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810B1 -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810B1
KR100300810B1 KR1019980013784A KR19980013784A KR100300810B1 KR 100300810 B1 KR100300810 B1 KR 100300810B1 KR 1019980013784 A KR1019980013784 A KR 1019980013784A KR 19980013784 A KR19980013784 A KR 19980013784A KR 100300810 B1 KR100300810 B1 KR 100300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ridge
pier
piers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475A (ko
Inventor
조갑래
임환택
이주연
최남상
안희재
Original Assignee
김형벽ㅂ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ㅂ,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ㅂ
Priority to KR1019980013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8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물을 대형화·일체화하여 설치하고, 해상에서의 훅-업/프리커미셔닝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며, 교량의 미적 감각을 배가시킴과 동시에, 현장에서의 잔여 작업을 최소화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 블록을 권양탑과 블록 지지대가 설치된 초대형 운송선에 선적하여 현장까지 운송하는 운송공정과, 상기 교량 블록이 선적된 운송선을 교각까지 예인하는 운송선 예인공정과, 상기 운송선에 의해 교각까지 예인된 블록 a 와 블록 c 를 권양탑과 블록 지지대 및 스트랜드 잭에 의해 교각 상단에 설치하는 블록 a 및 블록 c 설치공정과, 상기 교각 상단에 설치된 블록 a 및 블록 c 의 상부끝단과 중앙경간인 블록 b 의 하부끝단에 각각 상단묘두 및 하단묘두를 설치하고, 이곳을 스트랜드 잭으로 연결하여 해상조건의 제약없이 안전하고, 정밀하게 블록을 설치·연결하는 블록 b 설치공정과, 단순보 형태로 설치된 각 3개의 교량 블록을 3경간 연속보로서의 기능을 형성하도록 하는 교량 솟음(캠버) 조정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송선의 계류 시스템과 스트랜드 잭을 포함한 잭 장치를 이용하여 운송선 및 구조물의 자유 운동을 제어하며 대형화·일체화된 구조물을 권양하여 설치하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량 등 해상 구조물 설치 공법으로는 주로 대형 해상 크레인선(CRANE BARGE)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들어서 설치하는 권양 공법(LIFTING METHOD)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크레인에 의한 권양공법은 크레인의 권양 능력 및 크레인선의 해상 작업조건 즉, 계류장치를 위한 공간확보문제, 수심, 날씨, 해류에 의한 조건 등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아 구조물의 크기 및 중량에 제한이 있었으며, 시공의 안정성 또한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구조물 제작시, 크레인의 권양 능력에 맞추어 소규모로 제작 후 현장에서 연결 작업해야 하므로, 이후 공정 즉, 훅-업과 커미셔닝(HOOK-UP & COMMISSIONING)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고, 초중량 구조물 취급에 따른 작업 위험 부담이 증가되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 2대의 크레인을 조합하여 복합 권양하는 경우는 선단의 계류장치간의 간섭 방지를 위해 더욱 충분한 작업공간이 필요하고, 시공의 안정성 