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353B1 - 전기집진기를제어하는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를제어하는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353B1
KR100293353B1 KR1019980007877A KR19980007877A KR100293353B1 KR 100293353 B1 KR100293353 B1 KR 100293353B1 KR 1019980007877 A KR1019980007877 A KR 1019980007877A KR 19980007877 A KR19980007877 A KR 19980007877A KR 100293353 B1 KR100293353 B1 KR 100293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ogram
plc
controll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4341A (ko
Inventor
문 성 송
용 범 김
원 준 김
상 우 김
Original Assignee
윤영석
한국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석, 한국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영석
Priority to KR1019980007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3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2Emergency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32Checking the quality of the result or the well-functioning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프로그램을 클릭하여 통신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이상이 발생시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적절히 조치 할 수 있는 단계와, 상기 SI-TR 제어부(30,32)를 제어하기 위한 단계와, 그래픽을 클릭하여 그래킥 보드(201,221)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트랜드를 클릭하여 전기집진기(1)의 해당 번호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PLC 스캔을 클릭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보조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단계와, 로직 5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래더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사용자가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종료를 클릭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22)를 이용하여 SI-TR 제어부(30,32)의 일차 전압/전류, 2차 전압/전류 및 IE의 세팅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운전 요구치인 2차 전류와 IE 세팅값을 PC에서 SI-TR 제어부(30,32)에 정확히 전달하고 및 그 결과치를 확인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220)에 장착된 데이터 로거(Data logger)에 저장된 전기집진기 운전에 관한 값(입력/출력, 더스트(DUST), 농도값 및 각종 운전 데이터)을 정확하게 학인할 수 있으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30,32)와 PC가 통신함으로써 전기집진기의 모터 및 레벨 스위치를 적정운전하기 위한 명령의 전달 및 결과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SI-TR 제어부와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와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과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MCC의 작동을, 전기집진기의 운전상태와 연계하여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운전을 제어하거나 감시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의 전기집진기 감시방법은 운전원이 SI-TR 제어부와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와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과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MCC을 개별적으로 즉, 육안으로 확인하여 기록 및 조치하는 방법으로 동작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한 사람의 운전원이 많은 계기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한 운전원이 파악할 수 있는 계기의 수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SI-TR 제어부와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와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과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MCC를 개별적으로 운전원이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집진기 패널(panel)에 대한 모든 명령이 신속, 정확하게 감시 및 제어를 수핼할 수 없으며, 게다가, 운전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검증할 수 없어서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기집진기는 보일러가 운전중에는 항상 운전하여야 하고, 고압 하전 장치로서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전기집진기 시스템은 안전성 및 신뢰성이 낮아서 설치 장소가 전기집진기 운전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집진기에 관련된 모든 기기와 패널들의 상태를 사용자가 모니터에서 일괄적으로 감시하여 제어 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이 제어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전기집진기 감시시스템과, 상기 전기집진기 감시시스템의 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수행하는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와, 상기 감시시스템의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시스템에서 제어하는 제어명령에 따라서 전기집진기에 하전을 인가하여 전기집진기가 집진하도록 제어하는 SI-TR 제어부와, 상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시스템에서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통신으로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분진 농도 감시시스템과, 상기 분진 농도 감시시스템에 연결되어 전기집진기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여 데이터 로거로 측정치를 전송하는 오패시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통신프로그램을 클릭하여 통신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이상이 발생시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적절히 조치할 수 있는 단계와, 상기 SI-TR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단계와, 그래픽을 클릭하여 그래픽 보드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트랜드를 클릭하여 전기집진기의 해당 번호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PLC 스캔을 클릭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보조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단계와, 로직 5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래더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사용자가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종료를 클릭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된 전기집진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통신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어하는 통신프로그램 블록도이며,
도 6은 알람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블로도이며,
