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308B1 - 입자체로부터 석유오염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입자체로부터 석유오염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308B1
KR100288308B1 KR1019950703566A KR19950703566A KR100288308B1 KR 100288308 B1 KR100288308 B1 KR 100288308B1 KR 1019950703566 A KR1019950703566 A KR 1019950703566A KR 19950703566 A KR19950703566 A KR 19950703566A KR 100288308 B1 KR100288308 B1 KR 10028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etroleum
particles comprise
contaminants
petroleum contami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안스탠리 리플리
앤토니휴 니드햄
Original Assignee
밀튼브레텐
그레이트이스트런(버뮤다)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73097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883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밀튼브레텐, 그레이트이스트런(버뮤다)엘티디 filed Critical 밀튼브레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2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by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6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therm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i) 고온 가스에 부유된 토로이달 유동층(1)에서 오염 입자의 휘발 및/또는 (ii) 고온 가스(고온 연소 생성가스 예를 들어 CO2, CO, H2O, 비소비 하이드로르베드카본, 다양한 비율로)에 부유된 토로이달 유동층(1)에서 오염 입자의 추출을 포함하는 입자로부터의 석유 오염물 분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석유 오염물의 분리는 1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0.5 보다 작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보다 작은 오염물을 포함하는 고형물을 얻는 것이다. 이 방법은 충분히 석유제거를 가능하게 하여, 고형물이 매립지에 직접 매립되는데에 적당하게 하여 고형물에서 비석유 환경 오염물질이 제거되게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입자체로부터 석유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발명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석유 오염물의 솔벤트를 포함하는 고온 가스 흐름에 부유하는 토로이달 유동층에서 오염입자를 증기화 또는 추출에 의해 석유 오염입자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폐유는 인간이 지구상에서 가하고 있는 대부분의 환경문제중 하나를 이루고 있다. 가장 불쾌한 형태중의 하나가 고형 입자인 석유 오염원이다. 이 고형입자는 규산질 물질(예를 들어, 모래, 바위등), 탄소질 물질, 점토질, 점토질 포함 물질, 녹슨 조각에서 생긴 철 함유량이 높은 덩어리 물질등에 걸친 많은 조성물에서 생긴다. 유럽, 스코틀랜드 및 미국 해안상의 탱크에 의한 최근의 오일 누출은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하고 있다. 석유가 함유된 고형물들은 싱가포르에서 바레인 미국에 걸친 전세계적으로 산재해 있다. 육지 또는 바다상의 누출로부터 폐유 또는 피치랜드 침전물, 석유 저장탱크에 발생된 흑유 잔애물, 천연유 또는 아스팔트 침전물 등 각 경우에, 고형물로부터 석유 오염물을 제거하는 작업은 비용이 과다하게 들어 이제까지 비효율적이었다. 미립자 물질에 침전되어 있는 석유는 미립자의 더 큰 표면 영역에 의한 큰 점성과 낮은 비등성분으로 침전된 석유로부터의 증발화에 의해 더 큰 점성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이렇게 침전된 석유가 가열시 더 큰 점성 더 큰 정도의 점착도를 나타내므로 입자의 열처리로 도로 건설시 아스팔트 같이 용해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형물에서 석유를 제거하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가장 바람직한 시도로는 오염된 고형물을 필터링하여 석유를 용이하게 분리되게한 다음에 이 고형물을 소각하여 필터링으로 분리되지 않은 잔여의 석유를 제거하는 것이다. 필터링은 석유의 삼분의 일이 입자 사이의 틈새에 보유되어 있기 때문에 석유를 분리하는데에 비교적 비효과적이다. 이 고형물에 의해 보유된 석유를 제거하는 다른 기술은 폐유를 원심분리, 디캔팅 또는 하이드로 분리하고 이 공정에서 분리된 생성물을 나타내는 석유 함유 고형물을 집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에 고형물은 매립지에 모여지거나 소각된다. 매립지에 모이게 하면 나머지 석유가 곤충 및 동물의 생활에 미치는 악영향, 즉 지하수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 금지되고 있다. 폐유소각은 비경제적이거나 NOx, SOx및 중금속 방출처리의 필요 때문에 환경학상 이용되고 있지 않다. 특히, 필터링, 원심분리 및 디켄데이션에 의한 처리후에 고형물의 석유 함유량은 고형물 중량의 4∼10% 보다 더 높게 될 수 있다. 이런 수준의 불순물로는, 고형물이 매립지에 대해 환경학상 안정하지 않다. 따라서, 이런 매립을 방지하는 법률이 많은 나라에서 재정되고 있다.
