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284B1 - 어개류사육순환여과조및순환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어개류사육순환여과조및순환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284B1
KR100292284B1 KR1019980036108A KR19980036108A KR100292284B1 KR 100292284 B1 KR100292284 B1 KR 100292284B1 KR 1019980036108 A KR1019980036108 A KR 1019980036108A KR 19980036108 A KR19980036108 A KR 19980036108A KR 100292284 B1 KR100292284 B1 KR 100292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acteria
breeding
bacterial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504A (ko
Inventor
천남수
Original Assignee
천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남수 filed Critical 천남수
Priority to KR101998003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2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순환여과조에 있어서의 많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6개월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하게 어개류를 사육할 수 있는 순환여과조 및 순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육수조(2)와 연이어 통하고 있는 순환여과조(1)로 침전· 흡착조, 유기물분해세균부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유기물분해세균조, 질화세균부착제가 충전되어 있는 질화세균조, 염기성고형물이 충전되어 있는 중화조, 질산염환원세균 및 탈질세균부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탈질세균조 및 폭기조가 그 순서로 연결되어 있는 순환여과조(1)와 세균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개류사육 순환여과조 및 순환여과장치
본 발명은 해산 어개류 등을 사육할 때에 사용하는 순환여과조 및 순환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어개류, 특히 고급 해산어개류는 연안의 해면이나 해안 근처의 연안육지에서 대규모 양식되고 있다. 그러나 연안해양수의 환경악화에 의해 어개류가 대량 죽고, 또 고밀도 하, 대량 급이(給餌)하는 양식에 의한 환경악화에 의해 사망의 원인으로도 되는 많은 종류의 병을 발생시켜 그 결과 해수는 많은 종류의 병원성세균, 기생충, 바이러스로 오염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해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산간벽지 등은 지가도 비교적 싸고, 연안해면에서의 어개류 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성세균, 기생충, 바이러스의 오염문제도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부터 산간벽지에서 여과조를 사용하여 사육수조로부터의 배수를 정화하여 다시 이용하는 순환방식에서의 어개류 양식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산간벽지에서의 어개류 양식의 발전에는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사육수의 순환여과법에 기술적으로 해결을 필요로 하는 몇 가지의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그것은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순환여과조는 주로 똥이나 남은 먹이를 필터로 여과하고, 어개류의 오줌이 원인으로 되어 발생하는 유독한 암모니아나 아질산을 원래부터 해수에 존재하는 질화세균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질산으로 바꾸는 것 뿐의 기능밖에 가지지 못했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환경 하에서는 순환여과조에 있어서는 혐기성세균인 황산염환원세균의 작용에 의해 독성이 있는 황화수소가 발생하는 동시에 유기물퇴적에 의한 환경악화가 일어나 비브리오균, 사상균 등의 많은 병원균에 의한 세균성의 병이나 백점병 등의 기생충병을 발생시켜 그 결과 사육어의 대부분이 쇠약하여 사망하는 원인으로 되어 왔었다.
