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206Y1 -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 - Google Patents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206Y1
KR200307206Y1 KR20-2002-0036976U KR20020036976U KR200307206Y1 KR 200307206 Y1 KR200307206 Y1 KR 200307206Y1 KR 20020036976 U KR20020036976 U KR 20020036976U KR 200307206 Y1 KR200307206 Y1 KR 200307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protrusion
pipe
flange
corro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Priority to KR20-2002-0036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2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2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공정에 있어서, 플랜지의 휨현상이 없이 안정되고 견고하게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균등안전대의 내부에 돌출링이 형성된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F형 플랜지(20, 20')의 균등 안전대(23) 내측으로 원주방향에 돌출부(11) 외측의 패킹(21)을 감싸는 돌출링(24, 24')과,
상기 코로케이트 파이프(10, 10')의 선단 돌출부(11)에 형성된 패킹 고정홈(14)과,
상기 패킹(21)으로 감싸지며 패킹 고정홈(14)에 조립되는 패킹돌부(21')가 형성된 패킹(21)을 패킹홈(13)의 한쪽에만 고정시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a}
본 고안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공정에 있어서, 플랜지의 휨현상이 없이 안정되고 견고하게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균등안전대의 내부에 누름 돌출링이 형성되고 패킹의 견고한 연결을 통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액체나 가스등을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파이프는 제작상이나 운반 등의 문제로 인해 길게 제작하지 못하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적정 길이로 제작된 파이프를 서로 기밀을 유지하면서 연결하는 시공작업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시공시 현장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타종관과 요철 이중벽관을 연결시킬 경우에는 연결하는 방법이 없어 동종관 끼리만 연결할 수 밖에 없었으나, 최근에는 시공시 환경보호와 관련한 우수한 요철형으로 돌출부를 형성한 이중벽관을 선정 사용할 경우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으나 연결방법 때문에 즉, 연결 자재 선정의 문제점 때문에 제품성이 우수한 요철형으로 돌출부를 형성한 이중벽관의 사용을 신규시공시에만 선정하므로 자연 환경의 보호를 위한 효율적인 시공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파이프의 내부에 플랜지를 조립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플랜지가 돌출되도록 하여 보울트를 관통시킨 후 반대방향에서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 조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양측의 플랜지를 연결하는 보울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플랜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보울트와 너트를 계속해서 조이게 된다.
보울트와 너트를 계속해서 조이게 되면 플랜지의 외측부분이 조이는 힘을 버티지 못하고 안으로 구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플랜지의 구부러짐 현상은 플랜지의 외측면이 안으로 힘이 집중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하측부분의 조임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므로 마주보는 고무링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누수현상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침투되어 내용물을 오염시키거나 파이프로 이송되는 내용물이 토양에 누출되어 토양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51657호는 F형 플랜지의 일측으로 반원형의 균등 안전대(23)를 설치하여 연결보울트(28)와 너트(29)를 연결시키는 경우, 균등 안전대(23)가 맞닿아서 플랜지가 내측으로 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코로케이트 파이프(10)에 고무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성형하기 위하여 돌출부(11)의 구조와 다른 구성을 갖도록 하였으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고무링이 이탈될 수 있는 결점이 있어서 안정되고 견고한 새로운 구조를 제공할 수 없었다.
또한 균등 안전대가 외측으로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측과 외측의 균형이 안전하게 유지되지 않아 힘이 외측 선단부분에만 작용되므로 균형 있는 힘의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현장에서 요철형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코로게이트 파이프와 타종파이프의 연결작업을 함에 있어서 한 번의 공정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연결 파이프를 개발하여 타종 파이프와의 연결을 완벽하게 하여 누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동종 파이프 연결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코로게이트 파이프의 내부에 F형 플랜지를 설치할 수 있는 플랜지 삽입홈으로 사용되며, 안쪽으로 돌출링을 형성하여 조임력이 균일하게 작용되며 패킹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파이프와 플랜지가 안정되고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F형 플랜지의 균등 안전대 내측으로 원주방향에 돌출부 외측의 패킹을 감싸는 돌출링과,
상기 코로게이트 파이프의 선단 돌출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패킹 고정홈과,
상기 패킹으로 감싸지며 패킹 고정홈에 조립되는 패킹돌부가 형성된 패킹을 패킹홈의 한쪽에만 고정시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분리상태에서 일부를 단면한 분리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일부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코로게이트 파이프 11 : 돌출부
11' : 골부 12 : 플랜지 삽입홈
13 : 패킹홈 14 : 패킹 고정홈
20, 20' : F형 플랜지 21 : 패킹
21' : 패킹 돌부 22 : 관통공
23 : 균등안전대 24, 24' : 누름 돌출링
25 : 접이부 돌기 26 : 접이홈
27 : 조립공
본 고안은 요철형으로 돌출 형성된 이중벽관이나 타종관 이중벽관 또는 임의의 형태를 포함하는 코로게이트 파이프(10, 10')는 돌출부(11)와 골부(11')로 형성되어 있고, 코로게이트 파이프(10, 1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는 F형 플랜지(20, 2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22)이 형성되며, F형플랜지(20, 20')가 마주보는 위치에서 관통공(22)의 외측으로 균등 안전대(23)를 설치하여 F형 플랜지(20, 20')의 연결시 마주보며 접촉되도록 한다.