도 7은 SI-TR을 제어하는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8은 SI-TR의 기능키를 입력시 블록도이며,
도 9는 PLC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10은 트랜드 설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1은 PLC 스캔의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12는 보조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13은 래더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7에 대한 화면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며,
도 15는 도 9에 대한 화면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며,
도 16은 도 10에 대한 화면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기 집진기 10 :감시시스템
20, 22 :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
30, 32 : SI-TR 제어부 52 : SI-TR
56 : 방전극 추타장치 57 : 호퍼
58 : 집진극 추타장치 59 : 배출장치
60 : 집진극 61 : 집진실
62 : 방전극 101 : 모니터
103 : 컴퓨터 본체 105 : 프린터
107 : 키보드 201, 221 : 그래픽 보드
203, 223 : CPU 207, 227 : PLC I/O 카드
208,228 : 컨버터 211, 231 : 제어스위치
212, 232 : MCC 213, 233 : 모터
220 :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 241 : 오패시티 제어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발전소 장치 당 2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전중에 이상이 생길 경우 하전을 중지시켜 오동작으로부터 보호하는 집진실(61)과, 상기 집진실(61) 내부에 에지(edge) 및 슬리브(sleeve)로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하전설비로부터 고전압을 인가 받아 코로나(corona) 방전을 발생시켜 도시되지 않은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미립자(이하에서는 비회(fly ash)라고 한다.)를 하전시키고,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집진실(61) 등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방전극(62)과, 상기 집진실(61)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전극(62)과 함께 집진전계를 형성하고 대전 미립자를 쿨롱(coulomb)력에 의해 포집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집진 효율의 향상과 포집된 미립자가 가스유동에 의한 영향을 받아 재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파형(Corrugated type)으로 설치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집진판을구비하고 있는 집진극(60)과, 상기 집진실(61)의 상측에 배설되어 있으며 이들을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장치(54)와, 상기 방전극(62)에 부착되어 쌓여진 비회를 그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호퍼(57)로 낙하시켜서 역방전되거나 또는 하전전압이 상승하여 집진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속적인 동작으로 동작하는 방전극 추타장치(56)와, 상기 집진극(60)에 부착되어 쌓여진 비회를 그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호퍼(57)로 낙하시켜서 역방전되거나 또는 하전전압이 상승하여 집진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휴식시간을 가지고 동작하는 집진극 추타장치(58)와, 가스 유동이 불균일한 상기 집진실(61)내의 전극판위에 쌓인 비회가 재비산됨으로써, 온도 강하에 의한 이슬을 방지하여 집진효율을 향상시키고 상기 집진실(61)내의 가스 유속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SI-TR(52)과, 상기 집진판에 비회가 포집된후 상기 집진극과 방전극 추타장치(56,58)에 의해 떨어지는 상기 비회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방전극(62)과 집진극(60)의 하측에 배설되어 있는 배출장치(59)와, 상기 전기집진기(1) 입구측 덕트와 출구측 덕트에 설치되어 있으며, 연소가스의 분진농도를 측정하여, SI-TR(52)로 보내주어 경제적으로 적은 전력을 소모하면서 운전할 수 있는 오패시티 제어부(24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전극(62)은 그 직경이 작을수록 낮은 전압에서 코로나 방전을 왕성하게 할 수 있어 미립자의 하전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집진극(60)은 상기 집진극(60)에 포집된 미립자도 그 성질에 따라 두꺼운층이 되어 국부적으로 탈락하면 그 표면에 생긴 비정상적인 돌기 또는 퇴적층으로부터 역방전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장치(59)는 상기 집진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비회를 축적하는 호퍼(57)와, 상기 호퍼(57) 내부에 축척된 비화가 온도강하에 의하여 이슬점 이하로 강하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비회처리가 실시되는 동안에 상기 호퍼(57) 내부 벽에 부착되어 있는 비회를 제거하거나 상기 비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도시되지 않은 가열스팀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하고 이와 같이 제어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기집진기 감시시스템(10)과, 상기 전기집진기 감시시스템(10)의 명령을 입력받다 이를 수행하는 제 1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와, 상기 감시시스템(10)의 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수행하는 제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2)와, 상기 제 1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시스템(10)에서 제어하는 제어명령에 따라서 전기집진기(2)에 하전을 인가하여 전기집진기(2)가 집진하도록 제어하는 SI-TR 제어부(30)와, 상기 제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2)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시스템(10)에서 제어하는 제어명령에 따라서 전기집진기(1)에 하전을 인가하여 전기집진기(1)가 집진하도록 제어하는 SI-TR 제어부(32)와, 상기 제 2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2)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시스템(10)에서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으로 전기집진기(1,2)를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분진 농도 감시시스템(220)과, 상기 분진 농도 감시시스템(220)에 내장되어 상기 오패시티(24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로거(data logger)가 있고, 전기 집진기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오패시티(24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시시스템(10)은 여러 가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01)와, 상기 모니터(10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 본체(103)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107)와,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10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는 상기 컴퓨터 본체(103)에서 제어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다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복수개의 CPU(203)와, 상기 CPU(203)에서 출력되는 제어된 신호를 입력받아 RS-232방식으로 출력하는 PLC I/O 카드(207)와, 상기 PLC I/O 카드(207)에서 출력되는 RS-232방식의 신호를 입력받아 RS-485방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converter)(208)와, 상기 PLC I/O 카드(207)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어 