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022B1 - 꼬여진 형태의 건축용 구조관과 그 성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꼬여진 형태의 건축용 구조관과 그 성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022B1
KR100288022B1 KR1019980027175A KR19980027175A KR100288022B1 KR 100288022 B1 KR100288022 B1 KR 100288022B1 KR 1019980027175 A KR1019980027175 A KR 1019980027175A KR 19980027175 A KR19980027175 A KR 19980027175A KR 100288022 B1 KR100288022 B1 KR 100288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wisted
molding
pip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712A (ko
Inventor
한상언
Original Assignee
한상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언 filed Critical 한상언
Priority to KR101998002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02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0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14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건축물에 사용 또는 설치되는 난간, 차단대, 가이드레일 등의 구조관을 꼬여진 것 같은 형태로 성형하는 것에 관한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의 구조관은 대부분 단순한 직선 형태여서 쉽게 싫증이나고 장식적인기능이 부족 하였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여러개의 상·하부금형(25)(25')에 요부(40)(40')를 형성하여 원형파이프(1a)를 눌러줌으로써 구조관(1)을 성형하되 각요부(40)(40')는 처음과 끝이 45°정도로 비틀어지게 형성하고 각 상·하부금형(25)(25')은 45°씩 각도를 달리해가며 파이프(1a)를 눌러 성형 토록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건축물의 난간 차단대등으로 사용시 흐르는 물결과 같이 독특하게 빛의 반사가 이루어지면서 보는 사람이 움직이면 반사되는 빛에 의해 구조관이 움직이는것같이 보이는등 새로운 장식효과를 얻을수 있게 됨.

Description

꼬여진 형태의 건축용 구조관과 그 성형방법 및 장치
본발명은 건축물의 난간, 가이드레일, 차단대등으로 사용되는 구조관에 관한것으로, 특히 구조관을 성형하여 꼬인것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난간, 차단대등으로 사용했을 때 사람이 보면서 이동하면 빛의 반사 각도가 달라 지므로 난간등이 움직이는 듯한(일종의 착시현상) 느낌을 받을수 있게 되고 빛이 구조관을 타고 흐르는 듯한 독특한 시각효과를 얻을수 있는등 매우 뛰어난 미적, 장식적 효과를 얻을수 있게 한 것이며, 아울러 그러한 구조관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안출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지금까지 건축물에 사용되는 구조관은 모두가 평범한 직선형태의 스테인레스재 파이프로서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여 구조관으로 사용하여 온지가 매우 오래되었으므로 근래에 와서는 그 효용가치가 떨어지고 싫증을 느끼게 되었으며, 이에따라 소비자들은 구조관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게 됨이 당연한 현상인것이다.
상기한 목적으로 이미 개발된 것으로는 구조관을 ""형등으로 굴곡부를 형성하여 난간의 살대로 사용하거나 난간의 살대를 ""형등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경우 먼지나 때가 잘끼어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었고 제조 원가가 많이 들어 크게 실용화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새로운 차원의 미적 감각을 느낄수 있는 구조관을 안출하고자 한 본발명은 구조관을 마치 꽈배기 처럼 꼬여진 형태로 성형하여 한차원 높고 새로운 형태의 장식기능을 부여하고 이러한 구조관을 손쉽게 제조할수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제1도는 본발명에 의한 성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발명에 의한 성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발명의 요부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Z - Z'선 단면도.
제5도는 요부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발명의 성형상태를 도시한 요부정면도.
제7(a) ∼ 7(d)도는 본발명의 부위별 성형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7(a)는 제6도의 A - A', E - E',I - I'선 단면도.
제7(b)도는 제6도의 B - B', F - F'선 단면도.
제7(c)는 제6도의 C - C', G - G'선 단면도.
제7(d)는 제6도의 D - D', H - H'선 단면도.
제8도는 본발명에 의한 구조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조관 1a : 파이프
10 : 성형장치 11 : 프레임
20 : 성형부 21 : 가이드몸체
22 : 상부덮개 23 : 하부덮개
24 : 금형(상·하 1조) 25 : 상부금형
25' : 하부금형 26 : 가이드블럭
27 : 가이드요홈 28 : 장력봉
29 : 스프링 30 : 유압실린더
31 : 피스톤 32 : 로드
33 : 가이드봉 34 : 걸림턱
40, 40' : 요부
본발명의 구조관(1)은 원형 단면을 가진 스테인레스재의 파이프(1a)를 압착시켜 성형하는데, 본발명에서 '꼬인형태'라 표현한 것은 실제 파이프(1a)를 비틀어서 꼬여진 것은 아니고 꼬여진 것과 같은 형태로 파이프(1a)를 압착시켜 되는 깃이다.
