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853B1 - 스트립형태부품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형태부품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853B1
KR100294853B1 KR1019980044729A KR19980044729A KR100294853B1 KR 100294853 B1 KR100294853 B1 KR 100294853B1 KR 1019980044729 A KR1019980044729 A KR 1019980044729A KR 19980044729 A KR19980044729 A KR 19980044729A KR 100294853 B1 KR100294853 B1 KR 10029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mounting
parts
shaped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6961A (ko
Inventor
정재송
Original Assignee
정재송
주식회사 젯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송, 주식회사 젯텍 filed Critical 정재송
Priority to KR101998004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853B1/ko
Priority to MYPI99004572A priority patent/MY121110A/en
Publication of KR2000002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load-carrying belt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 B65G17/0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load-carrying belt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the belt having loops forming load-receiving p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한벨트 또는 체인에 마련된 거치기구를 이용하여 스트립형태의 부품을 거치시킨 상태로 급송하면서 하나 이상의 처리조에 유도될 수 있도록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스트립형태부품의 투입 및 배출위치에서 투입, 배출을 위한 탄성파지수단 및 가압수단이 반드시 필요하고, 처리조의 유입, 배출부위가 개방되어 처리조 내부 처리액의 누출에 따른 액면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액보충용 부수설비가 필요하며, 처리급송라인 및 처리조의 길이가 길어져 장비전체가 비대한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부품의 투입, 배출단계에서 거치기구 상호간 자연적으로 벌어져 스트립형태부품의 투입 및 배출이 아주 용이하고 처리조 내부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급송용 무한벨트 또는 체인에는 처리액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고, 처리과정 중 처리조 내부에서 스트립형태부품의 길이방향이 아닌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급송하되 거치기구에 상, 하방향으로 얹혀진 상태로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장비전체의 크기를 크게 축소시킬 수 있고 부품의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분야에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
본 발명은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한벨트 또는 체인에 마련된 거치기구를 이용하여 스트립형태의 부품을 거치시킨 상태로 급송하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처리조에 유도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유사한 선행기술로서 미국특허 제 4,534,843호, 미국특허 제 5,024,745호 등이 있는데, 이들은 무한벨트와 일체로 또는 별도의 탄성파지수단을 구비하고 양측에 설치된 가압수단을 경유하면서 탄성파지수단의 일 부위를 가압수단이 가압하고, 이에 따라 무한벨트와 탄성파지수단의 끝단 파지부사이가 벌어지는 간극사이에 처리하고자 하는 스트립형태의 부품 일측을 끼워 넣으면 상기 가압수단사이를 경유한 무한벨트의 탄성파지수단은 간극이 탄성파지수단의 탄생력에 의하여 좁혀지면서 상기 스트립형태의 부품을 파지하여 투입단계를 거치고, 이와 같은 투입단계에서 스트립형태의 부품은 파지상태로 처리조를 거치면서 처리단계가 행하여지며, 처리된 스트립형태의 부품은 다시 가압수단사이를 통과하면서 탄성파지수단이 가압되어 무한벨트와 끝단 파지부사이 간극이 벌어지게 되고 파지되어 있던 스트립형태부품은 이들 무한벨트 및 파지수단으로부터 이탈, 낙하하여 배출단계를 거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스트립형태부품의 투입 및 배출위치에서 투입, 배출을 위한 탄성파지수단의 가압수단이 반드시 설치되어야만 하고, 스트립형태부품이 처리조 내부를 통과하는 경우 무한벨트 중 처리조를 경유하는 중간위치가 구조적 특성상 승, 하강이 어려운 관계로 일직선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점으로 인하여 처리조의 양측에 위치하는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조 유입부 및 배출부는 개방되어야 하고 이렇게 개방된 유입부 및 배출부에서는 처리액이 계속 누출되어 처리조의 액면이 낮아지게 되므로, 처리조 내부 처리액이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로 액면높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처리액을 보충시켜주어야 하는 부수설비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하여 처리조를 별도로 마련된 소정의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시키거나 누출되는 처리액을 받아 다시 처리조로 공급하는 별도의 수단을 강구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스트립형태부품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급송이 이루어지면서 소정의 처리가 이루어져야만 하므로 처리조의 길이와 함께 전체의 급송라인으로서 무한벨트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고, 장비전체가 비대하여지며 이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또한, 탄성파지수단의 경우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반복적으로 가압수단을 경유하면서 자체 탄성력이 약화되어 스트립형태부품의 파지력이 약화되고, 스트립형태부품이 급송 중에 무한벨트로부터 분리, 이탈되어 제품불량요인과 함께 사용수명에도 바람직하지 아니한 영향을 주게 된다.