스위치(211)와, 상기 CPU(203)에서 제어되는 각종 상태를 그래픽으로 도시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보드(20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2)는 상기 컴퓨터 본체(103)에서 제어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다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복수개의 CPU(223)와, 상기 CPU(223)에서 출력되는 제어된 신호를 입력받아 RS-232방식으로 출력하는 PLC I/O 카드(227)와, 상기 PLC I/O 카드(227)에서 출력되는 RS-232방식의 신호를 입력받아 RS-485방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228)와, 상기 PLC I/O 카드(227)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조작하는 제어 스위치(231)와, 상기 CPU(223)에서 제어되는 각종 상태를 그래픽으로 도시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보드(22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모니터링의 최상위 장비는 모니터(101)이며, 상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22)는 AB PLC(ALLEN BRADLEY)로 구성되어 있다. 최하위 장비로서는 상기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220)을 RS-232와 RS-485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제어하는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최상위 윈텔리전트(Winteligent)와 윈도우(Window) 기본으로 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프로토콜(Protocol)을 내장시켰으며, 상기 제 1, 2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22)의 PLC에서는 AB의 라더 프로그램(Ladder program)으로 최하위 설비와의 프로토콜 및 통신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22)는 상위 기종과의 통신을 위하여 전용의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상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 22)의 콘트롤러의 메모리에 기억시켰으며, 상기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220)에서 전용의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상기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220) 내의 데이터 로거에 내장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의 측면도로서, 상기 전기집진기(1)는 하나의 발전설비당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집진기(1)로 비회가 입력되는 입구(435)와, 상기 입구를 통과한 비화가 상기 집진극(60)과 방전극(61)에 부착될 경우 이들이 분리되도록 진동을 인가하는 다수개의 모터(429)와, 상기 전기집진기(1)의 상측에 배설되어 상기 전기집진기(1)를 둘러싸고 있는 절연내자의 온도를 보온하기 위해 열을 공급하는 히터(431)와, 상기 전기집진기(1)의 상측에 배설되어 상기 집진극(60)과 방전극(61)에 비회가 부착되지 않도록 송풍시키는 송풍기(433)와, 상기 모터(429)의 진동에 의해 이탈된 비회가 상기 전기집진기(1)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호퍼(57)에 쌓이게 되면, 어느 정도 비회가 쌓여있는지를 체크하는 레벨 센서(425,423)와, 상기 호퍼에 배설되어 상기 호퍼에 쌓인 비회가 용이하게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진동을 인가하는 레벨 모터(427, 425)와, 상기 전기집진기(1)를 통과하면서 먼지등이 필터된 후 방출되는 출구(43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제 1 전기집진기 PLC제어부(20)와 AB(ALLEN BRADLEY) PLC 사이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AB PLC의 프로그램을 RS-232 통신방식으로 상기 컨버터(208)까지 데이터를 송수신 하고, 상기 컨버터(208)에서 상기 제 1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를 제어하는 SI-TR 제어부(30)까지는 RS-485통신으로 송수신 함으로써, 소프트웨어에서의 제어 요소는 상기 제 1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의 프로토콜 및 AB PLC 프로그램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상위 부분인 AB PLC에서 상기 제 1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까지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 1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의 고유번호, 감시 및 제어, 운전 요구치인 mA, 런(run)/스톱(stop), 리모트(Remote)/로컬 (Local), IE 모드 온/오프(IE mode on/off), 오패서티(Opacity)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에서는 상기 AB PLC로 고유 번호의 선택, 명령수신 mA, 런/스톱, 리모트/로컬, IE 모드 온/오프, 오패시티 온/오프, 알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101)에서 전기집진기(1)의 각 필드에 설치된 SI-TR(52)의 하전량과 런/스톱의 명령을 전달 및 확인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각 기기의 운전상태 즉, 런/스톱/폴트/알람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상기 분진 농도 감지 시스템(220)도 데이타를 상기 감시시스템(10)의 모니터(101)로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오패시티 데이터 값을 모니터링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그리고 AB PLC는 모니터(101)와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20,22)와 분진 농도 감지 시스템(220)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역할로서, 신호 변환 및 제어를 위해 주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사용자 정의 그래픽은 사용자가 미리 작성한 모형을 그래픽 화면상에서 해당기기의 상태, 경보 상태를 표시함은 물론 조작도 할 수 있게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그래픽 화면의 종류는 최대 22개 화면이며, 스크롤 (Scroll) 화면과 분활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분활화면은 크기가 2048*1536의 해상도를 갖고 있으며, 모니터링 화면은 1280*1024으로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의 화면을 볼수 있다. 즉, 가로 세로의 스크롤 바(scroll bar)를 마우스의 왼쪽 버튼으로 누른 후 보고자 하는 적당한 위치에서 버튼을 놓으면 그것에 비례하는 화면부분이 나타나게 되며, 각 화면은 줌 인/아웃(Zoom IN/OUT) 기능을 가지며, 상단의 풀 다운 메뮤(Full down menu)의 줌 메뉴(Zoom menu)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각각이 화면에는 이전화면과 이후화면이 있으며, 메인 스크린 박스(main screen box)가 있으며, 마우스 커서를 옮긴후 왼쪽 버튼을 클릭(Click)하여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의 통신 규격에서 SI TR 통신 방식은 다음의 표와 같다.
그리고 커맨드 스트링(command string)은 다음과 같다.
또한 리스폰스 스트링(respones string)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데이터 로거 통신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로거의 프로토콜에서 커맨드 스트링(Command string)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로거의 프로토콜에서 응답 스트링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인 통신방법을 기술하면, 컴퓨터에서 효율적인 계산기의 명령형식에서, 명령 문장은 @<id>로 시작하여 $로 종료하며, 명령어 문자열 !로 시작하여 &로 종료되며, 단일 또는 복수의 명령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송시의 자료검증을 위해서 자료 검증문자(Checksum)를 만들어 명령문장의 끝인 $ 앞에 추가 하여 전송한다.
즉, 단일명령으로 구성시 명령 형식은
여기서,
복수개의 명령으로 구성시에는
그리고 효율적인 계산기에서 컴퓨터로의 응답형식은 다음과 같다.
