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607B1 - 기밀용기의도어장치 - Google Patents

기밀용기의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607B1
KR100294607B1 KR1019940005864A KR19940005864A KR100294607B1 KR 100294607 B1 KR100294607 B1 KR 100294607B1 KR 1019940005864 A KR1019940005864 A KR 1019940005864A KR 19940005864 A KR19940005864 A KR 19940005864A KR 100294607 B1 KR100294607 B1 KR 100294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member
door body
door
airtigh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351A (ko
Inventor
오오이겐이치
미야마에마사아키
Original Assignee
시마자키 기요시
다바이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자키 기요시, 다바이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마자키 기요시
Priority to KR101994000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607B1/ko
Publication of KR950027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607B1/ko

Links

Landscapes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도어체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또 구동계를 소형화한다.
개구부(2) 를 덮는 내면도어체(3) 및 외면도어체(4) 와, 개구부(2) 를 개폐하도록 내외면도어체(3,4) 를 왕복이동시키는 도어체 구동기구(5) 를 가진다. 내면도어체(3) 는 폐쇄시에 개구부(2) 의 가스켓(21)에 접촉하도록 도면에 있어서 안쪽에 위치하고 외면도어체(4) 는 그 바로 앞쪽에 위치한다. 도어체 구동기구(5) 는 개구시에 내외면 도어체(3및 4) 의 각각의 선단으로부터 개구부(2) 전장의 1/2정도의 부분을 최상부에 있어서 U자형상으로 도면에 있어서 각각 바로 앞쪽으로부터 안쪽 및 안쪽으로 부터 바로 앞쪽에 되접도록 움직인다.
구동계가 소형화되며 도어체를 두껍게 할수 있다. 또 기밀용기자체가 구비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수 있다.

Description

기밀용기의 도어장치
제1 도는 실시예의 기밀용기의 도어장치가 장착되는 항온조 본체부분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2 도는 제1 도의 2-2선 단면도,
제3 도는 제1 도의 3-3선 단면도,
제4 도는 제1 도의 4-4선 단면도,
제5 도는 도어체의 되접기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6 도는 각각의 세장편(細長片)을 체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제7 도는 세장편중에 끼워넣는 단열체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제8 도는 도어체 구동기구 상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9 도는 도어체 구동기구 하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10도는 도어체 구동기구 중간부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11도는 도어체 구동기구 중간부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12도는 항온조의 구조예를 예시하는 설명도로, (a)는 수직형, (b)는 횡형, (c)은 횡형의 경우의 이동수단의 구성예,
제13도(a) 및 (b)는 구동기구의 길이 설명도,
제14도(a) 내지 (b)는 이동수단의 다른예를 예시하는 설명도,
제15도는 세장편의 다른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16도는 상기 세장편 사용시의 구동기구의 1예를 예시하는 설명도,
제17도는 다른 실시예의 도어체 형상을 예시하는 설명도로, (a) 및 (b)는 각각 개구부를 폐쇄 또는 개방한 상태의 예시도,
제18도는 종래 도어체의 구동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항온조(기밀용기)
2 : 개구부
3 : 내면도어체(덮개부재, 제1 덮개부재)
4 : 외면도어체(덮개부재, 제1 덮개부재)
5 : 도어체 구동기구(이동수단)
31, 41 : 세장편(구성부재)
32, 42 : 체인(체인, 이동수단)
32a, 42a : 링크
34 : 시일판(메지 덮개부재)
51,52,71,72 : 체인스프로켓(이동수단)
57 : 모터(이동수단)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열처리나 온도시험등에 사용되는 열처리장치, 항온조, 환경시험장치, 냉장장치 등의 기밀용기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수레 운반대차나 무인운반대차를 사용하여 항온조내의 공작물을 반입/ 반출하는 작업의 용이화나 자동화를 도모하는 경우에 유효하게 사용된다.
[종래의 기술]
자동 또는 원격개폐할 수 있는 항온조의 도어로서는, 내열성 필름등의 유연재료를 사용하고, 개구의 상하 또는 좌우에 권취로울러를 설치하여 상 또는 좌우의 한쪽편에 필름을 감아내도록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특공평 2-2654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 도어로서는 항온조내를 순환하는 열풍의 풍압에 의해 필름이 외부측에 팽창되므로, 개구면적이 큰 도어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또 필름은 얇기 때문에 열 손실이 크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와같은 필름제의 도어를 개선한 것으로서 내열성을 구비한 유연재를 리브에 의해 보강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실개평 3-67897호 공보 참조).