설사, 스트립형태부품을 길이방향이 아닌 수평방향(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진행방향)으로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더라도 무한벨트의 길이나 처리조의 길이는 축소할 수 있겠으나, 전술한 바 있는 가압수단과 처리조가 가지고 있는 근본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으며, 특히 탄성파지수단이 갖는 구조적 특성상 스트립형태부품을 수평으로만 급송이 가능하므로 수직으로 매달린 상태로 급송할 수 없는 근본적인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스트립형태부품의 투입 및 배출이 아주 용이하고 처리조 내부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급송용 무한벨트 또는 체인에는 처리액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처리과정 중 처리조 내부에서 스트립형태부품의 길이방향이 아닌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급송하되 스트립형태부품이 거치기구의 내부에 상, 하방향으로 얹혀진 상태로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장비전체의 크기를 크게 축소시킬 수 있고 급송 중 거치기구에 의한 스트립형태부품의 분리, 이탈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립형태부품이 여러 처리조에 단계마다 순차적으로 유도되어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에도 단계마다 스트립형태부품의 투입 및 배출단계가 필요없이 순차 및 연속적으로 처리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이 경우에도 장비전체의 크기를 종래에 비하여 크게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한벨트 또는 체인상에 설치되고 스트립형태부품을 거치시킨 상태로 함께 급송이 이루어지는 거치기구의 구성을, 그 구조가 간단하고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하자가 발생한 것만 손쉽게 교체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유니트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무한벨트 또는 체인상에 다수의 거치기구를 설치하고, 부품의 투입부 및 배출부엔 상기 무한벨트 또는 체인이 접하여 연동되는 원형개폐기구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투입부와 배출부의 사이로서 처리조와 인접부위엔 무한벨트 또는 체인과 접하여 무한벨트 또는 체인의 방향전환용 급송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거치기구 중 서로 인접하는 거치기구 상호간은 부품의 수용공간을 갖도록 일부위가 겹쳐지는 여유부가 형성되고, 여유부는 상기 원형개폐기구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게 이루어져 투입위치에서 거치기구엔 스트립형태의 부품을 투입하고, 무한벨트 또는 체인의 구동에 의하여 급송하면서 처리조내에서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를 행한 다음 배출위치에서 거치기구로부터 스트립형태부품을 배출하며, 배출위치에서 스트립형태부품이 배출되어 빈 상태의 거치기구는 다시 초기 투입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상의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투입, 배출부 사이로서 배출부에서 스트립형태부품이 배출된 다음 투입부에 이르는 중간부위에, 무한체인과 접하여 공전급송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기구가 고정바아에 하나 이상의 쌍 형태의 거치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원리 및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원리 중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2개의 서로 다른 지름(A,B)의 풀리 또는 스프로켓휘일(1,2)이 소정의 축간거리를 갖도록 하고 이들 풀리 또는 스프로켓휘일(1,2)의 외측으로 접하도록 무한벨트 또는 체인(3)이 장착되며, 무한벨트 또는 체인(3)엔 일정간격마다 소정길이를 갖는 "I"자 형태의 봉(4)이 무한벨트 또는 체인(3)과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풀리 또는 스프로켓휘일(1,2) 중 구동부가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무한벨트 또는 체인(3)에 의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고 풀리 또는 스프로켓휘일(1,2) 중 종동부 역시 일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어느 봉(4)과 인접한 봉(4)사이의 거리(P)는 무한벨트 또는 체인(3)에 봉(4)이 설치된 부위를 볼 때 무한벨트 또는 체인(3)이 풀리 또는 스프로켓휘일(1,2)의 외주연과 접하면서 곡선형태를 이루는 이동부위나, 이들 풀리 또는 스프로켓휘일(1,2)의 외주연과 접하지 아니하는 직선형태 이동부위 모두 일정하게 피치(P)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봉(4)의 선단부위를 볼 때엔 이와 달리 직선형태부위에서는 동일피치(P)를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곡선형태부위에서는 