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132B1 - 창문형공조기기 - Google Patents

창문형공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132B1
KR100289132B1 KR1019980027350A KR19980027350A KR100289132B1 KR 100289132 B1 KR100289132 B1 KR 100289132B1 KR 1019980027350 A KR1019980027350 A KR 1019980027350A KR 19980027350 A KR19980027350 A KR 19980027350A KR 100289132 B1 KR100289132 B1 KR 100289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main body
frame
air conditioner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828A (ko
Inventor
김재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7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1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2Adjustable mountings
    • A47H1/124Adjustable mountings for curtain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측면이 결합되는 주름판상의 커튼과, 상기 커튼을 수용하는 커튼프레임을 갖는 창문형 공조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커튼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에 대해 가로로 상기 본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따라 출입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부와; 상기 가로프레임부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프레임부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세로프레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커튼프레임을 조립가능하게 하여 높이가 다른 본체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형 공조기기
본 발명은, 창문형 공조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프레임을 조립가능하게 하여 높이가 다른 본체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창문형 공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창문형 공조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커튼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창문형 공조기기는 실외에 노출되는 후방케이싱(105)과, 실내에 노출되는 전방케이싱(103)으로 이루어진 본체(101)를 가지며, 이들 케이싱내에는 냉동기기들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케이싱(103)과 후방케이싱(101) 사이에는 본체(101)를 창문에 설치할 경우, 창문폭과 본체(101)폭 차이에 의해 생긴 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단부재(107)가 설치되어 있다.
차단부재(107)는 본체(101)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주름형상의 커튼(109)과, 커튼(109)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본체(101)의 상측 및 하측면에 조립되는 커튼프레임(111)을 가진다.
커튼프레임(111)은 커튼프레임(111)의 높이를 결정하며, 커튼(109)이 일측이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세로프레임(113)과, 세로프레임(113)의 양단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커튼(109)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ㄷ'자 형상의 가로프레임(115)을 가진다.
커튼프레임(111)의 세로프레임(113)에 결합되는 커튼(109)의 일측 자유단부에는 복수의 내향후크(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내향후크(130)와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세로프레임(113)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창문형 공조기기를 설치할 때, 본체(101)를 창문턱에 안착한 후, 커튼(109)이 조립된 커튼프레임(111)을 본체(101)의 전후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삽입한다. 본체(101)에 삽입된 커튼프레임(111)내에 수용된 커튼(109)을 본체(101)의 양측면을 향해 슬라이딩시킨 다음, 커튼(109)의 일측을 본체(101)의 양측면에 조립하여 본체(101)의 폭과 창문폭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빈공간을 차단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창문형 공조기기에 있어서, 창문형 공조기기의 본체 높이가 다른 경우 이에 결합되는 커튼프레임의 높이 또한 변경되어야함에 따라 각 공조기기의 본체 높이에 맞는 커튼프레임의 제작에 따른 비용투자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프레임을 조립가능하게 하여 높이가 다른 본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창문형 공조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조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튼프레임 결합부위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튼과 커튼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창문형 공조기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커튼과 커튼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전방케이싱
5 : 후방케이싱 7 : 차단부재
9 : 커튼 11 : 커튼프레임
13 : 세로프레임 15 : 가로프레임
17 : 결합부 19 : 멈춤돌기
21 : 멈춤공 23 : 걸림돌기
25 : 내향후크 27 : 물림돌기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측면이 결합되는 주름판상의 커튼과, 상기 커튼을 수용하는 커튼프레임을 갖는 창문형 공조기기에 있어서, 상기 커튼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에 대해 가로로 상기 본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따라 출입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부와; 상기 가로프레임부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프레임부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세로프레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조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프레임부와 상기 세로프레임부중 어느 일측에는 상호 맞물림조립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로프레임부의 자유단부에 상기 세로프레임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세로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부가 상기 세로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에는 멈춤돌기가 외향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프레임부에는 상기 멈춤돌기를 수용하는 멈춤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상기 가로프레임부가 상기 세로프레임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프레임부의 결합부에는 걸림돌기가 외향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프레임부의 수용부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하는 내향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튼의 자유단부영역에는 상기 세로프레임부의 내향후크에 맞물림조립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물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조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커튼프레임 결합부위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커튼과 커튼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조기기는 종래의 창문형 공조기기와 마찬가지로 실외에 노출되는 후방케이싱(5)과, 실내에 노출되는 전방케이싱(3)으로 이루어진 본체(1)를 가지며, 이들 케이싱내부에는 냉동기기들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케이싱(3)과 후방케이싱(5) 사이에는 본체(1)를 창문에 설치할 때, 창문폭과 본체(1)의 폭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여유공간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차단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차단부재(7)는 본체(1)의 양측면에 고정되어 폭방향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형상의 커튼(9)과, 커튼(9)의 자유단부를 고정하며, 커튼(9)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커튼프레임(11)을 가진다.
한편, 커튼프레임(11)은 본체(1)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본체(1)의 전후방향에 대해 가로로 슬라이딩 출입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15)과, 본체(1)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가로프레임(15)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가로프레임(15)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세로프레임(13)을 가진다.
세로프레임(13)을 향해 절곡된 'ㄷ'자 형상의 가로프레임(15)의 자유단부에는 결합부(17)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프레임(15)의 결합부(17)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세로프레임(13)도 역시 'ㄷ'자 형상으로 압출성형되어 있다.
세로프레임(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프레임(15)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로프레임(15)의 결합부(17)에는 멈춤돌기(19)가 외향돌출되어 있으며, 세로프레임(13)에는 멈춤돌기(19)를 수용하는 멈춤공(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로프레임(15)이 세로프레임(13)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로프레임(15)의 결합부(17)에는 멈춤돌기(19)로부터 소정 이격된 거리에 걸림돌기(23)가 외향돌출되어 있으며, 세로프레임(13)에는 걸림돌기(23)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향후크(25)가 세로프레임(13)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체(1)의 측면에 고정되는 커튼(9)의 자유단부에는 세로프레임(13)의 내향후크(25)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물림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세로프레임(13)의 내향후크(25)에 가로프레임(15)의 걸림돌기(23)를 삽입하여 가로프레임(15)을 세로프레임(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킨 후, 가로프레임(15)의 멈춤돌기(19)를 세로프레임(13)의 멈춤공(21)에 삽입고정시켜 커튼프레임(11)을 완성한다. 조립된 커튼프레임(11)의 가로프레임(15) 내측을 따라 커튼(9)을 슬라이딩 수용한 다음, 세로프레임(13)의 내향후크(23)에 커튼(9)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물림돌기(27)를 맞물림결합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가진 본체(1)에 커튼프레임(11)을 설치할 때, 높이에 따라 압출성형된 세로프레임(13)을 적당하게 절단하여 커튼프레임(11)을 조립함에 따라 많은 제작비를 투자하지 않고 용이하게 본체(1)에 커튼프레임(11)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커튼프레임을 조립가능하게 하여 높이가 다른 본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창문형 공조기기가 제공된다.

