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769B1 -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with twin monitor function - Google Patents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with twin monitor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769B1
KR100296769B1 KR1019980061499A KR19980061499A KR100296769B1 KR 100296769 B1 KR100296769 B1 KR 100296769B1 KR 1019980061499 A KR1019980061499 A KR 1019980061499A KR 19980061499 A KR19980061499 A KR 19980061499A KR 100296769 B1 KR100296769 B1 KR 100296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witch
monitor
instructor
tw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4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44992A (en
Inventor
김계호
Original Assignee
김계호
해양전자장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호, 해양전자장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계호
Priority to KR1019980061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769B1/en
Publication of KR20000044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9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76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differ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different information simultaneous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학교나 그밖의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트윈 모니터 기능을 갖는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twin monitor function used in a general school or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

종래에는 교육을 실시하다가 강사의 교육내용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현재 자신의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이 제거된 후 그 화면에 강사의 컴퓨터에서 출력된 교육내용이 표시되는 것을 시청한 후 다시 자신의 컴퓨터를 조작하여 실습해야만 하므로 그 교육과정이 매우 번거로워 학습효율이 매우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강사가 각 학생의 실습 상태를 모니터링 할 때에도 자신의 모니터화면을 통해 학생의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이 표시되어야 하므로 그 작업 또한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watch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 while training, the screen currently being printed on the monitor is removed, and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nstructor's computer. Since the curriculum is very cumbersome, the learning efficiency is very low,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arning efficiency is very low. Also, when the instructor monitors each student's practice status, the video output from the student's computer must be displayed on his monitor screen. The work also has been troublesome.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사와 수강생이 각각 사용하도록 된 컴퓨터에 별도의 트윈 모니터를 더 설치하고, 강사가 조작하는 컴퓨터의 출력영상이 수강생이 사용하는 트윈 모니터상에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칭수단을 구성하여 다수의 수강생이 강사가 조작하는 교육내용을 트윈 모니터를 통해 보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트윈 모니터 기능을 갖는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install a separate twin monitor on the computer to be used by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respectively, and the output image of the computer operated by the instructor is displayed on the twin monitor used by the learner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switching means to allow a large number of students to learn while watching the training contents operated by the instructor through the twin monitor, and to improve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the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with the twin monitor function. It is about.

Description

트윈 모니터 기능을 갖는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with twin monitor function

본 발명은 일반 학교나 그밖의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트윈 모니터 기능을 갖는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사와 수강생이 각각 사용하도록 된 컴퓨터에 별도의 트윈 모니터를 더 설치하고, 강사가 조작하는 컴퓨터의 출력영상이 수강생이 사용하는 트윈 모니터상에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칭수단을 구성하여 다수의 수강생이 강사가 조작하는 교육내용을 트윈 모니터를 통해 보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트윈 모니터 기능을 갖는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twin monitor function used in a general school or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 and in particular, a separate twin monitor is further installed on a computer intended for use by an instructor and a student.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is achieved by configuring the switching means that the output image of the computer to be operated is displayed on the twin monitor used by the learners so that the learners can learn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operation through the twin moni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twin monitor function.

현시대에는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교육 시스템은 기존의 칠판 또는 백보드 판을 이용한 강의를 탈피하여 중첩 전자 칠판을 사용해 학생들의 모니터에 직접 전송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모니터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므로서, 앞 학생에 칠판이 가리거나 칠판에 적혀있는 작은 글씨들이 보이지 않게 되어 교실의 뒷자리에 앉아있는 학생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학생들의 수업 이해 증진 및 집중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In modern times,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has provided a computer-based education system, which breaks the traditional blackboard or whiteboard lecture and sends it directly to the student's monitor using a superimposed copyboard. By making it possible to see through the board, the blackboard in front of the student or the small letters written on the board will be hidden so that the discomfort of the student sitting in the back of the classroom can be improved. So that is one system.