이 도어장치에서는 도어체를 자립시켜 격납시에는 90°구부리면서 그 전체를 항온조의 측벽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이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도어체가 유연구조의 것이기 때문에, 가령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체가 완정개방되었을 때의 선단측에는 와이어릴(103)등을 설정하고, 와이어(100)등으로 도어체(101)의 양끝을 잡아당길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구동계의 전체길이가 개구의 폭(H)의 2배 이상의 길이로 되어, 구동계가 대형화한다. 한편, 도어체를 감아냄으로써 개폐되다고 하면 도어체를 충분한 강도와 단열성을 갖는 것만의 두께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도어체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구동계의 소형화된 기밀용기의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1 의 발명은, 기밀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기밀용기의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재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부재를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가지며, 이 이동수단은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개구부의 개방방향으로 이동될때에 상기 덮개부재의 선단으로 부터 소정길이부분을 U자형상으로 되접어서 상기 덮개부재중의 상기 소정 길이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의 사이에서 대략 U자형상을 형성하도록 움직이고, 상기 덮개부재중 적어도 상기 소정 길이부분은 굴곡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청구항2 의 발명은 상기에 추가하여 상기 덮개부재중 적어도 상기 소정 길이부분은 개폐방향에 직각 방향에서 본 단면이 홈형인 복수의 구성부재로 형성되며, 이 구성부재의 각각은 상기 홈형의 인접끼리의 양측면이 이 양측면의 한쪽끝측을 중심으로하여 다른끝측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굴절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청구항3 의 발명은 청구항2 의 발명의 특징에 추가하여 상기 이동수단은 체인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구성부재의 상기 단면에 직각인 방향의 양끝은 상기 체인의 연결용 링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청구항4 의 발명은 청구항1 의 발명의 특징에 추가하여 상기 덮개부재는 서로 평행한 제1 덮개부재와, 제2 덮개부재로 형성되며, 각각의 덮개부재의 되접기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2 덮개부재는 제1 덮개부재의 안쪽에서 되접기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청구항5 의 발명은 청구항2 의 발명의 특징에 추가하여 상기 홈형의 구성부재의 홈바닥 외측면은 상기 기밀용기측으로 향하고 있고, 상기 구성부재간의 접촉면을 덮는 복수의 메지 덮개부재를 상기 외측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청구항1의 발명에 의하면, 이동수단은 개구부를 열때에는 덮개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소정길이부분을 U자 형상으로 되접어서, 상기 덮개부재중의 상기 소정길이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의 사이에서 대략 U자형상을 형성하도록 움직인다. 따라서, 예컨대 덮개부재의 후단측 및 되접기부분의 위치에 각각 회전체를 설치하고, 덮개부재의 선후단을 회전체를 통하여 루프형상으로 결합하여 이것을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동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 이동수단으로 개구부를 완전개방하기 위해서는 되접어지는 소정길이를 개구부 전체의 길이의 대략 1/2로 하고, 또한 개구부의 끝으로부터 그 전체길이의 대략 1/2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되접기용의 회전체를 설치하면 된다. 따라서 이동수단의 전체길이가 개구부의 개폐방향길이의 대략 1.5배로 되고, 이동수단이 소형화된다.
덮개부재를 되접을때에는 적당한 곡율로 구부릴 필요가 있으나, 덮개부재중 적어도 소정길이부분이 굴곡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되접기가 가능하다. 이와같이 되접기할때는 1/2반경분만이 구부러져 감아낼때와 같이 절곡부분이 겹쳐지는 일이 없으므로 덮개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단열성을 좋게 할 수 있다.
한편, 덮개부재를 되접기 할때는 이것을 개구부로부터 그대로 연장한 방향으로부터 되접기한다면, 개구부의 끝으로 부터 적어도 개구부 전체길이의 1/2만 그 방향으로 되접기용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항온조나 환경시험장치등의 기밀용기에서는 통상 공작물의 처리나 시험을 하기 위한 기밀실외에, 공조기계등의 기계 스페이스나 닥트 스페이스가 설정되므로, 이 부분을 되접기 스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개구부는 공작물을 기밀시에 출입시키기 위해서 설치되므로 최대라도 기밀실의 단면적분만 있으면 된다. 따라서, 이 개구의 좌우 또는 상하에 위치하는 기계실등의 부분이 되접기 스페이스로 충분한 치수를 갖게 된다.
