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011B1 - 사물함 - Google Patents

사물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011B1
KR100294011B1 KR1019990012239A KR19990012239A KR100294011B1 KR 100294011 B1 KR100294011 B1 KR 100294011B1 KR 1019990012239 A KR1019990012239 A KR 1019990012239A KR 19990012239 A KR19990012239 A KR 19990012239A KR 100294011 B1 KR100294011 B1 KR 100294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pport
locker
pie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664A (ko
Inventor
박생현
Original Assignee
박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생현 filed Critical 박생현
Priority to KR101999001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0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6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38Auxiliary or protective devices
    • E05B67/383Staples or the like for padlocks; Lock slings; Arrangements on locks to cooperate with pad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47B87/008Rectangular cabinets or racks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A47B87/0292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each casing having a cross-section with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 몸체(1)의 내측면 전방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ㄴ자형 고정편(4)과, 상기 고정편(4) 일측에 연장형성되고 대응 수평면에 오목한 반구형 지지홈(7)이 형성된 한쌍의 연장부(6)와, 평면이 상기 연장부(6) 상에 위치되어 힌지핀(8)으로 결합되고 측면이 상기 도어(2) 내측면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평면에 상기 지지홈(7)에 대향되는 관통구멍(15)이 형성된 ㄴ자형 회동편(9)과, 상기 회동편(9)의 관통구멍(15) 상에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12)에 상기 관통구멍(15)보다 큰 지름의 지지구(14)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14)와 수납부(12) 내측면 사이에 코일스프링(13)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구(14)를 지지홈(7)에 밀착시키는 착탈수단(11)으로 이루어진 힌지(3)가 구비되고; 도어(2)의 자유단 전면에 위치되고 손잡이(19)와 이름표꽂이(20)가 구비된 브라켓(18)과, 상기 몸체(1) 일단에서 도어(2) 전방측으로 연장절곡되고 결합구멍(22)을 가지는 플랜지(21)와, 상기 플랜지(21) 반대측의 몸체(1)에 고정결합되고 단부가 도어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며 절곡단부가 도어(2) 내측면에 나사(24)로 고정지지되는 보강편(23)으로 이루어진 도어걸이(17)가 구비된 사물함을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힌지(3)의 회동편(9)이 도어(2)의 측면 및 저면을 고정지지하게 되어 도어(2)에 수직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견고히 지지되고, 도어걸이(17)의 보강편(23)이 도어(2) 측면에 끼워지지된 후 도어(2) 내측에서 나사(24)에 의해 체결되므로 외측에서 도어걸이(17)를 뜯어내지 못하여 사물함 내부의 물품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사물함{private box}
본 발명은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가 비교적 견고히 설치되고 도어걸이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 사물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수납공간을 가지는 몸체와 이 몸체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도어의 회동중심에 설치되는 힌지 및 도어의 자유단과 이에 대응되는 몸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도록 구비된 도어걸이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사물함의 힌지와 도어걸이에는 여러가지 문제가 있는데, 이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힌지는 한쌍의 고정판과 이 고정판들의 대응 단부에 결합하는 힌지핀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판들이 각각 도어 및 몸체 일면에 나사로 고정된다. 이러한 힌지는 몸체에 설치된 도어가 수평방향으로는 비교적 견고히 지지되나 수직방향으로 외력을 가할시 도어에 박힌 나사에 의해 나사구멍이 커지면서 도어가 수직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또한 도어걸이는 보통 도어 전면에 못이나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이들을 제거하면 도어걸이를 간단히 뜯어 낼 수 있어 사물함 내부의 물품을 도난당할 위험이 상존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와 도어걸이가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 사물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사물함은, 사물함에 있어서, 몸체의 내측면 전방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ㄴ자형 고정편고, 상기 고정편 일측에 연장형성되고 대응 수평면에 오목한 반구형 지지홈이 형성된 한쌍의 연장부와, 평면이 상기 연장부 상에 위치되어 힌지핀으로 결합되고 측면이 상기 도어 내측면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평면에 상기 지지홈에 대향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ㄴ자형 회동편과, 상기 회동편의 관통구멍 상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에 상기 관통구멍보다 큰 지름의 지지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와 수납부 내측면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지지구를 지지홈에 밀착시키는 착탈수단으로 이루어진 힌지가 구비되고; 도어의 자유단 전면에 위치되고 손잡이와 이름표꽂이가 구비된 브라켓과, 상기 몸체 일단에서 도어 전방측으로 연장절곡되고 결합구멍을 가지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반대측의 몸체에 고정결합되고 단부가 도어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며 절곡단부가 도어 내측면에 나사로 고정지지되는 보강편으로 이루어진 도어걸이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사물함의 한 특징은, 도어 내측면에 방향제가 결합구비된다.