또한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수심이 얕은 곳에서 해상 크레인선을 이용하는 권양공법을 사용하는 경우 동원되는 해상 장비의 작업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규모 준설(DREDGING) 작업이 필요하므로, 공기가 길어지고 공사비가 증가되는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설치된 측경간 교량에 중앙경간 설치시 해상조건에 의한 크레인선의 운동으로 교량 블록간 충돌의 위험이 있으며, 28개소에 이르는 연결부의 볼트 작업은 기술적으로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물을 대형화·일체화하여 설치하고, 해상에서의 훅-업/프리커미셔닝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며, 교량의 미적 감각을 배가시킴과 동시에, 현장에서의 잔여 작업을 최소화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 블록을 권양탑과 블록 지지대가 설치된 초대형 운송선에 선적하여 현장까지 운송하는 운송공정과, 상기 교량 블록이 선적된 운송선을 교각까지 예인하는 운송선 예인공정과, 상기 운송선에 의해 교각까지 예인된 블록 a 와 블록 c 를 권양탑과 블록 지지대 및 스트랜드 잭에 의해 교각 상단에 설치하는 블록 a 및 블록 c 설치공정과, 상기 교각 상단에 설치된 블록 a 및 블록 c 의 상부끝단과 중앙경간인 블록 b 의 하부끝단에 각각 상단묘두 및 하단묘두를 설치하고, 이곳을 스트랜드 잭으로 연결하여 해상조건의 제약없이 안전하고, 정밀하게 블록을 설치·연결하는 블록 b 설치공정과, 단순보 형태로 설치된 각 3개의 교량 블록을 3경간 연속보로서의 기능을 형성하도록 하는 교량 솟음(캠버) 조정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3경간 연속 트러스(TRUSS)교 구간중 교량 블록 분할(BRIDGE BLOCK DIVISION) 구성도
도 2 는 3경간 연속 트러스 구간중 블록 a, 블록 b, 블록 c 설치 공정도
도 3 은 블록의 선적 계획(STOWAGE PLAN)과 운송선 계류장치(ANCHORING & MOORING SYSTEM)의 위치 및 예인선의 배치도
도 4 는 계류장치를 이용한 운송선의 제 1 교각과 제 2 교각 사이 접안 공정도
도 5 는 권양탑과 스트랜드 잭을 이용한 블록의 설치 공정도
도 6 은 블록 a 의 설치 공정도
도 7 은 블록 a 의 도킹 가이드
도 8 은 블록 a 와 블록 b 의 측면 설치 공정도
도 9 는 블록 c 의 설치를 위해 가벤트(TEMPORARY BENT)에 장치되는 메이팅 가이드(MATING GUIDE)
도 10 은 블록 a 과 블록 c의 키 인부(KEY-IN-SYSTEM)
도 11 은 템퍼러리 가이드 풀링장치
도 12 는 블록 b 의 설치공정도
도 13 은 블록 b 의 조립공정 부분 상세도
도 14 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 및 템퍼러리 롱 힌지(TEMPORARY LONG HINGE SYSTEM)
도 15 는 블록 a 및 블록 c의 푸싱(PUSHING)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교각 (2) : 제 2 교각
(3) : 제 3 교각 (4) : 제 4 교각
(5) : 가벤트 (6) : 운송선
(7) : 블록 a (8) : 블록 b
(9) : 블록 c (10) : 스트랜드 잭(STRAND JACK)
(11,51) : 샌드잭 (12,23,33,52) : 유압잭
(13) : 슈(교좌장치) (21,31) : 가이드 풀링장치
(22,32) : 슈 푸싱장치 (53) : 벤트 트러스(BENT TRUSS)
(54) : 메이팅 가이드(MATING GUIDE)
(61) : 권양탑 (62) : 스트랜드 잭부
(63) : 블록지지대 (64) : 예인선
(71,91) : 상단 묘두 (72,92) : 가이드 레일
(73,93) : 템퍼러리 힌지 롱 볼트
(74,94) : 키-인부(KEY-IN) (75) : 도킹 가이드(DOCKING GUIDE)
(76,95) : 샌드 잭 서포트(SAND JACK SUPPORT)
(81,81`): 하단 묘두
(100): 계류장치(ANCHORING & MOORING SYSTEM)
(101): 선수쪽 앵커라인(ANCHOR LINE)
(102): 선미쪽 앵커라인
(103): 터닝비트(TURNING BITT)
