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661B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661B1
KR100285661B1 KR1019980043749A KR19980043749A KR100285661B1 KR 100285661 B1 KR100285661 B1 KR 100285661B1 KR 1019980043749 A KR1019980043749 A KR 1019980043749A KR 19980043749 A KR19980043749 A KR 19980043749A KR 100285661 B1 KR100285661 B1 KR 10028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umbrella stand
handle
scatter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345A (ko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이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윤 filed Critical 이재윤
Priority to KR101998004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6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345A/ko
Priority to PCT/KR1999/000608 priority patent/WO2000022951A1/en
Priority to AU61253/99A priority patent/AU61253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포(傘佈)부위나 산포를 포함하는 우산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통행인이 빈번한 거리에서 사용하는 경우 산포부위가 시야를 가리게 되므로 통행인이 서로 부딪혀 다치기도 하고 우산끼리 서로 부딪혀 자체손상을 야기하기도 하며, 비바람이 심할 경우 우산의 사용이 더 힘들고 우산이 뒤집어져 파손되는 경우도 있었던바,
본 발명은 우산의 산포부위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산포부위가 회전,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시 우산과 우산이 서로 부딪히더라도 사용자 상호간에 부딪히는 힘을 감쇠시킬 수 있어 다칠 위험성을 적게 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비바람이 심한 경우에도 산포부위에 가해지는 비바람의 힘이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세기를 감소시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우산
본 발명은 산포(傘布)부위나 산포를 포함하는 우산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산살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의 산포부위와 산포부위의 중심에 설치되는 우산대와 우산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손잡이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우산은 1단 또는 다단으로 접는 우산에 관계없이 산포부위와 우산대는 우산대의 상부위치에서 서로 결합, 고정되고, 우산대와 손잡이 역시 우산대의 하부위치에 서로 결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산포부위는 산포와 여러 방사상의 우산살이 서로 고정되고 우산살은 우산대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에 일정각도씩 띄워져서 각각 힌지고정되며, 각각 우산살의 중간 부분에 우산살 지지대의 일측이 힌지고정되고 우산살 지지대의 다른 일측은 우산대를 타고 승, 하강할 수 있게 끼워지는 슬라이더의 외주연에 일정각도씩 띄워져서 각각 힌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우산대를 중심으로 산포부위와 손잡이가 각각 상, 하부에 고정되어 이있는 관계로 산포부, 우산대 및 손잡이가 일정 형태로서 이루어지고 산포 자체가 대부분 불투명 상태로 되어 있어, 통행인이 빈번한 거리에서 사용하는 경우 산포부위가 시야를 가리게 되므로 통행인이 서로 부딪혀 다치기도 하고 우산끼리 서로 부딪혀 자체손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비바람이 심한 경우일수록 전술한 위험성이 항상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비바람이 심하거나 풍향이 자주 변화하는 장소에서는 풍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우산을 신속하게 돌려야 하지만, 그렇게 용이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설사 풍향에 대응하여 우산의 방향을 돌리더라도 바람의 방향 중심에 우산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어려운데, 이는 우산의 산포부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성상 균형을 잡기가 어려운 취약점과 함께, 이에 따라 산포부위로부터 우산대를 거쳐 손잡이에 미치게 되는 힘의 분포와 균형이 굴규칙하여 우산의 사용을 어렵게 만드는 경우가 자주 있다. 특히, 비바람이 치는 경우,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우산의 사용을 더욱 힘들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고, 순간적으로 비바람의 방향과 우산의 대응방향이 불균형을 이루는 경우엔 우산을 놓치거나 아니면 우산이 뒤집어져 파손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물론, 전술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자 이미 알려진 기술로서 미국 특허 제4,998,551호가 있으나, 이 경우에는 산포부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우산대부분을 분리형성하고 그 분리된 우산대 부분에 회전부를 형성한 형태로서, 필요한 경우 산포의 내측에 별도의 보강부재를 추가로 설치한 형태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관계로, 산포부위의 회전시에 반드시 산포부위가 고정되어 있는 우산대의 상부부재도 함께 회전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하고, 따라서 산포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이 우산대와 동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회전부 전체를 거쳐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작동력 이상의 힘이 작용할 때에만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외력이 크거나 작거나 관계없이 부드럽게 작동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결국,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결점이 있으며, 더욱이 회전부의 구성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제작이 용이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우산의 산포부위에서 외력을 받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순응되게 직접산포부위 자체만이 제자리에서의 회전방향으로 바꾸어주게 되면 우산을 쥐고 있던 손잡이를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겠다는 취지에서 본 발명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우산의 산포부위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우산대와 손잡이를 제외한 산포부위만이 회전,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시 우산과 우산이 부딪히거나 비바람이 심한 경우에도 우산대와 손잡이를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의 세기를 감소시켜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산포부위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적은 외력에 의해서도 부드럽게 회전이 가능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산 또는 우산의 겸용으로 사용되는 파라솔과 같은 물품에 적용하는 경우에 바람이 풍부한 해변가나 휴양지에 설치하여 시선을 끌 수 있는 홍보물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비바람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여러 목적들을 달성하고자, 우산살과 산포를 결합하여 산포부위를 이루고, 산포부위의 중심엔 우산대가 설치되며, 우산대의 하부엔 필요시손잡이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우산, 양산 또는 파라솔과 