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554B1 - 전기자전거 - Google Patents

전기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554B1
KR100295554B1 KR1019980036945A KR19980036945A KR100295554B1 KR 100295554 B1 KR100295554 B1 KR 100295554B1 KR 1019980036945 A KR1019980036945 A KR 1019980036945A KR 19980036945 A KR19980036945 A KR 19980036945A KR 100295554 B1 KR100295554 B1 KR 100295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icycle
output control
chai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674A (ko
Inventor
전봉한
Original Assignee
전봉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봉한 filed Critical 전봉한
Priority to KR101998003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554B1/ko
Publication of KR19980087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7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single endless flexible member, e.g. chain, between cycle crankshaft and wheel axle, the motor engaging the endless flexi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5/00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M25/02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systems, e.g. cables, levers
    • B62M25/04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systems, e.g. cables, levers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6Tensioning or adjusting equipment for chains, bel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Spr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 F16H2007/088Manu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자전거의 페달의 회전력을 보충하는 감속장치가 내장된 모터가 장착되었고, 안전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안전속도제어부를 장착하여 급출발 및 과속을 방지하였으며, 또한 일반자전거의 변속장치로 변속가능 하도록 한 전기자전거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자전거의 몸체중앙에 장착되어 동력전달부의 전방지지대의 좌측프리스프라켓을 구동하는 감속장치가 내장된 구동부와, 체인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측정부와 장력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와 모터의 전원 공급의 시기를 레버에 의해 조절하는 출력조절스위치부로 구성된 출력제어장치와, 자전거의 급출발을 방지하고 과속을 방지하는 속도제어안전장치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자전거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일반자전거의 페달의 회전력을 보충하는 감속장치가 내장된 모터가 장착되였고, 안전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안전속도제어부를 장착하여 급출발 및 과속을 방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반자전거의 변속장치로 변속가능 하도록 한 전기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환경오염의 하나로 대기오염이 심각하며 특히 환경오염의 주범인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증가로 교통문제가 심각하며 대체수단으로 전기자동차와 자전거의 기능향상에 많은 연구와 투자가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자전거 기술개발은 동력의 전달 방법과 구조의 개선을 요하는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종래의 자전거는 체인 없는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자전거와, 자전거의 동력원으로 단지 모터가 사용되는 자전거는 타이어에 직접 접촉하여 바퀴를 회전시키거나, 동력을 바퀴의 축에 직접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어로 전달되는 동력전달방식은 전달에너지의 손실이 매우 큰 점과, 페달의 회전동력을 이용하는 자전거가 가벼워야 되는 중요한 사항을 해결하지 못한 점과, 보조동력인 모터로 운행되는 종래의 전기자전거는 회전속도를 줄이는 감속기어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다른 문제점은 자전거는 원동기와 달리 보조동력으로 사용되는 모터가 장착되므로 자전거의 진행속도가 빨라져 안전 장치가 미비한 자전거는 사고발생시 인사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다른 문제점은 전기자전거의 모터의 출력을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장치는 제작비용이 고가이며 자전거가 외부에 방치되는 경우 습기로 인해 고장이 발생되고, 외부의 충격으로 고장이 쉬우며 수리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자전거의 페달의 회전력을 보충하는 감속장치가 내장된 모터가 장착되였고, 안전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안전속도제어부를 장착하여 급출발 및 과속을 방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반자전거의 변속장치로 변속가능 하도록 한 전기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의 