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558B1 -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558B1
KR100290558B1 KR1019970075198A KR19970075198A KR100290558B1 KR 100290558 B1 KR100290558 B1 KR 100290558B1 KR 1019970075198 A KR1019970075198 A KR 1019970075198A KR 19970075198 A KR19970075198 A KR 19970075198A KR 100290558 B1 KR100290558 B1 KR 100290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hannel
state
time switch
test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270A (ko
Inventor
김승민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7007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5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Service observation,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Service observation; Fault circuit;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SS의 종류에 상관없이 타임 스위치내에서 루프백하여 USTA를 시험하여 USTA 자체만의 신호 발생/수신 기능을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운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시험 요구가 있으면 임의의 채널을 테스트 블록 상태로 변경하여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고 타임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신호 장치 프로세서에 채널 시험을 요구하여 시험 결과가 정상이면 해당 채널의 타임스위치를 해제하고 테스트 블록 상태를 해제하여 시험결과를 보고하고, 타임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시험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해당 채널 테스트 블록을 해제하고, 한계치 내에서 채널 상태를 오류블록 상태로 천이시킴으로써, ASS-T에서 USTA 시험시 중계선을 루프백하지 않고 타임 스위치내에서 루프백하여 USTA 자체만의 신호 발생/수신 기능을 점검하여 중계선 루프백 실패에 의한 USTA 채널의 서비스 격리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신호장비가 실장되는 서브시스템의 종류에 상관 없이 신호장비 시험방법이 동일하게 되어 시스템 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에 관한 것으로, 특히 ASS-T(ASS for Trunks, 중계선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에서 신호생성 회로팩(Universal Signalling Transceiver board Assembly, 이하 ″USTA″라 약칭한다) 시험시 중계선을 루프백하지 않고 타임 스위치내에서 루프백하여 USTA를 시험하여 ASS의 종류에 상관없이 USTA 자체만의 신호 발생/수신 기능을 점검함으로써 중계선 루프백 실패에 의한 USTA 채널의 서비스 격리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교환기는 이동체를 대상으로 이동단말기(이동국)를 가지고서 이동하면서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교환시스템이다.
여기서 신호장비의 시험은 가입자의 다이얼링(Dialing) 정보를 수신하는 가입자 신호음 장비(DTMFR, Dual Tone Multi Frequency), T1(Telephone Level 1) 및 CEPT(Conference of European Administrations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 , 유럽 우편·전기통신 주관청회의) 방식 국간 중계선에서의 국간 중계 신호음 장비(R2MFC, R2 Multi-Frequency Compelled), 공통선 신호 방식을 사용하는 국간 중계선에서의 연속성 시험 장비(CCT, Continuity Check Tone), 교환기에서 제공되는 각종 가청 신호음을 송신하는 신호음 장비인 신호생성 회로팩(USTA, Universal Signalling Transceiver board Assembly)를 시험하는 것으로, 운용자 요구에 의한 시험과 일정한 주기로 시스템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자동시험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신호 장비의 시험 방법은 신호 장비가 실장되는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ASS, Access Switching Subsystem)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래서 ASS-S(ASS for Subscriber lines, 가입자 라인에 대한 ASS)와 ASS-M(ASS Mobile)에서의 시험방법은 프론트 정터(Front Junctor, 이하 ″FJ″라 약칭한다)를 이용한 타임 스위치 루프백(Loopback) 방법을 사용한다. ASS-T(Access Switch Subsustem for trunks, 디지털 중계선 수용 서브시스템)에서는 중계선이 T1인 경우는 유휴(IDLE)인 중계선 서브하이웨이의 16번 타임 슬롯을 이용한 루프백 시험을 하고, CEPT 방식의 E1 중계선인 경우는 정상인 임의의 중계선을 루프백하여 신호장비의 시험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ASS-S와 ASS-M에서의 신호장비 시험이 적용되는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고, 가입자 전화 채널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일시저장하고, 클럭을 선택 및 분배하며, 장애를 검출하고 FJ를 포함한 타임슬롯 교환회로팩(TSIA, Time Slot Interchange board Assembly(1)과; TSP(Time Switch Processor, 타임 스위치 프로세서)와 정합기능을 수행하고,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며, 가입자 전화 채널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장애신호를 모니터하고 클럭을 선택하는 제어메모리 및 유지보수 회로팩(CMMA, Control Memory and Maintenance board Assembly)(2)과; 타임스위치의 상태정보와 제어기의 동작상태 등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 레지스터를 포함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 회로팩(USTA, Universal Signalling Transceiver board Assembly)(3)으로 구성되었다.
