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679B1 -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679B1
KR100298679B1 KR1019990028057A KR19990028057A KR100298679B1 KR 100298679 B1 KR100298679 B1 KR 100298679B1 KR 1019990028057 A KR1019990028057 A KR 1019990028057A KR 19990028057 A KR19990028057 A KR 19990028057A KR 100298679 B1 KR100298679 B1 KR 10029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esin
finishing
ag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9606A (ko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김승배
효성드라이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배, 효성드라이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승배
Priority to KR1019990028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679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외장의 유지보수기간을 반영구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마감용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성을 가지고 연구한 결과, 바인더수지와 충진제에 불소수지를 더 첨가함으로써 발수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향상시켜 내구성, 내오염성 및 내후성 등이 우수한 마감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은, 아크릴수지 및/또는 실리콘수지로 이루어지는 바인더수지와 충진제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에 발수성과 발유성을 함께 갖는 불소수지를 더 포함시켜 불소수지에 의하여 내오염성 및 세척성 등을 향상시켜 건물외벽 등을 마감하는데 사용되어 유지보수의 기간을 연장시키는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마감용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화가 가능한 정도의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내오염성에 더해 우수한 세척성을 갖는 마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의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노력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 {Finishing composition comprising Fluororesin}
본 발명은 엷은 마무리용으로 벽체에 바를 수 있는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바인더수지와 충진제에 불소수지를 더 첨가함으로써 발수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향상시켜 내구성, 내오염성 및 내후성 등이 우수한 마감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체 등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용 조성물들은 벽체를 보호하고, 특히 내오염성 및 내마찰성 등의 물리적 성질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96-34119 호에는 온돌마감 미장용 수축 저감 몰탈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수축저감을 위하여 유동층 연소 보일러에서 다량 생산되는 일반 폐기물인 분진을 재활용하여 이를 시멘트 몰탈에 포함시키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나, 오직 수축을 저감시켜 균열을 방지하여 온돌용으로만 사용되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99-600 호에는 건축내장벽체용 황토칠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자체온도 조절능력이 뛰어나고 원적외선방출효과, 단열효과 등이 우수한 종래의 황토벽을 재현하기 위하여 황토분, 석회, 폴리비닐알코올, 공업용풀 및 수성조색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황토칠조성물을 기존의 벽체에 덧칠하도록 되어 있으나, 조성물 자체가 수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외벽의 마감용으로는 적절치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미 상용화된 실리콘함유 마감용 조성물은 아크릴수지 또는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수지를 사용한 에멀젼수지와 실리콘수지를 이용한 마감재로서 속건성, 양호한 부착성, 안료분사의 용이, 우수한 작업성, 색상의 다양성 등의 장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아크릴에멀젼의 수지배합(수지고형분으로 5 내지 15중량)으로는 우수한 증기투과성을 얻을 수 없었다. 이는 바인더(Binder)로 사용되는 수지로서의 아크릴에멀젼의 표면장력이 높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고려되며, 따라서 수지배합을 조절하여 표면장력을 낮추는 조성시스템을 개발하여 마감재 표면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제품화 하였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내수성이 약화되어 강우시 과량의 물을 흡수하여 마감재의 물성이 저하되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보다 소수성이 강한 도료로서 저분자량의 실리콘수지를 이용한 마감재가 개발되어 역시 상용화되었다.