F형 플랜지(20, 20')의 관통공(22)에는 연결보울트(28)와 너트(29)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패킹(21)을 통하여 수밀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F형 플랜지(20, 20')의 일측에는 조립공(27)이 형성된 접이부 돌기(25)와 접이홈(26)이 서로 다른 방향에 형성되어 있어서, 서로 조립되어 힌지점으로 양측이 이등분되어 F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접이부 돌기(25)의 반대편에는 고정공(31)이 형성된 고정돌부(30)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보울트(32)와 너트(33)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F형 플랜지(20, 20')의 균등 안전대(23)의 안쪽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링(24, 24')이 균등 안전대(23)보다 낮게 돌출되어 있어서 코로게이트 파이프(10, 10')의 돌출부(11)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며, 패킹(21)을 원주방향으로 외측에서 감싸면서 눌러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코로게이트 파이프(10, 10')의 선단에 돌출된 돌출부 중앙에는 원주방향으로 패킹 고정홈(14)을 형성하며, 선단에는 패킹홈(13)을 형성하였다.
패킹(21)은 코로게이트 파이프(10, 10')의 선단 돌출부(11)에 형성된 패킹 고정홈(14)에 삽입되는 패킹돌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돌출되어 패킹홈(13)에 위치하여 수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파이프(10, 10')의 성형시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돌출부(11)중 가장 외측의 안쪽을 플랜지 삽입홈(12)이라 칭하여 F형플랜지(20, 20')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플랜지 삽입홈(12)은 골부(11')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하여 F형 플랜지(20, 20')가 삽입되어 조임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코로게이트 파이프(10, 10')중 어느 한쪽의 선단에 형성된 패킹홈(13)에는 패킹(21)을 설치하게 된다.
패킹(21)의 패킹돌부(21')를 돌출부(11)에 형성된 패킹 고정홈(14)에 조립하면 패킹(21)이 선단의 돌출부(11)를 절반정도 감싸면서 패킹홈(13)에 위치하게 된다.
플랜지 삽입홈(12)에는 F형 플랜지(20, 20')의 링을 각각 삽입하여 F형 플랜지(20, 20')를 양측으로 벌려 회전시키면 접이부 돌기(26)의 조립공(27)에 삽입된 핀 또는 보울트를 축으로 이등분되어 회전되므로 고정돌부(30)를 양측으로 벌려서 플랜지 삽입홈(12)에 삽입시킨 후 다시 오므려서 고정보울트(32)와 너트(33)로 고정돌부(30)의 고정공(31)을 체결한다.
F형 플랜지(20, 20')가 삽입되는 플랜지 삽입홈(12)은 돌출부(11)에 의하여 F형 플랜지(20, 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좌, 우 유동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F형 플랜지(20, 20')가 일체형으로 설치된 파이프(10, 10')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코로게이트 파이프(10, 10')를 맞대기하고 F형 플랜지(20, 20')의 관통공(22)에 연결보울트(28)를 삽입하여 너트(29)로 고정시킨다.