이상의 이유 때문에 종래의 순환여과조는 해수를 수주간마다 빈번히 바꾸지 않으면 안되는 동시에 여과조도 여재를 포함하여 수주간마다 소독· 세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것을 위한 비용이나 노력이 많아져 이것을 사용하여 수개월 또한 6개월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 해산의 어개류를 계속해서 급이사육하는 것은 매우 곤란한 상황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순환여과조에 있어서의 많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6개월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하게 어개류를 사육할 수 있는 순환여과조 및 순환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순환여과조에 탈질세균 등이 들어있는 탈질세균배양조 또는 유기물분해세균이 들어있는 유기뮬분해세균배양조를 설치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그들의 조와 종래의 순환여과조의 독립한 기능을 갖는 조를 관련지어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어개류사육수조와 연이어 통하고 있는 순환여과조로서 해당 순환여과조는 질산염환원세균 및 탈질세균부착제가 충전되어 있는 탈질세균배양조 및 유기물분해세균부착재가 충전되어 있고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사육 순환여과조를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개류사육수조와 연이어 통하고 있는 순환여과조로서 침전조 및 흡착조로 구성되는 침전· 흡착조, 유기물분해세균부착재가 충전되어 있고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 질화세균부착재가 충전되어 있고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질화세균배양조, 염기성고형물이 충전되어 있는 중화조, 질산염환원세균 및 탈질세균부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탈질세균배양조 및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폭기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사육 순환여과조를 요지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순환여과조는 상기 순환여과조가 상기 침전· 흡착조, 상기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 상기 질화세균배양조, 상기 중화조, 상기 탈질세균배양조 및 상기 폭기조가 그 순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순환여과조는 상기 염기성고형물이 탄산칼슘 또는 탄산칼륨 또는 그들을 함유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순환여과조와 살균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사육 순환여과장치를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순환여과조는 탈질세균배양조 단독 또는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 단독, 또한 탈질세균배양조 및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를 적어도 갖는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개류사육수조(2)와 연이어 통하고 있는 침전· 흡착조,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 질화세균배양조, 중화조, 탈질세균배양조 및 폭기조의 6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순환여과장치는 순환여과장치(1)와 살균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6조의 각 조 및 살균장치는 이하의 기능을 갖는다. 제 1의 침전· 흡착조는 남은 먹이나 사육어개류로부터 나오는 똥 등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동시에 미세한 남은 먹이나 똥을 매트를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 2의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는 똥이나 남은 먹이로부터 수중으로 용출하여 침전하는 일도 없고 매트에도 전혀 흡착되지 않는 수용성의 유기물을 단백질분해세균 등의 유기물분해세균을 사용하여 분해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 3의 질화세균배양조는 사육어개류로부터 배출되는 오줌에 포함되는 암모니아 또는 똥이나 남은 먹이에 포함되는 단백질이나 함질소 고분자화합물이 단백질분해세균이나 탈 아미노세균 등의 작용에 의해 여러 가지의 분해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는 무기화되어 발생한 암모니아를 각각 암모니아산화세균이나 아질산산화세균 등의 질화세균을 이용하여 안전한 질산으로 바꾸는 기능을 갖는다. 제 4의 중화조는 약염기성물질을 사용하여 산성화한 물을 중화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제 5의 탈질세균배양조는 암모니아로부터 전환된 질산도 축적하면 물의 pH가 저하함에 따라 제 4의 중화조 기능과 동시에 질산염환원세균 및 탈질세균을 이용하여 질산을 최종적으로 질소가스로 바꾸는 기능을 갖는다. 제 6의 폭기조는 질산염환원세균 및 탈질세균에 의해 생성된 질소가스를 폭기에 의해 항상 공중으로 방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살균장치는 비브리오균이나 곰팡이 등의 해산어개류의 병의 원인으로 되는 세균을 감균 또는 멸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상기 각 조 및 살균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는데, 상기 각 조에 대해서는 그 가장 바람직한 모양인 도 2에 의해 개별로 설명한다.
(1) 침전· 흡착조
침전· 흡착조(3)는 침전조(31)와 흡착조(32)로 구성되어 있다. 침전조(31)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바닥부가 역원추형상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바닥부에는 침전물배수관(12)이 부착되어 있다.
어개류를 사육하고 있는 수조(2)로부터의 배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육수조(2)의 수면 높이와 순환여과조(1)의 수면 높이의 낙차에 의해 침전조(31)로 유입한다. 유입한 수중에 부유하고 있는 똥이나 남은 먹이의 대부분은 역원추형상의 침전조의 바닥에 산재하지 않도록 모여 침전물배수관(11)으로부터 소량의 물과 함께 배출된다. 똥이나 남은 먹이의 대부분이 분리된 물은 인접하는 흡착조(32)로 흘러 들어간다. 침전조(31)는 1조에 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2조 이상을 연속하여 설치해도 좋다.