도 1 은 종래의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강사용 컴퓨터(PC1)와 다수의 학생용 컴퓨터(PC2∼PCn)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컴퓨터(PC1∼PCn)에는 버스(Bus)를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가 각각의 컴퓨터(PC1∼PCn)로 공급되도록 하는 터미날(T1∼Tn)이 연결되어 있으며, 터미날(T1)에는 강사용 컴퓨터(PC1)에서 출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가 각각의 학생용 컴퓨터(PC2∼PCn)에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중계하는 브릿지(B)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PC1∼PCn)에는 화상 표시용 모니터(M1∼Mn)가 연결된 구성이다.Instructor computer PC1 and a plurality of student computers PC2 to PCn are provided, and each computer PC1 to PCn has video and audio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a bus Bus. Are connected to terminals T1 to Tn, and video and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instructor computer PC1 can be normally transmitted to the respective student computers PC2 to PCn. The bridge B for relaying is provided, and each computer PC1-PCn is connected with the image display monitors M1-Mn.

그리고, 강사와 학생은 미도시된 헤드셋을 이용하여 서로의 육성을 송,수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can transmit and receive each other using a headset not shown.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은,The conventional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이 시작되면, 강사가 조작하는 컴퓨터(PC1)의 출력은 해당 컴퓨터(PC1)와 연결된 모니터(M1)를 통해 출력되고, 각각의 학생들이 조작하는 컴퓨터(PC2∼PCn)의 출력은 해당 컴퓨터(PC2∼PCn)에 연결된 모니터(M2∼Mn)를 통해 출력된다.When training using a computer is started, the output of the computer PC1 operated by the instructor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 M1 connected to the computer PC1, and the outputs of the computers PC2 to PCn operated by each student are outputted. It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s M2 to Mn connected to the computers PC2 to PCn.

교육도중 강사의 교육내용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생이 별도의 키이조작을 하면, 강사용 컴퓨터(PC1)에서 출력된 영상이 터미날(T1∼Tn)과 브릿지(B)를 통해 해당 학생의 모니터(M2∼Mn)의 화면상에 출력되므로서, 학생은 강사의 교육내용을 자신의 모니터를 통해 보면서 학습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If the student who wants to watch the instructor's contents during the education is made with a separate key operation, the video output from the instructor's computer (PC1) is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s (T1 to Tn) and the bridge (B). As it is output on the screen of Mn), the student can learn while watching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 through his monitor.

상기 설명과 같이 학생의 모니터상에 강사의 교육내용이 출력될 때에는 학생용 컴퓨터(PC2∼PCn)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해당 모니터에 출력되지 않게되며, 학생이 강사의 교육내용을 충분히 습득한 상태에서 별도의 키이를 입력하면 다시 학생용 모니터(M2∼Mn) 상에는 자신의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이 표시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education are output on the student's monitor, the images output from the student computers (PC2 to PCn) are not output to the corresponding monitor. When the key is pressed, the image output from the own computer is displayed again on the student monitors M2 to Mn.

즉, 학생은 자신의 컴퓨터를 조작하면서 실습을 하다가 강사의 교육내용을 시청하고자 할 때에는 자신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강사의 교육내용을 시청한 후 다시 자신의 컴퓨터를 조작하여 실습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student practices training while operating his computer, he / she will watch the training contents of the instructor output through his monitor and then operate his computer again. .

그러나, 종래에는 교육을 실시하다가 강사의 교육내용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현재 자신의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이 제거된 후 그 화면에 강사의 컴퓨터에서 출력된 교육내용이 표시되는 것을 시청한 후 다시 자신의 컴퓨터를 조작하여 실습해야만 하므로 그 교육과정이 매우 번거로워 학습효율이 매우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강사가 각 학생의 실습 상태를 모니터링 할 때에도 자신의 모니터화면을 통해 학생의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이 표시되어야 하므로 그 작업 또한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watch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 while training, the screen currently being displayed on his monitor is removed, and the screen shows that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computer outpu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Because the training process was very cumbersome, the learning process was very troublesome,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earning efficiency was greatly reduced. Also, when the instructor monitors each student's practice status, the image output from the student's computer must be displayed through his monitor screen. Therefore, the work was also troublesome.