폐유처리를 위한 많은 공정들은 잔여의 폐유 함유량을 포함하는 고형물을 적용에 적당한 형태로 축적시키기 위한 최종 브리킷팅 기법을 이용한다. 이 기법은 브리킷을 구성재료로 이용하고 있다. 이것은 단지 환경학적인 문제를 늦출뿐이지 제거시킬 수 없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은 브리킷을 파괴하고 결국 보유된 석유가 지구상으로 나오게 된다.
엔지니어가 석유 잔여물 제거를 위해 고형물을 세정하는데 있어 직면하게 되는 문제중 하나는 고형물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조건하에서 석유의 점착성을 없애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석유를 용해시켜 이것을 표면에서 떨어지게 할 수 있지만, 석유 농도를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데에는 표면의 반복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소비가 많다. 또한 이 입자를 유동층의 고온 가스에 노출시키기 쉽게 된다. 그러나, 이 유동층을 적용하게 되면 유동층으로부터 집합입자를 떨어뜨리게 하는 입자 집합체가 되기 쉽다. 따라서 고온 가스의 흐름에 의해 석유가 함유된 입자층의 유체화로, 먼저 이 층에서 다른 입자에 점착할 수 있는 정도로 입자에 둘러싸인 석유를 유연하게 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 점착은 질량이 증가된 입자의 집합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들은 유동층으로부터 침전된다. 이들이 유동층으로부터 일단 제거되면, 유동층에 공급된 고온 가스에 의해 더 이상 처리 불가능하다. 유동층이 너무 많이 집합화 될 때, 유동층은 깨져 유동화가 중단된다. 집합화 된 입자는 비교적 더 작은 원입자보다 더 처리하기 어렵게 된다.
고형물로부터 석유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고형물이 지하수 오염이나 다른 형태의 환경문제를 형성할 염려없이 매립지에 안전하게 침전될 수 있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 적용방법은 고형물의 잔류석유를 유용한 연료형태로 분리하여 성취한다. 본 발명의 특성은 1984. 10. 30로 특허된 도슨의 미국 특허 4,479,920에서 기술된 장치에서 성취되는 토로이달 유동층에서 이 오염 고형물을 처리하는 것이다. 토로이달 유동층에서 처리되는 석유입자는 유동층에서 성취가능한 집합체 종류가 되지 않는다. "토르베드공정"으로 불리는 이 특허에서 채용되는 기술은 영국, 런던, 데이비 맥키사에 의해 허영되고 있다. 토르베드고정은 많은 적용분야에서 채용되고 있다(Gtoszek, "Th Torbed Process : A Norel Concept in Heat and Mass Tran International Deep Mining Conference : Innovations in Metallu Plant, Johannesbarg, SAIMM, 1990 and product brochure) :
·점토 및 석회, 마그네사이트 및 돌로마이트를 소각으로 "데드-번트"와 고반응성 생성물을 생성 ;
·탄소 연소물이 99% 초과하는 저 칼로리치/고 재함유 연료의 연소 ;
·점토의 연소 및 "블로팅"을 통해 경량의 생성물 집합화 ;
·독성 폐기물 소각 ;
·활성화탄소 재생 ;
·촉매제 재생 ;
·모래, 필터 케이크의 건조, 농축 ;
·증기화 ;
·가스화 ;
·열분해 ;
·열전송 ;
토르베드공정의 이점은 :
(a) 지지매체 유량과 "유동화" 속도의 결합이 성취된다 :
(b) 높은 열 전달률이 처리가스 흐름의 높은 충돌속도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
(c) 지지매체의 속도 분산으로 넓은 범위의 재료를 처리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
(d) 불규칙현상이 제어 조건하에서 처리될 수 있다 :
(e) 유동층의 저 질량 및 열관성이 공정제어에 신속히 응답하게 한다 :
(f) 토로이달 유동층 양단의 정압 손실이 낮다 :
토르베드고정을 다루는 다른 특허로는 : 미국 4,559,719 ; 미국 4,909,811 ; 미국 4,952,140 ; 미국 5,033,205 ; 유럽특허 공개 0 346 004 및 미국 5,075,981이 있다. 이 장치들의 설명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작업을 다루고 있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미립자로부터 석유 오염물을 (ⅰ) 고온 가스에 부유된 토로이달 유동층의 오염입자 증발화, (ⅱ) 석유 오염물에 대한 솔벤트를 포함하는 고온 가스(고온 연소 생성 가스 같은, 예를 들면 CO2, CO, H2O, 비소비 하이드로카본의 혼합물)에 부유된 토로이달 유동층에서의 오염입자의 추출, (ⅲ) (ⅰ)과 (ⅱ)의 조합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성은 석유 오염물의 분리로 석유 오염물이 1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로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을 성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고형물에 비석유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고형물이 매립지에 직접 매립되는데에 적당하게 하는 석유제거방법이다.