즉, 파이프(1a)의 일정구간을 연속설치된 상부금형(25) 및 하부금형(25')으로 눌러서 ""형을 ""형으로 만드는데, 이러한 ""형이 뒤로 갈수록 ""형 및 ""형으로 눌러지도록 상·하부 금형(25)(25')의 누르는 방향을 달리하며, 연속설치된 각 상·하부 금형(25)(25')의 요부(40)(40')도 앞쪽은 ""형이었다가 도중에 비틀어져 중간부분에서는 ""형이되고 뒷쪽에서는 ""형이 되도록 형성하여 눌러 주는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을 제5도, 제6도, 제7(a)도 ∼ 제7(d)도를 통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금형(25)과 하부금형(25')이 한조로된 금형(24)을 다수개 연속설치하여 상·하부금형(25)(25')이 동시에 중앙부로 작용토록 하고, 상부금형(25)은 ""형 요부(40)를 형성하고 하부금형(25')은 ""형 요부(40')를 형성하되, 상·하요부(40)(40')의 앞쪽은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가 되었다가 중앙부에서는 ""형이되고 뒷쪽은 반대방향으로 45°기울어진 ""형이되게 구성하며, 맨앞의 금형(24)은 옆에서 볼때 ""형으로 설치하고 그 다음의 금형(24)은 ""형으로 설치하며 또 그 다음의 금형(24)은 ""형으로 설치하는등 차례차례 45°씩 누르는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설치하였다.
따라서 파이프(1a)는 전체금형(24)의 각 요부(40)(40') 사이에 넣고 전체 금형(24)을 동시에 작용시키면 파이프(1a)는 마치 비틀어진 것 같이 ""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조방법을 좀더 구체화하는 본발명의 성형장치 실시예를 제1 ∼ 5도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의 성형장치(10)는 프레임(11)의 상부에 여러개의 성형부(20)를 연속하여 설치하였는데, 각 성형부(20A) ∼ (20I)는 2개의 가이드몸체(21)와 상·하부덮개(22)(23) 사이에 상부금형(25)과 하부금형(25')을 설치하되 가이드몸체(21)의 마주보는 내면에는 가이드블럭(26)를 고정시키고 상·하부금형(25)(25')의 측면에는 가이드요홈(27)을 형성하여 상·하 작용이 가이드 되도록 하였다. 하부덮개(23) 하부에는 유압실린더(30)를 설치하되 피스톤(31)에서 돌출되는 로드(32)는 하부덮개(23)를 관통시켜 하부금형(25')에 연결·고정시키고 4개의 가이드봉(33)은 하부덮개(23)와 상·하부금형(25)(25')을 관통하여 상부금형(25) 상단에서 걸림턱(34)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상부금형(25)의 상부에는 장력봉(28)를 연결시켜 상부덮개(22)를 관통토록 돌출시킨후 스프링(29)을 설치하여 상부금형(25)이 윗쪽으로 장력을 받도록 구성하였다.
상기한 바와같은 성형부(20)는 모두 9개를 프레임(11)에 설치하는데, 일측면에서 볼 때 첫번째, 다섯번째, 아홉번째 성형부(20A)(20E)(20I)는 ""형으로설치하고 두번째, 여섯번째 성형부(20B)(20F)는 ""형으로 설치하며 세번째, 일곱번째 성형부(20C)(20G)는 ""형으로, 네번째, 여덟번째 성형부(20D)(20H)는 ""형으로 설치하는등 차례차례 일정각도(45°) 틀어지도록 설치하였다.
또한 각 상부금형(25)과 하부금형(25')의 요부(40)(40')는 일측끝에서는 ""형으로 경사지게 시작하여 중앙에서는 ""형이 되고 타측끝에서는 ""형이 되도록 하여 45°정도 기울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결국 첫번째 성형부(20A)의 상·하부금형(25)(25')부터 아홉번째 성형부(20I)의 상·하부금형(25)(25')까지 요부(40)(40')가 45°로 비틀려지면서 부드럽게 연결되게끔 한 것이다.