또한, 강사가 학생의 학습 상태를 파악하던 중 학생의 키이입력 상태를 교정해주기 위해서는 강사가 직접 해당 학생의 자리로 이동하여 키이입력을 교정해야만 하므로 학습 효율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correct the key input state of the student while the instructor grasps the learning state of the student, the learning efficiency is deteriorated because the instructor must go to the seat of the student and correct the key input.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사와 수강생이 각각 사용하도록 된 컴퓨터에 별도의 트윈 모니터를 더 설치하고, 강사가 조작하는 컴퓨터의 출력영상이 수강생이 사용하는 트윈 모니터상에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칭수단을 구성하여 다수의 수강생이 강사가 조작하는 교육내용을 트윈 모니터를 통해 보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트윈 모니터 기능을 갖는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install a separate twin monitor on the computer to be used by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respectively, and the output image of the computer operated by the instructor is displayed on the twin monitor used by the learner A video monitor and a video transmission system have a twin monitor func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learn while watching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training through twin monitor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t.

도 1 은 종래의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을 보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도 2 는 본 발명의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을 보인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터미날의 내부를 보인 회로도.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the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컴퓨터의 키이보드와 마우스신호를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를 보인4 shows a switch for controlling a keyboard and a mouse signal of a computer

도면.drawing.

도 5 는 본 발명에 작동모드별 각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표.5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on of each switch for each operation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PC : 컴퓨터PC: Computer

T : 터미날T: Terminal

M : 메인 모니터M: main monitor

TM : 트윈 모니터TM: Twin Monitor

SW : 스위치SW: switch

A : 증폭기A: Amplifier

C : 제어부C: control unit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강사 또는 수강생들이 사용하도록 된 다수의 컴퓨터(PC1∼PCn)와 모니터 (M1∼Mn)가 구비되고, 다른 컴퓨터로 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연결된 컴퓨터로 공급되도록 하고, 연결된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다른 컴퓨터로 출력하는 다수의 터미날(T1∼Tn)과, 상기 터미날간의 데이타 전송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중계하는 분배기(B)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A plurality of computers (PC1 to PCn) and monitors (M1 to Mn) intended to be used by the instructor or the students are provided, and images and audio signals transmitted from other computers are supplied to a connected computer, and images output from the connected computer.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T1 to Tn)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o another computer, and a divider (B) for relaying data between the terminals to facilitate the data transmission.

각각의 컴퓨터 옆에 별도로 설치되며, 다른 컴퓨터로 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트윈 모니터(TM1∼TMn)를 더 설치하고,It is installed separately next to each computer, and additionally installs a plurality of twin monitors (TM1 to TMn) for displaying images transmitted from other computers.

각각의 터미날(T1∼Tn)에는,In each terminal T1 to Tn,

데이타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신호 또는 연결된 컴퓨터의 출력영상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SW1)와, 상기 제 1 스위치(SW1)의 출력 영상을 증폭하는 증폭기(A)와,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증폭기(A)의 출력 영상을 데이타 라인을 통해 다른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2 스위치(SW2)와,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증폭기(A)의 출력 영상을 트윈 모니터(TM)로 공급하는 제 3 스위치(SW3)와,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연결된 컴퓨터의 출력 영상 또는 제 1 스위치(SW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메인 모니터(M)로 공급하는 제 4 스위치(SW4)와, 사용자의 작동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위치(SW1∼SW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트윈 모니터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C)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switch SW1 for switching an external image signal input through a data line or an output image of a connected computer, an amplifier A for amplifying the output image of the first switch SW1, and an on / off switching operation And a second switch SW2 for transmitting the output image of the amplifier A to another computer through a data line, and an on / off switching operation to supply the output image of the amplifier A to the twin monitor TM. A third switch SW3, a fourth switch SW4 for supplying an output image of a computer connected through on / off switching operation or an image input through the first switch SW1 to the main monitor M; The control unit C is furth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W1 to SW4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so that the function of the twin monitor is normally performed.