피치(P)보다 큰 피치(C,D)를 이루는데, 서로 다른 지름(A,B)를 갖는 풀리 또는 스프로켓휘일(1,2) 중 크기가 작은 지름(A)인 경우의 피치(C)가 크기가 큰 지름(B)인 경우의 피치(D)보다 더 크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풀리 또는 스프로켓휘일(1,2)의 지름이 크면 클수록 봉(4)의 선단부 사이거리는 가까워지고, 봉(4)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봉(4)의 선단부 사이 거리는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길이를 갖는 봉(4)의 선단부를 절곡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형성하되 인접된 봉(4)의 선단부(5) 상호간 겹쳐져 개폐시 여유를 갖도록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직선형태이동부위에서는 봉(4,4)의 선단부 상호간 선단부 피치가 설치부위 피치(P)와 동일하게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봉(4,4)이 서로 이루는 공간(6)을 이용하여 부품의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곡선형태이동부위로서 직선형태이동 부위에서의 선단부 피치(P)보다 크고 선단부(5,5)가 상호간 겹쳐져 개폐시 여유를 가진 상태에서 벌어지기 직전상태에서의 선단부 피치(E)보다 작은 영역에서는 공간(6)에 있어서 부품의 급송과 함께 방향전환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선단부(5,5)가 상호간 벌어지는 상기 선단부 피치(E)보다 큰 영역에서는 공간(6)의 일부가 개방되므로 벌어진 개방부위를 이용하여 부품의 투입 또는 배출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기본 원리에 입각하여 구체적으로 실현한 장치의 일례로서 도3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무한벨트 또는 체인으로서 체인을 채택하여 이루어진 형태를 보여준다.
즉, 구동기구에 의하여 구동되는 무한벨트 또는 체인상에 스트립형태부품(7)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기구를 설치하여 투입위치에서 거치기구엔 스트립형태부품(7)을 투입하고, 투입상태에서 무한벨트 또는 체인의 구동에 의하여 스트립형태부품(7)을 급송하면서 처리조(8)내에서 부품의 처리를 행한 다음 배출위치에서 거치기구로부터 스트립형태부품(7)을 배출하며, 배출위치에서 스트립형태부품이 배출되어 빈 상태의 거치기구는 다시 초기 투입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상의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무한체인(10)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거치기구(20)를 설치하고 부품의 투입부(30) 및 배출부(32)엔 외주연에 상기 무한체인(10)이 접하여 연동되는 원형개폐기구(40,50)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다수의 거치기구(20) 중 서로 인접하는 거치기구(20) 상호간은 부품의 수용공간(60)을 갖도록 일 부위가 겹쳐지는 여유부(62)가 형성되고, 상기 여유부(62)는 상기 원형개폐기구(40,5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게 이루어진 처리장치를 보여준다.
또한 도3 , 도4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 배출부(30,32)의 사이로서 처리조(8)와 인접부위엔 무한체인(10)과 접하여 무한체인(10)의 방향전환용 원형급송기구(70)(70)를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하되, 상기 원형개폐기구(40,50)의 지름이 상기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0)의 지름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처리장치를 보여준다.
또한 필요한 경우, 투입, 배출부(30,32)사이로서 배출부(32)에서 스트립형태 부품(7)이 배출된 다음 거치기구(20)가 빈 상태로 투입부(30)에 이르는 중간부위에, 무한체인(10)과 접하여 무한체인(1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공전급송기구(80)를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거치기구(20)는 무한체인(10)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는데, 그 설치방법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한체인(10)에 "L"자 브라켓(12,14)을 설치하고 그 브라켓(12,14)을 이용하여 거치기구(20)의 서로 인접된 고정바아(22)(24)와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여 체결고정할 수 있다.
또한, 거치기구(20)는 도5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인접된 고정바아(22)(24)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거치부재(26,28)를 설치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5 내지 도10은 거치부재(26,28)가 복수의 쌍으로 설치한 구성을, 그리고 도 11 및 도 12는 거치부재(26,28)가 단일의 한 쌍으로 설치한 구성을 각각 보여준다.
