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879B1 - 와이퍼 구동용 모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와이퍼 구동용 모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879B1
KR100300879B1 KR1019980006569A KR19980006569A KR100300879B1 KR 100300879 B1 KR100300879 B1 KR 100300879B1 KR 1019980006569 A KR1019980006569 A KR 1019980006569A KR 19980006569 A KR19980006569 A KR 19980006569A KR 100300879 B1 KR100300879 B1 KR 100300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motor
relay unit
spur gear
gea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2818A (ko
Inventor
조재성
남궁성태
Original Assignee
엄기화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화,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기화
Priority to KR101998000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879B1/ko
Publication of KR98001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2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3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reluctanc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모터의 역회전시 정상회전각도보다 더 큰 각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시킨 와이퍼구동용 모터조립체에 대해 개시한다. 이 모터조립체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정,역회전가능한 회전자(210)가 내부에 수용되는 전동기 본체(200)와; 전동기 본체(200)와 결합되며 회전자(2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외부로 출력을 전달시키는 스퍼기어(310)가 내부에 수용되고, 회전자(210)의 자동 정위치정지를 위한 접점(322)이 결합되고 스퍼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릴레이유니트(320)가 리벳결합되며, 접점(322)에 대응되는 도전성재질인 캠플레이트(330)가 마련되는 기어케이스(300)와; 와이퍼블레이드의 격납을 위하여 스퍼기어(310)의 역회전시 릴레이유니트(320)와의 간섭을 일정각도 해제시키는 소정의 해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와이퍼구동용 모터조립체{Drive control system of a mot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앞유리를 닦기 위한 와이퍼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와이퍼구동용 모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라이즈업기구에 채용되는 와이퍼 기구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와이퍼구동용 모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앞유리를 닦기 위한 와이퍼를 구동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원웨이 필레이를 적용하는 와이퍼 모터는 와이퍼블레이드를 off시키는 과정에서 미관상 와이퍼 블레이드를 작동 하한범위보다 더 하측의 엔진룸 후드 보닛(bonnet) 내측으로 격납시키는 디프로스터 파킹장치(일명 "라이즈업기구(rise-up mechanism)"라고도 한다.) 및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auto stop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디프로스터 파킹(depressed parking)장치는 모터의 off 동작시 대략 360°의 역회전이 요구되고, 상기한 디프로스터 파킹을 위해서는 와이퍼 모터의 회전력을 와이퍼 블레이드로 전달시키는 동력전달기구로 캠 방식 및 관절형 링크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한편, 관절형 링크방식은 모터축과 모터의 스퍼기어 및 릴레이 유니트의 접점간의 앵글각도를 θ라고 할 때 이 θ의 각도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의 격납위치가 가변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한 디프로스터 파킹장치는 모터의 역회전시 모터의 회전력과 와이퍼 블레이드의 마찰력에 의해서 관절형 링크가 꺽이면서 링크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와이퍼 블레이드가 엔진룸 후드의 내부로 격납된다.