석유 함유 고형 입자는 유동화 될 수 없는 더 큰 입자로 집합화 되지 않고 유동형 유동층으로 처리될 수 있다. 점착형 입자는 유동층의 유동이 토로이달영역내에서 횡단벡터 및 수직벡터를 결합시킨 가스의 흐름을 포함하고 입자에 침전된 석유가 다른 정도의 휘발성을 갖는 성분을 가지고 있을 때 집합화 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유동화될 수 있다. 이들 벡터의 조합 및 입자의 침전된 석유의 휘발성은 비교적 높은 가스 속도를 가능하게 하여 입자는 그들 사이의 충돌로 버핏되고 토로이달영역은 입자의 표면상에 용해되게 된다. 유동층의 형상 즉, 유동층이 위치된 영역, 즉 토로이달영역내에서 입자의 보존 형상은 전형적인 유동층 동작시 상류측 가스 속도와 비교하여 높은 속도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두 벡터의 조합과 토로이달 경로를 형성하는 벽은 유동층에서의 교란 및 충돌을 야기하여 입자가 집합화 과정중 제 1단계에서 집합화 될 때마다 전체 전단기구를 유도하게 하고, 이 전단력은 집합화가 형성되지 않게 하여 유동층 동작을 양호하게 한다. 이 동작을 돕는 것은 휘발성이 다양한 석유 성분으로부터 도래된 입자에 석유가 동시에 용해되는 것이다. 유체화된 입자가 이들을 둘러싸 부유시키는 고온 가스내에 놓이는 결과, 가스 온도는 석유 성분의 일부를 용해시켜 입자에 침전된 다른 석유 성분을 용해시킨다. 이 용해는 입자에 침전된 모든 석유의 휘발을 촉진시키고, 이렇게 침전된 석유는 입자의 표면을 휩쓰는 고속의 가스에 의해 고형 입자들로부터 용이하게 추출된다. 이 유동층내의 교란과 결합된 이 내부 용해는 석유 오염물질이 입자면에서 효과적으로 추출되게 한다.
입자에서 석유 함유량이 제거되면, 입자는 더 가벼워져 유동층상에 놓이게 된다. 이 공정은 유동층내에서 느슨한 성층구조를 형성하여 중입자가 유동층의 저부에서 굴러다니며 경입자는 유동층의 상부에서 부유하게 한다. 유동층의 상부의 입자는 토로이달영역과 별개인 세정 입자 회수영역에 포획된다. 토로이달영역을 떠나 유동층에 공급된 가스는 석유 증기와 함께 석유와 가스 성분의 회수를 위해 기체-액체 분리영역을 통과한다. 후자는 토로이달영역으로 회수될 수 있다.
이 공정은 유동층의 상부에 석유 함유 입자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연속공정이다. 유동층의 상부에 입자를 일정하게 공급하여 유동층의 동작을 일정하게 하여 서지를 방지한다. 따라서, 입자중 중입자는 유동층으로 하강하고 경입자는 유동층의 상부로 올라간다. 경입자는 집합분리가 발생하는 정도로 유동층에 공급된 석유 함유 입자에 의해 포획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입자 또는 증기에 대한 석유 오염물의 솔벤트는 유동층을 형성하는 입자에 공급된 고온 가스류와 혼합되어 입자 표면상에서 진행하는 용해를 증진시킨다. 이 고온 솔벤트 또는 증기는 고온 가스류로 분무되어 그 증기성분이 되게 된다. 분무 드롭은 고온류내에서 휘발되어 솔벤트 또는 증기 드롭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게 한다. 솔벤트 또는 증기가 입자에 접촉하게 되면, 솔벤트 또는 증기는 석유 오염물의 표면상에서 응축된다. 이것은 석유 오염물의 점성을 감소시키고 가스류가 휘발 및 증발되기 쉽게 한다. 유동층으로부터의 방출가스는 석유, 솔벤트 또는 물의 회수를 위해 기체·액체 분리영역으로 이동된다. 마지막 것은 토로이달영역으로 회수된다. 솔벤트 또는 물을 가스성분으로 분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이 조합물은 토로이달영역으로 회수 될 수 있다. 이 경우, 솔벤트 또는 증기를 가스류에 첨가하는 것을 억제하고 솔벤트 또는 물(증기)을 공정중에 손실된 솔벤트 또는 물 구성에의 주기적인 주입을 제외하고는 가스류에 회수된 솔벤트 또는 물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 공정은 유동층을 유지시키는 고온 가스류에 솔벤트나 증기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석유 함유 가스가 기체·액체 분리 분리영역에서 분리되게 하는 회수상태 동안, 석유의 휘발성 성분이 입자에 대해 석유 오염물의 솔벤트가 된다. 이들 휘발성 성분중 최소한 일부가 토로이달 유동층으로 회수되는 가스류에 유지된다. 이런 방식으로, 가스류는 입자에 대한 석유 잔여물의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고, 이것은 토로이달 유동층에 부가된 입자로부터 석유 오염물을 제거하게 하는 추출 솔벤트가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입자의 크기가 지나치게 큰 경우 토로이달 유동층의 개략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베이스를 선 2'-2'에서 본 평면도.