(104): 무어링 라인(MOORING LINE)
(131): 팀버(TIMBER) (221,321): 삽입부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3경간 연속 트러스교 구간중 교량블록 분할 구성도를, 도 2 는 3경간 연속 트러스 구간중 블록 a, 블록 b, 블록 c 설치 공정도를, 도 3 은 블록의 선적 계획과 운송선 계류장치(100)의 위치 및 예인선의 배치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운송선(6)과 교각(1,2,3,4,5)에 설치되어 바람, 조류에 의한 운송선의 움직임을 통제하고 운송선(6)을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계류 장치와, 운송선(6) 위에 설치되어 스트랜드 잭(62)의 앵커링에 사용되고 블록 리프팅시, 블록의 하중을 운송선(6)에 전달하는 4개의 권양탑(61)과, 스트랜드잭, 앵커, 스틸 케이블로 구성되고, 6개씩 대각선 방향으로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된 12개의 스트랜드 잭부(62)와, 상기 12개의 스트랜드 잭부(62)가 설치되고, 블록의 선적 및 운송시에 블록을 지지하는 2개의 블록 지지대(63)와, 블록b(8)와 연결되는 블록a(7)와 c(9)의 상단 끝단부와 블록b(8)의 하부 양단에 스트랜드 잭(10)의 앵커링을 위해 각각 설치되는 상/하단 묘두(71,81,81`,91)와, 제 1 교각(1) 및 가벤트(5) 위에 2개씩 설치되어 메이팅(MATING)시에 블록의 최초 충격 하중을 받고 블록의 운동이 최소가 된 후에 하중을 서서히 교각에 전달하는 4개의 샌드잭(11,51)과, 상기 샌드잭(11,51)과 병행하여 제 1 교각(1) 및 가벤트(5) 위에 12개씩 설치되는 유압잭(12,52)과, 제 2 교각(2)과 제 3 교각(3)에 설치되어 블록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풀링 장치(21,31)와, 상기 제 2 교각(2) 및 제 3 교각(3)에 설치되어 블록b(8)의 리프팅시, 온도변화에 의한 블록길이의 변화에 관계없이 설치하기 위해 블록a(7)와 블록c(9)를 밀면서 핏업(FIT-UP)하는 슈 푸싱장치(22,32)와, 블록b(8)와 연결되는 블록a(7) 및 블록c(9)의 상현재 끝단 연결부에 설치되어 블록b(8)를 정위치로 셋업하는 가이드 레일(72,92) 및 템퍼러리 힌지 롱 볼트(73,93)와, 제 2 교각(2) 및 제 3 교각(3)과 맞닿는 블록a(7)와 블록c(9)의 하부에 설치되어 블록a(7)와 블록c(9)가 교각의 정위치에 놓이도록 조절하는 키-인부(74,94)와, 제 1 교각(1)과 맞닿는 블록a(7)의 하부 끝단부에 설치되어 블록a(7)를 가이드 하는 도킹 가이드(75)와, 상기 블록c(9)의 하부와 맞닿는 가벤트(5) 상단의 벤트 트러스(53)에 설치되어 블록c(9)를 가이드하는 메이팅 가이드(54)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는 계류장치를 이용한 운송선의 제 1 교각과 제 2 교각 사이 접안 공정도를 도시한 것으로, 교량 블록을 권양탑(61)과 블록 지지대(63)가 설치된 초대형 운송선에 선적하여 현장까지 우송하고, 운송선(6)이 설치현장에 도착하면 교각 100M 전방에서 선수쪽 앵커라인(101)을 풀어 앵커링한 다음, 운송선(6)을 교각 사이의 도킹라인에 맞춰 교각 30M 전방까지 해양 측에서 교각(1,2) 사이로 항만 예인선(64)에 의해 이동한다.
교각 30M 전방에서 운송선(6)의 좌우 무어링 라인(104)을 교각(1,2)에 연결된 터닝 비트(103)에 연결하고, 운송 예인선(64)과 무어링 라인(104)을 이용하여 운송선(6)을 교각 전방 10M 까지 진입시킨 다음, 선수쪽 앵커라인(101)를 고정시키고, 선미쪽 앵커라인(102)을 설치한 후 윈치 고정한다.
전방 10M 전방에서 도 5 와 같이 스트랜드 잭(62)과 권양탑(61) 및 블록지지대(63)를 이용하여 블록a(7)를 교량의 하현재가 슈(22)의 상단 보다 1.5 M 높게 블록을 들어올린 다음, 선수쪽 앵커 라인(101)을 풀고 무어링 라인(104)과 선미 앵커 라인(102)을 이용하여 운송선(6)을 도킹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때 블록a(7)의 도킹 가이드(75) 끝과 제 1 교각(1)과의 거리는 850MM를 유지한다.