따라서, 관절형 링크방식에서 모터의 역회전시 θ의 각도가 클 때는 링크의 역회전 충격이 커지게 되어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조기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반면에, θ의 각도가 작을 때는 링크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디프로스터 파킹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와이퍼 모터는 관절형 링크가 갖는 θ의 각도를 줄이는 조건을 만족하면서도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를 윈도우 글래스의 하측으로 격납시킬 수 있는 조건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90-517호 "2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우터를 사용한 와이퍼장치의 제어장치"에 공지된 바와 같다.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모우터(10)에 인가되는 전압의 인가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치수단(102)을 구비하여 이 스위치수단(102)을 제어하는 신호에 따라서 정전용스위치(102a)와 역전용스위치(102b)를 동작시켜 와이퍼모우터(101)를 정전 또는 역전시킴에 따라 와이퍼블레이드를 닦기 위하여 요동시키는 와이퍼장치에 있어서,
와이퍼모우터(101)의 동작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와이퍼조작 스위치(103)와, 와이퍼블레이드와 대응관계를 동작하여 와이퍼블레이드의 동작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와이퍼블레이드 위치검출회로(104)와, 와이퍼블레이드 위치검출회로(104)의 발생하는 신호를 선택하는 정지신호용 게이트와 반전신호용 게이트를 포함하는 선택제어회로(105)와, 와이퍼조작스위치(103)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이 선택제어회로(105)의 동작을 결정하는 선택지령회로(106)와, 와이퍼조작스위치(103)와 선택제어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와이퍼모우터(101)를 동작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신호출력회로(107)와, 적어도 선택제어회로(105)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정전, 역전 중에서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기억회로(108)와, 기억회로(108)의 출력에 기초하여 와이퍼모우터(101)의 정전, 역전을 선택하는 정역전선택회로(109)와, 정역전선택회로(109)를 개재하여 정전용스위치(102a) 또는 역전용스위치(102b)에 공급되는 구동신호의 각각을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시한회로(41),(42)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개념을 실시하는 일 예로는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블레이드 위치검출기(104)는 캠플레이트와 여기에 마련된 도면에 나타낸 형상의 도전부분을 이루는 전극플레이트(16)와 이 전극플레이트(16)면상에 형성된 수지제의 절연부(1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플레이트와 전극플레이트(16)와 절연부(17)는 축(18)을 중심으로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전극플레이트(16)에는 외연부에 각도(2θο)의 부채꼴돌출부(16a)와, 부채꼴돌출부(16a)에 대응하여 내연부에 안쪽돌출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플레이트(16)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브러시로 구성되는 3개의 접촉점(10),(11),(19)이 접촉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접촉점(19)은 항상 전극플레이트(16)에 접촉함과 함께 접지되었으며, 접촉점(11)은 캠플레이트의 정지위치(와이퍼블레이드의 격납위치에 대응)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안쪽돌출부(16B)에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 접촉점(10)은 캠플레이트의 반전위치(와이퍼블레이드의 닦는 범위의 하한위치에 대응)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부채꼴돌출부(16a)의 양단(Bο),(Bο)의 위치가 반전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와이퍼모우터와 캠플레이트의 부착관계는 캠플레이트의 전체주연부에 형성된 기어는 와이퍼모우터(101)의 출력축에 마련된 워엄기어(21)와 맞물리고, 이에 따라서 캠플레이트(20)는 축(18)의 둘레에 회전 구동하게 된다.
캠플레이트(20)의 회전운동은 링크기구에 의해서 와이퍼블레이드의 요동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와이퍼블레이드위치검출기(104)와 와이퍼블레이드의 연결관계는 캠플레이트(20)가 회전하면 크랭크아암은 회전축(22a)의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동일위상, 동일속도로 회전한다.
크랭크아암의 앞부분은 연결로드(23)를 개재하여, 와이퍼블레이드(24)의 와이퍼아암(24a)하단과 결합되어 전체로서 크랭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와이퍼아암(24a)의 하부는 회전중심(24b)에서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크랭크아암(22)이 회전하면 와이퍼블레이드(24)는 일정한 닦는 범위(K)에서 요동운동을 한다.
도면에서 와이퍼블레이드(24)의 위치(A)는 격납정지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위치(B)는 닦는 범위 하한위치, 하한반전위치, 위치(C)는 닦는범위 상한위치, 상한반전위치를 각기 나타낸다. 위치(A),(B)<(C)에 대응하여 연결로드(23)와의 결합점의 위치(A'),(B'),(C'), 크랭크아암의 위치(A"),(B"),(C")를 나타내고 있다.
접촉점(10)이 전극플레이트(16)의 부채꼴돌출부(16a)의 중앙에 있을 때의 초기 상태에서는 출력(Q)이 L레벨의 상태에 있다.
