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113B1 - 배관이음용커플링 - Google Patents

배관이음용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113B1
KR100297113B1 KR1019980032749A KR19980032749A KR100297113B1 KR 100297113 B1 KR100297113 B1 KR 100297113B1 KR 1019980032749 A KR1019980032749 A KR 1019980032749A KR 19980032749 A KR19980032749 A KR 19980032749A KR 100297113 B1 KR100297113 B1 KR 100297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assage
pipes
right hard
hard 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717A (ko
Inventor
이도연
Original Assignee
이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연 filed Critical 이도연
Priority to KR101998003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113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분리된 상,하 커플링대신에 원통형 소켓을 이용하여 소켓중간부의 내주연양쪽 삽입홈에 패킹을 끼워 넣어서 삽입되는 양쪽 배관의 이음부분을 밀폐시키고 이음부분이 삽입되는 소켓의 각 선단부에는 상하로 서로 대칭이 되게 양쪽 돌출단이 돌출된 사이간격으로 외부 인출통로와 그 내부에 약간 협소한 결속통로를 각각 형성시켜 좌,우경질링으로 외부 인출통로를 통해 삽입하여 그 내부의 약간 협소한 결속통로에서 좌,우경질링의 노출된 상,하부체결단을 볼트, 너트로서 체결시켜 양쪽배관의 이음부분을 고정시키고 외부 인출통로 상부를 양쪽 돌출단의 통공을 통해 볼트, 너트로서 연결시켜 좌우경질링의 상,하부체결단을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시켜서 간편하게 조립할 수가 있는 배관이음용 커플링.

Description

배관이음용 커플링 {A COUPLING FOR PIPING CONNECTION}
본 발명은 배관을 상호 연결시키는 배관이음용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관이음용 커플링은 양쪽 배관의 이음부분을 주로 상하 반원형으로 분리된 상,하커플링만을 볼트, 너트로서 조립하였으므로 조립시 양쪽 배관의 수평 정확도 등으로 조립하기가 까다롭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었으며 외부의 작은 유동에도 연결이 이완되어 누수가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하로 분리된 상,하 커플링대신에 원통형 소켓을 이용하여 소켓중간부의 내주연양쪽 삽입홈에 패킹을 끼워 넣어서 삽입되는 양쪽 배관의 이음부분을 밀폐시키고 이음부분이 삽입되는 소켓의 각 선단부에는 상하로 서로 대칭이 되게 양쪽 돌출단이 돌출된 사이간격으로 외부 인출통로와 그 내부에 약간 협소한 결속통로를 각각 형성시켜 좌,우경질링으로 외부 인출통로를 통해 삽입하여 그 내부의 약간 협소한 결속통로에서 좌,우경질링의 노출된 상,하부체결단을 볼트, 너트로서 체결시켜 양쪽배관의 이음부분을 고정시키고 외부 인출통로 상부를 양쪽 돌출단의 통공을 통해 볼트, 너트로서 연결시켜 좌우경질링의 상,하부체결단을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시켜서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가 있는 것으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동 조립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좌,우경질링을 소켓 선단부의 외부 인출통로를 통해 내부 결속통로
에서 볼트, 너트로서 체결후 외부 인출통로의 양쪽 돌출단의
통공을 통해 볼트, 너트로서 연결시킨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좌,우경질링의 접촉내면 중간부에 돌기를 형성시켜 배관 이음부분의
홈과 요철로서 맞물리도록 한 부분 확대단면도
도 5a, b는 소켓형상을 ㄱ 형 또는 ㅓ 형으로 형성시킨 평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배관 10 : 소켓 11 : 결속통로
12 : 인출통로 13, 13a: 양쪽돌출단 14, 14a : 통공
15 : 삽입홈 16 : 패킹 20, 20a : 좌,우경질링
21, 21a : 상,하부체결단 a : 톱니형 돌조 b : 돌기
c : 홈
연결하고져 하는 양쪽배관(1),(1a)의 이음부분 끝단을, 소켓(10)중간부의 내주연양쪽 삽입홈(15)에 끼워진 공지의 패킹(16) 양쪽 내부로 양끝단이 맞닿이도록 삽입시킨후 좌,우경질링(20),(20a)으로, 소켓(10)양쪽의 선단부에 상하로 서로 대칭이 되게 형성시킨 양쪽 돌출단(13),(13a)의 사이간격인 외부 인출통로(12)를 통해 삽입하여 그 내부의 약간 협소한 결속통로(11)에서 좌,우경질링(20),(20a)의 상하부로 노출된 상,하부체결단(21),(21a)을 볼트, 너트로서 배관의 이음부분이 고정되도록 체결시키고 외부 인출통로(12) 상부를 양쪽 돌출단(13),(13a)의 통공(14), (14a)을 통해 볼트, 너트로서 연결시켜 좌,우경질링의 상,하부 체결단을 지지시켜서 된 것으로 양쪽배관의 이음부분과 맞닿는 좌,우경질링의 접촉내면에 양측가장자리로 톱니형돌조(a)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접촉내면 중간부에 돌기(b)를 형성시켜 배관이음부분의 홈(c)과 요철로서 맞물리도록 하여 이음부분을 견고하게 고정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소켓형상을 ㄱ 형으로 형성시켜 배관 연결상태를 ㄱ 형 배관이음형으로 사용할수가 있고 소켓형상을 ㅓ 형으로 형성시켜 배관 연결상태를 ㅓ 형 배관이음형으로 사용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종래의 상하로 분리되어 볼트, 너트로서 체결시키는 상,하커플링 대신에, 중간부의 내주연양쪽에 삽입홈(15)을 형성시켜 패킹(16)을 각각 협지시키고 배관의 이음부분이 삽입되는 소켓 양쪽의 선단부에 상하로 서로 대칭이 되게 양쪽 돌출단(13),(13a)이 돌출된 사이 간격으로 외부 인출통로(12)와 내부 결속통로(11)를 각각 형성시킨 소켓(10)으로 대체시켜 조립을 보다 간편하게 하고 조립시에는 연결하고져 하는 양쪽배관의 이음부분 끝단으로 소켓(10)의 양쪽선단부로 삽입시켜 중간부의 내주연양쪽 삽입홈(15)에 끼워진 패킹의 양쪽 내부로 양끝단이 맞닿이도록 밀폐되게 삽입시킨후 좌,우경질링(20),(20a)으로 소켓(10)양쪽선단부에 상하로 서로 대칭이 되게 형성시킨 양쪽 돌출단(13),(13a)의 사이간격인 외부 인출통로(12)를 통해 삽입하여 그 내부의 약간 협소한 결속통로(11)에서 상하로 서로 대향지게 노출된 좌,우경질링의 상,하부체결단(21),(21a)을 볼트, 너트로서 체결시켜 이와 접속된 양쪽배관의 이음부분을 고정시키고 외부 인출통로(12)상부를 양쪽 돌출단(13),(13a)의 통공(14),(14a)을 통해 볼트, 너트로서 연결시켜 좌,우경질링의 상하부체결단을 소켓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시켜서 간편하게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Claims (5)