따라서, 힌지의 회동편이 도어의 측면 및 저면을 고정지지하게 되어 도어에 수직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견고히 지지되고, 도어걸이의 보강편이 도어 측면에 끼워지지된 후 도어 내측에서 나사에 의해 체결되므로 외측에서 도어걸이를 뜯어내지 못하여 사물함 내부의 물품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을 보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A'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3은 도어가 닫힌 상태의 힌지를 발췌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A-A'선 단면도
도5는 도어가 열린 상태의 힌지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
도6은 도어가 열린 상태의 힌지를 보이는 부분 평면도
도7은 도어가 닫힌 상태의 힌지를 보이는 부분 평면도
도8은 도1의 'B'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9는 도8의 결합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물함의)몸체2 ; 도어
3 ; 힌지4 ; 고정편
6 ; 연장부7 ; 지지홈
9 ; 회동편11 ; 착탈수단
17 ; 도어걸이23 ; 보강편
28 ; 방향제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에서, 본 발명 사물함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는 몸체(1)와 이 몸체(1) 일측에 힌지(3)로 결합되어 이를 개폐하는 도어(2)와, 도어(2)의 자유단에 결합되는 도어걸이(17)로 이루어진다.
도2는 도1의 사물함에서 'A'부 즉 힌지(3)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3은 도어(2)가 닫힌상태의 힌지(3) 하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의 C-C'선 단면도로써, 본 발명 도어용 힌지(3)는 고정편(4)과, 이 고정편(4) 일측에 연장형성된 연장부(6)와, 그리고 연장부(6)에 힌지결합된 회동편(9)과, 회동편(9)에 구비되어 도어(2)를 착탈시키는 착탈수단(11)으로 구성된다.
고정편(4)은 ㄴ자형상을 가지고, 측면 및 평면에 사물함의 몸체(1) 내측면 전방 일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나사가 결합되는 고정구멍(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편(4)의 수평면 일측에는 연장부(6)가 연장형성되는바, 이 연장부(6)에는 오목한 반구형 지지홈(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6)에는 ㄴ자형 회동편(9)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연장부(6)와 회동편(9)의 일측에는 힌지핀(8)이 결합되어 회동편(9)이 이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편(9)에는 측면이 도어(2) 내측면 단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고정구멍(10)이 형성되어 있고, 평면에 지지홈(7)에 대향되는 관통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편(9)의 관통구멍(15) 상에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12)에는 관통구멍(15)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지지구(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지지구(14)와 수납부(12) 내측면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3)이 구비되어 지지구(14)를 관통구멍(15) 외측으로 탄성지지하여 지지구(14)의 일부가 연장부(6)의 지지홈(7)에 밀착,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어걸이(17)는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의 자유단 전면에 위치되고 손잡이(19)와 이름표꽂이(20)를 가지는 브라켓(18)과, 몸체(1) 일단에서 도어(2) 전방측으로 연장절곡되고 결합구멍(22)을 가지는 플랜지(21)와, 플랜지(21) 반대측의 몸체(1)에 고정결합되고 단부가 도어(2)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며 절곡단부가 도어(2) 내측면에 나사(24)로 고정지지되는 보강편(2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어걸이(17) 일측에는 일단이 몸체(1) 내부 일측에 나사(24)로 결합되고 타단에 결합구멍(26)이 형성된 고정편(25)이 구비되어, 도어걸이(17)의 플랜지(21)와 함게 자물통으로 채우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사물함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몸체(1)와 도어(2)에 결합된 힌지(3)는 도어(2)가 개폐됨에 따라 도4 및 도7과 같이 닫힌 상태에서 도5 및 도6의 열린 상태로 반복 회전된다.