그리고, 상기 각각의 컴퓨터에 해당 컴퓨터와 연결된 키이보드와 마우스로 부터 발생된 신호 또는 제어라인을 통해 외부 입력되는 키이보드신호와 마우스신호를 스위칭하여 해당 컴퓨터로 전달하는 제 5 스위치(SW5)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 5 스위치(SW5)는 강사가 사용하는 컴퓨터로 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터미날의 제어부(C)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fifth switch (SW5) for switching a keyboard signal and a mouse signal externally inputted through a signal or a control line generated from a keyboard and a mouse connected to the computer to each computer, and transferring the fifth switch SW5 to the corresponding computer. The fifth switch SW5 may be switch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C of the terminal operating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computer used by an instructor.

종래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했다.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ior ar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o avoid repeated explanation.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 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as follows.

본 발명은 각각의 터미날(T1∼Tn)에 설치된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은 스위칭 수단이 중요한 구성요소 이므로 이 스위칭수단의 동작을 작동모드별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witching means as shown in FIG. 3 installed in each of the terminals T1 to Tn is an important component,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ans will be described for each operation mode.

◆ 제 1 모드 ◆◆ first mode ◆

제 1 모드는 각각의 컴퓨터(PC)에서 출력된 영상을 트윈 모니터(TM)로 출력하는 상태로서, 제어부(C)는 제 1 스위치(SW1)가 컴퓨터 측 단자(H)로 접속되도록 하고, 제 2 및 제 4 스위치(SW2,SW4)는 오프, 제 3 스위치(SW3)는 온동작하도록 제어한다.The first mode is a state in which an image output from each computer PC is output to the twin monitor TM, and the control unit C causes the first switch SW1 to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side terminal H. The second and fourth switches SW2 and SW4 are turned off and the third switch SW3 is turned on.

이와같이 하면, 컴퓨터(PC)에서 출력된 영상이 제 1 스위치(SW1)를 통해 증폭기(A)로 공급되어 증폭된 후 제 3 스위치(SW3)를 통해 트윈 모니터(TM)로 공급되므로서, 컴퓨터(PC)에서 출력된 영상이 트윈 모니터(TM) 상에 화면 출력되는 것이며, 메인 모니터(M)는 오프상태가 된다.In this way, the image output from the computer PC is supplied to the amplifier A through the first switch SW1, amplified, and then supplied to the twin monitor TM through the third switch SW3. The image output from the PC) is output on the twin monitor TM, and the main monitor M is turned off.

◆ 제 2 모드 ◆◆ second mode ◆

제 2 모드는 트윈 모니터(TM)가 다른 컴퓨터(PC)에서 출력되어 데이타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제어부(C)는 제 1 스위치(SW1)가 데이타라인 측 단자(L)로 접속되도록 하고, 제 2 및 제 4 스위치(SW2,SW4)는 오프, 제 3 스위치(SW3)는 온동작하도록 제어한다.In the second mode, the twin monitor TM outputs an image output from another computer PC through the data line. The control unit C causes the first switch SW1 to switch to the data line side terminal L. FIG. The second and fourth switches SW2 and SW4 are turned off and the third switch SW3 is turned on.

이와같이 하면, 데이타 라인을 통해 전송된 다른 컴퓨터의 영상신호가 제 1 스위치(SW1)를 통해 증폭기(A)로 공급되어 증폭된 후 제 3 스위치(SW3)를 통해 트윈 모니터(TM)로 공급되어 다른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이 트윈 모니터(TM) 상에 표시되는 것이며, 메인 모니터(M)는 오프상태가 된다.In this way, an image signal of another computer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line is supplied to the amplifier A through the first switch SW1, amplified, and then supplied to the twin monitor TM through the third switch SW3. The image output from the computer is displayed on the twin monitor TM, and the main monitor M is turned off.

즉, 제 2 모드는 강사의 교육내용을 모든 학생들이 보기만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강사의 컴퓨터(PC1)에서 출력된 영상이 각 학생의 컴퓨터(PC2∼PCn)들 사이에 설치된 트윈 모니터(TM2∼TMn)를 통해 출력되므로서, 학생들은 메인 모니터(M2∼Mn)를 통하지 않고 트윈 모니터를 통해 강사의 교육내용을 시청할 수 있게된다.In other words, the second mode is used when all students only see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education, and the twin monitor (TM2) in which the image output from the instructor's computer (PC1) is installed between each student's computers (PC2 to PCn). By outputting through -TMn, students can watch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education through the twin monitors instead of the main monitors M2-Mn.