시한회로(41)(42)는 와이퍼모우터(101)의 회전방향이 변경하게 되는 경우에 단락회로를 형성하여 발전제동이 시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발전제동에 의한 전류가 감소한다음 각 계전기 접점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타임래그를 설정한다.
이어 종래 선행기술의 작용은 모터의 역회전시 작동되는 과정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와이퍼모우터(101)가 정전하기 시작하면 와이퍼블레이드(24)가 격납위치(A)에서 상승함과 함께 캠플레이트(20)를 개재하여 전극플레이트(16) 및 절연부(17)가 일체가 되어 F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접촉점(10)은 전극플레이트(16)의 회전에 따라 부채꼴돌출부(16a)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접촉점(10)은 H레벨로 된다.
한편 출력이 H레벨에서 L레벨로 변화하여도 시한회로(41)의 작용에 의하여 계전기접점은 곧 접지측으로 전환하지 않고 일정시간(t₁)동안 전원측에 유지된다. 이 (t₁)동안 전기자(101)의 양단자는 계전기접점을 개재하여 단락되므로 소정시간 발전제동이 발생하여, 이동안에 와이퍼모우터(101)에서 발생하는 발전전류는 단락회로를 통하여 감소한다.
그후 와이퍼모우터(101)가 역전을 개시하면 전극플레이트(16)는 G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퍼모우터(101) 및 전극플레이트(16)의 회전은 접촉점(10)이 다시 다른편의 플랜지(Bо)에 접촉하기까지 한다.
접촉점(10)이 플랜지(Bо)에 접촉하면 반전시호가 발생하여, 기억회로(108)의 출력(Q)을 L레벨로하여 정역전선택회로(109)의 작용에 따라 계전기접점을 전원측에 접속함과 동시에 시한회로(42)에 의하여 설정된 (t₁)후 다른 계전기접점을 접지측에 접속한다. 이 경우에도 발전전류를 단락회로에서 감소시킨 다음 정전전압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캠플레이트(200가 정역전을 플랜지(Bо),(Bо)에 정하는 범위에서 반복하는 동안 캠플레이트(20)에 대응하여 크랭크아암(22)도 같은 회전을 반복하며, 각회전(각도θ₁)마다 와이퍼블레이드(24)를 회전중심(24a)의 둘레에 B→C→B와 같이 1회 왕복시킨다.
또, 와이퍼모우터(101)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때에는 일정시간동안 시한회로(41),(42)의 작용으로 우선 전기자(101a)의 양단자의 전위를 같게 하여 단락시켜서 발전제동을 하고, 발전전류를 소정치 이하로 감소시킨 다음에 반전용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와이퍼모우터(101)가 F방향으로 회전중에 와이퍼조작스위치(103)를 OFF위치로 선택하면, 기억회로(108)과 선택지령회로의 출력이 H레벨을 갖도록 논리회로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정역전 선택회로(109)에 입력되어 와이퍼모우터(101)는 회전을 계속한다.
그리고, 접촉점(11)이 안쪽돌출부(16b)의 위치에서 전극플레이트(16)에 접촉하면 영전위를 나타낸 정지신호가 발생하므로 정지신호용게이트(33)의 출력은 L레벨과 같이되어 시한회로(41)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다음 계전기접점이 접지측에 접속한다. 이렇게 하여 와이퍼블레이드(24)는 격납위치(A)까지 이동하여 정지한다.
따라서, 종래 모터의 구동은 와이퍼블레이드의 격납을 위하여 와이퍼모우터의 동력을 와이퍼블레이드에 전달시키는 과정에서 관절형 링크의 경우 관절각도를 축소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
첫째, 와이퍼모터의 정지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시한회로등이 마련되는 와이퍼콘트롤러라는 회로를 별도로 채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전기적인 회로의 동작시 오동작발생의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을 다음과 같다.