즉, 도5 및 도6은 고정바아(22)(24)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의 거치부재(26, 28)가 복수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거치부재(26,28)는 끝단부위가 절곡단부(26a,28a)형태로 이루어, 절곡단부(26a,28a) 상호간은 끝단부위 중 일부가 서로 겹쳐져 개폐시 여유를 갖도록 여유부(6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예를 보여준다. 이때, 고정바아(22, 24)와 거치부재(26)(28)는 용접이나 기타 체결방식으로 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7 및 도8은 고정바아(22)(24)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의 거치부재(26,28)가 복수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거치부재(26, 28)는 중간부위가 "V"형 절곡돌부(26b,28b)형태로 이루어, "V"형 절곡돌부(26b,28b) 상호간은 끝단부위 중 일부가 서로 겹쳐져 개폐시 여유를 갖도록 여유부(62)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예를 보여준다.
또한, 도9 및 도10은 고정바아(22)(24)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의 거치부재(26,28)가 복수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거치부재(26)는 중간부위가 일직선으로 절곡돌부(26c)형태로 형성되고, 거치부재(28)는 중간부위가 "U"형 절곡돌부(28c)형태로 형성되며, 절곡돌부(26c) 내측으로 "U"형 절곡돌부(28c)가 끼워져 일부가 서로 겹쳐져 개폐시 여유를 갖도록 여유부(6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예를 보여준다.
또한, 도11 및 도12는 고정바아(22,24)에 단일의 거치부재(26)(28)가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거치부재(26)는 중간부위가 일직선의 절곡돌부(26d)형태로 형성되고, 거치부재(28)는 중간부위가 "U"형 절곡돌부(28d)형태로 형성되며, 일직선 절독돌부(26d) 내측으로 "U"형 절곡돌부(28d)가 끼워져 일부가 서로 겹쳐져 개폐시 여유를 갖도록 여유부(6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예를 보여준다.
다음 투입, 배출부(30,32)에 설치되는 원형개폐기구(40,50)와 투입, 배출부(30,32)사이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0) 및 공전급송기구(80)는, 도3, 도4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무한체인(10)의 내측에 설치, 경유될 수 있도록 중심축(42,52,72,82)의 양측에 스프로켓휘일(44,54,74,84)이 설치된 형태이고, 무한체인(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5)는 중심축(77)의 양측에 풀리(79)가 설치된 형태로서, 이들 중심축(42,52,72,77,82)은 복수의 다리(90)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92)의 적정위치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이때, 무한체인(10)이 아닌 무한벨트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스프로켓휘일(44,54,74,84)대신에 통상의 풀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겠다.
이때, 원형개폐기구(40,50)는 전술한 바 있는 거치기구(20)의 거치부재(26,28)가 고정바아(22,24)와 함께 벌어지면서 여유부(62)가 해제되어 수용공간(60)의 일측이 개방되고, 스트립형태부품(7)을 이 개방된 부위를 이용하여 거치기구(20) 내부 수용공간(60)에 투입시키거나 아니면 내부 수용공간(60)에 투입되어 있던 스트립형태부품(7)을 내부 수용공간(60)으로부터 이 개방된 부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0)(75)는 전술한 바 있는 거치기구(20)의 거치부재(26,28)가 고정바아(22,24)와 함께 벌어지되, 여유부(62)가 해제되지 아니하는 정도로서 수용공간(60)에 개방된 부위가 형성되지 않는 범위에서 무한체인(10)의 곡선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트립형태부품(7)이 상기 수용공간(60)에서 이탈되지 않고 수용상태를 유지하면서 급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0)(75)의 설치위치나 수효는 처리조(8)의 수효나 길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기구(20)가 처리조(8)의 처리액(9)에 유입되는 시점에서 거치부재(26,28)가 고정바아(22,24)와 함께 벌어져 수용공간(60)의 일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방지하고자,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부(30)의 원형개폐기구(40) 설치위치를 약간 상승시키고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0)를 복수개 설치하여, 거치기구(20)가 처리액(9)의 유입시점에서 거치부재(26,28)가 벌어지지 않고 수용공간(60)이 개방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0)의 지름은 원형개폐기구(40,50)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그 지름이 크게 이루어진다.
