37/76Cooling control on the run-out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압연 공정에서 생산되는 고탄소강의 냉각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런아우트(run out) 테이블 냉각설비를 이용하고 냉각패턴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설비를 설치함이 없이 퍼얼라이트 조직을 미세화시킬 수 있는 열연고탄소강 냉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탄소강의 냉각제어방법은 고탄소강(탄소함량이 0.4% 이상, 0.85%이하의 강)을 열간압연을 마무리한 후 런아우트 테이블 수냉각시 수냉역역의 전단부 각 뱅크(bank)의 다수개의 헤더(header)를 전부 사용하여 냉각하고, 수냉에 의한 열연코일의 계산온도가 600 ~ 700℃에 도달하면 냉각 뱅크의 헤더중 1/2 또는 1/3개의 헤더를 사용하여 냉각속도를 줄여서 즉서냉으로 560 ~ 600℃까지 제어냉각하여 권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퍼얼라이트 조직을 미세화시킬 수 있는 열연고탄소강 냉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열연 고탄소강의 냉각제어방법
본 발명은 열간압연 공정에서 생산되는 고탄소강의 냉각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런아우트(run out) 테이블 냉각설비를 이용하고 냉각패턴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설비를 설치함이 없이 퍼얼라이트 조직을 미세화시킬 수 있는 열연고탄소강 냉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공정에서는 고탄소강 열연 코일의 생산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인데 이른 이러한 열연코일을 이용해서 수요가들이 각종 열처리를 통해서 다양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부가가치 면에서도 수익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탄소강을 이용해서 제조하는 제품으로는 톱날, 줄자, 자동차의 클러치 등이 있고 각종 기계부품의 제작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고탄소강 열연코일은 제품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수요가들이 다양한 열처리를 하여야 하는데, 열처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열연 코일의 조직을 미세화하여야 한다. 열연코일의 조직이 미세하면 열처리시 열처리 시간을 줄일수 있고 열처리 온도를 낮출수 있기 때문에 수요가의 열처리시 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열연코일의 조직을 미세화하기 위해서는 열연의 런아우트 테이블에서 냉각을 잘 제어하여 냉각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냉각종료 온도를 저온으로 해주어야 한다.
런아우트 테이블 냉각시 금속학적인 현상으로 일반강(탄소가 0.2% 이하)인 경우는 오스테나이트가 대부분(약 70% 이상) 페라이트로 변태하고 나머지 상이 퍼얼라이트나 베이나이트등으로 변태하게 된다. 대부분의 상인 페라이트는 가장 높은 온도(약 850℃에서 700℃)에서 변태가 개시하고 종료한다. 그리고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퍼얼라이트가 변태하고 온도가 더욱 낮아지면 베이나이트로 변태하게 된다. 그러나 고탄소강의 경우 즉 탄소가 0.4%이상에서 0.85%이하의 강재는 런아우트 테이블 냉각시 이와 반대로 대부분의 상은 퍼얼라이트가 되고, 나머지는 10% 이하의 상인 페라이트가 된다. 그리고 퍼얼라이트 변태개시 온도는 약 650℃이하이고, 이 온도이하로 강재의 온도가 낮아지면 매우 짧은 시간(약 1초에서 4초이내)에 퍼얼라이트 변태가 개시하고 종료하게 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한편 퍼얼라이트 변태는 페라이트 변태에 비해서 변태시 발생되는 발열량이 매우 큰데, 이론적으로 다음식 (1)에 의해 대략 계산이 가능하다. 즉 냉각 도중에 퍼얼라이트가 50% 진행된 경우의 변태발열량(ΔT 50P)은 약 60℃인데 반해서 페라이트 변태가 50% 진행된 경우의 변태발열량(ΔT 50P)은 식(2)에 의해서 계산이 가능하다.