첫째, 동력전달기구인 관절형 링크의 각도를 축소시켜 모터의 역회전시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모터의 구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둘째, 와이퍼 블레이드를 디프로스터 파킹 위치에 격납시킬 수 있도록 모터의 역회전시에는 auto stop에 따른 정 회전보다 더 큰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한 모터의 구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셋째, 모터의 역회전에 요구되는 회로를 생략하여 부품의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모터의 구도어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와이퍼구동용 모터의 제어회로도,
도 2는 종래 와이퍼구동장치의 동작원리를 보인 개요도,
도 3은 종래 와이퍼구동용 모터조립체의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구동용 모터조립체의 기어케이스를 분리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구동용 모터조립체의 주요부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구동용 모터조립체에 있어서 와이퍼모터의 정회전시와 역회전시의 각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전동기 본체 210 : 회전자
300 : 기어케이스 310 : 스퍼기어
312 : 고정돌기 320 : 릴레이유니트
320A,320B : 스톱퍼 322 : 접점
330 : 캠플레이트 340 : 버텀플레이트
350 : 리벳 352 : 단턱부
360 : 피동기어 410 : 슬라이딩부재
412 : 끼움부 420 : 와셔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모터의 구동제어시스템은,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정,역으로 작동되는 회전자를 가지는 전동기 본체와, 이 전동기 본체와 결합된 기어케이스와, 이 기어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자 작동에 따라 외부의 와이퍼기구를 작동시키며 일측면상에 돌출된 고정돌기를 가지고 있는 스퍼기어와, 이 스퍼기어와는 분리된 상태로 상기 기어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스퍼기어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면상에 간격을 두고 돌출된 한쌍의 스톱퍼와 그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자의 자동정위치 제어용 전기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접점을 가지고 있는 릴레이유니트와, 이 릴레이유니트의 타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기어케이스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그 릴레이유니트의 접점이 전기접촉하는 도전성 접점회로패턴을 가지고 있는 캠플레이트와, 상기 릴레이유니트와 동축상에 공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한쌍의 스톱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그 고정돌기에 걸려서 회전이동되다가 한쌍의 스톱퍼중 하나를 걸고 함께 회전하게 되는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구동제어시스템은 현재 통상적으로 범용되는 와이퍼모터를 일 예로 들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류의 흐름에 따라정,역회전가능한 회전자(210)가 내부에 수용되는 전동기 본체(200)와; 전동기 본체(200)와 결합되며 회전자(21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어 외부의 전술한 관절형 링크방식 와이퍼 기구를 작동시키는 스퍼기어(310)가 내부에 수용되고, 회전자(210)의 자동 정위치 제어용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접점(322)을 가지고 있고 스퍼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릴레이유니트(320)가 그 스퍼기어(310)와는 분리된 상태로 리벳결합되며, 접점(322)에 전기접촉할 수 있는 도전성 접점회로패턴을 가지고 있는 캠플레이트(330)가 설치된 기어케이스(300)와, 전술한 바와 같은 관절형 링크방식 와이퍼블레이드의 격납 작동을 위하여 스퍼기어(310)의 역회전시 릴레이유니트(320)와의 간섭을 일정각도 범위에서 해제시켜서 그 스퍼기어만 추가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소정의 해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어케이스(300)는 공지의 것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이는 타측면에 릴레이유니트(320)가 중앙에 리벳(350)으로 결합된 버텀플레이트(340)가 