흡착조(32)는 배수보다 비중이 가볍거나 대략 같은 정도이기 때문에 수면 또는 수중에 떠다니거나하여 침전하기 어려운 미세한 똥, 남은 먹이를 흡착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고, 그 내부에는 유리섬유나 합성수지섬유 등을 소재로 하는 복수장의 매트(33)가 부설되어 있다. 침전조를 여과한 배수는 계속해서 상기 매트(33)를 통과하여 매트(33)를 구성하는 섬유 표면에 미세한 똥이나 남은 먹이가 흡착한다.
사육수조로부터 배수된 수중의 남은 먹이나 똥을 우선 최초로 매트 등을 사용하여 흡착한다고 하는 종래의 순환여과조와 달리 본 순환여과조는 사육수조로부터 배수된 수중에 부유하고 있는 똥이나 남은 먹이를 우선 최초로 침전시키고 그 후 매트를 사용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침전· 흡착조(3)는 내부에서 부착조류가 번성하지 않도록 자연광을 차단하기 위해서 덮개를 하여 내부를 어둡게 한다. 조류가 매트에서 번식하면 매트의 흡착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조 내에서 번성한 후 고사한 조류는 유기물퇴적의 한 원인으로 되기 때문이다. 순환여과조(1) 전체의 용적에 차지하는 침전· 흡착조(3)의 용적 비율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2)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
침전· 흡착조(3)를 통과한 물은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4)로 유입한다.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4)는 똥이나 남은 먹이로부터 수중으로 용출하여 침전· 흡착조(3)에서 제거되지 않는 유기물을 이 조에서 배양된 단백질분해세균 등의 유기물분해세균에 의해 분해하도록 기능한다.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4)는 유기물분해세균부착재(41)가 충전되어 있고, 산소공급수단(10)을 구비하고 있다.
유기물분해세균부착재(41)는 단백질분해세균 등의 유기물분해세균을 효과적으로 배양하기 위한 것이고, 유기물분해세균이 부착하여 증식하기 쉽고 내수성의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으며 조의 용적을 거의 채우도록 넣어져 있다. 부착재(41)로서는 예를 들면 모래, 자갈, 코크스, 석탄껍질, 제올라이트, 세라믹,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고, 그 형상은 임의이나 보다 많은 유기물분해세균이 부착하도록 표면적이 큰 것을 폐색에 의한 유기물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해 공극률이 크고 통수성에 풍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조(4)는 내부에서 부착조류가 번성하지 않도록 자연광을 차단하기 위해서 덮개를 하여 내부를 어둡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류는 번식하면 유기물분해세균부착재(41)를 덮어 부착재(41)의 유기물분해세균부착을 방해할 뿐 아니라 조 내에서 번성한 조류는 고사한 후 유기물퇴적의 한 원인으로 되기 때문이다. 순환여과조(1) 전체의 용적에 차지하는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4)의 용적 비율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또 이 조에서는 호기적환경 또는 저산소 하에서도 유기물을 효율 좋게 분해하는 능력을 갖는 호기성종속영양세균인 전분분해세균, 단백질분해세균이나 키친분해세균이나 광합성세균 등의 미생물을 사용한다.
(3) 질화세균배양조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4)를 통과한 물은 이 질화세균배양조(5)로 유입한다. 이 조는 사육어개류로부터 배출되는 오줌에 포함되는 유독한 암모니아를 수중에 존재하는 통상의 질화세균, 또는 특별히 배양된 질화 능력이 높은 질화세균을 사용하여 안전한 질산으로 바꾸도록 기능한다.