위식에서 ΔX 는 변태량, Hp와 Hf는 퍼얼라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변태잠열, Cp와, Cf는 퍼얼라이트와 페라이트의 비열이다. 위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각 강의 변태에 따른 발열량의 현저한 차이로 일반강은 물을 뿌려서 목표로 하는 수냉 종료온도로 맞추기가 비교적 용이하나 고탄소강은 목표 수냉 종료온도를 맞추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고탄소강인 경우는 수냉종료온도를 퍼얼라이트 변태가 개시하는 온도 보다 높은 온도까지만 수냉하고 권취하는 방법을 현재 사용하고 있다. 실제로 조직의 미세화 정도는 상변태가 일어날 때의 냉각속도와 변태가 진행되는 온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권취이후의 냉각속도는 25-30℃/시간으로 매우 늦고, 변태온도가 높기 때문에 조대한 조직이 얻어진다. 이렇게 조직이 조대화되면 수요가들의 열처리시 열처리성이 나빠져 열처리 시간이 길어지고, 열처리 온도를 높게 하여야 하고, 열처리후의 재질도 불균일하게 된다. 그리고 조직이 조대화되면 수요가에서 냉간압연시 가공경화가 매우 크게되어 이를 위한 소둔열처리 횟수가 증가되어 생산성을 나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퍼얼라이트 변태온도 이하로 수냉시 적절한 냉각제어방안이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방법들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중 대표적인 것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들 수 있다.
먼저, 강재의 냉각제어 방법으로 사상압연기 출구에서 강재의 온도 및 두께를 일정거리 또는 일정시간마다 측정하여 그 지점을 런아우트 테이블의 전 구역에서 추적하여 그 지점의 런아우트 테이블 상의 각 위치에서 강재의 속도 및 냉각 패턴의 실적으로 부터 권취온도계에 도달시점의 온도를 계산하여 그 계산치와 권치온도계의 실적치가 차이가 있으면 우선 주수순서에 따라서 냉각 뱅크의 주수 패턴을 변경하여 냉각하는 방법(일본 공개 특허 공보 소58-221606)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일반강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고탄소강에 있어서는 개념적으로는 용이한 것 같으나 실제로 적용시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퍼얼라이트 변태개시점이 동일 코일내의 압연속도 변황에 따라 권취온도계의 전면 또는 후면이 되므로 변태발열량이 길이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어 목표온도의 적중이 어렵다. 따라서 길이방향으로의 온도편차가 심하게 발생될 소지가 있다.
다음은 변재시점이 강재의 냉각시 런아우트 테이블상에서 어느 위치인가를 알아내기 위해서 변태율 측정장치를 설치하여 각 위치에서의 변태율을 도출하여 각 위치에서의 변태 발열량을 구해서 그 발열량을 가산해서 강재의 온도로 하고 이 지점이 권취온도계에 도달시 목표온도와 차이가 있으면 주수 패턴을 변경하여 목표치에 맞추는 방법(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4-274812)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변태율 측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 투자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고, 이 측정장치의 원리는 자기변태점 이하에서 각 상의 자기 특성이 다른(페라이트: 강자성, 오스테나이트:상자성)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고탄소강은 퍼얼라이트로 자기적 특성이 페라이트와는 달리 명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점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패턴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설비를 설치함이 없도록 퍼얼라이트 조직을 미세화시킬 수 있는 열연고탄소강 냉각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고탄소강의 냉각제어방법은 고탄소강(탄소함량이 0.4%이하, 0.85%이하의 강)을 연간압연을 마무리한 후 런아우트 테이블 수냉각시 수냉영역의 전단부 각 뱅크(bank)의 다수개의 헤더(header)를 전부 사용하여 냉각하고, 수냉에 의한 열연코일의 계산온도가 660~700℃에 도달하면 냉각 뱅크의 헤더중 1/2 또는 1/3개의 헤더를 사용하여 냉각속도를 줄여서 즉 서냉으로 560~600℃까지 제어냉각하여 권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퍼얼라이트 조직을 미세화시킬 수 있는 열연고탄소강 냉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열연고탄소강 냉각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계의 개략도이다.
제2a도는 일반 구조용 강의 냉각시 변태발열에 의한 온도변화 그래프이다.