상용화된 마감용 조성물 중 실리콘수지만을 사용하는 마감용 조성물은 기존의 마감용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사용하는 실리콘수지의 종류에 따라 몇몇 특성은 반비례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밝혀졌다. 예를 들어, 저분자량의 실리콘수지를 사용한 제품은 통기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수증기투과성에 관련된 Sd-값이 우수하지만 고분자량의 실리콘수지를 사용한 제품에 비하여 내마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방수성을 갖는 마감용 조성물들로 피복된 표면은 수성오염물에 대하여는 우수한 내오염성을 가지지만 유성오염물들과 먼지에 대하여는 내오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방수성이라는 특성에 기인하여 수성오염물들이 잘 오염되지 않는 내오염성을 갖기는 하나, 장기적으로는 수성오염물에 의한 오염을 피할 수 없고, 일단 수성오염물로 오염된 경우 이번에는 역으로 방수성으로 인하여 물과 계면활성제들이 표면을 적시지 못하게 되므로 오히려 세척을 방해하여 세척이 잘 되지 않는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결과적으로,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제품의 기능이 역으로 표면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을 방해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건축물외장의 유지보수기간을 반영구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마감용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성을 가지고 연구한 결과, 바인더수지와 충진제에 불소수지를 더 첨가함으로써 발수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향상시켜 내구성, 내오염성 및 내후성 등이 우수한 마감용 조성물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외장의 유지보수기간을 반영구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마감용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성을 가지고 연구한 결과, 바인더수지와 충진제에 불소수지를 더 첨가함으로써 발수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향상시켜 내구성, 내오염성 및 내후성 등이 우수한 마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은, 바인더수지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수지를 고형분으로 30 이상 포함하는 아크릴에멀젼 5 내지 9중량, 역시 바인더수지로서 메틸페닐실리콘 5 내지 11중량, 실라놀그룹, 음이온성그룹 또는 비이온성그룹을 포함하는 불소계 고분자화합물을 고형분으로 20중량 이상 포함하는 불소수지 2 내지 5중량 및 잔량으로서 규사, 활석분 등의 충진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용 조성물에는 소포제, 분산제, 크랙방지제, 안료, 강화충진제, 증점제, pH조절제, 조막형성제, 방부제, 동결방지제 및 저장안정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첨가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은, 아크릴수지 및/또는 실리콘수지로 이루어지는 바인더수지와 충진제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에 발수성과 발유성을 함께 갖는 불소수지를 더 포함시켜 불소수지에 의하여 내오염성 및 세척성 등을 향상시켜 건물외벽 등을 마감하는데 사용되어 유지보수의 기간을 연장시키는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마감용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바인더수지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수지들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수지를 고형분으로 30 이상 포함하는 아크릴에멀젼과 메틸페닐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수지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20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며,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부착성이 저하되어 충진제 등이 충분히 부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20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수지함량이 높아져 내마모성이나 내후성의 저하 및 고가의 합성수지의 과량의 사용으로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발수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상기 불소수지는 본 발명에서 최초로 도입되는 개념으로서 이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에서 내오염성과 세척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불소수지는 실라놀그룹, 음이온성그룹 또는 비이온성그룹을 포함하는 불소계 고분자화합물을 고형분으로 2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불소수지는 상품명 '에프씨-759(FC-759)' 등으로 상용화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불소수지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 내지 5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2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분한발수성과 발유성 등을 나타내지 못하여 내오염성 및 세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5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경제적이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충진제는 마감용 조성물의 대부분을 이루는 구성성분으로서 규사, 활석분 등의 무기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는 일반적인 충진제로서 기존의 마감용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마감용 조성물에는 소포제, 분산제, 크랙방지제, 안료, 강화충진제, 증점제, pH조절제, 조막형성제, 방부제, 동결방지제 및 저장안정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첨가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 중 소포제로는 기포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와 같은 통상의 비이온성 O/W type(Oil in water type) 에멀젼 등의 상용화된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0.1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 중 분산제로는 조성물 중의 고형분들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의 에멀젼 등 상용화된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5 내지 0.5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 중 크랙방지제로는 도포 후 건조 중 도막의 균열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규회석의 분말, 특히 종횡비(Aspect ratio)가 L/D 20 : 1인규회석의 분말 등 상용화된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2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 중 안료로는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안료들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백색분말안료로서 이산화티타늄(TiO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2 내지 0.5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 중 강화충진제로는 탄산칼슘, 특히 600 내지 1,000메쉬(mesh)의 체를 통과한 탄산칼슘분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3 내지 9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 중 증점제로는 가교화된 음이온성 폴리머,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 같이 수팽윤성을 갖는 합성수지의 에멀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증점제 역시 상용화된 상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25 내지 0.06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 중 pH조절제로는 수산화암모늄 등의 강염기성 물질의 염(salt)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전체 조성물의 산도(pH)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0.2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수산화암모늄은 특히 암모늄염의 형태로 pH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것으로이해되고 있다.
