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705B1 - 스로틀개도신호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로틀개도신호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705B1
KR100298705B1 KR1019970052752A KR19970052752A KR100298705B1 KR 100298705 B1 KR100298705 B1 KR 100298705B1 KR 1019970052752 A KR1019970052752 A KR 1019970052752A KR 19970052752 A KR19970052752 A KR 19970052752A KR 100298705 B1 KR100298705 B1 KR 10029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opening
signal
opening degree
throttle
degre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874A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7005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705B1/ko
Publication of KR1999003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3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 F02D9/10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having a throttle position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4Throttl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스로틀 개도량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전압 폴로어를 통과해 신호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시정수 결정부에서 시간을 조정해 변속기 제어 장치로 입력되도록 하여 처리하게 하고 서지 발생에 의해 회로의 파손을 막기 위해 제너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서지 전압에 의한 회로 보호를 도모하며 최종단에 콘덴서를 사용해 노이즈 성분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어서 엔진 제어 장치로부터 스로틀 개도량을 받지 않고 스로틀 포지션 센서에서 직접 스로틀 개도량을 입력받는다.
스로틀 개도량을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처리하기 위해 종래의 엔진 제어 장치를 통하지 않고 중간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회로를 구성하므로써 스로틀 개도량을 실제 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엔진 제어 장치내의 중앙 처리 장치의 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써 다른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여유가 있으며, 핀 부족 현상에 의한 엔진 제어 장치를 재설계하지 않아도 되어 개발비용이 적개드는 효과를 가진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장치
본 발명은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스로틀 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엔진 제어 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변속기 제어 장치로 입력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크게 엔진과 변속기 및 엔진 제어 장치와 변속기 제어 장치와 그 외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에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스로틀 밸브가 존재해 엔진으로 유입되는 에너지의 양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스로틀 밸브를 좀더 설명하면 '흐름을 막다. 감속하다'로써 링키지나 와이어로 액셀 페달에 연결되어 있으며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 또는 혼합기의 양을 컨트롤하는 밸브이다. 얇은 원판을 중앙에 설치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밸브를 개폐하는 버터플라이 밸브가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드 밸브가 있다.
상기 스로틀 밸브의 열린 정도를 감지하는 것이 스로틀 포지션 센서로서 상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해 연료 및 변속기 제어를 하기 위해 제어 장치(20) 입력된다.
도2에 보이듯이 종래의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장치를 설명하면, 종래에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로부터 스로틀 개도를 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된 검출 신호의 안정성을 가지도록 신호 안정부(10)를 통해 엔진 제어 장치(20)로 입력되어 처리되므로써 엔진 제어 장치(20)는 엔진 계통에 필요한 여러 가지 요소를 제어하였다.
또한,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는 상기 스로틀 개도 신호를 처리하여 PWM신호를 출력하였고 상기 PWM 출력신호는 변속기 제어 장치(도시안됨)로 입력되어 재처리되므로써 변속기 등의 제어신호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스로틀 개도의 검출 신호를 이용하기 위해 엔진 제어 장치에서 처리하고 변속기의 제어에 있어 상기 출력 신호를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재차 처리하므로써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엔진 제어 장치의 내의 중앙 처리장치 핀을 사용하므로써 제어 핀의 부족으로 기능이 부가될 경우 엔진 제어 장치를 재개발해야 하는 시간 및 비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제어 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변속기 제어 장치로 입력되어 처리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화시키기 위한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스로틀 포지션 센서에서 출력된 스로틀 개도 신호를 신호 안정부를 통해서 증폭시켜주는 전압 폴로어와; 상기 전압 폴로어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되는 스로틀 개도 신호를 RC 시정수만큼 소정의 시간 지연하는 시정수 결정부와; 상기 시정수 결정부에서 소정시간 지연된 스로틀 개도 신호의 서지전압을 방지하고 일정 전압으로 유지하는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제어 다이오드를 통해서 일정 전압으로 유지된 스로틀 개도 신호를 노이즈를 제거하는 콘덴서를 통해서 변속기 제어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1의 구성과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스로틀 포지션 센서에서 출력된 스로틀 개도 신호를 신호 안정부를 통해서 엔진 제어장치(20)에 입력함과 아울러 상기 스로틀 개도 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저항(R1)(R2) 및 연산 증폭기로 구성되는 전압 폴로어(40)와; 상기 전압 폴로어(40)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되는 스로틀 개도 신호를 RC 시정수 만큼 지연 구동하는 시정수 결정부(50)와; 상기 시정수 결정부(50)에서 RC 시정수 만큼 지연 구동되어 출력되는 스로틀 개도 신호를 소정 전압 레벨로 유지하는 제너 다이오드(60)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60)로 출력되는 일정 전압 레벨로 유지된 스로틀 개도신호에 노이즈를 제거하는 콘덴서(70)와, 상기 콘덴서(70)를 통해서 노이즈가 제거된 스로틀 개도 신호를 변속기 제어장치(30)에 인가되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차량의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에서 상기 액셀러레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스로틀 개도량을 검출해 상기 개폐량을 엔진 제어 장치(20)나 변속기 제어 장치(30)의 출력하게 된다.
상기 스로틀 개도의 개폐량을 나타내는 신호는 신호 안정부(10)를 통과해 엔진 제어 장치(20)로 입력된다.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는 상기 개도량을 나타내는 신호로 개도량을 검출해내고 차량의 운행 상태와 맞도록 처리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는 상기 개도량 신호를 이용해 엔진에 관계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지만 변속기에 관한 제어를 하기 위해 상기 스로틀 개도 개폐량 신호는 변속기 제어 장치(30)로도 입력된다.
상기 신호 안정부(10)로 입력된 개도량 신호는 내부에서 분기시켜 변속기 제어 장치(30)로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신호를 직접 변속기 제어 장치(30)로 보낼 수 없으므로 중간인터페이스 구실을 하는 회로를 통과시킨다.
신호 안정부(10)에서 분기된 신호는 전압 폴로어(40)로 입력되어 1배 증폭시켜 신호를 확실하게 해주고 후단의 시정수 결정부(50)에서는 상기 전압 폴로어(40)의 동작으로 출력된 전압의 시정수를 결정하여 준다.
상기 시정수는 0.2 ms로 정해 놓았다.
상기 스로틀 개도량 신호는 마지막의 노이즈 방지용 콘덴서(70)에서 노이즈 성분이 걸러져 변속기 제어 장치(30)로 입력되게 된다.
또한, 회로내에서 발생된 서지 전압으로 인해 부품 등이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너 다이오드(60)를 사용해 보호를 한다.
따라서, 상기 스로틀 개도량 신호는 엔진 제어 장치(20)를 통하지 않고 직접 변속기 제어 장치(30)로 입력되었고 변속기 제어 장치(30)는 스로틀 개도량을 처리해 변속기에 관련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로틀 개도량을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처리하기 위해 종래의 엔진 제어 장치를 통하지 않고 중간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회로를 구성하므로써 스로틀 개도량을 실제 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엔진 제어 장치내의 중앙 처리장치의 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써 다른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여유가 있으며, 핀 부족 현상에 의한 엔진 제어 장치를 재설계하지 않아도 되어 개발비용이 적개드는 효과를 가진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2)