다음 공전급송기구(80)는 배출부(32)에서 스트립형태부품(7)이 배출된 후 거치기구(20)의 수용공간(60)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단순히 투입부(30)로 이동되는 부위에 설치되므로, 거치기구(20)의 거치부재(26,28)가 벌어지거나 중첩상태를 유지하거나에 관계없이 공전급송기구(80)의 지름은 기기 전체의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하여 활용하면 된다.
다음 처리조(8)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형태로 설치되거나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로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는데, 단일의 처리과정 또는 여러 다단계 처리과정이 요하느냐에 따라 원형개폐기구(40,50),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0) 및 공전급송기구(80)와 함께 적절하게 배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스트립형태부품(7)의 경우, 도14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도체의 제조과정 중 스트립형태부품(7)을 채택, 활용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로서 9는 처리액이고, 94는 구동용 모터이며, 96은 동력단속용 클러치를 각각 보여준다.
다음은 전술한 여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인 처리장치의 경우, 도3, 도4 및 도13에 도시한 장치의 일례에 의하면 부품(7)의 투입단계에서는 다수의 거치기구(20) 중 인접 거치기구(20) 상호간 벌어지면서 이들 거치기구(20)사이에 부품(7)을 투입시키고, 부품의 처리단계에서는 다수의 거치기구(20)중 인접 거치기구(20) 상호간 벌어지지 않고 서로 겹쳐져 부품(7)이 거치기구(20)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처리조(8) 내부에서 급송이 이루어지며, 부품(7)의 배출단계에서는 다수의 거치기구(20) 중 인접 거치기구(20)가 벌어지면서 부품(7)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도13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는, 부품(7)의 처리단계에서 다단계로 여러 처리조(8)를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부품(7)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처리단계사이에서 무한벨트 또는 체인(10)이 거치기구(20)와 함께 상승 및 하강급송이 이루어져 부품(7)의 연속처리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처리단계를 단계별로 나누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부품의 투입단계
스텝모터형태의 구동모터(94)에 의하여 중심축(42)이 구동축으로서 회전하게 되면 무한체인(10)이 도3 또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전방향으로 스텝운동형태로 움직이게 되고, 투입부(30)에서 원형개폐기구(40)의 스프로켓휘일(44)을 경유, 곡선이동이 이루어지며 거치기구(20)의 거치부재(26,28)가 고정바아(22,24)와 함께 벌어지면서 여유부(62)가 해제되고 수용공간(60)의 일측이 개방되며, 이 개방된 부위를 이용하여 부품(7)을 투입시킨 다음, 부품(7)의 투입상태에서 거치기구(20)는 처리단계를 수행하고자 처리조(8) 내부로 서서히 하향 이동한다.
부품의 처리단계
처리조(8) 내부의 처리액(9)에 거치기구(20)의 일 부분과 함께 부품(7)은 완전히 침적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러한 침적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무한체인(10)과 함께 직선이동을 계속하여 부품(7)의 처리단계를 유지한다. 이때,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계의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0)(75)를 거쳐 배출부(32) 방향으로 바로 상승, 급송되지만,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계의 처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여러 방향전환 급송기구(70,75)를 거치면서 처리조(8)를 거쳐, 다음 처리조(8)로 이동하는 사이에 상승 및 하강급송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0)(75)의 스프로킷휘일(74) 또는 풀리(79)는 투입, 배출부(30,32)에 위치한 원형개폐기구(40,50)의 스프로킷휘일(44,54)보다 지름이 커서 원형개폐기구(40,50)와는 달리 거치기구(20)의 거치부재(26,28)를 상호간 약간 움직이게 하나, 여유부가 해제되지 않고 수용공간(60)이 개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켜, 수용공간(60)에 있던 부품(7)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그대로 투입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상승과 하향곡선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부품의 배출단계
전술한 처리단계에서 처리된 부품(7)은 최종의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를 거친 다음, 배출부(32)에서 원형개폐기구(50)의 스프로킷휘일(54)을 경유 곡선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때 거치기구(20)의 거치부재(26,28)가 고정바아(22,24)와 함께 벌어지면서 여유부(62)가 해제되고 수용공간(60)의 일측이 개방되며, 이 개방된 부위를 통해 부품(7)의 자연낙하가 이루어져 부품(7)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거치기구의 복귀단계