도 6 은 블록 a 의 설치 공정도를, 도 7 은 블록 a 의 도킹 가이드를, 도 8 은 블록 a 와 블록 b 의 측면 설치 공정도를 도시한 것으로, 운송선(6)의 권양탑(61)과 블록지지대(63) 및 스트랜드 잭(62)에 의해 슈(22)의 상단보다 1.5 M 리프팅된 블록a(7)를 운송선(6)을 이용하여 제 1 교각(1) 상단부에 설치된 슈(13)와 샌드 잭(11) 및 제 2 교각(2)에 설치된 슈(22) 상부로 이송하고, 제 1 교각(1) 상단부와 맞닿는 블록a(7)의 하현재 끝단에 설치된 도킹 가이드(75)를 제 1 교각(1)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슈(13)의 일측에 설치된 팀버(131) 사이로 삽입하여 블록a(7)를 정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블록a(7)가 정위치되면 템퍼러리 가이드 풀링 장치(21)를 연결하고, 블록지지대(63)에 설치된 스트랜드 잭(62)을 이용하여 블록a(7)를 정위치에 내린다. 이때 블록a(7)에 설치된 샌드 잭 서포트(76)가 샌드 잭(11)과 접촉되고, 샌드 잭(11)과 병행하여 설치된 유압잭(12)에 블록a(7)가 접촉되므로 블록a(7)의 하중은 샌드 잭(11) 및 필요시 유압잭(12)에 의해 교각(1)에 서서히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블록a(7)의 설치가 완료되면 동일한 방법으로 블록c(9)를 설치한다. 블록c(9)는 메이팅 가이드(54)에 의해 정위치로 가이드 되며, 샌드 잭(51)과 유압 잭(52)에 의해 블록c(9)의 하중이 가벤트(5)에 서서히 전달된다.
도 9 는 블록 c 및 가벤트에 설치되는 메이팅 가이드를 도시한 것으로, 블록c(9)와 맞닿는 가벤트(5) 상단의 벤트 트러스(53) 양단부 즉, 벤트 트러스(53)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블록c(9)의 하중을 받는 샌드잭(51)을 사이에 두고 블록c(9)의 길이방향으로 벤트 트러스(53) 양단부에 블록c(9)를 가이드 하는 메이팅 가이드(5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이팅 가이드(54)는 스트랜드 잭(62)에 의해 블록c(9)를 정위치에서 다운(DOWN)시켰을 시, 블록c(9)의 양측면과 접촉하여 블록c(9)를 정위치로 가이드 한다. 이때 상기 샌드잭(51)은 블록 b 와의 연결과 3경간 연속 교량으로서의 기능을 위해 미리 530mm 올려둔다. 이것을 프리셋(pre-set)이라 하는데 교량솟음(캠버) 조정의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도 10 은 블록 a 와 블록 c 의 키-인부를, 도 11 은 템퍼러리 가이드 풀링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블록a(7) 및 블록c(9)와 맞닿는 제 2 교각(2) 및 제 3 교각(3)의 상단부 즉,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교각(2) 및 제 3 교각(3)의 상단부에 설치된 슈 푸싱장치(22,32)의 일측에 삽입부(221,321)가 설치되고, 이에 맞닿는 블록a(7) 및 블록c(9)의 하단부에 삽입부내로 삽입되는 키-인부(74,9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인부(74,94)는 스트랜드 잭(10)에 의해 블록a(7) 및 블록c(9)가 다운될 시, 제 2 교각(2) 및 제 3 교각(3)의 상단부에 설치된 삽입부(221,321)내로 삽입되어 블록a(7) 및 블록c(9)를 정위치로 가이드 한다. 이때 블록a(7) 및 블록c(9)에 설치된 샌드 잭 서포트(76,95)가 제 1 교각(2) 및 가벤트(5)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된 샌드 잭(11,51)에 접촉되므로 블록a(7)의 하중은 샌드 잭(11,51)에 의해 교각에 서서히 전달된다.