  1. 스로틀 포지션 센서에서 출력된 스로틀 개도 신호를 신호 안정부를 통해서 증폭시켜주는 전압 폴로어와; 상기 전압 폴로어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되는 스로틀 개도 신호를 RC 시정수 만큼 소정의 시간 지연하는 시정수 결정부와; 상기 시정수 결정부에서 소정시간 지연된 스로틀 개도 신호의 서지전압을 방지하고 일정 전압으로 유지하는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를 통해서 소정의 전압으로 유지된 스로틀 개도 신호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콘덴서를 통해서 변속기 제어장치로 접속되게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시정수 결정부는 0.2ms의 시간 지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개도 신호 처리장치.
KR1019970052752A 1997-10-15 1997-10-15 스로틀개도신호처리장치 KR10029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752A KR100298705B1 (ko) 1997-10-15 1997-10-15 스로틀개도신호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752A KR100298705B1 (ko) 1997-10-15 1997-10-15 스로틀개도신호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874A KR19990031874A (ko) 1999-05-06
KR100298705B1 true KR100298705B1 (ko) 2001-10-27

Family

ID=3752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752A KR100298705B1 (ko) 1997-10-15 1997-10-15 스로틀개도신호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7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763B1 (ko) * 2014-11-17 2021-05-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충돌 센서 보호용 회로
KR102419950B1 (ko) * 2021-08-27 2022-07-13 주식회사 루프 차량 출력 제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874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138233A (ja) デイ−ゼル式内燃機関の噴射装置用電子制御装置
KR100298705B1 (ko) 스로틀개도신호처리장치
US5117682A (en) Idling detection device
KR920008323A (ko) 내연기관용 녹제어장치 및 방법
KR930021930A (ko) 엔진의 흡입공기량 제어장치
KR890012073A (ko) 엔진의 연료제어장치
KR100305843B1 (ko) 스로틀포지션센서고장진단방법
KR970044709A (ko) 흡입 공기량 센서 이상시 흡입 공기량 판정장치 및 그 방법
KR970044876A (ko) 흡입 공기량 감지장치에 따른 엔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50027386A (ko) 자동점도 측정장치의 제어신호 입.출력회로
KR950019123A (ko) 과부하시 엔진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216007Y1 (ko) 엔진 브레이크 제어장치
SU1366245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 аспирационной установкой
KR200242708Y1 (ko) 차량의스로틀개도판단장치
KR960023698A (ko) 아이들시 엔진 회전수의 변동에 따른 흡입 공기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970048076A (ko) 공기량 감지기 테스트 장치
KR100290367B1 (ko) 고지출력저하보상장치및그방법
KR970034467A (ko) 자동차의 외부 공기 흡입 제어 장치
KR100302707B1 (ko) 노크판정을위한노이즈제거회로및그제어방법
KR970044689A (ko) Tps 고장시 운행 유지방법
KR970021968A (ko) 전자렌지용 문열림감지회로의 컨넥터 오삽 판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29094U (ko) 드로틀 위치센서의 입력 안정화회로
KR970027729A (ko) 아이들 속도 제어 장치의 동작 상태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960035004A (ko) 차량용 엔진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9980044848U (ko) 대쉬 포트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