제3도는 석유 오염물의 토로이달 유동층 분리, 석유 응축 및 가스회수를 포함하는 방법의 개략도.
제4도는 회전 및 토로이달 입자 이동을 설명하는 토로이달 유동층의 절단 사시도.
제5도는 장치에 사용되는 고정블레이드를 통해 가스 흐름을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4도와 동일한 도.
제6도는 버너 같은 장치의 특성을 나타내는 제4도와 제5도와 동일한 도.
제7도는 제4도 내지 6도 장치의 동작시 형성되는 유동층과 유체 흐름에 사용되는 고정블레이드의 단면 개략 측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석유 오염물을 함유하는 고형 입자물질을 세정하는데에 관한 것이다. 오염물량은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방법에 입자와 관련되는 오염물량은 입자체에 대한 처리비용을 정당화 할만큼 충분히 커야 하고 석유 오염물이 필터링과 같은 다른 유용한 공정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크지는 않아야 한다. 이들은 본 발명의 영역에서 한계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입자체가 높은 정도의 석유 오염물, 즉 약 20중량% 이상의 양을 포함하면, 필터링, 원심분리, 디켄테이션, 증류 유동층 추출 같은 다른 공정에 의해 석유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실용적이다. 보통, 입자내의 석유 오염물량은 오염 입자의 평균 중량의 약 0.5 내지 20중량%이다. 평균 석유 함유량을 약 15중량%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입자내의 석유의 평균 중량은 약 1 내지 15중량%이다.
토로이달 유동층에서 처리되는 입자는 유체화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입자체를 유체화 하는 능력은 입자 크기를 선택하는 기준이다. 고온 가스류에 의해 지지되는 입자체의 유동층은 비교적 밀접히 팩화된다. 고온 가스류의 에너지는 토로이달 유동층을 구성하는 얇은 재료층에 분산되어 유동층 바로 위에서 가스류의 표면 속도가 입자의 말단 속도보다 낮게 되어 과도한 입자의 리프트-오프를 방지한다. 입자의 형상은 회전 타원체이거나 일정 크기가 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입자는 불규칙하거나 일정할 수 있으며, 플레이크, 링, 익스트루디트 또는 그외 형상일 수 있다.
보통의 경우, 본 발명의 토로이달 유동층 처리된 입자체는 분쇄되어 유동층에서 처리되는데 좋은 크기로 입자를 만든다. 합성물이 분쇄되게 하는데 필요한 큰 농도의 집합체를 함유하는 합성물이 있다. 분쇄는 페블 밀, 스톤 밀, 수평미디어 밀, 산업용 분쇄기등 유용한 장비로 실현된다. 이 입자체가 이상한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면, 손이나 자석 그외 다른 편리한 방법으로 제거한다. 평균 입자 크기와 유동층에 이송된 입자체의 입자 크기 분포는 유동층 형성의 원심 분리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다. 원심력은 유동층의 벽에 크고 작은 입자를 추진시켜 모든 입자가 유동층에서 분리되는 내부 위어(weir)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넓은 범위의 입자 크기 및 입자 크기 분포는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 고형 입자를 마련하는 방법은 석유의 솔벤트에 입자들을 용해시켜 이것을 초음파 처리하여 석유의 비솔벤트에 용해시킨다. 이 입자는 석유 및 솔벤트에서 분리되고, 비솔벤트에 침전된다. 침전은 입자의 분리를 촉진시키고 집합된 입자는 더 잘 흐르게 되어 토로이달 유동층에 쉽게 이송되게 한다. 이 방법은 1993. 1. 19자 출원된 UK특허 no. 9300969에서 설명되고 있다.