상기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구조관(1)은 최초 ""형태의 파이프(1a)에서 ""형 단면으로 되면서 ""형태로 405°비틀어지는 형태가 되는데 비틀어지는 각도는 성형부(20A) ∼ (20I)의 숫자를 조절하면더 큰 각도 또는 더 적은 각도로 비틀어진 것처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길이당 비틀어지는 각도 비율은 상·하부금형의 폭을 조절<짧은 길이에서 요부(40)(40')가 45°비틀어지게 성형>하면 더 촘촘하게 비틀리는 형태의 성형이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또 요부(40)(40')의 형태를 ""형 또는 ""형등 다양하게 변화시키면 ""형 또는 ""형 단면형태로 꼬여진 듯한 구조관을 성형할수도 있게 되고, 그 크기도 금형(24) 및 요부(40)(40')크기 조절로서 더크거나 더작게 구조관을 성형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2 는 성형부(20)를 프레임(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판,
3 은 볼트, 4 는 너트, 6 은 밀폐용링,
7 은 유압실린더(30)의 튜브이다.
상기 본발명의 작용을 살펴본다.
연속설치된 각 성형부(20)의 상·하부금형(25)(25') 사이의 공간에 파이프(1a)를 삽입하고 유압펌프(미도시됨)를 작동시킨다.
유압이 유압실린더(30)의 하단으로 유입되면 피스톤(31)이 전진하므로 로드(32) 끝에 연결된 하부금형(25')이 전진하고 그후 하부금형(25')이 파이프(1a)에 닿아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면 유압실린더(30) 자체가 후진하게 되므로 가이드봉(33) 끝에 연결된 상부금형(25)이 하강하여 파이프(1a)를 물게 되며 그 다음에는 상부금형(25)과 하부금형(25')이 동시에 파이프(1a)를 눌러 요부(40)(40')의 모양과 같이 파이프(1a)를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성형부(20) 전체가 한 번의 작동으로 파이프(1a)를 눌러 꼬여진 형태의 구조관(1)을 성형하게 된다.
하나의 성형부(20A)의 상·하부실린더(25)(25')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양끝의 요부(40)(40') 모양이 45°각도로 비틀어진 상태이고 그 다음의 성형부(20B)는 45°각도로 틀어진 상태로 설치되므로 전체 곡면부가 나선과 같이 부드럽게 연결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유압을 유압실린더(30)의 하부로 공급하여 성형작용을 완료한후 다시 유압을 유압실린더(30)의 상부로 공급하면 상부스프링(29)의 힘으로 상부금형(25)이 먼저 원복하고 그후 피스톤(31)이 원복하여 하부금형(25')은 처음의 위치로 돌아옴으로써 1회의 성형작업이 완료되고 성형된 1개의 구조관(1)을 꺼내면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에 의한 구조관(1)은 매우 독특하고 새로운 미적감각이 표현된다. 즉 마치 꽈배기와 같이굴곡진 상태이기 때문에 반사되는 빛도 ""형의 곡선으로 보이게 되고 이를 보면서 움직이게 되면 반사되는 빛도 움직이면서 구조관이 회전하는 것 같이 느껴지기도 하고 또는 구조관의 비틀어진면을 따라 빛이 상·하로 흐르는 것 같이 보이는등, 종래의 구조관에서는 상상도할수 없었던 새로운 차원의 장식효과를 얻을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본발명에 의한 성형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실제로는 꼬여진 것이 아니면서도 눈으로 보기에는 완전히 꼬여진 것 같이보이는 구조관을 성형할수 있게 되고 아울러 각 상·하부금형(25)(25')을 한번만 작동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성형이 가능하므로 원가의 상승 우려도 배제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구조관에 비하여 비싸지 않으면서도 독특하고 새로운 장식효과를 가진 구조관의 성형이 가능해지는 매우 뛰어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원형단면 형태로된 통상의 스테인레스재 파이프(1a)를 눌러서 ""형 단면형태를 ""형 단면형태가 되게 하는 구조관(1)를 성형하되, 각 부위별로 눌러진 방향이 점차 달라 나선형태로 꼬여진것처럼 보이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관.
  2. ""형 단면형태의 파이프(1a)를 상부금형(25)과 하부금형(25') 사이에 넣고 눌러 성형하되, 상부금형(25)과 하부금형(25')에 형성된 요부(40)(40')는 앞쪽에서는 ""형 이었다가 점차 비틀어지면서 중앙부에서는 ""형이 되고 뒷쪽에서는 ""형으로 45°정도 비틀어진 형태로 구성하고 금형(24)은 차례차례 요부(40)가 비틀어지는 방향으로 45°각도씩 다른 방향에서 파이프(1a)를 눌러서 꼬여진 형대의 구조관을 제조하는 방법.