대중화를 위하여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해 고장이 적고 견고한 기계식 제어방법을 사용한 전기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는, 자전거의 몸체중앙에 장착되어 동력전달부의 전방지지대의 좌측프리스프라켓을 구동하는 감속장치가 내장된 구동부와, 체인의 토오크를 감지하는 장력측정부와 장력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와 모터의 전원 공급의 시기를 레버에 의해 조절하는 출력조절스위치부로 구성된 출력제어장치와, 자전거의 급출발을 방지하고 과속을 방지하는 속도제어안전장치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인 출력제어장치의 장력측정부와 출력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인 출력제어장치의 출력제어부와 출력조절스위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인 속도제어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인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도6의 동력전달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상부프레임 2: 하부프레임
3: 전방프레임 4: 후방프레임
5: 커버인 몸체 6: 모터
7,9: V형 벨트 8: 제1 감속부
10: 구동부 11: 제2 감속부
16: 스프라켓기어 22: 체인기어
30: 장력측정부 32: 상부접촉단자마대
33, 36: 축봉 34,49,72,74,75: 브러쉬
37: 하부접촉단자마대 38,39: 지지대
41: 도체부 50: 출력제어부
52: 케이블 62:축심봉
63: 사각형추 67: 접합판
71: 입력원통캡 73: 출력원통캡
76: 롤러 80: 출력제어장치
81: 전방지지대 83,124: 3단 변속스프라켓기어
86: 후방지지대 100: 속도제어안전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인 출력제어장치의 장력측정부와 출력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인 출력제어장치의 출력제어부와 출력조절스위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인 속도제어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인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도6의 동력전달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몸체중앙에 장착되며 동력전달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장치가 내장된 구동장치(10)와, 체인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측정부(30)와 장력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50)와 모터의 전원 공급의 시기를 레버에 의해 조절하는 출력조절스위치부(60)로 구성된 출력제어장치(80)와, 자전거의 급출발을 방지하고 과속을 방지하는 속도제어안전장치(100)와, 페달의 회전력과 모터의 회전력을 뒷바퀴의 변속프리스프라켓(120)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동력전달장치(11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10)는 자전거의 몸체 중앙에 장착되며 상·하부프레임(1,2)과 전·후방프레임(3,4)내에 고정되는 감속장치가 내장된 구동장치(10)는, 커버인 몸체부(5)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모터(6)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V벨트(7)로 연결되어 감속 회전하는 제1 감속부(8)와, 상기 제1 감속부와 V벨트(9)로 연결되어 감속 회전하는 제2 감속부(11)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인 몸체부(5)는 양면 두개의 판으로 자전거의 상·하부프레임(1,2)과 전·후방프레임(3,4)에 고정된다.
상기의 모터(6)는 몸체의 좌측단에 장착되며 모터축에는 V형 홈이 형성된 풀리(12)가 장착된다.
상기 제1 감속부(8)는 지름이 큰 풀리(13)와 일축상으로 장착되는 작은 풀리(14)는 V벨트가 삽설 되도록 V형 홈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제2 감속부(11)는 지름이 큰 풀리(15)와 스프라킷기어(16)가 일축상으로 장착되어 좌측 2개의 프리스프라켓 2단부(85)에 체인으로 스프라켓기어가 동력을 전달한다. 큰 풀리(15) 역시 V형 홈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의 몸체와 축 사이에는 베어링이 마찰과 소음을 줄이도록 삽설되어 있다(도시하지않음).
우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적정 속도비로 감속시킨 구동부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원공급부(77)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6)가 구동되고, 모터축의 풀리(12)가 회전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V벨트에 연결된 제1 감속부(8)의 지름이 큰 풀리(13)가 회전되고, 일축에 장착된 지름이 작은 풀리(14)는 V벨트로 연결된 제2 감속부(11)의 지름이 큰 풀리(15)가 회전되어 감속된다. 이때 제2 감속부(11)의 스프라켓기어(16)는 체인으로 동력전달장치(110)의 전방지지대(81)에 2개의 프리스프라켓 2단부(54)에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다음에, 언덕 주행시나 페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질 시, 보조동력인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운전자에게 무리한 운동을 자제시키고 편리한 주행이 되도록 한 장치로 체인의 장력에 의해 모터의 출력이 조절되는 출력제어장치(80)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출력제어장치는 체인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측정부(30)와 장력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50)와 모터의 전원공급 시기를 레버에 의해 조절하는 출력조절스위치부(60)로 구성된다.