도2는 종래 ASS-S와 ASS-M에서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시험 요구가 있으면 해당 USTA(3) 채널을 TBLK(Test BLocK, 테스트 블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ST1)(ST2)와; 상기 해당 USTA(3) 채널을 TBLK 상태로 변경한 다음 FJ(Front Junctor) 할당을 요구하고 해당 채널에 대해 TSW(Time Switch,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여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는 단계(ST3 - ST5)와; 상기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LSP(Local Service Processor, 신호 장치 프로세서)에 채널 시험을 요구하여 시험 결과가 정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T6)(ST7)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면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고 TBLK 상태를 해제하며 FJ 할당을 해제하여 시험결과를 보고하는 단계(ST8 - ST10)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는 단계(ST11)와; 상기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TBLK 상태를 해제하고 FJ 할당을 해제하며 한계치 내에서 채널 상태를 FBLK(Fault BLocK, 오류 블록)로 천이시키는 단계(ST12)로 구성되었다.
도3은 종래 T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이 적용되는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T1 루프백을 수행하는 확장 T1 정합 회로팩(ETIA, Extended T1 Interface board Assembly)(4)과;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고, 가입자 전화 채널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PCM 데이터를 일시저장하고, 클럭을 선택 및 분배하며, 장애를 검출하고 FJ를 포함한 타임슬롯 교환회로팩(TSIA)(5)과; TSP와 정합기능을 수행하고,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며, 가입자 전화 채널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장애신호를 모니터하고 클럭을 선택하는 제어메모리 및 유지보수 회로팩(CMMA)(6)과; 타임스위치의 상태정보와 제어기의 동작상태 등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 레지스터를 포함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 회로팩(USTA)(7)으로 구성되었다.
도4는 종래 T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시험 요구가 있으면 해당 USTA(7) 채널을 TBLK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ST21)(ST22)와; 상기 해당 USTA(7) 채널을 TBLK 상태로 변경한 다음 유휴(IDLE)인 중계선 링크의 16번 타임 슬롯을 시험용으로 할당하고 해당 USTA(7) 채널에 대해 TSW 연결을 요구하여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는 단계(ST23 - ST25)와; 상기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LSP에 채널 시험을 요구하여 시험 결과가 정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T26)(ST27)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면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고 TBLK 상태를 해제하며 중계선 할당을 해제하여 시험결과를 보고하는 단계(ST28 - ST30)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는 단계(ST31)와; 상기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시험결과가 비정상이면 TBLK 상태를 해제하고 중계선 할당을 해제하며 한계치 내에서 채널 상태를 FBLK로 천이시키는 단계(ST32)로 구성되었다.
도5는 종래 E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이 적용되는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CEPT 루프백을 수행하는 확장 CEPT 정합 회로팩(ECIA, Extended CEPT Interface board Assembly)(8)과; 상기 확장 CEPT 정합 회로팩(8)과 연결되어 디지털 CEPT 정합을 수행하는 디지털 CEPT 정합 프로세서(DCIP, Digital CEPT Interface Processor)(9)와;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고, 가입자 전화 채널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PCM 데이터를 일시저장하고, 클럭을 선택 및 분배하며, 장애를 검출하고 FJ를 포함한 타임슬롯 교환회로팩(TSIA)(10)과; TSP와 정합기능을 수행하고,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며, 가입자 전화 채널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장애신호를 모니터하고 클럭을 선택하는 제어메모리 및 유지보수 회로팩(CMMA)(11)과; 타임스위치의 상태정보와 제어기의 동작상태 등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 레지스터를 포함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 회로팩(USTA)(12)으로 구성되었다.