  3. 프레임(11)의 상부에 여러개의 성형부(20)를 연속으로 설치하되 각 성형부(20A) ∼ (20I)는 2개의 가이드몸체(21)와 상·하부덮개(22)(23) 사이에 상부금형(25)과 하부금형(25')을 설치하고 가이드몸체(21)의 마주보는 내면에는 가이드블럭(26)을 고정시킨후 상·하부금형(25)(25')의 측면에 가이드요홈(27)을 형성하여 상·하작용이 가이드 되게끔하며, 하부덮개(23)의 하부에는 유압실린더(30)를 설치하되 피스톤(31)에서 돌출되는 로드(32)를 하부덮개(23)를 관통시켜 하부금형(25')에 연결, 고정시키고 4개의 가이드봉(33)은 하부덮개(23)와 상·하부금형(25)(25')을 모두 관통시킨후 상부덮개(22)에 고정되게 하며, 9개의 성형부(20)를 프레임(11)에 설치하되 최초의 성형부(20A)는 측면에서 볼 때 ""형으로 설치한후 그 다음의 성형부(20B) ∼ (20I)는 모두 45°각도로 차례차례 경사지게 설치하고 각 성형부(20A) ∼ (20I)에 설치된 상·하부금형(25)(25')의 요부(40)(40')는 처음과 끝이 45°각도로 비틀어진 형태로 형성되어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꼬인형태의 구조관을 제조하는 장치.
KR1019980027175A 1998-07-01 1998-07-01 꼬여진 형태의 건축용 구조관과 그 성형방법 및 장치 KR100288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175A KR100288022B1 (ko) 1998-07-01 1998-07-01 꼬여진 형태의 건축용 구조관과 그 성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175A KR100288022B1 (ko) 1998-07-01 1998-07-01 꼬여진 형태의 건축용 구조관과 그 성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712A KR20000007712A (ko) 2000-02-07
KR100288022B1 true KR100288022B1 (ko) 2001-06-01

Family

ID=1954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175A KR100288022B1 (ko) 1998-07-01 1998-07-01 꼬여진 형태의 건축용 구조관과 그 성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104B1 (ko) 2004-04-19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2126A (ja) * 1982-01-12 1983-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レキシブルパイプ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2126A (ja) * 1982-01-12 1983-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レキシブルパイプ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712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022B1 (ko) 꼬여진 형태의 건축용 구조관과 그 성형방법 및 장치
BR9408173A (pt) Fixo de excêntricos oco inteirico e processo para sua produção
EP1044775A3 (de) Wechselcorrugator
EP3361150B1 (de) Horizontal oder vertikal biegeelastische leuchtdioden-bänder mit homogenen lichtaustrit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1254014B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rofilierten kunststoff-rohren
CN104690121B (zh) 一种克服铝型材窗框弯曲面翘曲的装置
RU2002102072A (ru) Шланг
NO902707L (no) Roerforbindelse.
KR100904550B1 (ko) 공간 보강대를 갖는 디씨 파이프와 그 성형방법
EP0055993A1 (en) A split core and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oulded product
GB2014507A (en) Detergent bars having curved surface stripes
CN209920509U (zh) 一种吹塑机中能够调节管坯径向壁厚的型坯模具
US7201571B2 (en) Method for extrusion and extrusion plant, in particular for production of bent extruded products
DE102004062919A1 (de) Rückstrahler für Fahrzeuge,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Rückstrahlers
CN212376522U (zh) 一种铝材边材加工用上轨道和下轨道结构
CN101992535A (zh) 具有多个不同的内腔形状的管及其制造装置
US20220402176A1 (en) Mold for partially shortening circumference of tube billet and using method of mold
KR950007637B1 (ko) 강관연결장치 및 강관연결체
CN210684556U (zh) 潮汐车道伸缩护栏
JP2007083278A (ja) 湾曲棒製造方法及び湾曲棒製造装置
CN210705940U (zh) 一种可挤出弯曲木塑栏杆的组合式口模板
KR200347306Y1 (ko) 시선유도용 안전 난간
KR200203585Y1 (ko) 보강파이프 제조장치
KR200376580Y1 (ko) 확장 맨드럴
CN2479344Y (zh) 组合式护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