우선, 장력측정부(30)는 하부프레임(2)에 장착되는 힌지작동로드(21)와, 상기 힌지작동로드(21) 하부면에 장착되며 체인에 물리어 회전되는 체인기어(22)와, 체인의 장력에 따라 좌우측으로 회전 작동되는 힌지작동로드 상부면에 장착된 케이블(23)과, 힌지작동로드(21)를 강하게 당겨지도록 삽설한 스프링(24)을 고정시키는 브라켓트(25)와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된 볼트(26)와 너트(27)로 구성된 장력측정부(30)로 구성된다.
다음 상기의 출력제어부(50)는 몸체부(31)와, 체인의 장력에 의해 좌·우측으로 작동되는 스프링이 감긴 축봉(33)과, 상기 축봉에 연결된 상부접촉단자마대(32)와, 상기 상부접촉단자마대(32)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스프링이 장착된 브러쉬(34)와, 상기 브러쉬(34)와 부하방지봉(47)이 브라켓트(46)로 고정된 과부하방지레버(35)와, 상부접촉단자마대(32)와 반대로 장착되며 스프링이 감긴 축봉(36)에 연결되고, 하부의 스프링(48)에 의해 압착되며 상부로 밀착되는 브러쉬(49)가 장착된 하부접촉단자마대(37)와, 상기 상·하부접촉단자마대(32,37)의 양부를 지지하며 좌·우측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몸체내의 좌·우측단에 장착되는 안내가이드 지지대(38,39)가 장착된다.
상기 핸들에 장착되는 출력조절스위치부(60)는 온/오프 위치와 단계별 출력 위치가 표시되고, 단계별 위치의 홈에 형성된 몸체부(51)와, 홈부위에 삽입되도록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케이블(52)이 장착되는 핸드레버(5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자전거의 출력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언덕길 주행시 자전거의 운전자가 핸들에 장착된 출력조절스위치부(60)의 핸드레버(53)를 일정위치에 놓으면 핸드레버의 끝부분에 연결된 케이블(52)이 출력제어부(50)의 하부접촉단자마대(37)를 당겨 상부에 장착된 상부접촉단자마대와의 간격이 좁혀진다.
이때, 운전자가 회전시키는 페달의 토오크가 커져 체인을 팽팽하게 하면 장력측정부(30)의 하부프레임(2)에 장착된 힌지작동로드(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블(23)을 당겨 출력제어부(50)내의 축봉(33)에 연결된 상부접촉단자마대(32)의 도체부(41)를 전진시켜 하부접촉단자마대(37)의 브러쉬(49)와 접촉되어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6)가 작동하여 힘을 보충한다.
상기와 같이 전진하는 자전거가 다시 평지를 달리거나 내리막길에 접어 들면, 체인의 완만한 장력에 대해 스프링(24)의 복원력이 강해져 힌지작동로드(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출력제어부(50)의 상부접촉단자마대(32)가 후진되어 접점이 떨어져 모터의 회전이 멈추어지고, 운전자의 페달에 의해 자전거가 전진된다.
전기모터의 힘으로만 주행시, 출력조절스위치부(60)의 핸드레버를 우측끝의 온(ON)위치에 놓으면 하부접촉단자마대(37)가 상부접촉단자마대(32)와 접점 되도록 끝까지 당겨져 모터에 전원을 공급되므로서 자전거가 전진된다.
전기모터를 사용하지 않을 시, 출력조절스위치부(60)의 핸드레버(53)를 좌측끝의 오프(OFF)위치에 놓으면 하부접촉단자마대(37)가 접점 되지 않는 우측부분에 고정되어 접점되지 않는다.
과도한 장력이 작용시, 장력측정부(30)에 과도한 장력이 걸려 상부접촉단자마대(32)의 도체부(41)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과부하방지레버(35)의 브러쉬(34)와 접촉이 떨어져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이때 과부하방지레버(35)의 브러쉬(34)와의 접촉되지 않는 안전부분인 부도체안전판(42)이 있어 전류가 흐르지 않아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전기자전거 운전자가 핸들에 장착된 출력조절스위부(60)의 핸드레버(53)의 위치에 따라 보조동력인 모터의 사용이 가능하며 페달의 토오크에 따라 체인의 장력에 의해 모터가 작동되었다가 멈추었다 반복하여 일정한 힘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힘을 보충해 준다.