이 배양조(5)는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4)가 유기물분해세균을 사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것에 대해서 질화세균을 사용하여 암모니아를 질산으로 바꾸는 점이 다를 뿐이며 그 구조는 실질적으로 같다. 즉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4)에는 그 기능을 가지게 하기 위해 유기물분해세균부착재(41)가 충전되어 있는데, 본 배양조(5)에서는 그 기능을 가지게 하기 위해 질화세균부착재(51)가 충전되어 있고, 배양조(4)의 경우와 똑같이 산소공급수단(10)이 구비되어 있다. 질화세균부착재(51)는 그 재질 및 형상을 유기물분해세균부착재(41)의 경우와 똑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조(5)는 내부에서 부착조류가 번성하지 않도록 자연광을 차단하기 위해서 덮개를 하여 내부를 어둡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류는 번성하면 질화세균부착재(51)를 덮어 질화세균부착재(51)로의 질화세균의 부착을 방해할 뿐 아니라 조 내에서 번성한 조류는 고사한 후 유기물퇴적의 한 원인으로 되기 때문이다. 순환여과조 전체의 용적에 차지하는 질화세균배양조(5)의 용적 비율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이 조에서는 질화세균은 암모니아를 아질산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갖는 예를 들면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속 또는 니트로소코커스(Nitrosococcus)속의 암모니아산화세균 등의 미생물과, 아질산을 질산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갖는 예를 들면 니트로박터(Nitrobacter)속 또는 니트로코커스속의 아질산산화세균 등의 미생물의 양자를 사용하여 배양한다.
(4) 중화조
질화세균배양조(5)를 통과한 물은 이 중화조(6)로 유입한다. 이 중화조(6)는 질화세균배양조(5)를 통과한 물을 중화하도록 기능한다.
중화조(6)는 산성화한 물을 중화할 수 있는 염기성고형물(61)이 충전되어 있다. 염기성고형물(61)은 조(5)의 용적을 거의 채우도록 넣는다. 고형물(61)은 탄산칼슘, 탄산칼륨 등의 탄산염 등의 중화제, 그들 탄산염 등을 함유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중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중화조(6)는 내부에서 부착조류가 번성하지 않도록 자연광을 차단하기 위해서 덮개를 하여 내부를 어둡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류는 번성하면 염기성고형물(61)을 덮어 그 중화작용을 방해할 뿐 아니라 조 내에서 번성한 조류는 고사한 후 유기물퇴적의 한 원인으로 되기 때문이다. 순환여과조 전체(1)의 용적에 차지하는 중화조(6)의 용적 비율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5)탈질세균배양조
중화조(6)를 통과한 물이 이 탈질세균배양조(7)로 유입한다. 이 조에서는 질산을 아질산으로 바꾸는 질산염환원세균과 아질산으로부터 질소가스를 생성할 수 있는 탈질세균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질산을 최종적으로 질소가스로 바꾸도록 기능한다.
이 탈질세균배양조(7)에는 질산염환원세균이나 탈질세균의 효과적인 배양을 위해 탈질세균부착재(71)가 조의 용적을 거의 채우도록 충전되어 있다. 탈질세균부착재(71)는 그 재질 및 형상을 유기물분해세균부착재(41)의 경우와 똑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양조(7)도 내부에서 부착조류가 번성하지 않도록 자연광을 차단하기 위해서 덮개를 하여 내부를 어둡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류는 번성하면 탈질세균부착재(71)를 덮어 그 중화작용을 방해할 뿐 아니라 조 내에서 번성한 조류는 고사한 후 유기물퇴적의 한 원인으로 되기 때문이다. 순환여과조 전체(1)의 용적에 차지하는 배양조(7)의 용적 비율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이 조에서는 질산을 아질산으로 전환하는 예를 들면 아크로모박터(Achromobacter)속 또는 슈우도모나스(Pseudomonas)속의 질산염환원세균 등의 미생물과 아질산으로부터 질소가스를 생성하는 능력을 갖는 예를 들면 슈우도모나스(Pseudomonas)속의 탈질세균 등의 미생물의 양자를 사용하여 배양한다.
(6)폭기조
탈질세균배양조(7)를 통과한 물이 이 폭기조(8)로 유입한다. 이 조(8)에서는 탈질세균배양조(7)에 있어서 생성한 질소가스를 폭기에 의해 대기 중으로 방출하도록 기능한다. 폭기는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폭기조(8)의 바닥부에 단지 산소함유가스를 공급하면 좋다. 순환여과조 전체(1)의 용적에 차지하는 폭기조(8)의 용적 비율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7)살균장치
폭기조(8)를 통과한 물은 살균장치(9)를 또한 통과한다. 살균장치(9)로서는 해당 수중의 잡균을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오존발생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장치(9)를 통과하여 살균된 물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수펌프(11)에 의해 다시 어개류사육수조(2)로 되돌아간다.