예컨대 반도체등의 전기·전자기기의 제조공장에서는 공장시설의 비용이 극히 고가로 되기 때문에, 그속에 설치되는 항온조등의 열처리장치나 시험장치는 될 수 있는한 점유면적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공조기실등은 시험실 상부에 배치되는 일이 많다. 따라서 이와같은 기밀용기에서는 기밀실 상부를 덮개부재의 되접기 스페이스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개구부의 상부를 되접기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수단을 소형 또는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단, 이와같은 스페이스가 없는 기밀용기에 대해서는 덮개부재를 개구부의 끝에서 적당한 곡율로 90° 절곡한후, 되접는 구조로 함으로써 동일하게 단열성의 향상과 이동수단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덮개부재의 적어도 소정길이의 부분을 홈형의 복수의 구성부재를 인접시켜서 홈형의 인접끼리의 양측면이 양측면의 한끝쪽을 중심으로하여 다른끝쪽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굴곡 자유롭게 결합하여 형성되므로, 덮개부재의 두께가 두꺼워도 소정길이부분은 충분한 굴절성을 가진다. 따라서 홈길이를 깊게 함으로써 덮개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가령 홈에 단열성 물질을 넣는등의 방법에 의해, 단열성을 한층 향상시킬수 있다. 이 경우, 홈형부분은 한편 쪽이 열린 형상이라도 무방하며, 모두 폐쇄된 박스형상의 단면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청구항3의 발명에 의하면, 이동수단은 체인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덮개부재의 각각의 구성부재의 단면에 직각인 방향의 양끝은 체인의 연결용의 링크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동수단에 체인 구동방식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체인이 덮개부재의 결합부와 피구동부에 겸용되어 구성이 합리화된다. 또 빠른 속도로 안정된 도어의 개폐동작이 얻어진다.
청구항4의 발명에 의하면, 덮개부재를 내외에 이중으로 설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접도록 하므로, 개구부의 위치에서는 각각의 덮개부재간에 되접기 간격에 가까운 간격이 생긴다. 또 각각의 덮개부재 표면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덮개부재의 표면을 기밀용기쪽에 향하게 하고, 제2 덮개부재 표면을 외계쪽으로 향하게 하여 그 사이를 단열용의 공기 스페이스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개구부의 전체 단열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외부표면이 고온으로 되지 않고, 화상 등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밀용기의 내부가 고온인 경우에 필요에 의해 양덮개 부재간에 외기를 도입하고, 제2 덮개부재의 외부표면온도를 적극적으로 저하시킬수도 있게 된다.
청구항5의 발명에 의하면, 홈형의 구성부재 외측면에 메지덮개부재를 설치하므로, 구성부재간에 간극이 생겨도, 기밀용기내의 열풍의 빠져나감이 방지되어 한층 단열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제1 도는 기밀용기의 1예인 항온조에 실시예의 도어장치를 설치한 경우의 전체구성을 예시하며, 항온조의 본체부분을 정면의 개구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어장치는 항온조(1)의 개구부(2)를 개폐하는 장치이며, 개구부(2)를 덮는 제1 및 제2 덮개부재인 내면도어본체(3) 및 외면도어본체(4)와, 개구부(2)를 개폐하도록 내외면 도어본체(3,4)를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서의 도어본체 구동기구(5)를 가진다.
내면 도어본체(3)는, 폐쇄시에 개구부(2)의 가스켓(21)에 접촉하도록 도면에 있어서 안쪽에 위치하고, 외면도어본체(4)는 바로 앞쪽에 위치한다. 또한 내부의 온도조건등에 의해서는 장치의 간략화와 코스트 절감을 위하여 외면도어체(4)을 생략할 수 있다.
도어체 구동기구(5)는 내외면 도어체(3및 4)가 개구부(2)의 열리는 방향으로 즉 윗쪽으로 이동될때에 내외면 도어체(3,4)의 각각의 선단으로부터 소정길이의 부분 즉 개구부(2)의 전체길이의 약 1/2 정도의 부분을 최상부에 있어서, 도면상에서 각각 안쪽으로 부터 바로 앞쪽 및 바로 앞쪽으로부터 안쪽으로 U자형상으로 되접도록 움직이게한다.
이 때문에 내외면 도어체(3,4)중 적어도 상기 소정길이의 부분은, 제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굴곡성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를 통일하기 위하여 내외면 도어체(3,4)의 전체를 동일한 구조로 하고 있다.