상기에서 미설명한 출력제어부(50)내의 상부접촉단자마대부의 하부보조대(43)는 브러쉬의 접촉시 원활한 미끌림 접촉이 되도록 하부보조대(43)가 돌출되어져 있다.
다음에, 안전장치가 미비한 자전거의 급출발을 방지하고 과속을 방지하는 속도제어안전장치(100)는 자전거의 상부의 앞 포오크에 장착되는 원통의 몸체부(61)와, 바퀴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상부에 롤러(76)가 장착된 축심봉(62)과, 상기의 축심봉에 고정된 사각의 박스내에 장착되는 사각형추(63)와, 상기의 추가 복원되도록 장착된 스프링(64)과, 사각형추(63)에 장착되는 도체(65)와 부도체(66)로 나누어 형성된 접합판(67)과, 상기 접합판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스프링(68)이 삽입되고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사각박스 상부에 돌출되는 접촉단자레버(69)와, 축심봉(62)에 장착되며 외부면에 도체가 형성된 입력원통캡(71)과, 하부의 축심봉에 장착되며 외부면에 도체가 형성된 출력원통캡(73)과, 입력원통캡(71)면에 접촉되며 몸체내부면에 고정되어 가압 되도록 스프링이 삽설된 입력브러쉬(72)와, 출력원통캡(73)면에 접촉되며 몸체내부하부면에 고정되며 가압되도록 스프링이 삽설된 출력브러쉬(74)와, 입력전선은 브러쉬(72)를 통하여 입력원통캡(71)과 접촉단자레버(69)의 브러쉬로 연결되고, 출력전선은 접합판(67)의 도체부(65)를 통하여 출력원통캡(73)의 외부면에 접촉되는 출력브러쉬(74)로 전선이 연결된다.
다음에 동력전달장치(110)는 전방프레임(3)과 하부프레임(2)의 연결부위의 전방지지대(81)와, 상기의 전방지지대내에 장착되는 샤프트(82)의 우측에 고정되는 3단변속스프라켓기어(83)와 좌측에 장착되는 2개의 프리스프라켓기어(84,85)가 각각 장착되고, 후방프레임(4)과 하부프레임(2)의 연결부위의 후방지지대(86)와, 상기의 후방지지대내에 장착되는 샤프트(87)의 우측단에 고정되는 페달과 좌측단에 고정되는 스프라켓기어(88)가 장착되어 페달의 동력을 전방지지대(81)의 2개의 프리스프라켓기어 1단부(84)에 체인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에 장착되는 각 장치의 구성을 조합한 상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전기자전거의 운전자가 평지에서 운행시 출력조절스위부(60)의 핸드레버(53)를 오프(OFF)위치에 놓으면, 모터의 힘에 의하지 않고 운전자의 힘에 의한 페달의 회전력으로만 운행된다.
자전거의 운전자가 평지에서 운행시 출력조절스위치부(60)의 위치를 온(ON) 위치에 놓아도, 자전거가 급출발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페달에 의한 최소한의 속도가 발생하여야만 속도제어안전장치(100)내에서 전원이 연결되고, 과속이 발생하면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속도제어안전장치(100)가 작동된다.