제2b도는 고탄소강의 냉각시 변태발열에 의한 온도변화 그래프이다.
제3a도는 표1의 (가)강에 대한 연속냉각 상변태도 그래프이다.
제3b도는 표1의 (나)강에 대한 연속냉각 상변태도 그래프이다.
제4도는 냉각속도가 늦은 경우 고탄소강의 냉각시 변태발열에 의한 온도변화 그래프이다.
제5도는 종래의 냉각방법과 본 발명에 의한 냉각방법에 따른 변태거동 비교도이다.
제6도는 냉각방법에 따른 길이방향의 권취온도 분포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연코드 2 : 사상압연기
3 : 계산기 4 : 사상압연 출측온도계
5 : 두께계 6 : 런아우트 테이블 냉각설비
7 : 권취온도계 8 : 권취기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탄소강의 냉각제어방법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탄소강의 냉각제어방법은 고탄소강(탄소함량이 0.4% 이상, 0.85% 이하의 강)을 열간압연을 마무리한 후 런아우트 테이블 수냉각시 수냉영역의 전단부 각 뱅크(bank)의 다수개의 헤더(header)를 전부 사용하여 냉각하고, 수냉에 의한 열연코일의 계산온도가 660~700℃에 도달하면 냉각 뱅크의 헤더중 1/2 또는 1/3개의 헤더를 사용하여 냉각속도를 줄여서 즉 서냉으로 560~600℃까지 제어냉각하여 권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 도 1에 의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열연고탄소강 냉각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계의 개략도이다.
발명의 냉각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서 행하여진다. 사상압연기(2)의 출구측에서 런아우트 테이블 냉각설비(6)에 들어가지 건에 사상압연 출측온도계(4), 두께계(5)에 의해 열연 코일(1)의 온도 및 두께와 사상압연기(2)의 롤러의 회전수를 일정시간 간격 측정한다. 이러한 신호는 계산기(3)에 입력되고 일정시간 마다 측정된 위치를 런아우트 테이블 냉각설비(6) 전영역을 따라가면서 추적하여 각 냉각뱅크(6a, 6b)의 주수 실적으로부터 열연코일(1)의 권취온도를 계산한다.
상기 권취온도 계산은 모델에 의해서 수행하는데 그 기본 개념은 열연 코일(1)이 사상압연기 출측의 온도계(4)에서 권취온도계(7)까지의 공냉량을 계산하는 공냉부분과 목표 권취온도를 맞추기 위해 공냉으로 부족한 수냉량을 계산하는 수냉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공냉식과 수냉식에 사용되는 계수들은 열연 코일의 두께와 화학성분, 목표 권취온도 등에 따라 결정되는 구분치와 두께에따라 결정되는 구분치에 의해 정해진다. 공기냉각 즉 사상압연 출측온도(4) 지점에서 권취온도(7)지점까지 공냉된 후의 코일온도(CTair)는 다음 식과 같이 사상압연 출측온도 실적, 사상압연 출측온도와 권취온도간 거리, 코일 두께 및 속도로 표시된다.
여기서 a, b, A는 상수이고 l1은 사상압연 출측온도와 권취온도 지점사이의 거리이고, HF와 v는 각각 코일의 두께와 속도이고, FDT는 사상압연 출측온도이다.
수냉식은 먼저 목표 권취온도를 얻기 위해서 공냉 부족분을 계산한다. 즉 수냉으로 냉각시켜야 할 온도량(△Tw)을 계산하며, 그 온도량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 Tw = CTair- 목표권취온도 ········ (4)
다음으로 계산된 수냉온도 강하량을 얻기 위해서 필요한 런 아우트 냉각설비(6)의 뱅크(bank)수를 계산하고, 수냉온도 강하량(△ Txi)을 계산한다.