◆ 제 3 모드 ◆◆ third mode ◆

제 3 모드는 컴퓨터(PC)에서 출력된 영상을 다른 컴퓨터의 메인 모니터 또는 트윈 모니터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C)는 제 1 스위치(SW1)가 컴퓨터 측 단자(H)로 접속되도록 하고, 제 3 및 제 4 스위치(SW3,SW4)는 오프, 제 2 스위치(SW2)는 온동작하도록 제어한다.The third mode is for outputting the image output from the computer PC to the main monitor or twin monitor of another computer. The control unit C allows the first switch SW1 to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side terminal H.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SW3 and SW4 are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SW2 is turned on.

이와같이 하면, 컴퓨터(PC)에서 출력된 영상이 제 1 스위치(SW1)를 통해 증폭기(A)로 공급되어 증폭되고, 이후 제 2 스위치(SW2)를 통해 데이타라인으로 전송되므로서, 다른 컴퓨터의 메인 모니터 또는 트윈 모니터 상에 화면 표시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image output from the computer PC is supplied to the amplifier A through the first switch SW1 and amplified, and is then transmitted to the data line through the second switch SW2, thereby maintaining the main of another computer. It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r twin monitor.

즉, 제 3 모드는 강사가 자신의 컴퓨터(PC1)를 조작하면서 그 조작에 대응하는 영상을 학생들에게 보여주고자 할 때 또는 각 학생들의 컴퓨터(PC2∼PCn) 조작상황을 강사가 직접 보고자 할 때 사용되는 모드로서, 강사의 컴퓨터(PC1)에서 출력된 영상이 데이타 라인을 통해 각 학생의 메인 모니터(M2∼Mn) 또는 트윈 모니터(TM2∼TMn)로 출력되며, 또한 학생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이 강사의 메인 모니터(M1) 또는 트윈 모니터(TM1)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third mode, when the instructor manipulates his or her computer PC1 and wants to show student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r when the instructor wants to see the operation state of each computer (PC2 to PCn) directly. In this mode, the image output from the instructor's computer PC1 is output to the main monitors M2 to Mn or the twin monitors TM2 to TMn of each student through the data line. It is output through the instructor's main monitor (M1) or twin monitor (TM1).

◆ 제 4 모드 ◆◆ fourth mode ◆

제 4 모드는 컴퓨터(PC)에서 출력된 영상을 해당 컴퓨터(PC)에 연결된 메인 모니터(M)를 통해 출력하는 모드로서, 제어부(C)는 제 1 스위치(SW1)가 데이타라인 측 단자(L)로 접속되도록 하고, 제 2 및 제 3 스위치(SW2,SW3)는 오프, 제 4 스위치(SW4)는 온동작하도록 제어한다.The fourth mode is a mode in which an image output from the computer PC is output through the main monitor M connected to the computer PC. The control unit C has a first switch SW1 having a data line terminal L. FIG. And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SW2 and SW3 are turned off and the fourth switch SW4 is turned on.

이와같이 하면, 컴퓨터(PC)에서 출력된 영상이 제 4 스위치(SW4)를 통해 메인 모니터(M)로 공급되어 화면 출력되며, 이때 트윈 모니터(TM)는 오프상태로 존재한다.In this way, the image output from the computer PC is supplied to the main monitor M through the fourth switch SW4, and the screen is output. In this case, the twin monitor TM is in an off state.

즉, 제 4 모드는 강사 또는 학생이 트윈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고 자신의 컴퓨터(PC1∼PCn)에서 출력된 영상을 메인 모니터(M1∼Mn)를 통해 보고자 할 때 사용되는 작동 모드이다.That is, the fourth mode is an operation mode used when an instructor or a student wants to view an image output from his computers PC1 to PCn through the main monitors M1 to Mn without using the twin monitor.