순환여과조(1)의 크기는 기본적으로는 사육어개류로부터 오줌으로 배설되는 암모니아와 똥이나 남은 먹이에 포함되는 단백질이나 함질소 고분자화합물이 세균의 작용에 의해 여러 가지의 분해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무기화되어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총량과, 질화세균에 의해 암모니아로부터 전환되는 아질산, 질산의 총량, 또한 똥이나 남은 먹이에 의해 발생하는 유기물의 총량에 의해 다른 것이 분명하게 되어 있다. 이들의 총량은 수조에서 사육하는 어개류의 밀도와 투여하는 먹이사료의 총량에 따라서 결정된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순환여과조의 한 모양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순환여과조 2: 사육수조
3: 침전· 흡착조 4: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
5: 질화세균배양조 6: 중화조
7: 탈질세균배양조 8: 폭기조
9: 살균장치 10: 산소공급수단
11: 양수펌프 12, 13: 배수관
31: 침전조 32: 흡착조
33: 매트 41: 유기물분해세균부착재
51: 질화세균부착재 61: 염기성고형물
71: 탈질세균부착재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약 0. 9㎥의 해수가 들어있는 약 1㎥의 용적을 갖는 사육수조(2)에서 대하(체중 300∼600g; 꼬리수 25∼28)를 매일 전체 체중 2%의 배합사료를 투여하면서 23∼28℃에서 사육하고, 사육수조(2)로부터 매시 0. 3㎥의 유량으로 배수되는 해수를 약 1㎥의 용적을 가지며 도 2에 나타낸 순환여과조(1)를 사용하여 계속해서 정화한 결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하 약 10㎏을 6개월에 걸쳐서 해수를 교환하는 일없이 98. 5%의 높은 생존율과 46. 3%의 증중율(增重率)로 사육할 수 있었다.
또 사육개시 25일 후의 사육수조(2)의 해수의 pH, 암모니아성질소량 및 질산성질소량은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수의 pH는 8. 0으로 약 알칼리성이 계속해서 유지되어 있고, 암모니아성질소량 및 질산성질소량은 각각 대하의 생존이나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농도가 아닌 0. 15㎎/ℓ, 0. 18㎎/ℓ로 매우 낮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사육수조(2)에서 참돔(체중 5∼20g; 꼬리수 150∼160)을 매일 전체 체중 3∼5%의 배합사료를 투여하면서 23∼28℃에서 사육하고, 사육수조(2)로부터 매시 0. 3㎥의 유량으로 배수되는 해수를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순환여과조를 사용하여 계속해서 정화한 결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참돔 약 10㎏을 6개월에 걸쳐서 해수를 교환하는 일없이 93. 8%의 높은 생존율과 48. 6%의 증중율로 사육할 수 있었다.
또 사육개시 25일 후의 사육수조(2)의 해수의 pH, 암모니아성질소량 및 질산성질소량은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수의 pH는 7. 9로 약 알칼리성이 계속해서 유지되어 있고, 암모니아성질소량 및 질산성질소량은 각각 참돔의 생존이나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농도가 아닌 0. 18㎎/ℓ, 0. 24㎎/ℓ로 매우 낮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있어서, 대하와 참돔의 6개월간의 증중율의 상위는 대하의 성장이 참돔에 비해 원래부터 늦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의 예에 있어서는 침전조에 발생하는 남은 먹이나 똥 등의 침전물을 바닥에 설치된 침전물배수관(16)으로부터 제거할 때나, 매트에 흡착된 기름 성분이나 미세한 남은 먹이를 제거하기 위해 새로운 매트로 교환할 때에 잃어버린 해수는 새로운 해수를 같은 양만큼 그 때마다 보충했다. 또 사육시험 중에 사육수조(2) 및 순환여과조(1)로부터 수분이 증발하거나 또는 해수가 비말했을 때는 해수의 염분농도를 검사한 후에 그만큼의 담수 또는 해수를 보충했다.