결합되고, 이 버텀플레이트(340)의 내측면에는 릴레이유니트(320)의 접점(322)과 대응되는 캠플레이트(33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캠플레이트(330)는 와이퍼블레이드의 격납 작동을 위하여 회전자(210)의 회전을 제한할 필요에 의해서 강제블레이크구간에서 상기 접점(322)과 접촉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통상적인 도전성 접점회로패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회전자(210)는 단부에 워엄기어(2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워엄기어(212)의 회전에 따라 스퍼기어(310)가 연동가능하도록 기어케이스(300)의 내부에 동력전달을 위한 피동기어(360)가 워엄기어(212)와 치합되고, 이들 피동기어(360)와 스퍼기어(310)는 각각 단부가 치합되어 연동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한 해제수단으로서 스퍼기어(310)의 일측면상에는 외측으로 소정 크기의 고정돌기(312)가 형성되고, 그 스퍼기어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릴레이유니트(320)의 일측 표면에 고정돌기(312)에는 걸리지 않는 높이로 돌출되고 된 한쌍의 스톱퍼(320A,320B)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각 스톱퍼(320A,320B) 사이의 표면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슬라이딩부재(410)가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410)는 모터의 역회전시 스퍼기어(310)의 고정돌기(312)에 걸려서 그 스퍼기어(310)와 함께 회전이동가능하게 된 것으로, 조립시의 편의성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지지수단에 의해서 일단부가 리벳(350)에 지지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지지수단은 그 일예로 리벳(350)의 일단부에 상호 다른 외경의 차를 갖는 단턱부(352)가 형성되고, 슬라이딩부재(410)는 일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릴레이유니트(3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끼움부(412)가 마련되며, 이 끼움부(412)는 리벳(350)의 단턱부(352)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 끼움부(412)와 릴레이유니트(320)의 내측면 사이에는 끼움부(412)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와셔부재(420)가 개재된다.
그리고, 이 와셔부재(420)는 일방향으로 소정의 자체 탄성력을 갖는 웨이브와셔(424)와, 웨이브와셔(424)의 탄성력으로 끼움부(412)와의 슬립을 가이드하는 슬립와셔(422)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모터의 구동제어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하면, 모터의 정회전시에는 회전자(21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회전력은 피동기어(360)를 통해서 스퍼기어(310)로 전달되어 정방향으로 연동된다. 이 스퍼기어(310)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전술한 관절형 링크방식의 와이퍼기구는 정상적으로 왕복동하면서 자동차의 앞면 유리를 닦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스퍼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고정돌기(312)가 슬라이딩부재(410)와 접촉하면서 함께 회전되고, 또한 그 슬라이딩부재(410)가 릴레이유니트(320)의 일측 스톱퍼(320A)와 만나면서부터는 그 릴레이유니트(320)도 함께 회전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와이퍼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조작하면, 도시하지 않은 통상의 제어회로에 의해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극성이 반전되어 회전자(21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워엄기어(212) 및 피동기어(360)를 통해서 스퍼기어(310)도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스퍼기어(310)의 고정돌기(312)는 정회전방향으로 접촉하고 있던 슬라이딩부재(410)의 일측면에서 반대방향으로 대략 360°정도 공회전되다가 그 타측과 만나면서 비로소 슬라이딩부재(410)와 같이 회전된다. 이어 그 슬라이딩부재(410)가 릴레이유니트(320)의 일측 스톱퍼(320A) 위치에서 타측 스톱퍼(320B) 위치로 이동되면 그때부터는 그 릴레이유니트(320)로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것이다.