즉, 명령은 @로 시작하고 $ 수신시 전송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며, 명령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에는 <ACK>신호 또는 수신명령에 해당하는 응답명령 및 자 료를 전송하며, 그리고 명령은 정상적으로 수신했으나, 명령어의 문자열 구성방법에 잘못이 있을 경우 <ACK> 신호와 함께 해당되는 응답코드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ACK> 신호와 함께 해당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경우에는 자료 검증 문자가 다르게 수신되거나 명령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NAK> 신호를 전송하며, 이 경우에도 전송상의 오류가 발생할 경우를 고려하여 5회까지 재 전송을 실시한다.
따라서 명령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의 응답형식은
@ <id> a <chksum> $
@ <id> a! <data> $ <chksum> $
@ <id> a! <data $! <data> $ ...<date> & <chksum> $
@ <id> a! <res code. $ <chksum> $
한편, 명령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의 응답형식은,
@ <id> n <chksum> $이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a : <ACK> 신호
n : <NAK> 신호
<res code> : 응답코드이다.
그리고 상기의 자료 검증문자(Checksum)의 계산 방법은 16진수 값으로 4바이트로 구성되며, 문장의 끝 문자($)앞에 위치한다.
따라서 자료검증문자의 첫 번째 값은 문장의 시작(@)부터 명령어의 끝(&)까지를 모두 합한 후 뒤의 두 숫자만을 골라 두 숫자중에서 뒤의 숫자와 60H를 더하여 (OR) 결정하며, 자료검증 문자의 두 번째 값은 문장의 시작(@)부터 명령어의 끝(&)까지를 모두 합한 후 뒤의 두 숫자만을 골라 두 숫자중에서 뒤의 숫자와 60H를 더하여 (OR) 결정하며, 그리고 자료검증 문자의 세 번째 값은 문장의 시작(@)부터 명령어의 끝(&)까지를 모듈러합(XOR)한 후 두 숫자중에서 앞의 숫자와 60H를 더하여 (OR) 결정하며, 자료검증 문자의 네 번째 값은 문장의 시작(@)부터 명령어의 끝(&)까지를 모듈러합(XOR)한 후 두 숫자중에서 뒤의 숫자와 60H를 더하여 (OR) 결정한다.
자료검증을 구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이되며,
SUM = 5AD, 모듈러(XOR) SUM=37
따라서,
첫번째 자료검증문자는 A+60H =6A(j)
두번째 자료검증문자는 D+60H =6A(m)
세번째 자료검증문자는 3+60H =6A(c)
네번째 자료검증문자는 7+60H =67(g)
이며 결국 자료 검증문자 = jmcg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1)는 대기로 배출되는 비회를 상기 전기집진기(1)의 집진극(60)과 방전극(62)으로 구성되는 전계층을 통과시켜 도시되지 않은 발전기의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중에 포함된 비회를 전기적으로 포집함으로써, 비회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상기와 같은 전기집진기(1)의 동작 원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계의 힘으로 비회에 음전하를 부여하여 포집하는 것으로, 배기가스의 유속분포가 균일한 실내에 300mm정도의 간격으로 집진극(60)과 방전극(62)을 수직으로 배열시켜 양 전극에 고전압을 가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을 형성시키고, 이 전장내에 비회가 통과되면 방전극(62) 부근의 전계에서 코로나 방전에 의한 가스분자의 충돌로 비회는 이온화되어 음 전하를 띠게된 후 양극인 집진극(60)에 이끌려 포집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집진극(60)에 도달한 음 전하의 비회는 전하를 잃게되며, 집진극(60)에 포획된 비회는 다 수개의 모터(429)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집진극 추타장치(58)와 방전극 추타장치(56)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전기집진기(1)의 하부에 있는 호퍼(57)에 쌓이게 되면, 상기 호퍼(57)에 설치되어 있는 레밸 센서(421, 423)가 상기 비회에 양을 감지하여 일정량 이상 상기 호퍼(57)에 비회가 쌓이게 되었을 때, 진동 모터(425,427)가 진동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호퍼(57)에 쌓여 있는 비회가 도시되지 않은 파이프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전기집진기(1)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5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프로그램을 클릭하여 통신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이상이 발생했을 때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적절히 조치할 수 있는 단계와, 상기 SI-TR 제어부(30,32)를 제어하기 위한 단계와, 그래픽을 클릭하여 그래픽 보드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트랜드를 클릭하여 전기집진기(1)의 해당 번호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PLC 스캔을 클릭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보조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단계와, 로직 5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래더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사용자가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종료를 클릭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사용자가 현재 동작하고 있는 전기집진기(1)의 상태를 파악하고 조정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집진기(1)를 조정하는 모니터(101)의 전원을 온시키면(S1), 상기 모니터(101)가 온됨과 동시에 윈도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S2), 사용자가 런뷰(RUN VIEW)를 선택하게 되면(S3), 상기 전기집진기(1)를 제어하기 위한 초기화면이 출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초기화면이 출력되었으면(S4), 상기 초기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많은 제어 블록을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먼저 네트워크(Network)를 클릭(click)하게 되면(S11), 상기 모니터(101)에 시스템 콘피규레이션(configulation)의 그래픽을 출력하고(S12), 이에 따라 통신 프로그램이 동작하게 되며(S13), 상기 통신 프로그램이 동작되면, 상기 통신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파악한 후(S14), 상기 통신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알람을 발생하고(S16), 상기 통신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그래픽 색상을 프리커(flicker)한다(S15).