토로이달 유동층의 동작원리는 입자가 교란 흐름되게 하여 열 및 질량 전달률이 경계층 변환비율에 비례하게 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열량 전달은 입자 주위의 가스 경계층이 변화될 때 증가된다. 교란을 일으키는 방법은 입자를 고속 가스류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유동층에서 이를 행하는데에는 특정 공정 흐름 조건하에서 재료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입자의 말단 속도는 처리가스 속도의 한계치를 결정하여 열 및 질량 전달률을 결정한다. 입자에의 고속 가스류의 충돌에 대한 제어를 고려하면, 가스류 에너지는 재료가 물리적으로 손실되지 않게 처리되게 하여 분산된다. 이것은 가스류와 질량 사이의 순간변화를 이용한 '호버크래프트' 원리에 비유된다. 가스류의 흐름을 역전시키고 이것을 토로이달 유동층을 실행하는 블레이드를 통해 채널링함으로써, 선형 제트가 이 지지매체 위에서 부유하는 얇은 입자층(깊이가 50∼75㎜)의 지지매체로 작용한다. 블레이드로 가스류의 선단 압력을 선단 속도로 전환시키고, 적당한 블레이드로 유동층이 올려져 수평으로 전송되게 하는 힘이 유동층에 가해지게 할 수 있다. 이 힘의 변화는 토로이달 유동층과 유동층 리액터 사이의 차이이다. 가스류의 모멘텀이 질량류와 속도의 곱이기 때문에, 유동층은 높은 질량 유량을 갖는 저속의 가스 흐름이나 낮은 질량 유량을 갖는 고속의 가스 흐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고정 블레이드는 재형태가 가능하므로 가스 유량과 처리하고자 선택한 석유 오염 입자의 특성에 의한 처리의 요구사항과의 조화가 가능하다. 입자의 층은 밀접히 팩화된다. 가스류는 초당 75 내지 150 미터의 속도로 층의 하부층에 충돌하고 가스류의 에너지는 얇은 물질층에서 분산되어 유동층의 바로 위의 가스류의 표면속도가 입자의 말단 속도보다 더 작게 된다. 따라서, 초과의 입자 리프트-오프가 방지된다.
실재, 고온 가스는 석유버너로부터 지정된 속도로 나선형 가스류로서 나와 석유 오염 입자의 토로이달 유동층내의 경사져 위치된 고정 블레이드에 보내져 오염물이 교란 가스 지지층을 형성하고, 남은 석유를 추출/증기화로 제거하고, 세정된 건조한 입자를 만든다. 배기가스류의 석유는 응축으로 회수된다. 가열공정이 제어되기 때문에, 소각에 의해 생성된 바람직하지 않은 요소는 방지되고, 지정된 한계치내로 방출량을 쉽게 고정시킬수 있다.
토로이달 유동층 공정이 제 1도 내지 7도에서 설명된다.
제 1도는 토로이달 유동층 추출기(1)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석유입자(9)(도면에서는 크게 도시)는 하우징(3)내에 위치된 깔대기부(4)를 통해 피드튜브(5)에 공급된다. 하우징(3)은 절연 베이스부(28)를 갖는 절연벽(11)을 포함한다. 충분한 크기, 예를 들어 90∼160미크론의 자유 흐름 입자(9)는 원뿔부(13)를 미끄러져 피드튜브(5)의 원추형부(7)내로 다음에 고정 블레이드(17) 위에 놓이며 벽(11)과 위어(20)에 의해 밀폐된 토로이달 유동층 영역(15)내로 흘러 고정 블레이드(17)에 대한 특별한 원조없이 가라않기에 충분한 질량을 가진다. 입자(9)는 표면(13)에 또는 튜브(5)내에 설치된 회전배인, 진동기 또는 스쿠류 피더(모두 도시생략)에 의해 영역(15)로 통과하게 된다. 제 1도는 표면(13)에 축적되고 토로이달 유동층 영역(15)에 질량으로 분산된 입자(9)를 나타낸다. 이것이 발생하는 동안에, 연료는 포트(29)를 통해 교란 고온 가스류(31)가 토로이달 가스영역(25)내로 분사될 때 연소실(27)로 도입된다. 적은 양의 물이 연료에 포함되어 연료가 첨가됨에 따라 물성분이 증기로 전환되고 이것은 석유 오염입자로부터 석유가 잘 제거되게 한다. 제 2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실(27)은 토로이달 가스영역(25)과 법선방향으로 일렬되어, 고온 연소가스가 중심에 위치된 절연벽(23) 주위의 영역(25)에서 나선방향으로 보내진다. 영역(25)(도시생략)과 별개의 라인이 솔벤트 또는 증기의 개별 공급의 도입을 위해 부가될 수 있다. 적당한 솔벤트는 입자(9)로부터 제거되는 석유 오염물로부터 라이트엔드 또는 디젤 또는 케로신 같은 지정 솔벤트 또는 톨루엔, 크실렌 벤젠등을 포함한다. 유동층(15), 고정 블레이드(17), 튜브(5), 위어(20) 및 벽(23)의 토로이달 형상은 원형이거나 타원형일 수 있다. 형상의 선택 목적은 각벡터를 고정 블레이드(17)에 공조된 가스류와 토로이달 유동층(15)를 통한 고정 블레이드(17)로부터의 가스 흐름에 부가하는 것과 관련된다. 