◆ 제 5 모드 ◆◆ fifth mode ◆

제 5 모드는 컴퓨터(PC)에서 출력된 영상이 메인 모니터(M)상에 출력되고, 데이타 라인을 통해 전송된 다른 컴퓨터의 출력 영상이 트윈 컴퓨터(TM)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모드로서, 제어부(C)는 제 1 스위치(SW1)가 데이타 라인 측 단자(L)로 접속되도록 하고, 제 3 및 제 4 스위치(SW3,SW4)는 온, 제 2 스위치(SW2)는 오프동작하도록 제어한다.The fifth mode is a mode in which an image output from a computer PC is output on a main monitor M, and an output image of another computer transmitted through a data line is output on a twin computer TM. C) controls the first switch SW1 to be connected to the data line side terminal L,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SW3 and SW4 are on, and the second switch SW2 is off.

이와같이 하면, 컴퓨터(PC)에서 출력된 영상이 제 4 스위치(SW4)를 통해 메인 모니터(M)상에 표시되고, 데이타 라인을 통해 입력된 다른 컴퓨터의 출력 영상은 제 1 스위치(SW1)를 통해 증폭기(A)로 공급되어 증폭된 후 제 3 스위치(SW3)를 통해 트윈 모니터(TM)로 공급되어 트윈 모니터(TM)의 화면상에 출력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image output from the computer PC is displayed on the main monitor M through the fourth switch SW4, and the output image of another computer input through the data line is output via the first switch SW1. After being supplied to the amplifier A and amplified, it is supplied to the twin monitor TM through the third switch SW3 and output on the screen of the twin monitor TM.

즉, 제 5 모드는 학생이 자신의 컴퓨터(PC2∼PCn)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메인 모니터(M2∼Mn)로 출력되도록 하고, 강사의 컴퓨터(PC1)에서 출력된 영상이 트윈 컴퓨터(TM2∼TMn)에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강사의 교육내용을 실시간으로 시청하면서 그와 병행하여 실습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되고, 또한, 강사가 자신의 컴퓨터(PC1)에서 출력된 영상을 메인 모니터(M1)를 통해 시청하면서 특정 학생의 컴퓨터 출력을 트윈 모니터(TM1)를 통해 확인할 때 사용되는 아주 중요한 동작모드이다.That is, in the fifth mode, the student outputs images output from his / her own computers PC2 to PCn to the main monitors M2 to Mn, and the images output from the instructor's computer PC1 are twin computers TM2 to TMn. It is used when you want to practice in parallel with the training while watching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 in real time, and the instructor watches the video output from his computer PC1 through the main monitor M1. This is a very important mode of operation used to check a student's computer output on a twin monitor (TM1).

◆ 제 6 모드 ◆◆ ◆ sixth mode

제 6 모드는 자신의 컴퓨터(PC)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메인 모니터(M)상에 출력함과 동시에 데이타 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다른 컴퓨터의 메인 모니터 또는 트윈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작동 모드로서, 제어부(C)는 제 1 스위치(SW1)가 컴퓨터 측 단자(H)로 접속되도록 하고, 제 2 및 제 4 스위치(SW2,SW4)는 온, 제 3 스위치(SW3)는 오프동작 하도록 제어한다.The sixth mode is an operation mode for outputting the image output from the own computer (PC) on the main monitor (M) and simultaneously outputting it to the main monitor or twin monitor of another computer transmitting through a data line. (C) controls the first switch SW1 to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side terminal H, the second and fourth switches SW2 and SW4 on, and the third switch SW3 to be off.

이와같이 하면, 컴퓨터(PC)에서 출력된 영상이 제 4 스위치(SW4)를 통해 메인 모니터(M)로 출력됨과 동시에 제 1 스위치(SW1)를 통해 증폭기(A)로 공급되어 증폭된 후 제 2 스위치(SW2)를 통해 데이타 라인으로 전송되어 다른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는 메인 모니터 또는 트윈 모니터상에 출력되게 된다.In this way, the image output from the computer PC is output to the main monitor M through the fourth switch SW4 and is supplied to the amplifier A through the first switch SW1 and amplified, and then the second switch. It is sent to the data line via (SW2) and output on the main monitor or twin monitor connected to another computer.