Claims (5)

  1. 전방케이싱과 후방케이싱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측면이 결합되는 주름판상의 커튼과, 상기 커튼을 수용하는 커튼프레임을 갖는 창문형 공조기기에 있어서, 상기 커튼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전방케이싱 및 후방케이싱 사이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따라 출입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부와, 상기 한 쌍의 가로프레임부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프레임부의 자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세로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프레임부와 상기 세로프레임부중 어느 일측에는 상호 맞물림조립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조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로프레임부의 자유단부에 상기 세로프레임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세로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조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부가 상기 세로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에는 멈춤돌기가 외향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프레임부에는 상기 멈춤돌기를 수용하는 멈춤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조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부가 상기 세로프레임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프레임부의 결합부에는 걸림돌기가 외향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프레임부의 수용부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하는 내향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조기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의 자유단부영역에는 상기 세로프레임부의 내향후크에 맞물림조립 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물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조기기.
KR1019980027350A 1998-07-07 1998-07-07 창문형공조기기 KR100289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350A KR100289132B1 (ko) 1998-07-07 1998-07-07 창문형공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350A KR100289132B1 (ko) 1998-07-07 1998-07-07 창문형공조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828A KR20000007828A (ko) 2000-02-07
KR100289132B1 true KR100289132B1 (ko) 2001-10-27

Family

ID=1954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350A KR100289132B1 (ko) 1998-07-07 1998-07-07 창문형공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1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828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116A (en) Modular shutter assembly
US5295903A (en) Side curtain assembly for air conditioning unit
US6066041A (en) Air filter inlet and positioning guide for an air conditioner
US5687063A (en) Subrack for electronic modules
JPH11234851A (ja) 電気接続箱
EP0633639A1 (en) Device for adapting an electrical mechanism to a raceway means for electrical conductors
KR19980032561A (ko) 클린 룸 커버,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천정
KR100289132B1 (ko) 창문형공조기기
CN109827315B (zh) 面板组件和空气处理设备
JP3216698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1341517A (ja) 自動車用空調装置用ケーシング
CN216921780U (zh) 门板连接结构、设备外壳及维护系统
CN215062469U (zh) 一种窗式空调器
KR200496111Y1 (ko) 가구용 환기구
KR0134058Y1 (ko) 스마트 카드 케이스의 장착구조
CN117545952A (zh) 车辆座椅轨道位置传感器组件
JP3849284B2 (ja) 空気調和機のエアフィルタ取付構造
KR20040021351A (ko) 제습기의 수조 장착구조
JP3447554B2 (ja) 断熱箱体の仕切枠装着構造
JP2754456B2 (ja) 内障子召し合せ框補強部の小口閉塞部材取付構造
JP2584651Y2 (ja) 建物開口部における方立と横枠との接続装置
KR200186560Y1 (ko) 커튼프레임을갖는창문형공조기기
JPH11237115A (ja) 空気調和機のエアフィルタ取付構造
JP2023082757A (ja) 建具
KR100871496B1 (ko) 공기조화기의 사이드 커버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