그러면 도 3 과 같이 관통공(22)을 통하여 F형 플랜지(20, 20')가 연결되는것이며, 외측의 균등 안전대(23)가 일치하면서 조임력을 향상시키게 되고 조임력이 향상되면서 균등 안전대(23)에 작용되는 조임력 보다는 관통공(22)을 중심으로 고정보울트(28), 너트(29) 반대편에 작용되는 조임력이 더 크게 되므로 F형 플랜지(20, 20')의 조임력은 플랜지 삽입홈(12)에서 돌출부(11)에 작용되어 패킹홈(13)의 패킹(21)을 더욱 강한 압력으로 조이게 되며 전체면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되므로 안정된 수밀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보울트(28)와 너트(29)의 조임력으로 안쪽에 형성된 누름 돌출링(24, 24')은 조립된 돌출부(11)를 감싸면서 패킹(21)의 패킹돌부(21') 외측을 강하게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동시에 돌출부(11)를 원주방향으로 감싸고 있게 되므로 F형 플랜지(20, 20')는 돌출링(24, 24')과 플랜지 삽입공(12)을 감싸는 내부링에 의하여 패킹홈(13)과 패킹 고정홈(14) 등 두곳에서 밀착되면서 조립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파이프(10, 10')에 F형 플랜지(20, 20')가 미리 끼워져 일체형으로 부착된 상태이므로 동일한 관이나 타종관 연결작업시에도 간단하게 연결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패킹돌부(21')가 형성되지 않은 사각형의 패킹을 이용하여 코로게이트 파이프(10, 1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요철형의 이중벽관이나 기존에 시중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관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파이프에 F형 플랜지링이 삽입될 수 있는 플랜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F형 플랜지를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시공 현장에서 이종관의 연결작업시에도 일 공정에 신속하게 연결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파이프의 돌출부 선단에 패킹의 패킹돌부가 조립되어 있으므로 F형 플랜지를 조이면 관통공의 외측에 형성된 균등 안전대와 내측에 형성된 누름 돌출링에 의하여 외측으로 작용되는 조임력이 내부에 작용되도록 하여 고무링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오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도 고무링에 밀착력이 작용되어 수밀을 안정되게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플랜지식은 플랜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운반시공을 하므로 상, 하차의 어려움과 번거로움 및 시공상 불편함과 시공시간의 소요가 필요하였으나, 본 고안은 시공 현장에서 접이식이므로 플랜지를 접어 즉시 장착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이송이 간편하고 시공시간이 대폭 절약되어 신속한 시공생산성으로 경제성을 극대화시켜 비용절감이 기대되는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 평활부를 갖고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부(11)와 골부(11')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코로게이트 파이프(10, 10')의 선단에 관통공(22)에서 연결보울트(28)와 너트(29)로 고정되는 F형 플랜지(20, 20')에 있어서,
    상기 F형 플랜지(20, 20')의 균등 안전대(23) 내측으로 원주방향에 돌출부(11) 외측의 패킹(21)을 감싸는 돌출링(24, 24')과,
    상기 코로케이트 파이프(10, 10')의 선단 돌출부(11)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패킹 고정홈(14)과,
    상기 패킹(21)으로 감싸지며 패킹 고정홈(14)에 조립되는 패킹돌부(21')가 형성된 패킹(21)을 패킹홈(13)의 한쪽에만 고정시켜 코로게이트 파이프(10, 10')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
KR20-2002-0036976U 2002-12-11 2002-12-11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 KR200307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76U KR200307206Y1 (ko) 2002-12-11 2002-12-11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76U KR200307206Y1 (ko) 2002-12-11 2002-12-11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206Y1 true KR200307206Y1 (ko) 2003-03-15

Family

ID=4933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976U KR200307206Y1 (ko) 2002-12-11 2002-12-11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2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992B1 (ko) 2009-01-21 2009-10-14 벽진산업 주식회사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KR102286715B1 (ko) * 2020-06-17 2021-08-09 최봉록 파이프 엘보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992B1 (ko) 2009-01-21 2009-10-14 벽진산업 주식회사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KR102286715B1 (ko) * 2020-06-17 2021-08-09 최봉록 파이프 엘보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1234A (en) Repair device for pipes
US20110233927A1 (en) Coupling Element
CN203162432U (zh) 管道修补器
KR200307206Y1 (ko) 플랜지용 코로게이트 파이프
US6581984B1 (en) Corrugated spiral pipe with a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JP2000154894A (ja) 伸縮管継手
KR10100329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WO2020119655A1 (zh) 一种管道快连卡箍
KR200251657Y1 (ko) 균등안전대가 형성된 접이형 플랜지를 이용한 파이프의연결구조
KR100765851B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용 연결장치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0234951Y1 (ko)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CN110886915A (zh) 一种给排水管道连接结构及连接方法
KR200416929Y1 (ko) 일체형 플렌지식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402964Y1 (ko) 파이프 결합장치
KR100603195B1 (ko) 압입형 하수관 분기구
KR0121939Y1 (ko) 조립용 맨홀
KR200365436Y1 (ko) 관연결 소켓
KR200419728Y1 (ko) 파이프 연결구
CN219140166U (zh) 一种聚乙烯排水管道连接结构
KR20140055549A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373716Y1 (ko) 합성수지이중벽관의 클립형 연결장치
CN211315444U (zh) 快速接头
KR100821902B1 (ko) 배관 연결 소켓어셈블리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