추출기(1)내에 연소실(27)을 설치하지 않고 추출기의 외측에 설치하여 고온 가스가 영역(25)에 법선방향으로 공급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모든 가스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가스는 또한 반시계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시계방향(32)을 따르는 가스는 방향(26)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가스 흐름을 제공하도록 피치되는 고정 블레이드에 개방되는 고정층 지지부(18)를 지나 다음에 입자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얇은 층으로 부유된 가스인 곳에서 영역(15)내로 상승한다. 층의 두께는 층의 크기(즉, 입자의 농도, 크기 및 질량), 영역(15)의 크기 및 가스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토로이달 유동층(15)으로부터 나온 석유 증기가 함유된 배기가스는 시계방향의 흐름(16)으로서 개방실을 두르는 튜브(5)내로 상측방향(12)으로 이동하고 이 튜브로부터 벽(11)내의 원형 출구(14)를 통해 흐름(10)으로서 하우징(3)을 나오게 된다.
토로이달 유동층은 원형 벽(11)으로 정의되는 위어(20)을 두르는 층 영역(15) 주위로 원주방향으로 추진되므로, 입자(9)는 석유 오염물이 떨어져나가 더 가벼워진다. 이로 인해 이들이 층(15)에 올라가게 한다. 마침내, 경량의 입자들은 입자 분리 영역(19)내로 개방한 원주방향 슬롯(8)0에서, 위어(20) 위에서 와해된다. 세정된 입자 경로는 슬롯(8)을 통해 영역(15)으로부터 영역(19)내로 연장한 화살표에 의해 제 1도에서 설명된다. 세정된 입자(21)은 매립지에서 침전물 회수시에 영역(19)내에서 회수튜브(24)내로 개구(33)를 통해 경사면을 거쳐 와해된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공정을 실행하는 일실시예의 개략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토로이달 유동층 추출기(1)은 구멍(14)로부터 나가 응축기(37)로 보내지는 석유 함유 가스류(35)를 제공한다. 액체 석유 생산물은 응축기(37)로부터 라인(43)을 통해 저장설비(45)로 제거된다. 물, 솔벤트 또는 가벼운 종단부를 포함하는 응축기(37)내의 가스는 토로이달 유동층 추출기(1)로 라인(39)를 통해 재순환 될 수 있다. 가벼운 종단부 또는 솔벤트가 석유 생산물로 응축되면, 가스 재순환의 필요성이 없다. 재순환된 가스가 연료 흐름에 부가되거나 영역(25)에 개별적으로 공급되어 고온 가스와 혼합된다. 회수된 최소의 석유 오염물 함유 고형물은 매립지(41)에 침전된다.
제 4도 내지 7도는 토르베드공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토르베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토르베드장치(140)는 원통형 절연벽(160)내에서 공급관(150)을 포함하고, 여기를 통해 입자체가 다른 단부(152)로부터 회전배인으로 배기되게 공급되고, 경사면(154)상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돌출면에 의해 둘러싸인 원주 블레이드 영역(190)에 분사된다. 버너(188)로부터의 고온 유체는 고정 블레이드(158)를 통해 또는 유동 입자층을 형성하는데에 충분한 입자를 통해 상측 흐름(156)을 형성하여 법선방향으로 분사된다. 제 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 유체(162)는 각진방향(164)로 유체를 분사하는 블레이드(164)를 통해 방출된다. 고온 유체는 유체 배기 출구(180)를 통해 장치를 나와 입자를 코팅한 석유를 운반시킨다. 고온 유체는 응축기에 공급되어 석유 성분이 분리되게 한다. 온도 제어는 더모커플(182)에 의한 측정으로 실행된다. 처리된 유체는 스크러빙되어 석유 제거를 확실히 한다. 고온 입자(176)의 유동층은 블레이드(172)의 피치와 버너(188)로부터의 법선방향 공급되게 하는 방향(164)으로 영역(190) 주위에서 나선운동한다. 제 7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온 유체(170)은 블레이드(172) 사이의 공간(174)에서 블레이드(172) 사이의 블레이드 영역으로 공급되고 블레이드(172)의 경사로 유체 흐름이 블레이드(172)의 어레이 위의 화살표로 나타낸 각도 피치를 갖게 한다. 장치에 공급된 입자는 주변 블레이드 영역(190)의 경로에 의해 억제되는 유체 흐름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동층(176)을 형성한다. 이것은 미국 특허 4,479,920에서 기술되고 있다.