제2 도 내지 제4 도는 도어체 구동기구(5)부분의 횡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어체 구동기구(5)는 개구부(2)의 양끝쪽에 설정된다. 도면에서는 중간부분을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2 도는 최상부의 되접기 부분을 도시하며, 제3 도는 개구부(2)부분의 위치의 중간 높이부분을 도시하며, 제4 도는 최하부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상세구조도에 의해 각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5 도는 내외면 도어체(3,4)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다. 내면도어체(3) 및 외면도어체(4)는 각각 개폐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 단면이 홈형인 복수의 구성부재로서의 세장편(31) 및 세장편(41)으로 형성된다. 이들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덮개부재의 되접기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고, 외면도어체(4)는 내면도어체(3)의 안쪽으로 되접기 되어 있다.
내면도어체(3)는 도면에 있어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되접기된다. 도면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외면도어체(4)에서는 세장편(41)의 일부분만을 도시하고 있었으나, 외면도어체(4)는 도면에 있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되접기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좌측이 항온조의 내부측에 면하고, 우측은 외계측에 면하게 된다. 부호 0은 되집기의 중심을 도시한다.
각각의 세장편(31,41)은 제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구부(2)를 덮기 때문에 그 폭보다 길다. 그리고, 각각의 폭방향의 양끝은 제6 도에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로울러체인(32,42)(이하「체인(32,42)」으로 기입한다)의 각 링크(32a, 42a)에 결합되어 있다. 부호 32c및 42c 는 각각의 체인의 핀(32b, 42b)의 중심을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도시한 직선부분과 같이 홈형의 양측면이 접촉된 상태로부터 윗쪽의 되접기 부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면의 한쪽 끝측인 홈형의 윗끝을 중심으로 하여 다른끝쪽인 홈의 바닥측이 열린 상태까지 굴절이 자유롭다. 이와같은 구조에 의해 내면도어체(3,4)는 굴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내외면 도어체(3,4)는 세장편(31,41)이 상기와 같이 연쇄형상으로 결합됨으로써 전체로서 개구부(2)를 덮는것만의 상하방향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내면도어체(3)는 개구부(2)를 덮었을때에 항온조(1)내의 풍압에 견디도록 세장편(31)이 적절한 강도와 강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의 통일화를 위해 외면 도어체(4)도 동일한 것으로 하고 있다. 내면도어체(3)와 외면도어체(4)와의 사이의 공간은 도시하지 않은 환기팬으로 통풍되고 외면도어체(4) 외부표면의 온도가 대략 상온으로 된다. 단, 항온조(1)내의 온도조전에 의해서는 이 공간부를 단열 에어스페이스로서 열효율 향상을 도모하도록 무방하다.
각각의 세장편(31)의 홈내에는 가령 실리콘러버와 같은 내열성 탄성체를 성형한 단열체(33)가 끼워 넣어져 있다. 단열체(33)는 제7 도에도 도시한 바와같이 홈에 끼워 넣어지기전에 홈의 길이를 넘는 높이위치에 홈폭에서 뻗어나온 돌기부(33a)를 가진다. 단열체(33)가 홈에 끼워 넣어지면, 서로 인접하는 돌기(33a)가 변형되면서 압접한다. 그결과 기밀효과가 높여지고 있다.
항온조(1)내의 퐁압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하여도 각각의 세장편(31)이 인접한 메지부로부터 열기가 누출할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세장편(31)의 홈바닥의 외측면이 항온조(1)안쪽에 향하도록 배열설치하고, 각각의 세장편(31)사이의 접촉면을 덮는 복수의 메지덮개부재로서 예컨대 두께 0.1mm의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박판형상의 시일판(34)을 상기 외측면에 부착하고 있다.
시일판(34)은 병설된 세장편(31)의 한편 건너서 설치되고, 인접된 세장편(31)사이에 생기는 메지부를 덮어씌우는 위치까지 오버랩되어 있다. 그 결과 항온조(1)내의 풍압에 의해 시일판(34)이 세장편(31)외측면에 밀착되어 높은 기밀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시일판(34)의 오버랩 부분은 도면에 있어서 2 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그 선단이 확실하게 세장편(31)에 압접하도록 안쪽으로 약간 구부린 절곡부(34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외면도어체(4)는 내면도어체(3)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고온으로 되는 세장편(31)에 손등이 닿지 않도록 안전을 위해 설정되는 것이므로, 높은 기밀성이나 단열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세장편(41)은 그 홈내에 세장편(31)에 설치된 것과같은 단열체(33)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시일판(34)에 상당하는 것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외면도어체(4)는 상기와 같은 세장편(41)을 결합한 구조의 것이 아니며, 박판 형상의 것등 간편한 구조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단, 열효율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세장편(41)에 적절한 단열체를 넣고, 그 외표면 온도를 내리도록 해도 무방하다.