자전거의 운전자가 출력조절스위치부(60)의 핸드레버(53)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에 놓고, 자전거의 운전자가 동력전달장치의 후방지지대(86)에 장착된 페달을 회전시키면 페달축에 장착된 고정 스프라켓기어(88)가 전방지지대의 좌측 1단 프리스프라켓기어(84)에 동력이 전달되고, 전달되는 체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출력제어장치(80)는 장력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힌지작동로드(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출력제어부(50)내의 상부접촉단자마대(32)가 앞으로 당겨지고, 하부접촉단자마대(37)의 브러쉬(49)와 상부접촉단자마대의 도체부(41)와 접점되어 전원이 연결되고, 연결된 전원은 속도제어안전장치(100)내의 입력원통캡(71)을 통하여 최소한의 속도가 발생하면 전원이 연결되도록 한 바퀴와 접촉된 롤러(76)의 축심봉(62)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사각추(63)가 움직여 접합판(67)의 도체부(65)와 사각박스 상부에 돌출되는 접촉단자레버(69)의 브러쉬(75)와 연결되고, 상기 브러쉬(75)와 접합판(67)의 도체부(65)에 연결된 전원은 출력원통캡(73)을 지나 구동장치(10)의 모터(6)에 연결되어 모터(6)가 회전하고, 모터의 풀리(12)에 의해 제1 감속부(8)의 지름이 큰 풀리(13)가 회전되고, 일축에 장착된 지름이 작은 풀리(14)는 V벨트(9)로 연결된 제2 감속부(11)의 지름이 큰 풀리(15)가 회전되어 감속된다. 이때, 제2 감속부(11)의 스프라켓기어(16)는 체인으로 동력전달부의 전방지지대의 좌측에 장착되는 2단 프리스프라켓기어(84)에 연결된다. 또한, 뒷바퀴의 변속프리스프라켓기어(120)와 전방지지대(81)의 우측에 고정된 3단변속스프라켓기어(83)와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의 작동실시예에서 보듯이 출력제어장치(80)가 작동되어 전원이 접점되어도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서 급출발을 방지하도록 자전거가 최소한의 속도가 되었을 때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였다.
또한 언덕에서의 출발을 위해서 바로 모터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속도제어안전장치를 거치지 않고 전원의 배선이 가능하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자전거에 장착되는 동력전달장치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한다.
동력전달장치(110)는 전방전방프레임(3)과 하부프레임(2)의 연결부위의 전방지지대(81)와, 상기의 전방지지대내에 장착되는 샤프트(82)의 우측에 고정되는 스프라켓기어(121)와, 좌측에 장착되는 2개의 프리스프라켓기어(122,123)가 각각 장착되고, 후방프레임(4)과 하부프레임(2)의 연결부위의 후방지지대(86)와, 상기의 후방지지대내에 장착되는 샤프트(87)의 우측단에 장착는 베어링이 삽입된 3단변속스프라켓기어(124)와 구동스프라켓(125)이 일체로 장착되어있고, 좌측단에는 고정스프라켓(88)이 장착되어 프리스프랏켓기어 1단부(123)와 연결된 체인과, 상기 3단변속스프라켓기어(124)와 뒷바퀴의 변속프리스프라켓기어로 연결되어져 모터의 동력과 페달의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하부에 베어링이 삽입된 일체형으로 장착된 3단변속스프라켓기어(124)와 구동스프라켓(125)는 샤프트(87)에 관계없시 작동된다.
예컨대, 상기 전기자전거의 각부분에 장착된 장치는 자전거에 사용되는 것에 국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자전거는, 제작이 쉽게 일반자전거의 변속장치로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장치와 안전장치가 미비한 자전거의 급출발로 인한 사고가 발생되는 부주의한 사고를 방지하며 과속으로 인한 대형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의 페달의 토오크를 감지하는 값비싼 컴퓨터제어장치가 아닌 기계장치로 감지하므로 고장이 없으며 수리가 쉽고, 저비용의 제조비가 드는 효과에 있어서 전기자전거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자전거의 몸체중앙에 장착되어 동력전달장치의 전방지지대의 좌측 2개의 프리스프라켓 2단부(85)를 구동하는 감속장치가 내장된 구동장치(10)와, 체인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측정부(30)와 장력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50)와 모터의 전원 공급의 시기를 레버에 의해 조절하는 출력조절스위치부(60)로 구성된 출력제어장치(80)와, 자전거의 급출발을 방지하고 과속을 방지하는 속도제어안전장치(100)와, 페달의 회전력과 모터의 회전력을 뒷바퀴의 변속프리스프라켓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동력전달장치(110)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10)는 커버인 몸체부(5)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모터(6)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V벨트(7)로 연결되어 감속 회전하는 제1 감속부(8)와, 감속된 제1 감속부와 V벨트(9) 연결되어 감속 회전하는 제2 감속부(11)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커버인 몸체부(5)는 양면 두개의 판으로 자전거의 상·하부프레임(1,2)과 전·후방프레임(3,4)에 구성되고,