즉, 제 6 모드는 강사가 자신의 컴퓨터(PC1)에서 출력된 영상을 메인 모니터(M1)로 출력함과 동시에 학생들의 메인 모니터(M2∼Mn) 또는 트윈 모니터(TM2∼TMn)로 전송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작동 모드이다.That is, in the sixth mode, the instructor wants to output the image output from his computer PC1 to the main monitor M1 and to the students' main monitors M2 to Mn or twin monitors TM2 to TMn. Is a very important mode of operation us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이 구현 가능한 제 1 내지 제 6 모드를 사용하면, 강사 또는 학생이 자신의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이 메인 모니터 또는 트윈 모니터로만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고, 자신의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이 메인 모니터로 출력되고 다른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이 자신의 트윈 모니터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자신의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이 메인 모니터로 출력됨과 동시에 데이타 라인을 통해 전송되어 다른 컴퓨터와 연결된 모니터로 출력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학습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the first to sixth mode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e instructor or the student may output the image output from his computer only to the main monitor or the twin monitor, or output from his computer. You can have the video output to the main monitor and the video output from another computer to your own twin monitor, and the video output from your computer is output to the main monitor and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line and connected to another compute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such as to be outputted as is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강사가 원거리에서 학생들의 키이보드와 마우스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ructor can control the keyboard and mouse of the students from a long distance.

즉, 강사가 자신의 모니터를 통해 학생의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을 시청하던 중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여 이를 정정해주고자 할 때, 특정키이를 입력해서 해당 터미날(T)의 제어부(C)로 소정의 제어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면, 상기 제어부(C)는 제어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컴퓨터(PC)에 설치된 제 5 스위치(SW5)를 제어라인 측 단자(L)로 절환되도록 하고, 이때, 강사가 자신의 키이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면, 그 조작신호가 제어라인을 통해 전송되어 제 5 스위치(SW5)를 통해 해당 컴퓨터(PC)로 공급되므로서, 강사가 원거리에서 학생의 컴퓨터(PC)를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nstructor finds a wrong part while watching the video output from the student's computer through his monitor and wants to correct it, he inputs a specific key to the control unit C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T. When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he control unit C switches the fifth switch SW5 installed in the computer PC to the control line side terminal 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control line. When the instructor operates his or her own keyboard or mouse,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line and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computer (PC) through the fifth switch SW5, so that the instructor can remotely connect the student's computer (PC). Will be able to oper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강사와 수강생이 각각 사용하도록 된 컴퓨터에 별도의 트윈 모니터를 더 설치하고, 강사가 조작하는 컴퓨터의 출력영상이 수강생이 사용하는 트윈 모니터상에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칭수단을 구성하여 다수의 수강생이 강사가 조작하는 교육내용을 트윈 모니터를 통해 보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트윈 모니터 기능을 갖는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twin monitor is further installed on a computer that is used by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s, and the switching means operates so that the output image of the computer operated by the instructor is displayed on the twin monitor used by the learners. It is an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that has a twin monitor function to improve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by allowing a plurality of students to learn while watching the teaching contents manipulated by the instructor through a twin monitor.

Claims (2)