또한, 블록a(7)와 블록c(9)가 설치되는 제 2 교각(2)과 제 3 교각(3) 상단에는 가이드 풀링장치(21,31)가 설치되어 있어 블록a(7)와 블록c(9)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12 는 블록 b 의 조립공정도를, 도 13 은 블록 b 조립공정의 부분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설치완료된 블록a(7)와 블록c(9)의 사이 즉, 제 2 교각(2)과 제 3 교각(3) 사이로 운송선(6)을 이용하여 블록b(8)를 정위치 까지 이송하고, 블록b(8)와 연결되는 블록a(7)와 블록c(9)의 상부 끝단에 상단 묘두(71,91)를 2개씩 각각 설치하며, 상기 블록b(8)의 하부 양단에 하단 묘두(81,81`)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단 묘두(71,81,81`,91)에 스트랜드 잭(10)을 앵커링한다. 이와 같이 스트랜드 잭(10)이 앵커링되면 블록b(8)를 정위치에서 스트랜드 잭(10)에 의해 리프팅한다.
도 14 는 가이드 레일 및 템퍼러리 롱 힌지를, 도 15 는 블록 a 및 블록 c의 푸싱 개략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8개의 스트랜드 잭(10) 및 묘두(71,81,81`,91)에 의해 리프팅된 블록b(8)의 양단은 블록b(8)와 연결되는 블록a(7) 및 블록c(9)의 끝단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72,92)과 제 2 교각(2) 및 제 3 교각(3) 상단부에 슈 푸싱장치(22,32)와 같이 설치된 유압잭(23,33)에 의해 블록a(7) 및 블록c(9)의 일측단에 핏업(FIT-UP)된다.
이와 같이 블록a(7)와 블록b(8), 블록b(8)와 블록c(9)가 핏업되면 템퍼러리 힌지 롱 볼트(73,93)를 설치하고, 스플라이스 조인트(SPLICE JOINT) 부위에 롱 볼트를 체결한다. 상기 템퍼러리 힌지 롱 볼트는 블록 a - 블록 b 와 블록 b - 블록 c의 연결부가 온도나 태양의 방향에 의한 열변형시 어긋남을 방지하여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다이애그널 브레이스 텐셔너(DIAGONAL BRACE TENSIONER)를 이용하여 상·하층 평면에 있는 다이애그널 브레이스(DIAGONAL BRACE)의 모든 스플라이스 플레이트(SPLICE PLATE)를 체결하고, 상·하현재의 웹 스플라이스 플레이트(WEB SPLICE PLATE)를 체결하며, 수직평면(VERTICAL PLANE)의 사재(斜材)의 상·하단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한 다음 사재의 상·하단 플레이트의 롱 볼트를 완전히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사재의 상·하단 플레이트의 롱 볼트를 완전 체결한 다음, 상현재 하단 및 하현재 상단 플랜지의 스플라이 플레이트를 체결하고, 하현재 하단 플랜지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며, 사재에 롱 볼트를 연결하여 사재에 설치된 롱 볼트 텐셔너에 프리텐션을 준 다음 사재의 중앙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사재의 중앙 스플라이스 플레이트가 체결되면 사재로부터 프리텐션을 제거하고 중간삽입사재(INTERMEDIATE BRACE)를 연결한 다음 스트랜드 잭(10)의 유압을 서서히 감소시키며, 상단 묘두(71,91)와 템퍼러리 힌지(73,93)를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상단 묘두(71,91)와 템퍼러리 힌지(73,93)가 제거되면, 상현재 상단 플랜지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고, 하단 묘두(81,81`)를 제거하며, 묘두에 관련된 모든 장비를 제거한 다음 강상판 블록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강산판 블록이 설치되면, 마지막으로 교량의 설계 솟음(캠버)를 보정하는 캠버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의 설계 솟음(캠버)를 맞추어 준다. 즉, 블록a의 좌측 교각인 제 1 교각과 블록 c의 우측 임시 교각인 가벤트상에 설치된 샌드잭 미리 높힘(제 1 교각 850mm, 가벤트 530mm)을 낮추면서 교량의 설계 솟음(캠버)를 맞추어 준다. 상기와 같이 교량솟음을 조정하고 난 다음, 샌드잭을 완전히 내려서 교량의 하중을 교각상의 슈(교좌장치)에 전달시키고, 교량하단과 슈(교좌장치) 상부의 소울플레이트(SOLE PLATE)와 용접으로 고정시킴으로써 교량의 설치 및 연결작업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송선 자체에 권양탑과 블록지지대를 설치하고, 여기에 스트랜드잭을 연결하여 블록을 설치함으로써 고가의 대형 해상 크레인선 사용경비를 대폭절감할 수 있고, 스트랜드 잭의 용량만 증가시키면 구조물의 중량제한 없이 일체화된 초대형 육·해상 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크다.