    상기의 모터(6)는 몸체의 좌측단에 장착되며 모터축에 V형 홈이 형성된 풀리(1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감속부(8)는 지름이 큰 풀리(13)와 일축상으로 장착되는 V형 홈이 형성 작은 풀리(14)가 장착 구성되고,
    상기 제2 감속부(11)는 지름이 큰 풀리(15)와 일축상에 장착된 스프라킷기어(16)와, 상기의 풀리 사이에 삽설되는 V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제어장치(80)는 체인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측정부(30)와, 장력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50)와, 모터의 전원공급 시기를 레버에 의해 조절하는 출력조절스위치부(60)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장력측정부(30)는 하부프레임(2)에 장착되는 힌지작동로드(21)와, 상기 힌지작동로드(21) 하부면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의 체인에 물리어 회전되는 체인기어(22)와, 체인의 장력에 따라 좌우측으로 회전되는 체인기어(22)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부면에 장착된 케이블(23)과, 힌지작동로드(21)를 강하게 당겨지도록 삽설한 스프링(24)을 고정시키는 브라켓트(25)와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된 볼트(26)와 너트(27)로 구성되고,
    상기의 출력제어부(50)는 몸체부(31)와, 체인의 장력에 의해 좌·우측으로 작동되는 스프링이 감긴 축봉(33)과, 상기 축봉에 연결된 상부접촉단자마대(32)와, 상기 상부접촉단자마대(32)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스프링이 브러쉬(34)를 가압하는 부하방지봉이 브라켓트로 고정된 부하방지레버(35)와, 상부접촉단자마대(32)와 반대로 장착되며 스프링이 감긴 축봉(36)에 연결되며 하부의 스프링에 의해 압착되어 상부로 밀착되는 브러쉬가 장착된 하부접촉단자마대(37)와, 상기 상·하부접촉단자마대(32,37)의 양부를 지지하며 좌·우측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몸체내의 좌·우측단에 장착되는 안내가이드 지지대(38,39)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조절스위치부(60)는 온/오프 위치와 단계별 출력의 위치가 표시되고 단계별 위치의 홈에 형성된 몸체부(51)와, 홈부위에 삽입되도록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케이블(52)이 장착되는 핸드레버(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
  4.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안전장치(61)는 자전거의 상부의 앞 포오크에 장착되는 원통의 몸체부(61)와, 바퀴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상부에 롤러가 장착된 축심봉(62)과, 상기의 축심봉에 고정된 사각의 박스내에 장착되는 사각형추(63)와, 상기의 사각형추가 복원되도록 장착된 스프링(64)과, 사각형추(63)에 장착되는 도체부(65)와 부도체(66)로 나누어 형성된 접합판(67)과, 상기 접합판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스프링(68)이 삽입되고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사각박스 상부에 돌출되는 접촉단자레버(69)와, 축심봉(62)에 장착되며 외부면에 도체가 형성된 입력원통캡(71)과, 하부의 축심봉에 장착되며 외부면에 도체가 형성된 출력원통캡(73)과, 입력원통캡(71)면에 접촉되며 몸체내부면에 고정되어 가압 되도록 스프링이 삽설된 입력브러쉬(72)와, 출력원통캡(73)면에 접촉되며 몸체내부하부면에 고정되며 가압되도록 스프링이 삽설된 출력브러쉬(74)와, 입력브러쉬(72)와 출력브러쉬(74) 및 도체부(65)와 브러쉬(75), 입·출력원통캡면을 연결하는 전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110)는 전방프레임(3)과 하부프레임(2)의 연결부위의 전방지지대(81)와, 상기의 전방지지대내에 장착되는 샤프트(82)의 우측에 고정되는 3단변속스프라켓기어(83)와 좌측에 장착되는 2개의 프리스프라켓기어(84,85)가 각각 장착되고, 후방프레임(4)과 하부프레임(2)의 연결부위의 