도6은 종래 E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시험 요구가 있으면 해당 USTA(12) 채널을 TBLK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ST41)(ST42)와; 상기 해당 USTA(12) 채널을 TBLK 상태로 변경한 다음 유휴(IDLE)인 중계선을 검색하여 TBLK 상태로 변경한 후 중계선 루프백을 요구하여 중계선 루프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는 단계(ST43)(ST44)와; 상기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USTA(12) 채널에 대해 루프백된 중계선과 TSW 연결을 요구하여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는 단계(ST45)(ST46)와; 상기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LSP에 채널 시험을 요구하여 시험 결과가 정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T47)(ST48)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면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고 USTA(12)의 TBLK 상태를 해제하며 중계선 루프백을 해제하고 중계선 TBLK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ST49)(ST50)와; 상기 중계선 루프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USTA(12) TBLK 상태를 해제하고 한계치 내에서 USTA(12) 채널상태를 FBLK로 천이하는 단계(ST51)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해제하는 단계(ST52)와; 상기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시험결과가 비정상이면 USTA(12)의 TBLK 상태를 해제하고 중계선 루프백을 해제하며 중계선의 TBLK 상태를 해제하고 한계치 내에서 채널 상태를 FBLK로 천이시켜 시험결과를 보고하는 단계(ST53)(ST54)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ASS-S와 ASS-M에서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설명해보자.
만약 운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시험 요구가 있으면 해당 USTA(3) 채널을 TBLK 상태로 변경한 다음(ST1)(ST2), FJ 할당을 요구하고 해당 채널에 대해 TSW 연결을 요구하여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게 된다(ST3 - ST5). 그래서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LSP에 채널 시험을 요구하여 시험 결과가 정상인가를 판별한다(ST6)(ST7).
이러한 시험 결과가 정상이면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고 TBLK 상태를 해제하며 FJ 할당을 해제하여 시험결과를 보고하고(ST8 - ST10), 시험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게 된다(ST11). 그리고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였으면 TBLK 상태를 해제하고 FJ 할당을 해제하며 한계치 내에서 채널 상태를 FBLK로 천이시키도록 동작하였다(ST12).
한편 종래의 T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시험 요구가 있으면 해당 USTA(7) 채널을 TBLK 상태로 변경한다(ST21)(ST22). 그리고 유휴인 중계선 링크의 16번 타임 슬롯을 시험용으로 할당하고 해당 USTA(7) 채널에 대해 TSW 연결을 요구하여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한다(ST23 - ST25).
이에 따라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LSP에 채널 시험을 요구하여 시험 결과가 정상인가를 판별하게 된다(ST26)(ST27). 그래서 시험 결과가 정상이면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고 TBLK 상태를 해제하며 중계선 할당을 해제하여 시험결과를 보고하고(ST28 - ST30), 시험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게 된다(ST31). 그리고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였으면 TBLK 상태를 해제하고 중계선 할당을 해제하며 한계치 내에서 채널 상태를 FBLK로 천이시키도록 동작하였다(ST32).
또한 종래 E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시험 요구가 있으면 해당 USTA(12) 채널을 TBLK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ST41)(ST42). 그리고 유휴인 중계선을 검색하여 TBLK 상태로 변경한 후 중계선 루프백을 요구하여 중계선 루프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게 된다(ST43)(ST44).
그래서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USTA(12) 채널에 대해 루프백된 중계선과 TSW 연결을 요구하여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게 된다(ST45)(ST46). 이에 따라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LSP에 채널 시험을 요구하여 시험 결과가 정상인가를 판별하게 된다(ST47)(ST48). 그래서 시험 결과가 정상이면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고 USTA(12)의 TBLK 상태를 해제하며 중계선 루프백을 해제하고 중계선 TBLK 상태를 해제하고(ST49)(ST50), 중계선 루프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USTA(12) TBLK 상태를 해제하고 한계치 내에서 USTA(12) 채널상태를 FBLK로 천이하게 된다(ST51).
그리고 시험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며(ST52), TSW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해당 채널 TSW를 해제하였으면 USTA(12)의 TBLK 상태를 해제하고 중계선 루프백을 해제하며 중계선의 TBLK 상태를 해제하고 한계치 내에서 채널 상태를 FBLK로 천이시켜 시험결과를 보고하도록 동작하였다(ST53)(ST54).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각 신호장비가 실장되는 서브시스템마다 시험방법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운용자가 시스템을 운용하는 데 있어 혼돈의 여지가 있게 된다.