(비교예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순환여과조의 사육수 정화능력을 비교검증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단순여과조를 사용했다. 단순여과조는 1㎥의 용적을 가진 플라스틱용기에 우선 입자가 거친 자갈을 깔고, 그 위에 똥이나 남은 먹이를 흡착하는 매트를 3장 겹쳐서 작성했다.
사육수조나 순환여과조의 크기, 사육수조와 순환여과조의 수용 해수량, 사육온도, 사육수조와 순환여과조를 순환하는 해수의 매시간당의 유량, 매일의 배합사료 투여량, 사육밀도는 실시예 1과 같다. 단순여과조의 매트도 똥이나 남은 먹이의 흡착도에 따라서 새로운 매트로 교환했다. 그 결과 사육개시 후 28일만에 모든 대하는 사망했다. 또 사육개시 25일 후의 사육수조(2)의 해수의 pH, 암모니아성질소량 및 질산성질소량은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수의 pH는 6. 0으로 저하하여 있고, 암모니아성질소량 및 질산성질소량도 각각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사용한 단순여과조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똑같이 하여 참돔을 사육했는데, 사육개시 후 32일만에 모든 참돔은 사망했다. 또 사육개시 25일 후의 사육수조(2)의 해수의 pH, 암모니아성질소량 및 질산성질소량은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수의 pH는 5. 8로 저하하여 있고, 암모니아성질소량 및 질산성질소량도 각각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1]
어개류 사육밀도(㎏/㎥) 6개월 사육후의 증중율(%) 6개월 사육후의 생존율(%) pH 암모니아성질소량(㎎/ℓ) 질산성질소량(㎎/ℓ)
실시예 1비교예 1 대하대하 10. 210. 1 46. 3-*1 98. 5-*1 8. 06. 0 0. 152. 97 0. 1824. 2
실시예 2비교예 2 참돔참돔 3. 03. 0 486-*2 93. 8-*2 7. 95. 8 0. 183. 67 0. 2427. 5
(주)
*1 사육개시 28일 후 만에 모두 사망했다.
*2 사육개시 32일 후 만에 모두 사망했다.
상기의 결과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순환여과조를 사용함으로써 고밀도 하에서의 해산어개류의 급이사육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유독한 암모니아의 발생, 또한 질화세균에 의해 암모니아로부터 전환된 질산의 축적 그리고 그것에 동반하여 일어나는 해수의 산성화 문제가 어개류의 생존이나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에까지 해소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순환여과장치는 사육수조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순환여과조에서 정화한 후 다시 원래의 사육수조로 되돌리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6개월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서 어개류를 사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순환여과장치는 해수를 빈번히 바꾸는 것이 곤란한 산간벽지 등에서의 해산어개류의 양식이나 관상용의 수조에서의 해산어개류의 장기사육을 가능하게 하고, 대규모의 육상연못 등에서의 담수어의 양식에도 공헌한다. 또 본 발명의 순환여과장치는 상기와 같이 거의 완전한 폐쇄계의 시스템이기 때문에 음식점이나 어시장 등에서의 활어의 일시보존이나 수송 시 또는 관상용수조에 적용한 경우, 사육수의 교환빈도를 대폭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수질관리에 의해 적용 가능한 어종의 확대나 보존 중의 어개류의 품질 악화, 사망 등에 의한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 효과도 크다.

Claims (2)

  1. 어개류사육수조(2)와 연이어 통하고 있는 순환여과조(1)에 있어서,
    하부로 침전물이 배출되는 침전조(31) 및 매트(32)가 내장된 흡착조(33)로 구성되는 침전·흡착조(3) ;
    유기물분해세균부착재(41)가 충전되어 있고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4);
    질화세균부착재(51)가 충전되어 있고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질화세균배양조(5);
    탄산칼슘 또는 탄산칼륨 또는 그들을 함유하는 고형물(61)이 충전되어 있는 중화조(6);
    질산염환원세균 및 탈질세균부착재(71)가 충전되어 있는 탈질세균배양조(7) ;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폭기조(8);를 구비하고,
    상기 침전·흡착조(3), 상기 유기물분해세균배양조(4), 상기 질화세균배양조(5), 상기 중화조(6), 상기 탈질세균배양조(7) 및 상기 폭기조(8)의 순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사육 순화여과조,
  2. 제 1항에 기재된 어개류사육 순환여과조; 및
    살균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사육 순환여과장치.