상기 첨가제들 중 조막형성제로는 도포 후 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기능하며, 예를 들면 '텍사놀(Texanol)'과 같은 상용화된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텍사놀은 2,2,4-트리메틸-1,3-펜타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diol monoisobutyrate)의 상품명이며, 피막형성능이 우수한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널리 알려진 것이다. 상기 조막형성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2 내지 0.5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 중 방부제로는 특히 미생물 등의 번식을 예방하여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3-요오도-2-프로피닐 부틸 카르바메이트(3-iodo-2-propynyl butyl carbamate) 등 상용화된 방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2 내지 0.19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 중 동결방지제로는 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상용화된 동결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극히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5 내지 0.2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들 중 저장안정제로는 통상의 안정화제로서 수드 케미(Sud Chemie)사의 '옵티플로 에이취 40(Optiflo H 40)'과 같은 상용화된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5 내지 0.02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첨가제들은 모두 당업자에게는 기존의 마감용 조성물에서 사용되는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들 첨가제들은 단지 본 발명의 마감용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기 보다는 제품화에서의 저장안정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모두 제품의 안정성 향상 등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것들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바인더수지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고형분으로 50 포함된 아크릴에멀젼 7kg, 역시 바인더수지로서 메틸페닐실리콘 9kg, 실라놀그룹을 포함하는 불소계 고분자화합물을 고형분으로 30중량 포함된 불소수지 4kg, 기타 첨가제로서는 소포제로서 노프코(Nopco)사의 상품명 'NDW'(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물의 O/Wtype 에멀젼) 50g, 분산제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 분산제 300g, 크랙방지제로서 종횡비가 L/D 20 : 1인 규회석 1kg, 안료로서 90이산화티타늄 300g, 강화충진제로서 800메쉬의 평균입경을 갖는 탄산칼슘 6kg, 증점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 10g, pH조절제로서 수산화암모늄 100g, 조막형성제로서 2,2,4-트리메틸-1,3-펜타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diol monoisobutyrate) 300g, 방부제로서 3-요오도-2-프로피닐 부틸 카르바메이트(3-iodo-2-propynyl butylcarbamate) 150g, 동결방지제로서 에틸렌글리콜 100g 및 저장안정제로서 수드 케미(Sud Chemie)사의 '옵티플로 에이취 40(Optiflo H 40)' 10g을 사용하여 이들 구성성분들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감용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마감용 조성물(실시예)을 상용화된 기존의 제품들 중 실리콘계 마감재(비교예) 및 측정기준치들과 함께 물성측정을 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마감용 조성물들의 물성
단위(상온기준) 실시예 비교예 측정기준치 비 고
밀 도 kg/m3 1.92 1.8 1.88 - 1.92
고형분 87 83.4 83±2
수증기 투과성 Sd-값[m] 0.14 0.18 0.7 - 0.8
수분 흡수율 W24[kg/m2h0.5] 0.11 0.1 0.7 - 0.8
내오염성(회복율) 모터오일 95 45 64
고상시료8
신축성 180。[1T] 크랙없음 크랙있음 불균일
점 도 cps 28,000 28,000 25,000 ±3,000
pH 9.0 8.4 9.0 - 9.9
*고상시료 = 카본블랙(Carbon black) 6+ 무기질분말(Mineral spirits)94의 혼합물임.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도 객관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화가 가능한 정도로 낮은 물흡수성, 양호한 수증기투과성, 내오염성, 신축성 등이 우수한 마감용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소재에 대한 우수한 부착성, 우수한 작업성과 속건성, 박테리아와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 내마모성, 내풍화성, 우수한 세척성 등을 나타내어 적어도 10년 정도의 내후성이 유지되는 마감용 조성물을 수득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화가 가능한 정도의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내오염성에 더해 우수한 세척성을 갖는 마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의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노력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바인더수지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수지를 고형분으로 30 이상 포함하는 아크릴에멀젼 5 내지 9중량, 역시 바인더수지로서 메틸페닐실리콘 5 내지 11중량, 실라놀그룹, 음이온성그룹 또는 비이온성그룹을 포함하는 불소계 고분자화합물을 고형분으로 20중량 이상 포함하는 불소수지 2 내지 5중량 및 잔량으로서 규사, 활석분 등의 충진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용 조성물에 소포제, 분산제, 크랙방지제, 안료, 강화충진제, 증점제, pH조절제, 조막형성제, 방부제, 동결방지제 및 저장안정제 등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