제8 도 및 제9 도는 각각 상하의 도어체 구동기구(5)부분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며, 제2 도 및 제4 도의 좌측부분에 상당한다. 제2 도 및 제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구부의 우측끝에 상당하는 우측에도 동일한 도어체 구동기구(5)가 대칭으로 배열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8 도, 제9 도에 의해 좌측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내외면 도어체(3,4)는 각각의 세장편이 각각 체인(32,42)에 결합됨으로써 일체화되고, 각각의 체인은 제1 도에도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에 걸쳐서 지면에 직각방향으로 루프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면도어체(3)용의 대스프로켓(51,52) 및 외면도어체(4)용의 소스프로켓(71,72)이 개구부(2)높이의 대략 1.5배의 축간거리를 두고 상하로 배열설치되고, 이들에 체인(32,42)이 건너질러 있다. 제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스프로켓(71,72)에 의한 체인(32,42)의 루프는 대스프로켓(51,52)에 의한 체인(32)의 루프의 안쪽으로 되어 있다.
대스프로켓(51)은 테이퍼부싱(53) 또는 키이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구동축(54)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축(54)은 제1 도에 도시한 지지판(55)에 볼베어링(56)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제1 도에 도시하는 모터(57)로부터 기어(58,59)를 통하여 회전구동된다. 제2 도에 도시된 우측의 대스프로켓(51)도 좌우에 뻗은 동일 구동축(54)으로 구동된다.
한편, 대스프로켓(52)(제9 도)은, 동일지지판(55)에 고정된 고정축(60)에 볼베어링(61)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의 대스프로켓(52)은 체인(32)을 통하여 상부의 대스프로켓(52)에 종동회전한다.
상하의 소스프로켓(71 및 72)은 각각 구동축(54) 및 고정축(60)상에 볼베어링(73 및 74)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즉 축으로부터는 구동력을 받지 않는다.
제10도는 체인(42)의 구동기구 및 체인(32,42)의 가이드 기구를 도시하며, 제3 도의 우측부분에 상당한다. 내면도어체(3)와 외면도어체(4)는 죠인트기구(62)로 결합되어 있다. 그 결과 외면도어체(4)는 내면도어체(3)와 동기하여 이동한다. 체인(42)은 제1 도에도 도시한 바와같이 좌우 및 상하 각각 2개소에서 지지판(55)으로 고정된 체인가이드 스테이(75)에 부착된 체인가이드(76)에 의해 안내된다.
제11도는 체인(32,42)의 가이드 기구를 도시하며, 제3 도의 좌측부분에 상당한다. 체인(32)은 제1 도에도 도시한 바와같이 좌우 및 상하 각각 2개소에서 지지판(55)에 고정된 양축에어실린더(63)의 로드(63a)에 의해 체인가이드(64)를 통하여 개구부(2)에 대한 직각 방향거리를 조정받으면서 안내된다. 따라서 에어실린더(63)를 작동시키고 로드(63a)를 양측에 연동하여 진퇴시킴으로써 내면도어체(3)를 개구부(2)에 접근 또는 이간시킬수 있다.
그 결과 내면도어체(3)를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접근시켰을때에는 내면도어체(3)는 제1 도에도 도시한 가스켓(21)에 가압되고 이것에 밀착되어 항온조내부의 기밀상태가 확보된다. 한편, 내면도어체(3)를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이간시켰을 때에는 내면도어체(3)와 가스켓(21)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생겨 도어개폐시에 있어서의 양자간의 미끄럼 움직임이 회피되고, 가스켓(21)의 파손이 방지되는 동시에 도어의 원활한 개폐동작이 얻어진다.