고온 유체를 입자 주위에 흐르게 하여 부유시키고 입자에 부착한 석유를 증기화 시키기 위해서 고온 유체는 더모커플(182)로 측정된 1400℃ 이상의 온도에,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1400℃의 온도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0℃에서 약 1400℃ 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 있는 것이 좋다. 유체는 일반적으로 버너로부터 방사된 연소 가스이다. 그러나, 고온 가스를 나선방향으로 블레이드(172) 어레이로 방출하는 버너 조립체는 버너의 하류측 주입 위치에 설치하여 다른 가스나 증기물질이 유체 흐름에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런 물질은 공기, 이산화탄소, 질소, 메탄, 에탄, 프로판, 이소프로판, 헥산, 톨루엔등과 같은 여러 가스를 포함한다. 유체로서 입자에 고착되는 석유를 용해시키는 가스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증기와 추출로 입자에서 석유를 제거하는 것을 촉진시킨다. 고형물은 중앙 배기실(186)로 회수되어 매립지에 보내진다.

Claims (42)

  1. 석유 오염물을 고형 입자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자를 고온 가스에 부유된 토로이달 유동층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입자로부터 회수된 석유를 함유하는 상기 유동층으로부터 고온 가스류를 제거하여 상기 입자를 세정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석유와 세정된 입자를 개별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스는 연소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스는 석유에 대한 솔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스는 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 오염물의 휘발성 성분은 상기 석유 오염물의 다른 성분을 용해시키고 상기 입자는 상기 고온 가스에 부유된 상기 토로이달 유동층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석유 회수시, 가스는 상기 토로이달 유동층으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 오염 입자는 상기 토로이달 유동층 처리전에 필터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 오염 입자는 상기 토로이달 유동층 처리전에 원심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 오염 입자는 상기 토로이달 유동층 처리전에 디컨데이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 오염 입자는 상기 토로이달 유동층 처리전에 하이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5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5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5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5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5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5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5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5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5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5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3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3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입자는 1중량% 이상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고 분리된 세정 입자는 약 0.1중량% 이하의 석유 오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스는 횡단벡터와 수직벡터를 결합한 흐름을 가지고 석유 오염물은 다른 휘발성의 성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42. 제1항에 있어서, 석유 오염물의 용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오염물 제거방법.
KR1019950703566A 1993-02-24 1994-02-24 입자체로부터 석유오염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88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303743.0 1993-02-24
GB9303743A GB2276631A (en) 1993-02-24 1993-02-24 Process for removal of petroleum contaminants from particulate materials
PCT/GB1994/000367 WO1994019122A1 (en) 1993-02-24 1994-02-24 Process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petroleum from particulate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8308B1 true KR100288308B1 (ko) 2001-05-02

Family

ID=1073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566A KR100288308B1 (ko) 1993-02-24 1994-02-24 입자체로부터 석유오염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916434A (ko)
EP (1) EP0686070B1 (ko)
JP (1) JPH08509413A (ko)
KR (1) KR100288308B1 (ko)
AU (1) AU677375B2 (ko)
CA (1) CA2156833A1 (ko)
DE (1) DE69415148T2 (ko)
DK (1) DK0686070T3 (ko)
FI (1) FI953966A (ko)
GB (1) GB2276631A (ko)
NO (1) NO953310L (ko)
WO (1) WO19940191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563B1 (ko) 2017-09-27 2018-12-17 신돈철 배기가스의 오일미스트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5361A2 (en) * 1992-01-25 1993-08-05 Bp Chemicals Limited Removal of contaminants
CA2179295A1 (en) * 1993-12-24 1995-07-06 Derek Alan Colman Contaminant removal
GB2315431B (en) * 1996-07-23 2000-03-29 Ecc Int Ltd Furnaces
JP4115533B2 (ja) * 1996-07-23 2008-07-09 モーティマー テクノロジ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 環状の流体流加熱区域を有する加熱炉
GB2487179A (en) 2010-11-30 2012-07-18 Mortimer Tech Holdings Toroidal Bed Reactor
CN105057330A (zh) * 2015-08-21 2015-11-18 无锡乐华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土壤灭菌烘焙净化装置