배출단계에서 부품(7)이 배출된 빈 상태의 수용공간(60)을 갖는 거치기구(20)는 무한체인(10)과 함께 투입부(30)로 이동하되, 이때 무한체인(10)은단일 또는 다수의 공전급송기구(80)를 경유하여 투입부(30)에 도달하고, 다시 부품(7)의 투입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게 준비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단계에서 다단계로 여러 처리조를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부품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처리단계사이에서 무한벨트 또는 체인이 거치기구와 함께 상승 및 하강급송이 이루어지고 부품의 연속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스트립형태부품이 여러 처리조에 단계마다 순차적으로 유도되어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에도 단계마다 스트립형태부품의 투입 및 배출단계가 필요 없이 순차 및 연속적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스트립형태부품의 투입 및 배출이 아주 용이하고, 처리조 내부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급송용 무한벨트 또는 체인에는 처리액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무한벨트 또는 체인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거치기구를 설치하고 부품의 투입부 및 배출부엔 외주연에 상기 무한벨트 또는 체인이 접하여 연동되는 원형개폐기구를 각각 설치하되, 서로 인접하는 거치기구 상호간은 부품의 수용공간을 갖도록 일부위가 겹쳐지는 여유부가 형성되고, 여유부는 상기 원형개폐기구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게 이루어지고, 투입,배출부의 사이로서 처리조와 인접부위엔 무한벨트 또는 체인과 접하여 무한벨트 또는 체인의 방향전환용 급송기구를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하되, 상기 원형개폐기구의 지름이 상기 방향전환용 급송기구의 지름보다 작게 이루어져, 처리과정 중 처리조 내부에서 스트립형태부품의 길이방향이 아닌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급송하되, 거치기구에 상, 하방향으로 얹혀진 상태로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장비전체의 크기를 축소시키면서 부품의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장비전체의 크기를 크게 축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거치기구의 구성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하자가 발생한 것만 손쉽게 교체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유니트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무한벨드 또는 체인상에 다수의 거치기구를 설치하고, 부품의 투입부 및 배출부엔 상기 무한벨트 또는 체인이 접하여 연동되는 원형개폐기구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투입부와 배출부의 사이로서 처리조와 인접부위엔 무한벨트 또는 체인과 접하여 무한벨트 또는 체인의 방향전환용 급송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거치기구 중 서로 인접하는 거치기구 상호간은 부품의 수용공간을 갖도록 일부위가 겹쳐지는 여유부가 형성되고, 여유부는 상기 원형개폐기구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게 이루어져 투입위치에서 거치기구엔 스트립형태의 부품을 투입하고, 무한벨트 또는 체인의 구동에 의하여 급송하면서 처리조내에서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를 행한 다음 배출위치에서 거치기구로부터 스트립형태부품을 배출하며, 배출위치에서 스트립형태부품이 배출되어 빈 상태의 거치기구는 다시 초기 투입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상의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 배출부 사이로서 배출부에서 스트립형태부품이 배출된 다음 투입부에 이르는 중간부위에, 무한체인과 접하여 공전급송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기구(20)가 고정바아(22, 24)에 하나 이상의 쌍 형태의 거치부재(26)(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26, 28)의 끝단부위가 절곡단부(26a, 28a)형태로 이루어, 절곡단부(26a, 28a) 상호간은 끝단부위 중 일부가 서로 겹쳐져 개폐시 여유를 갖는 여유부(62)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거치부재(26,28)의 중간부위가 "V"형 절곡돌부(26b,28b)형태로 이루어, "V"형 절곡돌부(26b,28b) 상호간은 끝단부위 중 일부가 서로 겹쳐져 개폐시 여유를 갖는 여유부(62)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거치부재(26)의 중간부위가 일직선으로 절곡돌부(26c)형태로 형성되고, 거치부재(28)는 중간부위가 "U"형 절곡돌부(28c)형태로 형성되며, 절곡돌부(26c) 내측으로 "U"형 절곡돌부(28c)가 끼워져 일부가 서로 겹쳐져 개폐시 여유를 갖는 여유부(62)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거치부재(26)의 중간부위가 일직선의 절곡돌부(26d) 형태로 형성되고, 거치부재(28)는 중간부위가 "U"형 절곡돌부(28d)형태로 형성되며, 일직선의 절곡돌부(26d) 내측으로 "U"형 절곡돌부(28d)가 끼워져 일부가 서로 겹쳐져 개폐시 여유를 갖는 여유부(62)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배출부(30,32)에 설치되는 원형개폐기구(40,50)와 투입, 배출부(30,32)사이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0) 및 공전급송기구(80)가 