양축 실린더를 사용하여 내면도어체(3)가 개구부(2)에 접근 또는 이간할때의 움직임을 상하의 대스프로켓(51,5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대칭되게 함으로써, 어떤 경우에도 체인의 장력이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이와같이 체인(32)의 인장방향을 변화시켜도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죠인트기구(62)에 로울러(62a)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그 움직임은 체인(42) 및 이것에 부착된 내면도어체(3)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체인가이드(64,67)를 설치하면 상하의 스프로켓 사이의 가공(架空)부분에 있어서의 흔들림이나, 도어체에 작용하는 열풍의 풍압 기타의 외부압력에 대하여 체인가이드가 도어체를 지지하고, 폐쇄시 및 개폐시에 있어서 도어체의 안정 및 원활한 작동이 얻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 있어서, 도어체 구동기구(5)를 구성하는 체인(32,42), 체인스프로켓(51,52,71,72), 모터(57)등은 이동수단의 1예이다.
이 항온조의 도어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항온조(1)의 개구부(2)를 열때에는 에어실린더(63)를 작동시키고, 내면도어체(3)를 가스켓(21)으로부터 이간시켜, 모터(57)를 가동시키고, 구동축(54)을 회전시켜, 대스프로켓(51)을 회전시켜 체인(32)을 회전시키고 이것에 결합된 내면도어체(3)를 상승시킨다. 내면도어체(3)의 상승에 의해 이것에 죠인트기구(62)를 통하여 결합된 외면도어체(4)도 동기하여 상승한다.
양 도어체가 상부의 스프로켓의 위치까지 상승하면, 그 세장편(31,41)이 제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각형상으로 순차 굴곡하여 180°회전하여 되접어지고 각각의 도어체의 선단은 하강한다. 그리고 양 도어체가 개구부(2)를 완전개방하면 모터(57)를 정지시킨다. 이때에는 내면도어체(3) 및 외면도어체(4)는 각각 상부 스프로켓(51,71)의 양측에 대략 균등하게 매달린 상태로 되어 있다. 완전개방된 개구부(2)로부터는 항온조(1)에서 처리해야할 공작물의 출납이 가능하게 된다.
개구부(2)를 폐쇄할때에는 모터(57)를 상기한 바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각각의 도어체를 초기의 폐쇄위치까지 하강시키고나서 모터(57)를 정지한다. 그리고 에어실린더(63)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 내면도어체(3)를 개구부(2)의 가스켓(21)에 밀착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어체의 개폐동작이 완료된다.
이상에 있어서, 개폐시 모터의 정지는 도시하지 않은 광전센서등에서 도어체의 위치를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단, 사람이 원격수동으로 정지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와같은 도어장치에 의하면 항온조(1)의 개구부(2)의 부분에 공작물의 자동반입/ 반출장치를 설치하고 타이머등으로 자동적으로 모터(57) 및 실린더(63)를 작동시켜서 소정시기에 도어를 개폐하고, 공작물을 자동적으로 반입/ 반출되도록 함으로써 공작물의 열처리를 무인화할 수 있다.
제12도는 항온조(1)의 구조예를 예시한다. 동도(a)는 수직형의 것을 도시한다. 항온조(1)는 단열벽(1a)으로 에워싸이고, 내부에는 모터(1b)로 회전되는 송풍기(1c)와, 가열기(1d) 그리고 공기닥트를 형성하도록 설치된 다공판(1e)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가열기(1d)의 아래쪽에 있어서 양측의 다공판(1e)과의 사이부분이 열처리실로 되어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하여 개구부(2)가 열려진다.
이와같은 구조의 항온조에서는 개구부(2)의 윗쪽에 충분한 높이가 있고, 그 구분에서 도어체를 되접을수 있다. 따라서 항온조의 스페이스가 유효하게 이용된다. 또한 열처리실이 상부에 있고 기계실이 하부에 있는 경우에는 되접기 부분을 아래쪽으로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동도(b)는 항온조(1)가 횡형의 것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동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체에 캐스터(31a)등을 부착하여 도어체를 세워서 배열설치하고, 와이어(31b)등으로 가이드(31c)에 따라 도어체를 인장하여 개폐시킨다. 따라서, 항온조가 횡형의 경우라도 기계실등의 도어체의 되접기를 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제13도는 구동계의 치수를 도시한다. 동도(a)와 같이 높이(H)의 개구부를 폐쇄한 내면도어체(3)는 동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구부(2)를 열면 그 윗쪽에서 높이 1/2H 의 범위로 되접어서 격납된다. 외면도어체(4)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구동계는 대략 1.5H 의 전체길이로 되는 동시에 굽혀지는 일이 없으므로 극히 소형·간소화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내면도어체(3)의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외면 도어체(4)의 구동계도 동일하다.