한편, 사용자가 알람을 클릭하게 되면(S2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내용이 모니터(101)에 디스플레이 되고(S22), 이어서 시작프로그램이 동작하며(S23), 상기 시작프로그램이 동작함에 따라서 시작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가를 판단하고(S24), 상기 판단 단계(S24)에서 정상적으로 시작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그 상태의 화면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며(S25), 상기 시작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메세지를 상기 모니터(101)에 출력한다(S26).
이러한 경보알람은 가장 최근에 발생한 경보를 기준으로해서 시간적으로 정리하여 저장된 경보들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경보알람의 사양은 페이지당 최대 리스트수는 20개이고, 최대 페이지수는 32페이지(최대 1024개 경보 저장)이다. 그리고 리스트의 구성은 일련번호로 숫자 3자리이며, 경보 포인트 번호는 숫자 6자리이며, 경보 포인트 설명은 영문 기준 24자 이내이며, 경보상태에서 비인식 경보는 노란바탕에 빨간 글씨이며, 인식 경보는 하늘색 바탕에 빨간 글씨이며, 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 복구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보시각을 나타내는 연월일시분초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시작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메세지의 내용이 정상적인지를 판단하여 메세지가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하고(S27), 상기 메세지의 내용이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시작 프로그램 실행 단계(S23)로 리턴되며, 상기 단계(S27)에서 경보음이 출력될 때 메세지의 내용이 과다한 경우 오버래핑(over lapping)을 출력하며(S28), 이와 같이 메세지가 오버래핑된 후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S29).
그리고 사용자가 SI-TR 제어부(30)를 클릭하면(S31),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I-TR 제어부(30)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이 상기 모니터(101)에 디스플레이되는 가를 판단하여(S32), 상기 단계(S32)에서 SI-TR 제어부(30)가 출력되면 상기 SI-TR 제어부(30)를 제어하고자 하는 관련 번호를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하여(S34), 상기 SI-TR 제어부(30)의 번호를 클릭하였을 경우에는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SI-TR 제어부(30)의 번호를 선정하고(S35), 상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SI-TR 제어부(30)의 번호를 클릭하면 상기에서 입력한 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SI-TR 제어부(30)에 관한 데이터가 바그래프(bar graph)로 디스플레이되며(S36), 이때에 페이지(page)당 바그래프의 종류는 컨트롤 I/O % SET이며, 상기 컨트롤 I/O % SET는 각각의 SI-TR 제어부(30,32)에 관한 화면 하단의 컨트롤 I/O % SET 박스에서 마우스 커서의 왼쪽 버튼을 이동시켜 클릭하며, 이때의 변위 범위는 0에서 100%이며, 이어서 사용자가 다시 처음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처음으로 복귀하였는지를 판단하여(S37), 처음으로 복귀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화면상태를 유지하여(S38), 메인으로 복귀한 경우에는 상기 단계(S32)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단계(S32)에서 SI-TR 제어부(30)를 제어하는 제어화면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에 기능키를 클릭하면(S3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S331), 이어서 AVE. kV, AVE. mA, 스파크 레이크(spark rate), mA CTrl, IE Enable/Disable, IE charge, IE Total, ON/OFF 등이 디스플레이되며(S332), 상기 SI-TR 제어부(30)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다수개의 SI-TR 제어부(30)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번호를 입력하면 이를 인식하였는지 판단하고(S333), 이어서 입력되는 번호를 인식하였으면 카운터 소프트웨어에 데이터를 전송하고(S334), 이어서 PLC 래더(ladder)를 전송하며(S335), 상기 SI-TR 제어부(30)에 대한 패널의 데이터를 전송한다(S336).
이어서 상기 SI-TR 제어부(30)에 대한 패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러한 수신 데이터가 양호한가를 판단하여(S337), 수신 데이터가 양호한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 중에서 1개만을 수신하고(S338), 상기 단계(S337)에서 수신 데이터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초기 단계(S331)로 리턴하며, 상기 1개의 데이터 수신 단계(S338)에서 1개의 데이터만을 수신한 경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S339), 이어서 송신 데이터를 전송하여 송신 데이터가 전송 되었는지를 판단하여(S340), 상기에서 송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 메세지를 전송하고(S341)상기단계 (S341)에서 데이터가 전송된 후에는 상기 시작 단계(S331)로 리턴한다.
사용자가 그래픽을 클릭하게 되면(S41),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C 래더가 리드되었는지를 판단하여(S42), 상기 PLC 래더가 리드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음으로 리턴되며 상기에서 PLC 래더가 리드시에는 그래픽 보드(201, 221)를 디스플레이 하였는지를 판단하고(S43), 상기 판단 단계(S43)에서 그래픽 보드(201, 221)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모니터(101)를 온/오프하거나 또는 상기 SI-TR 제어부(30)를 온/오프하도록 클릭하며(S44), 이어서 상기 모니터(101)가 온,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여(S45), 상기 모니터(101)가 오프시에는 현재의 모니터(101) 화면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모니터(101)가 온인 경우에는 상기 전기집진기(1)의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가동함으로써(S46), 이어서 상기 전기집진기(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며(S47), 상기와 같이 상기 전기집진기(1)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전기집진기(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를 화면에 표시되었는지를 판단하여(S48), 화면에 표시된 경우에는 상기 (S431)로 리턴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경우에는 패널에 전기집진기(1)의 운전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S49).