후방지지대(86)와, 상기의 후방지지대내에 장착되는 샤프트(87)의 우측단에 고정되는 페달과 좌측단에 고정되는 스프라켓기어(88)가 장착되어 페달의 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되는 전방지지대(81)의 프리스프라켓기어 1단부(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110)는 전방프레임(3)과 하부프레임(2)의 연결부위의 전방지지대(81)와, 상기의 전방지지대내에 장착되는 샤프트(82)의 우측에 고정되는 스프라켓기어(121)와, 좌측에 장착되는 2개의 프리스프라켓기어(122,123)가 각각 장착되고, 후방프레임(4)과 하부프레임(2)의 연결부위의 후방지지대(86)와, 상기의 후방지지대내에 장착되는 샤프트(87)의 우측단에 장착는 베어링이 삽입된 3단변속스프라켓기어(124)와 구동스프라켓(125)이 일체로 장착되어있고, 좌측단에는 고정스프라켓기어(88)가 장착되어 프리스프랏켓기어 1단부(123)와 연결된 체인과, 전방지지대 우측에 장착된 스프라켓기어(121)와 후방지지대의 구동스프라켓(125)가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3단변속스프라켓기어(124)와 뒷바퀴의 변속프리스프라켓기어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KR1019980036945A 1998-09-08 1998-09-08 전기자전거 KR100295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945A KR100295554B1 (ko) 1998-09-08 1998-09-08 전기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945A KR100295554B1 (ko) 1998-09-08 1998-09-08 전기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674A KR19980087674A (ko) 1998-12-05
KR100295554B1 true KR100295554B1 (ko) 2002-02-19

Family

ID=3752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945A KR100295554B1 (ko) 1998-09-08 1998-09-08 전기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4773A1 (en) * 2001-09-14 2003-03-27 Song, Seung-Hee Accelerator control system of electric bicy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831B1 (ko) * 1999-06-26 2002-04-18 황병덕 전기 자전거
KR101127513B1 (ko) * 2009-05-21 2012-03-26 주식회사 히든파워 자전거용 보조 구동장치
CN106828754A (zh) * 2017-03-16 2017-06-13 郭俱全 一种车轮驱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4773A1 (en) * 2001-09-14 2003-03-27 Song, Seung-Hee Accelerator control system of electric bi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674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431B1 (ko) 변속가능한 직결구동식 트랜스미션
KR100295554B1 (ko) 전기자전거
KR101007067B1 (ko) 관성회전체를 이용한 자전거
TW340823B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for power aided vehicles
KR100217891B1 (ko) 자동 변속장치의 무체인 자전거
US8297636B2 (en) Manpower-driven device with bi-directional input and constant directional rotation output
CN212125429U (zh) 一种异轴式自动无段混动变速系统及助力自行车
CN2403613Y (zh) 通过电机正反转实现换挡的变速装置
KR19980024945U (ko) 자전거
KR200328321Y1 (ko) 전기 자전거의 구동장치
CN101244750A (zh) 一种中轴无级自动变速器
CN101274659A (zh) 一种中轴无级自动变速器
KR100408081B1 (ko) 2속 전동스쿠터의 구동장치
CN101172502A (zh) 无链电动变速自行车
SU1760209A1 (ru) Мускульный привод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960002581Y1 (ko) 자전거
CN2665460Y (zh) 新型机械调速装置
KR100293094B1 (ko) 전기자전거의 다중변속장치
JP2004149098A (ja) 自転車用電動式車輪駆動装置
KR200229083Y1 (ko) 중력 세발 자전거
CN2191169Y (zh) 自行车的双链驱动装置
RU1776604C (ru) Привод дл велосипеда
KR20180127077A (ko) 자전거 전자제어 변속기
KR200307509Y1 (ko) 전기자전거
KR200328319Y1 (ko) 엔진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