KR1019990028057A 1999-07-12 1999-07-12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 KR100298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057A KR100298679B1 (ko) 1999-07-12 1999-07-12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057A KR100298679B1 (ko) 1999-07-12 1999-07-12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606A KR20010009606A (ko) 2001-02-05
KR100298679B1 true KR100298679B1 (ko) 2001-09-13

Family

ID=1960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057A KR100298679B1 (ko) 1999-07-12 1999-07-12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6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715A (ko) * 2000-09-21 2000-12-05 홍승익 외단열시스템 시공용 방수 모르타르 제조방법
KR20010083861A (ko) * 2001-07-05 2001-09-03 정진황 조색하지 않은 기능성 외벽단열 바탕 마감재 제조방법
KR100406212B1 (ko) * 2000-10-23 2003-11-19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고기능성 수용성 아크릴 바닥제의 제조방법
KR101534436B1 (ko) * 2014-02-21 2015-07-06 이동칠 친환경성과 내마모성을 개선한 마감 포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 내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6622A1 (fr) 2000-11-15 2002-05-17 Atofina Copolymeres fluores pour le traitement hydrophobe et oleophobe des materiaux de construction
KR100732936B1 (ko) * 2006-01-26 2007-06-27 이상준 기능성 수성페인트 조성물
KR101463482B1 (ko) * 2014-04-03 2014-11-20 딥스알앤디 주식회사 저온 탄성이 뛰어난 내한성 외단열용 마감 조성물
KR101583762B1 (ko) * 2015-05-28 2016-01-08 박형준 불소수지층이 형성된 친환경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점토벽돌 또는 점토바닥재
KR102433898B1 (ko) * 2021-08-23 2022-08-19 이명수 규조토 함유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715A (ko) * 2000-09-21 2000-12-05 홍승익 외단열시스템 시공용 방수 모르타르 제조방법
KR100406212B1 (ko) * 2000-10-23 2003-11-19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고기능성 수용성 아크릴 바닥제의 제조방법
KR20010083861A (ko) * 2001-07-05 2001-09-03 정진황 조색하지 않은 기능성 외벽단열 바탕 마감재 제조방법
KR101534436B1 (ko) * 2014-02-21 2015-07-06 이동칠 친환경성과 내마모성을 개선한 마감 포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606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7291A (en) Wood sealant composition
KR101711910B1 (ko) 무기질과 아크릴이 포함된 친환경 수용성 방수재 겸 도장재용 도료를 이용한 방수 방오 컬러 도장공법
US4143019A (en) Adhesive joint dres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298679B1 (ko)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용 조성물
JP7198893B2 (ja) 防水/撥水組成物
JP6946114B2 (ja) 水性被覆材
US4238542A (en) Method of using adhesive joint dressing compositions and product
JP2003206434A (ja) 透湿性を有する水性無機塗料組成物
JP3245566B2 (ja) 透湿性塗膜の形成方法
US6994905B2 (en) Sealant coating for stucco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JP2009001743A (ja) 水性コーティング材
US20110189403A1 (en) Coating Material Comprising a Basic Additive
KR102434477B1 (ko) 구조물 외벽 보호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외벽 보호 시공 공법
KR10242492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외벽의 내자외선 성능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높인 외벽 수성 페인트
JP4695829B2 (ja) 水性塗料組成物
JP4958333B2 (ja) 水性吸水防止材
JP2022048344A (ja) 水性被覆材
JP6839631B2 (ja) 水性被覆材
JP3245575B2 (ja) 透湿性塗膜の形成方法
KR100305371B1 (ko)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도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491312B2 (ja) 透湿性塗膜の形成方法
JP2005218914A (ja) コンクリート打放し面の塗装工法
KR102623971B1 (ko) 친환경 수성 방청 도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52609A (ko) 다목적용 코팅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667583B2 (ja) セメント系基材の仕上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