CN105057331A (zh) * 2015-08-21 2015-11-18 无锡乐华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土壤烘焙杀菌稀释装置
NO343343B1 (en) * 2016-11-21 2019-02-04 Norsk Hydro As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doses of fluidisable materials
US10942098B2 (en) * 2017-08-25 2021-03-09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t least a rock sample extracted from a geological 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7289A (en) * 1970-06-22 1971-12-14 Walter Erm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oil from metal turnings
DE3023670C2 (de) * 1980-06-25 1982-12-23 Veba Oel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4660 Gelsenkirchen-Bu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welen von Ölschiefer
US4340463A (en) * 1981-03-13 1982-07-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ystem for utilizing oil shale fines
US4479920A (en) * 1981-06-29 1984-10-30 Torftech Limited Apparatus for processing matter in a turbulent mass of particulate material
IT1196757B (it) * 1984-11-16 1988-11-25 Vollko Srl Ora Vallko Srl Tetto apribile universale per autoveicoli basculante e scorrevole
US4715965A (en) * 1986-05-19 1987-12-29 Sigerson Adam L Method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volatilizable contaminants from soil
GB2202618B (en) * 1987-03-23 1991-09-11 Torftech Ltd Treating fluid matter
GB2203670B (en) * 1987-04-10 1991-05-01 Torftech Ltd Process on or with liquid
GB2205049B (en) * 1987-05-28 1991-05-15 Torftech Ltd Treating matter with fluid
GB2211597B (en) * 1987-10-23 1991-11-27 Torftech Ltd Processes in which matter is subjected to fluid flow
US4880528A (en) * 1988-05-04 1989-11-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ocarbon recovery from tar sands
EP0519004A1 (en) * 1990-03-06 1992-12-23 REED & GRAHAM, INC. Soil remediation process and system
DE4190445T (ko) * 1990-03-13 1992-08-27
US5172709A (en) * 1990-11-30 1992-12-22 Clean Soil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soil
US5256208A (en) * 1991-10-01 1993-10-26 Rafson Harold J Process for removing volatile contaminants from granular materi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563B1 (ko) 2017-09-27 2018-12-17 신돈철 배기가스의 오일미스트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86070B1 (en) 1998-12-09
DE69415148T2 (de) 1999-09-23
GB9303743D0 (en) 1993-04-14
CA2156833A1 (en) 1994-09-01
EP0686070A1 (en) 1995-12-13
FI953966A (fi) 1995-09-05
DE69415148D1 (de) 1999-01-21
US5916434A (en) 1999-06-29
FI953966A0 (fi) 1995-08-23
WO1994019122A1 (en) 1994-09-01
NO953310L (no) 1995-10-23
GB2276631A (en) 1994-10-05
JPH08509413A (ja) 1996-10-08
DK0686070T3 (da) 1999-08-16
AU6041994A (en) 1994-09-14
AU677375B2 (en) 1997-04-24
NO953310D0 (no)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33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udges
CN100488647C (zh) 被碳氢化合物污染的钻屑的热处理方法
KR100288308B1 (ko) 입자체로부터 석유오염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US4529497A (en) Disposal of spent oil shale and other materials
US47939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ontaminants from fluidizable solids
CA2817322C (en) Process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cuttings, emulsion and slurry components
CN1280525A (zh) 用于处理石油精炼厂废物的系统
US46997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ontaminants from fluidizable solids
KR100283362B1 (ko) 폐유 처리 방법
US4608126A (en) Retorting system and disposal site
US5688377A (en) Rotary radial cyclonic fluid mixture separator
CN109990301B (zh) 一种油类污染物负压反烧设备及回收油的方法
EP0735928B1 (en) Contaminant removal
US6276306B1 (en) Apparatus for recovering hydrocarbons from granular solids
CA130544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rude oil sludges and the like
US4094776A (en) Method for treatment of oil-containing waste water by using an oil adsorbent
WO1992022620A1 (en) Cleaning hydrocarbon contaminated material
US4209382A (en) Oil adsorbent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WILLIAMSON PHYSICAL/CHEMICAL TREATMENT OF PETROLEUM CONTAMINATED SOILS
SU813851A1 (ru) Способ обезвреживани газов продувки скважин
Freestone et al. REVIEW OF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SEARCH IN OIL-WATER SEPARATION TECHNOLOGY
JPH07275897A (ja) 油性廃棄物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