한편, 상기 (S43)에서 그래픽 보드(201,221)를 디스플레이한 경우에는 각 그래픽 보드의 런/스톱과 폴트(fault)를 판단하여(S431), 상기 판단 단계(S431)에서 런/스톱인 경우에는 램프를 디스플레이하고(S432), 상기 판단 단계(S431)에서 폴트인 경우에는 프리커를 통작시키고(S433), 알람을 디스플레이하여 전송하며(S434), 이어서 상기 도 6의 상기 단계(S24)로 리턴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트랜드를 제어하기 위해서 클릭하면(S52),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드에 관한 설정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며(S53), 이어서 트랜드를 설정하였는지를 판단하여(S54), 상기 판단 단계(S54)에서 트랜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전기집진기(1)의 번호를 디스플레이 시키고(S55), 이어서 처음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복귀되었는지를 판단하여(S56), 사용자가 처음으로 복귀한 경우에는 상기 시작 단계(S52)로 복귀하고 복귀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계속유지 한다(S57).
또한 사용자가 PLC 스캔을 클릭한 경우(S61)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LC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며(S62), 사용자가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복귀버튼을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클릭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단계(S62)로 복귀하고, 처음으로 복귀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계속유지하게 된다(S64).
사용자가 유티아이를 클릭하면(S70),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프로그램이 동작하며(S71), 이어서 보조 프로그램이 실행됨에(S72) 따라서 상기 보조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판단하여S73), 상기 판단 단계(S73)에서 보조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종료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프로그램 가동단계(S71)로 리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래더를 클릭하면(S81),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직 5의 프로그램이 구동되며(S82), 이어서 상기 로직 5 프로그램이 구동됨에 따라서 래더가 디스플레이 되며(S83), 이어서 상기 래더가 디스플레이되면 작업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S84), 작업을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상태의 동작을 유지하며(S85), 작업을 종료한 경우에는 상기 로직 5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단계(S82)로 리턴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전기 집진기(1)의 제어 동작을 중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종료를 클릭함으로써(S91) 윈도우 화면 디스플레이 단계(S2)로 리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는, 전기집진기 모니터(101) 시스템(monitor system)을 이용하여 SI-TR 제어부의 일차 전압/전류, 2차 전압/전류 및 IE의 세팅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운전 요구치인 2차전류와 IE 세팅값을 PC에서 SI-TR 제어부에 정확히 전달하고 및 그 결과치를 확인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에 장착된 데이터 로거(Data logger)에 저장된 각 전기집진기 운전에 관한 값(입력/출력 더스트(DUST), 농도값 및 각종 운전 데이터)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와 PC가 통신 방식으로 통신함으로써 전기집진기의 모터 및 레벨 스위치를 적정운전 하기 위한 명령의 전달 및 결과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15)

  1.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전기집진기 감시시스템과, 상기 전기집진기 감시시스템의 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수행하는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와, 상기 감시시스템의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시스템에서 제어하는 제어명령에 따라서 전기집진기에 하전을 인가하여 전기집진기가 집진하도록 제어하는 SI-TR 제어부와, 상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시스템에서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으로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분진 농도 감시시스템과, 상기 분진 농도 감시시스템에 연결되어 전기집진기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여 데이터 로거로 측정치를 전송하는 오패시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본체에서 제어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복수개의 CPU와, 상기 CPU에서 출력되는 제어된 신호를 입력받아 RS-232방식으로 출력하는 PLC I/O 카드와, 상기 PLC I/O 카드에서 출력되는 RS-232방식의 신호를 입력받아 RS-485 방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converter)와 상기 PLC I/O 카드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어 스위치와, 상기 CPU에서 제어되는 각종 상태를 그래픽으로 도시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보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는 AB PLC로 구성되어 프로토콜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은RS-232와 RS-485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5. 제 4에 있어서, 상기 분진 농도 감시 시스템은 윈텔리전트(Winteligent)와 윈도우(Window)을 기본으로 하여 제어 프로그램과 프로토콜(Protocol)을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는 라더 프로그램(Ladder program)으로 최하위 설비와의 프로토콜 및 통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
  7. 전기집진기 감시시스템과, 제 1, 2 전기집진기 PLC 제어부와, SI-TR(실리콘 정류형 변압기) 제어부와, 분진 농도 감시시스템과, 오패시티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장치에서 전기집진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전기집진기 감시시스템의 통신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이상이 발생시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적절히 조치할 수 있는 단계와,
    상기 SI-TR(실리콘 정류형 변압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단계와,
    그래픽을 클릭하여 그래픽 보드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와,
    트랜드를 클릭하여 전기집진기의 해당 번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스캔을 클릭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와,
    보조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단계와,
    로직 5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래더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와,