무한체인(10)이 설치, 경유될 수 있도록 중심축(42,52,72,82)의 양측에 스프로켓휘일(44,54,74,84)이 설치된 형태이고, 상기 원형개폐기구(40,50)가 거치기구(20)의 거치부재(26,28)가 고정바아(22,24)와 함께 벌어지면서 여유부(62)가 해제되어 수용공간(60)의 일측이 개방되고, 스트립형태부품(7)을 이 개방된 부위를 이용하여 투입시키거나 아니면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무한체인(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5)는 중심축(77)의 양측에 풀리(79)가 설치되는 형태로서, 이들 중심축(42,52,72,77,82)은 복수의 다리(90)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92)(92)의 적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방향전환용 급송기구(70)(75)가 거치기구(20)의 거치부재(26,28)가 고정바아(22,24)와 함께 벌어지되, 여유부(62)가 해제되지 아니하는 정도로서 수용공간(60)에 개방된 부위가 형성되지 않는 범위에서 무한체인(10)의 곡선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트립형태부품(7)이 상기 수용공간(60)에서 이탈되지 않고 수용상태를 유지하면서 급송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태부품의 처리장치.
KR1019980044729A 1998-10-24 1998-10-24 스트립형태부품의처리장치 KR10029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29A KR100294853B1 (ko) 1998-10-24 1998-10-24 스트립형태부품의처리장치
MYPI99004572A MY121110A (en) 1998-10-24 1999-10-22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trip-shaped ele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29A KR100294853B1 (ko) 1998-10-24 1998-10-24 스트립형태부품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961A KR20000026961A (ko) 2000-05-15
KR100294853B1 true KR100294853B1 (ko) 2001-10-26

Family

ID=1955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729A KR100294853B1 (ko) 1998-10-24 1998-10-24 스트립형태부품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94853B1 (ko)
MY (1) MY1211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154B1 (ko) * 2015-07-28 2017-07-27 주식회사 제이스텍 디핑형 디플래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5905B (zh) * 2022-08-05 2024-04-02 重庆磐联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悬挂式齿轮防锈喷雾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154B1 (ko) * 2015-07-28 2017-07-27 주식회사 제이스텍 디핑형 디플래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1110A (en) 2005-12-30
KR20000026961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686B2 (en) Installation for the vacuum treatment in particular of substrates
US7258227B2 (en) Drive for conveyor belts
US10648166B2 (en) Screening device
US20110186502A1 (en) Combination traveling water screen apparatus
RU2031063C1 (ru) Конвейер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дачи держателей обрабатываемых изделий
KR100294853B1 (ko) 스트립형태부품의처리장치
JP3123226U (ja) コンベヤーベルト用封じ込め側壁システム
JP2006248786A (ja) 容器供給装備
FI72959B (fi) Rulldrivningsmekanism till en behandlingsanordning foer glasskivor.
US6709578B2 (en) Tilt-out frame for a filter screen
JP2012158426A (ja) 表面処理装置における薄板状被処理物の搬送装置、この搬送装置のクランプ
EP1007454B1 (en) Bucket conveyor apparatus having improved infeed station
JP2948748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搬送装置
KR200346273Y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0679122B1 (ko) 스크류이송식 반도체 테스트장치
US5551137A (en) Method for assembling waste materials filtering apparatus
KR20200043899A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JPH03219099A (ja) 化学処理工程用搬送キャリアの液受け装置
KR102676670B1 (ko) 세척효율이 개선된 주름형 망모듈을 이용한 밴드스크린장치
KR100654901B1 (ko) 서류 분류장치
CN219129536U (zh) 一种废矿物油除杂装置
KR20040030761A (ko) 레이크 미세 스크린
JPH0798995B2 (ja) リンクチェンの連続表面処理装置
CA2001269A1 (en)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or chemically treating metallic parts
KR200393808Y1 (ko) 서류 분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