또한, 대형 구조물의 해상설치시 사용가능한 해상크레인선의 동원한계로 인하여 통상 2대 이상의 해상 크레인선이 어렵고 워험한 동시인양작업을 수행해야 하나 본 발명의 경우, 운송선상의 권양탑과 스트랜드 잭에 의한 장대교량 및 구조물의 설치로 시공이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기설치된 양측경간 블록 a 와 c를 이용하여 중앙경간 교량블록 b를 스트랜드 잭으로 인양 설치하므로서 해상조건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도 설치 및 블록간의 연결이 용이하므로 시공성과 작업의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보장된다.
또한, 양측경간 교량블록 a 와 c 의 각각 좌/우측 끝단에 샌드잭을 미리 설치하여 교량에 충격완화는 물론 사전에 높힘장치(pre-set)를 해서 중앙경간 블록b를 연결함으로서 단순보 형태로 설치된 각 3개의 블록을 설계의 본래취지인 3경간 연속보 교량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온도변화에 의한 연결부의 엇갈림을 방지하고, 교량 솟음(캠버) 보정을 가능케 함으로서 원설계의 적합성에 완전히 부합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향후 장대교량 및 초대형 구조물 설치시 국내외의 관련 건설업계에 미치는 효과가 막대하리라 생각된다.

Claims (9)

  1. 3경간 연속 트러스 구간중, 블록 a, 블록 b, 블록 c 를 설치하는 구조물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장치는 운송선과 교각에 설치되어 바람, 조류에 의한 운송선의 움직임을 통제하고 운송선을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계류장치;
    상기 운송선 위에 설치되고 블록 리프팅시 하중을 운송선에 전달하는 다수개의 권양탑;
    상기 권양탑과 권양탑 사이에 설치되고, 블록의 로드 아웃 및 운송시 블록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블록 지지대;
    상기 블록 지지대에 6개씩 대각선 방향으로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설치되고, 스트랜드잭, 앵커, 스틸 케이블로 구성되어, 블록을 리프팅 시키는 다수개의 스트랜드 잭부;
    상기 블록 b 와 연결되는 블록 a 와 c 의 상단 끝단부와, 블록 b 의 하부 양단에 스트랜드 잭의 앵커링을 위해 각각 설치되는 상/하단 묘두;
    상기 제 1 교각 및 가벤트 위에 설치되어 블록의 메이팅(MATING) 시, 블록의 최초 충격 하중을 받고, 블록의 운동이 최소가 된 후에 하중을 서서히 교각에 전달하며, 단순보 형태로 설계된 3개의 교량블록을 3경간 연속보 교량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하는 여러개의 샌드 잭;
    상기 다수개의 샌드 잭과 병행하여 제 1 교각 및 가벤트 위에 설치되는 유압잭;
    상기 제 2 교각과 제 3 교각에 설치되어 블록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풀링 장치;
    상기 제 2 교각 및 제 3 교각에 설치되어 블록 b 의 리프팅시, 블록 a 와 블록 c 를 밀면서 핏업(FIT-UP)하는 슈 푸싱장치;
    상기 블록 b 와 연결되는 블록 a 및 블록 c 의 상현재 끝단 연결부에 설치되어 블록 b 를 정위치로 셋업하고, 온도변화에 의한 연결부의 엇갈림을 방지하는 가이드 레일 및 템퍼러리 힌지 롱 볼트;
    상기 제 2 교각 및 제 3 교각과 맞닿는 블록 a 와 블록 c 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 2 교각 및 제 3 교각 상부 슈의 일측에 설치된 삽입부내로 삽입되어 블록 a 와 블록 c를 정위치 셋팅하는 키-인부;
    상기 제 1 교각과 맞닿는 블록 a 의 하부 끝단부에 설치되어 블록 a 를 정위치 가이드 하는 도킹 가이드;
    상기 블록 c 의 하부와 맞닿는 가벤트 상단의 벤트 트러스에 설치되어 블록 c 를 가이드하는 메이팅 가이드;
    상기 블록 a 와 c 의 각 좌·우측 끝단에 접촉하는 샌드잭을 미리 높히고(preset) 슈 푸싱장치로 미리 밀어둔후 블록 b를 설치·연결한 다음, 샌드잭의 교량 하중을 슈(교좌장치)에 전달시키며, 교량의 설계 솟음(캠버)를 보정하는 캠버 조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2. 교량 블록을 권양탑과 블록 지지대가 설치된 초대형 운송선에 선적하여 현장까지 운송하는 현장운송공정;
    상기 교량 블록이 선적된 운송선을 교각까지 예인하는 운송선 예인공정;
    상기 운송선에 의해 교각까지 예인된 블록 a 와 블록 c 를 권양탑과 블록 지지대 및 스트랜드 잭에 의해 교각 상단에 설치하는 블록 a 및 블록 c 설치공정;