닫힌 상태의 도어(2)는 회동편(9)의 수직면에 의해 그 측면이 고정지지되고 회동편(9)의 수평면에 의해 도어(2)의 저면이 고정지지되므로 도어(2)에 수직방향의 외력이 작용해도 회동편(9)의 수직면 및 수평면이 휘어지지 않는한 도어가 유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교적 약한 목재의 도어(2)에 나사로 고정시키므로 장기간 사용할때 나사구멍이 커져서 도어(2)가 상하로 흔들렸던 종래와는 달리 도어(2)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견고히 고정지지된다.
그리고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어(2)의 회전이 비교적 자유롭다가 도어(2)가 닫히게 되면, 지지구(14)가 연장부(6) 상면에 접촉되면서 상측으로 밀리게 되어 코일스프링(13)을 압축시키게 되고, 도어(2)가 계속 회전되어 완전히 닫히게 되면 코일스프링(13)이 복원되면서 지지구(14)가 지지홈(7)에 삽입되므로 닫힌 상태의 도어(2)를 코일스프링(13)의 복원력만큼 지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사물함의 힌지(3)는 종래의 힌지와는 달리 도어 및 몸체에 자석 및 금속판을 더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어걸이(17)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종래 도어걸이는 도어(2)의 외측면에 나사나 못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분리한 후 도어걸이를 도어로부터 간단히 뜯어낼 수 있었으나, 본 발명 도어걸이(17)는 보강편(23)에 의해 도어(2) 내측면에 나사(24)로 고정되므로 도어(2)의 일부를 파손하지 않는한 도어걸이(17)를 도어(2)로부터 뜯어내기가 매우 어렵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로써, 본 발명의 특징인 힌지(3)와 도어걸이(17)를 가지는 사물함을 다수 연속설치하여서 학교나 공공건물에 비치하므로 다수의 사람들이 개인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 내측면에 방향제(28)가 결합되도록 구비한다면 도어(2) 개폐시 향기가 발하게 되어 사용자의 기분을 향상시키고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등의 부가적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에 의하면, 힌지(3)의 회동편(9)이 도어(2)의 측면 및 저면을 고정지지하게 되어 도어(2)에 수직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견고히 지지되고, 도어걸이(17)의 보강편(23)이 도어(2) 측면에 끼워지지된 후 도어(2) 내측에서 나사(24)에 의해 체결되므로 외측에서 도어걸이(17)를 뜯어내지 못하여 사물함 내부의 물품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물함에 있어서,
    몸체(1)의 내측면 전방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ㄴ자형 고정편(4)과, 상기 고정편(4) 일측에 연장형성되고 대응 수평면에 오목한 반구형 지지홈(7)이 형성된 한쌍의 연장부(6)와, 평면이 상기 연장부(6) 상에 위치되어 힌지핀(8)으로 결합되고 측면이 상기 도어(2) 내측면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평면에 상기 지지홈(7)에 대향되는 관통구멍(15)이 형성된 ㄴ자형 회동편(9)과, 상기 회동편(9)의 관통구멍(15) 상에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12)에 상기 관통구멍(15)보다 큰 지름의 지지구(14)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14)와 수납부(12) 내측면 사이에 코일스프링(13)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구(14)를 지지홈(7)에 밀착시키는 착탈수단(11)으로 이루어진 힌지(3)가 구비되고;
    도어(2)의 자유단 전면에 위치되고 손잡이(19)와 이름표꽂이(20)가 구비된 브라켓(18)과, 상기 몸체(1) 일단에서 도어(2) 전방측으로 연장절곡되고 결합구멍(22)을 가지는 플랜지(21)와, 상기 플랜지(21) 반대측의 몸체(1)에 고정결합되고 단부가 도어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며 절곡단부가 도어(2) 내측면에 나사(24)로 고정지지되는 보강편(23)으로 이루어진 도어걸이(17)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 내측면에 방향제(28)가 결합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KR1019990012239A 1999-04-08 1999-04-08 사물함 KR100294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239A KR100294011B1 (ko) 1999-04-08 1999-04-08 사물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239A KR100294011B1 (ko) 1999-04-08 1999-04-08 사물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664A KR20000065664A (ko) 2000-11-15