여기서, e와 f는 상수이고 △Txi는 런아우트 냉각설비(6)의 뱅크중 I번째 뱅크 수냉에 의한 강하 온도량, Ib는 각 뱅크의 길이, Vx는 뱅크 통과속도, C는 비열, ρ는 코일의 비중, HF는 코일두께이다. 그리고 Qxi는 i-뱅크 열유속으로 i-뱅크 상부 열유속(Qxiu)과 i-뱅크 하부 열유속(QxiD)의 합으로 표시된다. Qxiu와 QxiD는 실험에 의해서 구해진 각 뱅크별 열유속계수와 사용뱅크 수 등에 의해 결정된다.
Qxi= Qxiu+ QxiD········ (6)
상기에서 구한 △Txi를 △Tw에 도달할 때까지 합하면 냉각에 사용되는 뱅크수가 결정된다. 이때 수냉각은 각 뱅크의 6개 헤더를 전부 사용하고, 이러한 계산온도가 660~700℃에 도달하면 냉각 뱅크의 헤더 6개의 1/2 또는 1/3인 3개 혹은 2개의 헤더를 사용하여 냉각속도를 줄여서 즉 서냉으로 냉각하고 권취온도계(7)의 권취온도를 560~600℃로 제어냉각하여 권취기(8)로 열연코일을 권취한다.
종래 열연 코일의 냉각시 상변태 현상을 고려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일반강을 냉각시에는 변태에 의한 발열로 냉각과정의 온도변화가 심하지 않았는데, 고탄소강인 경우는 변태에 의한 발열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일반강과 동일한 방법으로 냉각시 목표로 하는 권취온도를 맞추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 도2a 및 도2b 이다. 도2a는 일반강의 대표적인 강종인 일반 구조용 강의 냉각시 변태발열에 의한 온도변화 그래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강종인 탄소량이 0.45%인 기계 구조용 고탄소강의 냉각시 변태발열에 의한 온도변화 그래프이다. 도2a 및 도2b에서 (a)는 변태발열이 있는 경우의 냉각곡선을 의미하고, (b)는 변태가 없는 강재의 냉각곡선을 의미하고, (c)는 각 강재의 변태거동 곡선을 나타낸다. 도2a 및 도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반구조용 강재는 변태발열량이 적어서 냉각시 온도가 거꾸로 올라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데 반해서 고탄소강은 온도의 역전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온도의 역전현상의 냉각시 빼앗는 열량보다 변태에 의해 발생되는 열량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태발열이 큰 강재는 냉각시에 변태 거동을 잘 예측하여 냉각제어 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고탄소 강재를 탄소가 0.4%이상, 0.85%이하로 규정한 이유는 이러한 강재들은 변태시 발열량이 많고, 런아우트 테이블 냉각시 냉각속도 변화에 따라서 상변태 개시온도의 변화가 적다는 것이다. 즉 탄소가 0.4%이하에서는 페라이트량이 많아져 변태개시 온도가 크게 변화하게 되고, 0.85%이상에서는 시멘타이트의 석출이 많아지게 되어 역시 변태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탄소가 0.4%에서 0.85%까지는 페라이트가 10%이하로 매우 적게 생성되므로 변태온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다.