또한 FJ가 없거나 T1 중계선이 실장되어 있는 경우는 디바이스(ETIA, TSIA)가 정상이면 USTA 경로 시험시 별다른 이상이 없이 진행될 수 있지만, E1 중계선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ASS-T는 하위 프로세서인 DCIP에서 임의의 유휴 중계선 채널을 루프백해야만 USTA 시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임의의 중계선을 루프백하지 못하면 USTA 시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해당 USTA 채널을 서비스에서 제외시키게 되었다. 즉, USTA가 비정상 상태라면 이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중계선에 이상이 있어 USTA의 시험이 불량이하면 비정상적인 중계선을 서비스에서 제외시켜야 하는데 이와는 무관한 USTA 채널을 서비스에서 제외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USTA 시험은 정상적인 USTA 자원을 중계선 불량으로 인해 서비스에서 격리할 가능성이 있으며, 비정상 시험 결과에 따라 운용자가 조치를 취할 때 중계선을 점검하는 대신 USTA를 점검하게 되는 판단오류를 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ASS의 종류에 상관없이 타임 스위치내에서 루프백하여 USTA를 시험하여 ASS의 종류에 상관없이 USTA 자체만의 신호 발생/수신 기능을 점검함으로써 중계선 루프백 실패에 의한 USTA 채널의 서비스 격리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은,
운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시험 요구가 있으면 임의의 채널을 테스트 블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채널을 테스트 블록 상태로 변경한 다음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여 타임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타임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신호 장치 프로세서에 채널 시험을 요구하여 시험 결과가 정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면 해당 채널의 타임스위치를 해제하고 테스트 블록 상태를 해제하여 시험결과를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해당 채널의 타임 스위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타임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시험결과가 비정상이면 테스트 블록 상태를 해제하고 한계치 내에서 채널 상태를 오류블록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ASS-S와 ASS-M에서의 신호장비 시험이 적용되는 블록도,
도 2는 종래 ASS-S와 ASS-M에서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종래 T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이 적용되는 블록도,
도 4는 종래 T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종래 E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이 적용되는 블록도,
도 6은 종래 E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장비 시험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타임스위치 및 유지보수 회로팩
22: 다중화/역다중화 회로팩
23: 신호생성 회로팩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장비 시험의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스위치를 실장하고 시스템의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타임스위치 및 유지보수 회로팩(TSMA, Time Switch and Maintenance board Assembly)(21)과; 시스템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다중화/역다중화 회로팩(MDCA,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Circuit board Assembly)(22)과; 타임스위치의 상태정보와 제어기의 동작상태 등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 레지스터를 포함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 회로팩(USTA)(23)으로 구성된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시험 요구가 있으면 임의의 채널을 테스트 블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ST101)(ST102)와; 상기 임의의 채널을 테스트 블록 상태로 변경한 다음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여 타임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는 단계(ST103)(ST104)와; 상기 타임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신호 장치 프로세서에 채널 시험을 요구하여 시험 결과가 정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ST105)(ST106)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면 해당 채널의 타임스위치를 해제하고 테스트 블록 상태를 해제하여 시험결과를 보고하는 단계(ST107 - ST109)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해당 채널의 타임스위치연결을 해제하는 단계(ST110)와; 상기 타임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시험결과가 비정상이면 테스트 블록 상태를 해제하고 한계치 내에서 채널 상태를 오류블록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ST11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량형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ASS-T에서 USTA(23)의 시험시 중계선을 루프백하지 않고, 타임 스위치 내에서 루프백하여 USTA(23) 시험을 함으로써 오로지 USTA(23) 자체의 신호 발생/수신 기능을 점검하도록 하여 중계선 루프백 실패에 의한 USTA(23) 채널의 서비스 격리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운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시험 요구가 있으면 임의의 채널을 테스트 블록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ST101)(ST102).
이처럼 임의의 채널을 테스트 블록 상태로 변경한 다음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여 타임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한다(ST103)(ST104).
그래서 타임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신호 장치 프로세서(LSP)에 채널 시험을 요구하여 시험 결과가 정상인가를 판별하게 된다(ST105)(ST106),
그리고 시험 결과가 정상이면 해당 채널의 타임스위치를 해제하고 테스트 블록 상태를 해제하여 시험결과를 보고하게 된다(ST107 - ST109).