    사용자가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종료를 클릭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단계는 네트워크(Network)를 클릭(click)하게 되면(S11), 상기 모니터에 시스템 콘피규레이션(comfigulation)의 그래픽을 출력하고(S12), 이에 따라 통신 프로그램이 동작하게 되며(S13), 상기 통신 프로그램이 동작되면, 상기 통신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파악한 후(S14), 상기 통신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알람을 발생하고((S16), 상기 통신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그래픽 색상을 프리커(flicker)(S15)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발생시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알람을 클릭하게 되면(S21), 알람내용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고(S22), 이어서 시작프로그램이 동작하며(S23), 상기 시작프로그램이 동작함에 따라서 시작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판단하고(S24), 상기 판단 단계(S24)에서 정상적으로 시작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그 상태의 화면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며(S25), 상기 시작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메세시를 상기 모니터에 출력하며(S26), 상기 시작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메세지의 내용이 정상적인지를 판단하여 메세지가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하고(S27), 상기 메세지의 내용이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시작 프로그램 실행 단계(S23)로 리턴되며, 상기 단계(S27)에서 경보음이 출력되어 메세지의 내용이 과다한 경우 오버래핑(overlapping)을 출력하며(S28), 이와 같이 메세지가 오버래핑된 후에는 데이터를 저장(S29)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SI-TR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단계는 사용자가 SI-TR 제어부를 클릭하면(S31), 상기 SI-TR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이 상기모티터(101)에 디스플레이되는가를 판단하여(S32), 상기 단계(S32)에서 SI-TR 제어부가 출력되면 상기 SI-TR 제어부를 제어하고자 하는 관련 번호를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하여(S34), 상기 SI-TR 제어부의 번호를 클릭하였을 경우에는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SI-TR 제어부의 번호를 선정하고(S35), 상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SI-TR 제어부의 번호를 클릭하면 상기에서 입력한 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SI-TR 제어부에 관한 데이터가 바그래프(bar graph)로 디스플레이되며(S36), 이때에 페이지(page)당 바그래프의 종류는 컨트롤 I/O % SET 이며, 상기 컨트롤 I/O % SET는 각각의 SI-TR 제어부(30,32)에 관한 화면 하단의 컨트롤 I/O % SET 박스에서 마우스 커서의 왼쪽 버튼을 이동시켜 클릭하며, 이때의 변위 범위는 0에서 100%이며, 이어서 사용자가 다시 처음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처음으로 복귀하였는지를 판단하여(S37), 처음으로 복귀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화면상태를 유지하여(S38), 메인으로 복귀한 경우에는 상기 단계(S32)로 복귀하며, 상기 단계(S32)에서 SI-TR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화면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에 기능키를 클릭하면(S33), 초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S331), 이어서 AVE, kV, AVE, mA, 스파크 레이크(spark rate), mA CTrl, IE Enable/Disable, IE charge, IE Total, ON/OFF 등이 디스플레이되며(S332), 상기 SI-TR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다수개의 SI-TR 제어부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번호를 입력하면 이를 인식하였는지 판단하고(S333), 이어서 입력되는 번호를 인식하였으면 카운터 소프트웨어에 데이터를 전송하고(S334), 이어서 PLC 래더(ladder)를 전송하며(S335), 상기 SI-TR 제어부에 대한 패널의 데이터를 전송하며(S336), 상기 SI-TR 제어부에 대한 패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러한 수신 데이터가 양호한가를 판단하여(S337), 수신 데이터가 양호한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 중에서 1개만을 수신하며(S338), 상기 단계(S337)에서 수신 데이터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초기 단계(S331)로 리턴하며, 상기 1개의 데이터 수신 단계(S338)에서 1개의 데이터만을 수신한 경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며(S339), 이어서 송신 데이터를 전송하여 송신 데이터가 전송 되었는지를 판단하여(S340), 상기에서 송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 메세지를 전송하고(S341), 상기 단계(S341)에서 데이터가 전송된 후에는 상기 시작 단계(S331)로 리턴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보드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는 사용자가 그래픽을 클릭하게 되면(S41), PLC 래더가 리드되었는지를 판단하여(S42), 상기 PLC 래더가 리드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음으로 리턴되며 상기에서 PLC 래더가 리드시에는 그래픽 보드를 디스플레이 하였는지를 판단하며(S43), 상기 판단 단계(S43)에서 그래픽 보드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모니터(101)를 온/오프하거나 또는 상기 SI-TR 제어부를 온/오프하도록 클릭하며(S44), 이어서 상기 모니터(101)가 온,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여(S45), 상기 모니터가 오프시에는 현재의 모니터(101) 화면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며, 상기 모니터가 온인 경우에는 상기 전기집진기의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가동함으로써(S46), 이어서 상기 전기집진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며(S47), 상기와 같이 상기 전기집진기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전기집진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를 화면에 표시되었는지를 판단하여(S48), 화면에 표시된 경우에는 상기 (S431)로 리턴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경우에는 패널에 전기집진기(1)의 운전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S49), 상기 (S43)에서 그래픽 보드를 디스플레이한 경우에는 각 그래픽 보드의 런/스톱과 폴트(fault)를 판단하여(S431), 상기 판단 단계(S431)에서 런/스톱인 경우에는 램프를 디스플레이하고 (S432), 상기 판단 단계(S431)에서 폴트인 경우에는 프리커를 통작시키고(S433), 알람을 디스플레이하여 전송하며(S434), 이어서 상기 단계(S24)로 리턴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드를 글릭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트랜드를 제어하기 위해서 클릭하면(S52), 트랜드에 관한 설정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며(S53), 이어서 트랜트를 설정하였는지를 판단하여(S54), 상기 판단 단계(S54)에서 트랜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전기집진기의 번호를 디스플레이 시키고(S55), 이어서 처음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복귀되었는지를 판단하여(S56), 사용자가 처음으로 복귀한 경우에는 상기 시작 단계(S52)로 복귀하고, 복귀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계속유지(S57)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PLC 스캔을 클릭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는 사용자가 PLC 스캔을 클릭한 경우(S61)에는, 상기 PLC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며(S62), 사용자가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복귀 버튼을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클릭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단계(S62)로 복귀하고, 처음으로 복귀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계속 유지(S64)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래그램을 가동시키는 단계는 사용자가 유티아이를 클릭하면(S70), 보조 프로그램이 동작하며(S71), 이어서 보조 프로그램이 실행됨에(S72) 따라서 상기 보조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판단하여(S73) 상기 판단 단계(S73)에서 보조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종료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프로그램 가동단계(S71)로 리턴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5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래더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는 사용자가 래더를 클릭하면(S81), 로직 5의 프로그램이 구동되며(S82), 이어서 상기 로직 5 프로그램이 구동됨에 따라서 래더가 디스플레이 되며(S83), 이어서 상기 래더가 디스플레이되면 작업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S84), 작업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상태의 동작을 유지하며(S85), 작업이 종료한 경우에는 상기 로직 5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단계(S82)로 리턴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를 제어하는 방법.