본 발명의 냉각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강재의 연속냉각 상변태도를 도3a 및 도3b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각각의 성분을 표1에 나타내었다. 도3a는 표1의 (가)강에 대한 연속냉각 상변태도 그래프이고, 도3b는 표1의 (나)강에 대한 연속냉각 상변태도 그래프이다. 여기서 Fs는 페라이트 개시, Ps는 퍼얼라이트 개시, Pf는 퍼얼라이트 종료, Ms는 마르텐사이트 개시를 나타낸다. 도3a 및 도3b에 나타난 바와같이 변태개시 온도는 시간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는데, 표 1의 (가) 강의 경우 변태개시 온도는 냉각시간이 약 5초에서 10초 구간에서 약 600~640℃이고, (나)강의 경우 변태개시 온도는 냉각시간이 약 5초에서 10초 구간에서 약 580~640℃이었다. 그러므로 수냉에 의한 냉각시 640℃직상까지 냉각하여도 실제로 변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이하로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변태는 일어나게 되고 그 변태속도는 매우 빠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변태 속도가 빠르면 변태에 의해 발생하는 단위시간당 발열량이 커져 온도제어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각 뱅크의 6개 헤더를 전부 사용한 수냉각의 계산온도가 660~700℃에 도달까지로의 안정은 이와 같이 냉각시 변태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 온도를 의미한다. 660℃로 한정한 이유는 실용적으로 제어 가능한 범위로 그 이하로 낮아지면 변태가 개시할 가능성이 있고, 700℃로 한정한 이유는 변태개시까지의 온도가 너무 커지면 그 이하의 냉각제어가 실용적으로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표 1]
본 발명에서 각 뱅크의 6개 헤더를 전부 사용한 수냉각의 계산온도가 660~700℃에 도달한 이후 냉각뱅크의 헤더를 6개의 1/2 또는 1/3인 3개 혹은 2개의 헤더를 사용하여 냉각속도를 줄여서 즉 서냉으로 560~600℃까지 냉각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서냉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변태발열에 의한 온도상승(ΔT)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C는 비열, ρ는 비중, QT는 변태 총발열량, t는 변태시간이다. 강의 성분이 결정되면 비열과 비중은 결정된 값이고, 변태 총발열량은 변태상의 종류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나 본 발명에서 한정한 성분범위는 냉각시 퍼얼라이트량이 90%이상으로 조직분율의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총 발열량의 차이는 매우 적다. 따라서 변태발열에 의한 온도 상은온 변태시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온도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단위시간당 변태발열을 적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변태속도를 늦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너무 늦게하면 권취온도를 맞추기가 어려우므로 각 뱅크의 헤더를 2개 혹은 3개 사용하여 냉각하여야 한다. 이러한 현상을 나타낸 보인 것이 도2b와 도4이다. 도2b는 고탄소강의 냉각시 변태발열에 의한 온도변화 그래프이고, 도4는 냉각속도가 늦은 경우 고탄소강의 냉각시 변태발열에 의한 온도변화 그래프이다. 도2b는 냉각속도가 100℃/초인 경우이고, 도4는 냉각속도가 40℃/초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냉각속도가 빠른 경우는 총변태시간이 약 2초였고, 냉각속도가 늦은 경우는 총변태시간이 약 4초였다. 이와같이 변태시간이 긴 경우는 변태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ΔT)이 적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온도상승이 적으면 권취온도를 제어하기가 훨씬 용이하다. 그러므로 온도 상승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변태속도를 늦추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냉각속도를 늦게 함(서냉)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권취온도를 500~600℃로 한 이유는 권취온도가 560℃이하가 되면 베이나이트 변태가 일어나게 되고 이 조직은 가공성이 무척 나쁘므로 권취시 깨어질 가능성이 있고, 600℃이상으로 권취하게 되면 조직이 조대화되고, 권취이후에도 변태가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 이상 종래의 냉각방법과 본 발명에 의한 냉각방법에 따른 변태거동을 비교한 것이 도5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고탄소강 제어냉각 방법을 이용하여 표 2와 같은 성분으로 열연 코일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강판은 모두 두께가 2.3mm이고 폭은 1200mm 였다. 이러한 고탄소강 열연코일을 제조시 중요한 것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권취온도가 길이방향으로 균일해야 하는 것은 기본적인 것으로 이러한 길이방향의 온도편차는 길이방향의 재질편차로 남게 되므로 통상 목표 권취온도 ±20℃로 관리하고 있다. 표3은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공정조건이고, 도6은 냉각방법에 따른 길이 방향의 권취온도 분포 그래프이다.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660℃로 냉각하는 방법(비교예1)은 권취온도의 제어성이 매우 안정되어 있으나 조직미세화는 본 발명예에 비하여 약 3배로 매우 조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 2와 3은 각각 서냉개시온도가 본 발명의 서냉개시 온도범위를 각각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벗어나는 조건이다. 서냉개시 온도가 낮은 경우(비교예3)에는 변태속도가 매우 빨라서 조직은 미세화되나 권취온도의 제어성이 매우 나빠서, 길이방향의 재질편차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서냉개시온도가 높은 경우(비교예2)에는 서냉에 의해서 권취온도가 높은 쪽으로 벗어나고, 권취온도의 제어성도 나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조건(본발명예)을 적용한 경우는 길이방햐8d의 제어성도 양호하고, 조직 미세화 정도도 높아서 미세한 조직을 갖는 고탄소 열연 코일을 제조할 수 있다.