    상기 교각 상단에 설치된 블록 a 및 블록 c 사이에 권양탑과 블록 지지대 및 스트랜드 잭을 이용하여 블록 b 를 설치하는 블록 b 설치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선 예인 공정은 교각 100M 전방에서 선수쪽 앵커라인을 풀어 앵커링한 다음, 운송선을 교각 사이의 도킹라인에 맞춰 교각 30M 전방까지 해양 측에서 교각 사이로 항만 예인선에 의해 이동하고, 교각 30M 전방에서 운송선의 좌우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을 교각에 연결된 터닝 비트(TURNING BITT)에 연결하며, 운송 예인선과 무어링 라인을 이용하여 운송선을 교각 전방 10M 까지 진입시킨 다음, 선수쪽 계류장치를 고정시키고, 선미쪽 앵커라인을 설치한 후 윈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a 및 블록 c 설치공정은 운송선 예인 공정에 의해 교각 전방 10M 전방까지 운송된 블록을 권양탑과 블록 지지대 및 스트랜드 잭을 이용하여 교량의 하현재가 슈의 상단 보다 1.5 M 높도록 리프팅하고, 선수쪽 앵커 라인을 풀고 무어링 라인과 선미 앵커 라인을 이용하여 운송선을 도킹 위치까지 이동한 다음, 스트랜드 잭을 다운(DOWN)하여 블록 a 와 블록 c 를 정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a 는 제 1 교각과 맞닿는 블록 a 의 하부 끝단에 설치된 도킹 가이드와, 제 2 교각과 맞닿는 블록 a 의 하부 끝단에 설치된 키-인부에 의해 다운시 정위치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a 의 하부 끝단에 설치된 도킹 가이드의 끝단은 교각과 850MM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7.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c 는 가벤트과 맞닿는 블록 c 의 하부 끝단에 설치된 메이칭 가이드와, 제 3 교각과 맞닿는 블록 c 의 하부 끝단에 설치된 키-인부에 의해 다운시 정위치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b 설치공정은 설치완료된 블록 a 와 블록 c 의 사이로 운송선을 이용하여 블록 b 를 정위치 까지 이송하고,
    블록 b 와 연결되는 블록 a 및 블록 c 의 상부 끝단에 상단 묘두를 2개씩 각각 설치함과 동시에 블록 b 의 하부 양단에 하단 묘두를 설치하며,
    상기 상/하단 묘두에 스트랜드 잭을 앵커링하여 스트랜드 잭에 의해 블록 b 를 정위치까지 리프팅하고,
    스플라이스 플레이트(SPLICE PLATE)를 체결하여 블록 b 를 블록 a 와 블록 c 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9. 제 2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b 는 블록 b 와 연결되는 블록 a 및 블록 c 의 끝단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제 2 교각 및 제 3 교각 상단부에 슈와 같이 설치된 유압잭에 의해 블록 a 및 블록 c 의 일측단에 핏업(FIT-UP)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KR1019980013784A 1998-04-17 1998-04-17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 KR100300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784A KR100300810B1 (ko) 1998-04-17 1998-04-17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784A KR100300810B1 (ko) 1998-04-17 1998-04-17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475A KR19990080475A (ko) 1999-11-05
KR100300810B1 true KR100300810B1 (ko) 2001-09-06

Family

ID=3752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784A KR100300810B1 (ko) 1998-04-17 1998-04-17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426B1 (ko) 2011-12-27 2013-07-24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시공된 캔틸레버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215A (ko) * 2002-02-21 2003-08-29 박창희 교량 시공 및 해체를 위한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리프팅 공법