KR1019980007877A 1998-03-10 1998-03-10 전기집진기를제어하는장치및방법 KR100293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877A KR100293353B1 (ko) 1998-03-10 1998-03-10 전기집진기를제어하는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877A KR100293353B1 (ko) 1998-03-10 1998-03-10 전기집진기를제어하는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341A KR19990074341A (ko) 1999-10-05
KR100293353B1 true KR100293353B1 (ko) 2001-10-25

Family

ID=3752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877A KR100293353B1 (ko) 1998-03-10 1998-03-10 전기집진기를제어하는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3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1824A (zh) * 2015-07-06 2015-10-14 华能国际电力开发公司铜川照金电厂 干式电除尘及湿式除尘器粉尘联合自动控制系统
KR20170002124U (ko) 2015-12-08 2017-06-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용 변압기 조작 패널의 시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995B1 (ko) * 2001-12-28 2006-05-10 한전기공주식회사 전기집진기 전자제어시스템 시험장치
KR101130467B1 (ko) * 2004-12-23 2012-03-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소결로용 전기 집진기의 모니터링 장치
KR100753071B1 (ko) * 2005-12-06 2007-08-31 백현정 역무용 무인국사 감시제어 시스템
KR101035671B1 (ko) * 2009-01-20 2011-05-19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4185316A (zh) * 2021-12-08 2022-03-15 山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分散式除尘设备的全集成监控报警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617A (ko) * 1993-08-30 1995-03-21 배순훈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브이엠이버스(vmebus) 자동조정시스템
KR970066362A (ko) * 1996-03-23 1997-10-13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구동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617A (ko) * 1993-08-30 1995-03-21 배순훈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브이엠이버스(vmebus) 자동조정시스템
KR970066362A (ko) * 1996-03-23 1997-10-13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구동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1824A (zh) * 2015-07-06 2015-10-14 华能国际电力开发公司铜川照金电厂 干式电除尘及湿式除尘器粉尘联合自动控制系统
KR20170002124U (ko) 2015-12-08 2017-06-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용 변압기 조작 패널의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341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353B1 (ko) 전기집진기를제어하는장치및방법
CN108628291B (zh) 一种垃圾焚烧厂基于仿真平台的专家智能诊断系统
JP4878674B2 (ja) 電子システムのリアルタイム診断を行うためのハイブリッド診断システム
JP6093776B2 (ja) 電気集塵装置のクリーニ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2257889A (zh) 电力监视设备、电力监视方法和用于安装组件的设备
JPH0670047A (ja) 画像形成装置
DK165625B (da) Styreapparat for en elektrostatisk stoevudskiller
CN109083791B (zh) 发动机喷油驱动的故障检测方法及故障检测装置
CN114498934A (zh) 一种变电站监控系统
JPS60263162A (ja) 複写システム
CN106861915A (zh) 基于ga技术的电除尘器智能化监测诊断控制系统
CN1957796B (zh) 多功能可编程手控吹风机
JP4879144B2 (ja) 電気集塵器の荷電停止時運転制御装置
KR101372375B1 (ko) 발전기 제어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
JP2003223217A (ja) リモート監視システム
JP2016045285A (ja) 電力送電網の仕組み学習装置
EP3095520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signal quality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02879669B (zh) 故障电流模拟装置及其工作方法
KR20120033187A (ko) 전기 집진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570580A (zh) 空气预热器热电偶温度监测方法及系统
JP3477901B2 (ja) 汚泥消化ガス発電機の台数制御装置
CN101344578B (zh) 用于诊断直流电机的输出参量的方法和装置
CN206755495U (zh) 一种风机盘管双向通信控制系统
KR101035671B1 (ko) 전기 집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6663B1 (ko) 단자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