KR1019980036108A 1998-09-02 1998-09-02 어개류사육순환여과조및순환여과장치 KR100292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108A KR100292284B1 (ko) 1998-09-02 1998-09-02 어개류사육순환여과조및순환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108A KR100292284B1 (ko) 1998-09-02 1998-09-02 어개류사육순환여과조및순환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04A KR20000018504A (ko) 2000-04-06
KR100292284B1 true KR100292284B1 (ko) 2001-10-26

Family

ID=1954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108A KR100292284B1 (ko) 1998-09-02 1998-09-02 어개류사육순환여과조및순환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40B1 (ko) 2019-10-22 2020-04-21 대한민국 어류전용 바이오플락 슬러지제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2489A (en) * 1979-01-29 1980-08-05 Fuji Kasui Kogyo Kk Removal of phosphorus in waste water
JPH0312286A (ja) * 1989-06-12 1991-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2489A (en) * 1979-01-29 1980-08-05 Fuji Kasui Kogyo Kk Removal of phosphorus in waste water
JPH0312286A (ja) * 1989-06-12 1991-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浄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40B1 (ko) 2019-10-22 2020-04-21 대한민국 어류전용 바이오플락 슬러지제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04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189B2 (en) Aerobic, bioremediation treatment system comprising floating inert media in an aqueous environment
Endut et al. Effect of flow rate on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plant growth of water spinach (Ipomoea aquatica) in an aquaponic recirculating system
Ramli et al. Integration of algae to improve nitrogenous waste management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A review
Honda et al. Nitrogen budget of polychaete Perinereis nuntia vallata fed on the feces of Japanese flounder
US11148965B2 (en) Process for the biological purification of nutrient-contaminated wastewater
CN104521832A (zh) 一种鱼苗、成鱼养殖方法
CN110950436A (zh) 一种海水池塘养殖尾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2103668B1 (ko) 내염성 호기성 그래뉼 슬러지 기반 친환경 순환여과 양식시스템
Effendi et al. Wastewater treatment of freshwater crayfish (Cherax quadricarinatus) culture with lettuce (Lactuca sativa)
JP2002010723A (ja) 魚介類養殖装置
Isara et al. Hydroton-biofloc-based aquaponics (hydrotonflocponics): towards good water quality and macro-micro nutrient
Sirakov et al. Application of natural zeolites and macrophytes for water treatment in recirculation aquaculture systems
RU2721534C1 (ru) Способ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гидробионтов в замкнутых объемах и реализующее его устройство
CN108793646B (zh) 一种景观式生活污水生态处理系统
CN108911146B (zh) 一种生活污水生态处理系统
KR100292284B1 (ko) 어개류사육순환여과조및순환여과장치
KR20200073366A (ko) 고순도 순환여과시스템을 이용한 아쿠아포닉스장치
JP2007307538A (ja) 水中の無機栄養塩類の除去法
JPH11225616A (ja) 魚介類飼育循環瀘過槽及び循環瀘過装置
Suppadit et al. Treatment of effluent from shrimp farms using watermeal (Wolffia arrhiza)
Abeliovich Water pollution and bioremediation by microalgae: Water purification: Algae in wastewater oxidation ponds
Ling et al. Wastewater management in freshwater pond aquaculture in China
KR20230054321A (ko) 수경재배 물에서 미세플라스틱 입자 및 생화학 폐기물 제거를 위한 다단계 바이오필터
JP2695610B2 (ja) 浄化処理済みの畜産排水を利用した魚介類の養殖方法
Ng et al. The role and effectiveness of monoculture and polyculture phytoremediation systems in fish farm waste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