릴레이유니트(32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접점(322)이캠플레이트(330)의 상의 정해진 지점에 이르면 전술한 정위치 제어용 신호가 검출되고 이 신호가 제어회로에 인가되면 모터가 정지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스퍼기어가 역회전하여 정지되는 동안은 전술한 관절형 링크방식 와이퍼기구의 격납 작동이 이행되는 것이다. 물론, 와이퍼의 정상작동시에 상기 검출되는 정위치 제어용 신호는 제어회로에서 무시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톱퍼(320A,320B)간의 거리 차이에 따라 스퍼기어(310)의 회전각도가 변화되므로, 원하는 와이퍼블레이드의 격납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모터의 역회전시 스퍼기어(310)의 회전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와이퍼모터의 회전력을 와이퍼블레이드로 전달시키는 관절형 링크가 갖는 설치각도를 저감시키는 대신에 모터의 역 회전각도를 추가 회전시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격납위치를 하한위치로 조정가능한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각 스톱퍼(320A,320B)의 두께폭과 고정돌기(312)의 두께폭을 감소시키고 양 스톱퍼(320A,320B) 사이의 거리(즉, 슬라이딩부재(410)의 이동거리)를 더 이격시키면 더 큰 각도의 역회전이 가능하지만, 강도상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적정한 각도로 추가 회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 모터의 구동제어시스템은 모터의 역회전시 정상 회전각도보다 더 큰 각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시킨 것인바, 이에 따르면 와이프블레이드의 격납성을 향상시키면서 동력전달기구인 관절형 링크의 설치각도를 축소시킴으로써, 모터의 역회전동작시 관절형 링크에서 발생되는 작동소음을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정,역으로 작동되는 회전자를 가지는 전동기 본체와, 이 전동기 본체와 결합된 기어케이스와, 이 기어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자 작동에 따라 외부의 와이퍼기구를 작동시키며 일측면상에 돌출된 고정돌기를 가지고 있는 스퍼기어와, 이 스퍼기어와는 분리된 상태로 상기 기어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스퍼기어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면상에 간격을 두고 돌출된 한쌍의 스톱퍼와 그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자의 자동정위치 제어용 전기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접점을 가지고 있는 릴레이유니트와, 이 릴레이유니트의 타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기어케이스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그 릴레이유니트의 접점이 전기접촉하는 도전성 접점회로패턴을 가지고 있는 캠플레이트와, 상기 릴레이유니트와 동축상에 공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한쌍의 스톱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스퍼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그 고정돌기에 걸려서 회전이동되다가 한쌍의 스톱퍼중 하나를 걸고 함께 회전하게 되는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구동용 모터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유니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그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기어케이스에 리베팅되고 단부에 직경이 큰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리벳과,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그 연장 형성된 부위가상기 리벳의 단턱부에 밀착되도록 끼움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를 단턱부의 내측면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릴레이유니트와 끼움부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셔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구동용 모터조립체.
KR1019980006569A 1998-02-28 1998-02-28 와이퍼 구동용 모터 조립체 KR100300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569A KR100300879B1 (ko) 1998-02-28 1998-02-28 와이퍼 구동용 모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569A KR100300879B1 (ko) 1998-02-28 1998-02-28 와이퍼 구동용 모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818A KR980012818A (ko) 1998-04-30
KR100300879B1 true KR100300879B1 (ko) 2001-09-06

Family

ID=3752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569A KR100300879B1 (ko) 1998-02-28 1998-02-28 와이퍼 구동용 모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8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818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1383A (en) Actuating mechanism having an extendible wiper blade
KR900000517B1 (ko) 2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우터를 사용한 와이퍼장치의 제어장치
US4599546A (en) Wiper device
JPS6378850A (ja) 車両用ワイパの払拭角度切換装置
KR910006805B1 (ko) 윈도우 와이퍼용 전동장치
US2959968A (en) Windshield wiper actuating mechanism
JPS6048370B2 (ja) ワイパ−装置
KR100300879B1 (ko) 와이퍼 구동용 모터 조립체
US5654616A (en) Windshield wiper system with soft wipe mode for high speed operation
US6609266B1 (en) Wiper motor
US5306991A (en) Window wiper and wiper actuating mechanism
JP2007215337A (ja) 減速機構付モータ
US2768530A (en) Windshield wiper drive and parking control
GB2052099A (en) Control of wiper drive
US6335601B1 (en) Wiper control device
US2749498A (en) Windshield wiper control
US2899510A (en) R merriam
US2866344A (en) Windshield wiper actuating mechanism
US2779199A (en) Windshield wiper
JPS62198550A (ja) 車輌用フロントグラスワイパ−
US2841994A (en) Windshield wiper mechanism
CN105083224B (zh) 车辆刮水器变速箱及车辆刮水器驱动系统
JP2953148B2 (ja) 車両用リヤワイパ装置
JP3072205B2 (ja) ワイパ装置
US2825918A (en) Windshield cleaner drive and park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