  1. 연결하고져 하는 양쪽배관(1),(1a)의 이음부분 끝단을, 소켓(10)중간부의 내주연양쪽 삽입홈(15)에 끼워진 공지의 패킹(16) 양쪽 내부로 양끝단이 맞닿이도록 삽입시킨후 좌,우경질링(20),(20a)으로, 소켓(10)양쪽의 선단부에 상하로 서로 대칭이 되게 형성시킨 양쪽 돌출단(13),(13a)의 사이간격인 외부 인출통로(12)를 통해 삽입하여 그 내부의 약간 협소한 결속통로(11)에서 좌,우경질링(20), (20a)의 상하부로 노출된 상,하부체결단(21),(21a)을 볼트, 너트로서 배관의 이음부분이 고정되도록 체결시키고 외부 인출통로(12) 상부를 양쪽 돌출단(13),(13a)의 통공 (14),(14a)를 통해 볼트, 너트로서 연결시켜 좌,우경질링의 상,하부체결단을 지지시켜서 된 배관이음용 커플링.
  2. 제 1항에 있어서 양쪽배관의 이음부분과 맞닿는 좌,우경질링의 접촉내면에 양측가장자리로 톱니형돌조(a)를 형성시켜서 된 배관이음용 커플링.
  3. 제 1항에 있어서 양쪽배관의 이음부분과 맞닿는 좌,우경질링의 접촉내면의 중간부에 돌기(b)를 형성시켜 배관 이음부분의 홈(c)과 요철로서 맞물리도록 고정시켜서 된 배관이음용 커플링.
  4. 제 1항에 있어서 소켓(10) 형상을 ㄱ 형으로 형성시켜서 된 배관이음용 커플링.
  5. 제 1항에 있어서 소켓(10) 형상을 ㅓ 형으로 형성시켜서 된 배관이음용 커플링.
KR1019980032749A 1998-08-12 1998-08-12 배관이음용커플링 KR100297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749A KR100297113B1 (ko) 1998-08-12 1998-08-12 배관이음용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749A KR100297113B1 (ko) 1998-08-12 1998-08-12 배관이음용커플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717A KR20000013717A (ko) 2000-03-06
KR100297113B1 true KR100297113B1 (ko) 2001-08-07

Family

ID=1954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749A KR100297113B1 (ko) 1998-08-12 1998-08-12 배관이음용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1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717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654B1 (ko) 배관이음용커플링
KR100315861B1 (ko) 원통체패킹을내장시킨엘보우형및티형커플링
KR100297113B1 (ko) 배관이음용커플링
KR100756429B1 (ko) 배관 이음구
KR200232351Y1 (ko) 배관이음용커플링
KR200245867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00013904A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175534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100297115B1 (ko) 배관이음용커플링
KR100271935B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257366Y1 (ko) 플랜지와 슬리브형 연결이 가능한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200123920A (ko)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KR100246032B1 (ko) 이음구조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구조
KR20000015624A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100297114B1 (ko) 배관이음용커플링
KR200212173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220053Y1 (ko) 관 연결구
KR200307206Y1 (ko)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
KR200184270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212172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245866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178793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920007349Y1 (ko) 관 연결구
KR200232350Y1 (ko) 배관이음용커플링
KR0132375Y1 (ko) 편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