제14도는 이동수단의 다른예를 예시한다.
동도(a)에서는 도어폐쇄시의 내면도어체(3) 하단으로 부터 되접기한 부분까지를 체인(32)으로 하고, 그 사이를 와이어(80)로하여 윗쪽의 체인스프로켓(51) 또는 아래쪽의 와이어드럼(81)을 회전시킴으로써, 내면도어체(3)를 개폐시킨다.
동도(b)에서는 상하의 체인(32)간을 결합하지 않고, 각각 독립의 와이어드럼(82,83)에 결합한다. 그리고 와이어드럼(82,83)을 동기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를 개폐시킨다.
동도(c)는 도어를 유도하는 가이드레일(84)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부에 체인 스프로켓(51)만을 설치하고, 그 회전돠 도어의 자중에 의해 도어를 개폐되도록한 예를 예시한다. 이경우 필요에 따라 2점 쇄선으로 예시한 바와같이 체인선단에 추를 매어단다.
제15도는 세장편(31)의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본 도면의 것으로는 구멍(31d)에 핀(31e)을 끼워 넣음으로써 인접한 세장편(31,31)사이를 결합하고 있다. 세장편(41)에 대해서도 동일구조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조의 것으로는 세장편을 결합하여 유도하는 체인 또는 와이어는 필요하지 않고 세장편의 양끝을 체인 또는 와이어로 결합하여 루프형상으로 구성하면 된다.
제16도는 세장편(31)을 제15도와 같이 결합한 경우의 구동 및 압접방식의 1예를 예시한다. 세장편(31)의 핀(31e)을 개구부(2)의 양끝에 돌출시켜서 이것을 가이드판(84)으로 안내하여 핀을 와이어(80)등으로 결합하고, 로울러(85)로 되접기시켜서 와이어드럼(81)에 감아붙인다.
로울러(85)를 공전시키면서 와이어드럼(81)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체를 개폐시킨다. 가이드판(84)은 개구부에 면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어를 닫을때에는 이것을 개구부(2)방향으로 밀어서 도어체를 개구부에 압접시킨다. 외면도어체(4)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동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제17도는 내면도어체(3)의 다른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는 내면도어체(3)를 일체구조부분(31′)과 세장편(31)으로 형성하고, 전체로 개구부(2)의 높이(H)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내면도어체(3)는 개구부(2)를 열었을때에는 동도(b)의 상태로 된다. 즉 일체부분(31′)은 되접어지지 않으므로 굴곡시킬 필요가 없다.
이와같이 하면 도어체의 구조가 간소화 된다. 외면 도어체(4)도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1 의 발명에 있어서는 이동수단은 개구부가 열릴때는 덮개부재를 U자형으로 되접는 것처럼 움직이므로 대략 1/2 높이의 위치에서 되접기하면 개구부를 완전개방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동수단이 소형화된다. 또 덮개부재를 되접기부에서 1/2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다중으로 감지 않으므로 덮개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그 단열성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상의 항온조등에서는 기밀실의 상부에 기계실등이 설치되므로 기밀실 위치에 대응하는 개구부의 윗쪽에 되접기부를 설치하여도, 그 때문에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기밀용기자체가 구비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개구부의 대략 1.5배의 높이로 스트레이트한 구동계로 하면, 구동계의 소형화와 더불어 90°구부려서 격납하는 경우와 같이 구부리기 위한 기구가 불필요하게 되며, 구조가 한층 간소화되어 원가도 절감된다.
또한, 회전하여 전면에 열리는 도어가 아니므로, 도어개방에 따르는 여분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바닥면적의 유효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와같은 도어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자동개폐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공작물의 반입/ 반출수단을 기밀용기의 개구부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공장에 있어서의 자재취급 작업의 자동화나 생력화가 가능하게 되며, 공장의 효율적 운영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밀용기의 가동관리, 무인운송차와 도어개페의 제어등을 자동화하거나, 통신회선으로 접속하여 원격제어하게 된다.
청구항2 의 발명에 있어서는 홈형단면의 복수의 구성부재를 인접시켜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하여 덮개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덮개부재가 충분한 굴곡성을 구비한다. 그 결과, 덮개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이 부분에 단열재를 넣는등 함으로써, 더욱 단열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청구항3 의 발명에 있어서, 홈형 단면의 덮개부재를 체인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동수단으로서 스프로켓을 사용한 체인구동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신속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덮개부재를 움직일수 있다. 또 체인을 충분한 인장강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풍압 타입의 기밀용기에 사용할 수 있다.