KR100988124B1 (ko) * 2005-05-11 2010-10-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트랜드 잭을 이용한 계류 장치
KR100978065B1 (ko) * 2008-03-25 2010-08-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방법
KR101026014B1 (ko) * 2010-11-25 2011-03-30 (주) 한국비계 수상에서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가설공법
KR102039305B1 (ko) * 2019-03-19 2019-10-31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해상 교량의 거더 브리지 설치 시공방법
CN114102488B (zh) * 2021-11-08 2023-12-26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Ge海运脚套插片式装配工装
CN114875806A (zh) * 2022-06-15 2022-08-09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桥下贝雷支架顶升拆卸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426B1 (ko) 2011-12-27 2013-07-24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캔틸레버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시공된 캔틸레버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475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9311B1 (en) Preloading to reduce loads and save steel on topsides and grillage of catamaran systems
US4417831A (en) Mooring and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a guyed marine structure
US20230392584A1 (en) Installation of a wind turbine on a floating foundation
WO2006038749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ransversely launching ship built on the ground
KR100300810B1 (ko) 해상 교량 및 고정식 해상 구조물 설치장치 및 방법
US6471444B1 (en) Spar construction method
US20100221070A1 (en) Topsides load-out to barge catamaran for float-over installation
CN111285141B (zh) 卸船机运输发运工艺
USRE32119E (en) Mooring and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a guyed marine structure
CN110306436B (zh) 一种超大分段钢结构桥梁两船联运跨墩架设施工方法
Tribout et al. Float-overs offshore west Africa
KR100465882B1 (ko) 잭 시스템에 의한 리그선의 육상 데크메이팅 공법
EP3693513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decommissioning an offshore platform
KR102260350B1 (ko) 사장식 수중터널 계류 장치 및 그 계류 방법
WO2002004287A1 (en) Installation and removal of decks on and from offshore structures
KR20210019718A (ko) 현수식 수중터널 계류 장치 및 그 계류 방법
KR100436110B1 (ko) 승강식 구조물 가설 공법
CN217805175U (zh) 一种浮拖安装装置和浮拖安装系统
CN114808897B (zh) 一种龙门吊承吊安装风电安装平台桩腿的方法
CN216332625U (zh) 内河沉管浮运安装驳
CN216474531U (zh) 一种下穿既有桥梁的水上钢箱梁提升滑移安装系统
KR100337573B1 (ko) 플로트 매팅 방식에 의한 중량물 선적 방법 및 장치
US6210076B1 (en) Offshore deck installation
CN112227214B (zh) 一种钢构件的拼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5973338A (zh) 一种轨道式门座型起重机转移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