[표 2]
[표 3]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권취온도의 제어성이 안정되어 길이방향의 재질편차가 없고, 조직 미세화 정도도 높아서 미세한 조직을 갖는 고탄소 열연 코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과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상기 각 뱅크의 6개 헤더가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의 헤더로 대체가능함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헤더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뱅크로 이루어진 턴아우트 테이블 냉각장치를 이용한 열연 고탄소강을 냉각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간압연된 열연 고탄소강을 상기 런아우트 테이블의 수냉영역 전단부에 위치한 상기 냉각뱅크의 다수개 헤더를 사용하여 수냉하는 단계; 및
    수냉에 의해 고탄소강의 온도가 660~700℃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각 냉각뱅크의 일부 헤더를 사용하여 560~600℃의 온도까지 고탄소강의 온도를 서냉하는 단계로 구성된 열연 고탄소강의 냉각제어방법.
KR1019960069469A 1996-12-21 1996-12-21 열연고탄소강의냉각제어방법 KR100301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469A KR100301992B1 (ko) 1996-12-21 1996-12-21 열연고탄소강의냉각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469A KR100301992B1 (ko) 1996-12-21 1996-12-21 열연고탄소강의냉각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32A KR19980050632A (ko) 1998-09-15
KR100301992B1 true KR100301992B1 (ko) 2001-11-22

Family

ID=3752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469A KR100301992B1 (ko) 1996-12-21 1996-12-21 열연고탄소강의냉각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9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750B1 (ko) * 2001-12-12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런아웃 테이블 상의 소재 냉각방법
KR100757193B1 (ko) * 2001-12-22 2007-09-07 주식회사 포스코 상변태를 고려한 고탄소 열연강판의 냉각제어법
CN103210098B (zh) 2010-09-16 2015-09-09 Posco公司 高碳热轧钢板、高碳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32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3805B (zh) 盘管用钢带及其制造方法
CN105817489B (zh) 一种热轧带钢层流冷却工艺
RU249135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микролегированной стали, в частности трубной стали
CN108213077A (zh) 冷轧≥2.5%Si高硅钢的方法
CN104841701B (zh) 热轧带钢大降速轧制时的薄板卷取温度控制方法
CN108637019A (zh) 一种提高无取向硅钢成材率的生产方法
KR19990077215A (ko) 강 밴드의 열간 압연에 적합한 공정
KR100301992B1 (ko) 열연고탄소강의냉각제어방법
JP5381690B2 (ja) 高炭素熱延鋼板の製造方法
KR19990047916A (ko) 열연강판의 냉각제어방법
JP2006055884A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及び圧延制御装置
JP2002069534A (ja) 薄鋼板および薄鋼板の製造方法
JP3911952B2 (ja) 極低炭素熱延鋼帯の製造方法
JPH03277721A (ja) 熱延鋼帯の冷却制御方法
CN108570592B (zh) Tkdc捆带用热轧带钢及其生产方法
JP2001300633A (ja) 高強度熱延鋼帯の低温巻取り方法
JP2015116596A (ja) 熱延鋼帯の製造方法
JPH03174909A (ja) 高炭素鋼ホットコイルの製造方法
KR100496824B1 (ko) 온도계를 이용한 열연강판의 냉각제어방법
JP4466252B2 (ja) 高炭素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4352951B2 (ja) 高炭素鋼又は高炭素合金鋼からなる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H0441618A (ja) 高炭素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2197519A (ja) 熱延鋼帯の冷却方法
JPH0762447A (ja) 高品質加工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WO202212943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ot strip mill run out table coo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