더욱 장치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그리고, 체인의 덮개부재의 결합부와 피구동부에 겸용되므로 구동기구가 한층 간소화된다.
청구항4 의 발명에 있어서는 덮개부재를 이중으로 설치하므로 단열성을 한층 향상시키거나, 기밀용기의 내부가 고온인 경우에 외부표면의 온도를 저하시켜서 접촉시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덮개부재는 제1 덮개부재의 되접기 부분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되접기하므로 되접기 위한 곡율상 필요하게 되는 간격을 제1 덮개부재와 제2 덮개부재와의 사이의 단열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5 의 발명에 의하면, 메지덮개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구성부재간에 간격이 생겨도 기밀용기내의 열풍누설등이 방지되고,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5)

  1. 기밀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기밀용기의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재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부재를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가지며, 이 이동수단은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개구부의 개방방향으로 이동될때에 상기 덮개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소정길이의 부분을 U자형상으로 되접어서 상기 덮개부재중의 상기 소정길이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의 사이에서 대략 U자형상을 형성하도록 움직이고, 상기 덮개부재중 적어도 상기 소정길이의 부분은 굴곡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의 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중 적어도 상기 적어도 소정길이의 부분은 개폐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에서 본 단면이 홈형인 복수의 구성부재로 형성되며, 이 구성부재의 각각은 상기 홈형의 인접끼리의 양측면이 이 양측면의 한끝쪽을 중심으로하여 다른끝쪽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굴절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의 도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체인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구성부재의 상기 단면에 직각인 방향의 양끝은 상기 체인의 연결용의 링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의 도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서로 평행한 제1 덮개부재와 제2 덮개부재로 형성되며, 각각의 덮개부재의 되접기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2 덮개부재는 제1 덮개부재의 안쪽으로 되접기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의 도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형의 구성부재의 홈바닥의 외측면은 상기 기밀용기측에 향하고 있고, 상기 구성부재간의 접촉면을 덮는 복수의 메지 덮개부재를 상기 외측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의 도어장치.
KR1019940005864A 1994-03-23 1994-03-23 기밀용기의도어장치 KR100294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864A KR100294607B1 (ko) 1994-03-23 1994-03-23 기밀용기의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864A KR100294607B1 (ko) 1994-03-23 1994-03-23 기밀용기의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51A KR950027351A (ko) 1995-10-16
KR100294607B1 true KR100294607B1 (ko) 2001-09-17

Family

ID=6668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864A KR100294607B1 (ko) 1994-03-23 1994-03-23 기밀용기의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46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897U (ko) * 1989-10-20 1991-07-03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897U (ko) * 1989-10-20 1991-07-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51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4510C (en) Lifting door assembly and door lintel sealing device therefor
US20080110580A1 (en) Insulated curtain for a door
KR100294607B1 (ko) 기밀용기의도어장치
US4493311A (en) Guillotine damper
JP3086374B2 (ja) 気密容器の扉装置
WO2001065920A1 (en) A panel for green-house and a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5295605A (en) Shutter device for pressure container
KR101804523B1 (ko) 틈새 차단기능을 구비한 폴딩도어
KR102171820B1 (ko) 화물적재함
WO1996021078A1 (en) Gastight folding door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thereof
WO2022182230A1 (en) Roof ventilation system for a greenhouse
EP0943774B1 (en) Actuator with adjustable stroke
JP2003239661A (ja) 操作扉のためのスライドガイドのシール装置
JP2001212212A (ja) 滅菌器
JP4752783B2 (ja) 高気密高清浄入退室用装置
ES2374120A1 (es) Cerramiento con dispositivo de estanqueidad.
KR20150057169A (ko) 가이드봉을 이용한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장치
JP2608847B2 (ja) パネルシャッター
US4457488A (en) Sluice valve arrangement
KR20130124251A (ko) 3중 스크린 도어
KR200351517Y1 (ko) 컨테이너카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ITMI990638A1 (it) Dispositivo ventilatore a tenuta di vuoto e pressione in particolare per stazioni di termoformatura e stazione di termoformatura provvista d
SU990746A1 (ru) Крышка пропарочной камеры
JP2509439Y2 (ja) 植物育成用遮光断熱用ハウス
JPH03227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