KR100294011B1 true KR100294011B1 (ko) 2001-06-15

Family

ID=1957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239A KR100294011B1 (ko) 1999-04-08 1999-04-08 사물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40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584B1 (ko) * 2000-04-18 2002-07-20 박혁구 학생용사물함
KR101327516B1 (ko) 2013-02-27 2013-11-08 박생현 항균기능을 가진 다목적 사물함
KR20160120586A (ko) 2015-04-08 2016-10-18 주식회사 새누 조립식사물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7932B1 (ko) 2017-04-13 2017-11-15 주식회사 동산테크 무인 택배 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129B1 (ko) * 2000-04-11 2003-03-04 박혁구 학생용사물함의 도어결합구조
KR100689247B1 (ko) * 2005-07-05 2007-03-02 주식회사 진성기업 개인사물함의 도어 결합구조
CN210227448U (zh) * 2019-05-05 2020-04-03 厦门托普拉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柜门带圆角软垫的塑料组合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77U (ko) * 1998-01-15 1998-08-17 배성룡 개량 학생용 사물함
KR0122544Y1 (ko) * 1995-01-06 1998-10-15 권영훈 사물함 문짝의 구조
KR19990008304U (ko) * 1998-11-11 1999-02-25 이현호 보관함 자물쇠고리의 커버
KR200193251Y1 (ko) * 1998-08-14 2000-09-01 박생현 도어용 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544Y1 (ko) * 1995-01-06 1998-10-15 권영훈 사물함 문짝의 구조
KR19980031977U (ko) * 1998-01-15 1998-08-17 배성룡 개량 학생용 사물함
KR200193251Y1 (ko) * 1998-08-14 2000-09-01 박생현 도어용 힌지
KR19990008304U (ko) * 1998-11-11 1999-02-25 이현호 보관함 자물쇠고리의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584B1 (ko) * 2000-04-18 2002-07-20 박혁구 학생용사물함
KR101327516B1 (ko) 2013-02-27 2013-11-08 박생현 항균기능을 가진 다목적 사물함
KR20160120586A (ko) 2015-04-08 2016-10-18 주식회사 새누 조립식사물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7932B1 (ko) 2017-04-13 2017-11-15 주식회사 동산테크 무인 택배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664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8342B2 (en) Refrigerator home bar unit door
KR100294011B1 (ko) 사물함
RU2005132625A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001367B1 (ko) 납골함 안치단용 여닫이문 구조
KR200193251Y1 (ko) 도어용 힌지
JPH10338284A (ja) 円板形状の情報記録媒体を保持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
KR102116016B1 (ko) 가구용 상부경첩
KR200182261Y1 (ko) 철재 사물함
KR102116018B1 (ko) 가구용 하부경첩
KR100983804B1 (ko) 철재함용 경첩
JP4879422B2 (ja) 収納棚
KR200346744Y1 (ko) 사물함 도어의 고정브래킷
KR200257264Y1 (ko) 캐비닛용 경첩
KR200188102Y1 (ko) 걸이용 수납함
JP3448786B2 (ja) 冷蔵庫等の扉用ヒンジ
KR200397165Y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구조
KR200260310Y1 (ko) 국기함
KR101395937B1 (ko) 사물함용 연결형 경첩
KR100562751B1 (ko) 문 고정장치
JP2001087055A (ja) 収納家具
JP3712603B2 (ja) 電気装置用キャビネット
JPH07104Y2 (ja) 収納家具
KR200273957Y1 (ko) 도어용 핸들
KR200241080Y1 (ko) 잠금장치
JPH0615565Y2 (ja) タオル掛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