강사 또는 수강생들이 사용하도록 된 다수의 컴퓨터(PC1∼PCn)와 모니터 (M1∼Mn)가 구비되고, 다른 컴퓨터로 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연결된 컴퓨터로 공급되도록 하고, 연결된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다른 컴퓨터로 출력하는 다수의 터미날(T1∼Tn)과, 상기 터미날간의 데이타 전송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중계하는 분배기(B)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A plurality of computers (PC1 to PCn) and monitors (M1 to Mn) intended to be used by the instructor or the students are provided, and images and audio signals transmitted from other computers are supplied to a connected computer, and images output from the connected computer.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T1 to Tn)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o another computer, and a divider (B) for relaying data between the terminals to facilitate the data transmission. 각각의 컴퓨터 옆에 별도로 설치되며, 다른 컴퓨터로 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트윈 모니터(TM1∼TMn)를 더 설치하고,It is installed separately next to each computer, and additionally installs a plurality of twin monitors (TM1 to TMn) for displaying images transmitted from other computers. 각각의 터미날(T1∼Tn)에는,In each terminal T1 to Tn, 데이타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신호 또는 연결된 컴퓨터의 출력영상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SW1)와, 상기 제 1 스위치(SW1)의 출력 영상을 증폭하는 증폭기(A)와,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증폭기(A)의 출력 영상을 데이타 라인을 통해 다른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2 스위치(SW2)와,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증폭기(A)의 출력 영상을 트윈 모니터(TM)로 공급하는 제 3 스위치(SW3)와,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연결된 컴퓨터의 출력 영상 또는 제 1 스위치(SW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메인 모니터(M)로 공급하는 제 4 스위치(SW4)와, 사용자의 작동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위치(SW1∼SW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트윈 모니터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C)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모니터 기능을 갖는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A first switch SW1 for switching an external image signal input through a data line or an output image of a connected computer, an amplifier A for amplifying the output image of the first switch SW1, and an on / off switching operation And a second switch SW2 for transmitting the output image of the amplifier A to another computer through a data line, and an on / off switching operation to supply the output image of the amplifier A to the twin monitor TM. A third switch SW3, a fourth switch SW4 for supplying an output image of a computer connected through on / off switching operation or an image input through the first switch SW1 to the main monitor M; The control unit (C) is furth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W1 to SW4 so that the function of the twin monitor is norm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Having educational video. Voice transmiss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각의 컴퓨터에 해당 컴퓨터와 연결된 키이보드와 마우스로 부터 발생된 신호 또는 제어라인을 통해 외부 입력되는 키이보드신호와 마우스신호를 스위칭하여 해당 컴퓨터로 전달하는 제 5 스위치(SW5)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 5 스위치(SW5)는 강사가 사용하는 컴퓨터로 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터미날의 제어부(C)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모니터 기능을 갖는 교육용 영상.음성 전송 시스템.Further installing a fifth switch (SW5) in each of the computers to switch the keyboard signal and the mouse signal externally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or control line generated from the keyboard and the mouse connected to the computer and transfer to the corresponding computer. The fifth switch SW5 is an educational image having a twin monitor function, wherein the fifth switch SW5 is switched by a control of a control unit C of a terminal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computer used by an instructor. Transmission system.
KR1019980061499A 1998-12-30 1998-12-30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with twin monitor function KR1002967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99A KR100296769B1 (en) 1998-12-30 1998-12-30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with twin monitor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99A KR100296769B1 (en) 1998-12-30 1998-12-30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with twin monitor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92A KR20000044992A (en) 2000-07-15
KR100296769B1 true KR100296769B1 (en) 2001-08-30

Family

ID=1956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499A KR100296769B1 (en) 1998-12-30 1998-12-30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with twin monitor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7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776B1 (en) * 2006-04-19 2007-09-14 원창섭 Visual System for Experimental Education with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92A (en)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8450A (en) Multimedia distribution system for instructional materials
AU2002315731B8 (en) Personal Computer Lesson System Using Videophones
CN105225552B (en) A kind of SCM Based computer video instructional device
KR100296769B1 (en)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with twin monitor function
EP0396488B1 (en) System for simultaneous multiple keyboard teaching using closed-circuit television
KR100824313B1 (en) Studying cadence robot where hri techniques in compliance with a teacher intervention from classroom environment are applied
CA1308905C (en) Computer-based training for telephone extension users
KR0163480B1 (en) Education computer network structure
JPS61279882A (en) Computer-aided educational system
KR200170470Y1 (en) Person-to-person computer study system
KR100393471B1 (en) Realtime control system for multimedia network
KR200170024Y1 (en) Multimedia system for education
KR200330530Y1 (en) Video learning apparatus
JPH06295152A (en) Training device for computer
KR970060018A (en) Multimedia educational device
JPH06334793A (en) Picture information system
KR100758776B1 (en) Visual System for Experimental Education with Computer
KR20110033504A (en) Education image and voice provide system using composition brigde
KR200395807Y1 (en) The Confirming device Of learning Recognition Degree
JPH0290190A (en) Tv learning system
KR100706156B1 (en) The Confirming device Of learning Recognition Degree
JPS6371877A (en) Cai system
JPH03296085A (en) Language practice device
JPH03266879A (en) Educational device
JP2000155520A (en) Character writing practic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7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