한편 시험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해당 채널의 타임스위치 연결을 해제하게 된다(ST110). 그리고 타임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시험결과가 비정상이면 테스트 블록 상태를 해제하고 한계치 내에서 채널 상태를 오류블록 상태로 천이시키게 되는 것이다(ST111).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시험 방법은 신호장비가 실장되는 서브시스템의 종류에 상관 없이 ASS-S와 ASS-M, 그리고 T1 루프백인 ASS-T와 E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이 동일하게 되어 시스템 운용 또한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ASS-T에서 USTA 시험시 중계선을 루프백하지 않고 타임 스위치내에서 루프백하여 USTA를 시험하여 ASS의 종류에 상관없이 USTA 자체만의 신호 발생/수신 기능을 점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은 ASS-T에서 USTA 시험시 중계선을 루프백하지 않고 타임 스위치내에서 루프백하여 USTA를 시험하여 ASS의 종류에 상관없이 USTA 자체만의 신호 발생/수신 기능을 점검함으로써 중계선 루프백 실패에 의한 USTA 채널의 서비스 격리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장비가 실장되는 서브시스템의 종류에 상관 없이 ASS-S와 ASS-M, 그리고 T1 루프백인 ASS-T와 E1 루프백인 ASS-T에서의 신호장비 시험방법이 동일하게 되어 시스템 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1)

  1. 운용자의 요구 또는 자동 시험 요구가 있으면 임의의 채널을 테스트 블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의 채널을 테스트 블록 상태로 변경한 다음 타임 스위치 연결을 요구하여 타임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타임 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신호 장치 프로세서에 채널 시험을 요구하여 시험 결과가 정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면 해당 채널의 타임스위치를 해제하고 테스트 블록 상태를 해제하여 시험결과를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시험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해당 채널의 타임스위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타임스위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시험결과가 비정상이면 테스트 블록 상태를 해제하고 한계치 내에서 채널 상태를 오류블록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
KR1019970075198A 1997-12-26 1997-12-26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 KR100290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198A KR100290558B1 (ko) 1997-12-26 1997-12-26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198A KR100290558B1 (ko) 1997-12-26 1997-12-26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270A KR19990055270A (ko) 1999-07-15
KR100290558B1 true KR100290558B1 (ko) 2001-06-01

Family

ID=3752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198A KR100290558B1 (ko) 1997-12-26 1997-12-26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37B1 (ko) * 1999-12-24 2002-03-16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의 가입자 라인 및 신호 장비 경로테스트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576B1 (ko) * 2001-12-28 2004-07-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험용 패킷 생성기를 내장한 네트워크 프로세서 및 이를이용한 패킷경로 시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37B1 (ko) * 1999-12-24 2002-03-16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의 가입자 라인 및 신호 장비 경로테스트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270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76405C (en) Loop-back test system using a suppressed ringing connection
US5579370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US5361293A (en) Line/drop testing from a craft terminal using test unit
US6370232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ensuring emergency communication
CA22787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operation of universal voice grade cards
KR100290558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장비 시험방법
US4653043A (en) Pre-cutover verification of switching system subscriber lines served via digital carrier facilities
CN109787814B (zh) 一种通信故障的定位方法、系统及终端
KR100610843B1 (ko) 교환기간 중계선 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0139725B1 (ko)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회로에 대한 자동시험 방법
US6762998B1 (en) Access network system
KR100300845B1 (ko) 이동통신교환기의넘버.7신호링크점검방법
KR960009466B1 (ko) Tdx-ib isdn 시스템의 isdn 기본접속 가입자 보드에 대한 시험방식
JPS60117858A (ja) 導通試験方式
JP3102728B2 (ja) 回線試験制御方法
JP3497869B2 (ja) トーン発生回路の送出データ試験回路
KR0183142B1 (ko) 알투 국간 중계선의 자동 시험 방법
KR20000001063A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보코더 성능 시험 방법
KR0124184B1 (ko) 종합정보통신망용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기본 가입자회로팩 시험장치
KR100290661B1 (ko) 전전자교환기의 통화경로시험방법
KR100600948B1 (ko) 아날로그 가입자 시험 장치와 교환기 자원을 이용한디지털 가입자 시험 구현 방법
Campbell et al. Maintenance Operations for the Circuit-Switched Digital Capability
JPH09116937A (ja) 構内交換機の回線系インタフェース
KR100366541B1 (ko) 이동통신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ass-t 구간별 신호링크경로 테스트 방법
KR100731474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피씨엠 전송 구간의 유지보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