같은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산포부위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산포부위와 상기 우산대사이로서 우산살과 산포를 포함하는 산포부위의 중심과 우산대의 결합부위에 마련되어지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우산살을 고정하기위한 고정부재와 우산대의 상부위치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산포부위만이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우산이 제공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인 우산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분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인 우산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부분 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인 우산의 바람직한 또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C″부분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예의 변형례로서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우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인 우산의 범주에 포함되는 파라솔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산포부위 3 : 우산대
5 : 손잡이 7 : 회전부
14 : 산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별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예는 산포부위(1)과 우산대(3)사이에 회전부(7)를 형성한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회전부(7)의 경우, 우산살(1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0)와 우산대(3)의 상부 위치사이에 형성되며, 이들 사이에 베어링이나 부시같은 부재(70)를 설치하여 상기 부재(7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상기 부재(70)가 없이 고정부재(10) 자체가 우산대(3)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산포(14)와 회전부(7)가 결합되는 부위엔 우산대(3)의 끝단으로부터 빗물유입방지용 보호커버(16)가 하부 외주연에 마련된 캡(18)을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물론, 빗물유입방지용 보호커버(16)와 캡(18)은 반드시 일체로 결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별도롤 각각 구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일측이 우산살(12)과 힌지 결합되는 우산살지지대(22)의 다른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우산대(3)를 타고 상,하향으로 움직이며 우산을 펼쳤을 때, 하부가 스토퍼(24)에 의하여 일시 고정되게 이루어지는 슬라이더(20)는, 슬라이더(20)를 포함하는 산포부위(1)가 회전하는 경우 저면이 스토퍼(24)와 마찰 또는 간섭을 받을 수 있으므로 슬라이더(20)와 스토퍼(24)의 사이에 부시(26)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슬라이더(20)와 부시(26)가 서로 분리, 이탈되게 이루어지게 되면 우산을 접고자 스토퍼(24)를 가압하여 슬라이더(20)를 우산대(3)를 타고 하강시키는 경우 슬라이더(20)와 부시(26)가 서로 분리, 이탈되어 다시 사용할 때 불편하게 되므로, 슬라이더(20)의 하부 단턱에 부시(26)의 상부 단턱이 끼워 결합되어 슬라이더(20)와 부시(26)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우산대(3)를 타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되, 부시(26)의 상부에서 슬라이더(20)가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우산을 펼쳤을 때 스토퍼(24)에 의하여 슬라이더(20)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미도시하였으나 단순히 스프링에 의하여 산포부위(1)가 펼쳐지는 형태의 우산인 경우엔 슬라이더(20)의 하부에 부시(26)를 설치할 필요가 전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부(7)는 바람직한 일례만을 나타낸 것으로서, 우산대(3)의 상부에서 산포부위(1)가 회전하면서 산포부위(1)가 우산대(3)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는 구조라면 어떠한 다른 구조를 채택하더라도 관계없다.
다음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우산대(3)와 손잡이(5)사이에 회전부(7)를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회전부(7)의 경우, 우산대(3)의 하부 끝단부위와 손잡이(5) 내측부위가 서로 결합되게 되는 내측 설치공간(50)부위에 베어링(72,74)을 끼워 결합하여 이루어져, 손잡이(5)를 잡고 있는 경우 산포부위(1)와 우산대(3)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전체부위가 회전부(7)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때, 손잡이(5)는 본체(52)의 상,하부에 베어링(72,74)이 각각 내장 설치되는 상,하부부재(54,56)가 나사결합되어 구성되어지되, 베어링(72,74)의 하부 또는 상부에 스냅링(32,34)이 설치되어 손잡이(5)와 우산대(3)사이의 분리, 이탈을 방지 하고 손잡이(5) 내측에서 우산대(3)의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손잡이(5)는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손잡이(5) 내측에서 우산대(3)가 회전하면서 손잡이(5)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구조라면 어떠한 다른 구조를 채택하더라도 관계없다.
다음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우산대(3) 자체 사이에 회전부(7)를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즉, 회전부(7)의 경우 우산대(3) 자체를 상,하부우산대(40,42) 형태로 분리 구성하고 상,하부우산대(40,42)사이에 회전부(7)를 구성한 형태로서, 손잡이(5)와 결합 고정되어 있는 하부우산대(42)의 상부에서 산포부위(1)와 상부우산대(40)의 결합부위가 회전부(7)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때, 상부우산대(40)의 내측엔 중심측(44)이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고정핀(46,66)에 의하여 상부우산대(40)와 고정 설치되고, 하부우산대(42)의 내측엔 중심축(44)의 외주면에 베어링(76,78)이 스냅링(31,31)(33,33)과 함께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설치되는 하부고정부재(48)가 고정핀(49,49)에 의하여 끼워 고정 설치되며, 상부우산대(40)의 하부의 하부우산대(42)의 상부엔 고정캡(41,43)이 각각 끼워 결합되고, 고정캡(41,43) 사이엔 부시(45)가 끼워져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하부우산대(40,42)의 회전부(7) 관련구성은 한가지의 바람직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하부우산대(42)의 상부에서 상부우산대(40)와 산포부위(1)의 전체 결합구성이 회전하면서 서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라면 다른 적절한 구조를 채택하여 구성하더라도 관계없으며,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998,551호의 경우가 그러하다.
제7도 및 제8도는 전술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예의 변형례를 보여준다.
이는 손잡이(5) 내측에서 우산대(3)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부(7)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기구(8)를 설치하여 단속기구(8)의 조절에 따라 손잡이(5)와 우산대(3)가 결합되어 종래의 우산처럼 우산대(3)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사용하거나, 본 발명에서와 마찬가지로 우산대(3)가 손잡이(5)와 분리되어 우산대(3)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예를 보여준다.
이때, 단속기구(8)는 예를 들면, 손잡이(5)와 손잡이(5)의 하부에 위치하되 손잡이(5)의 하부부재(56)와 우산대(3)의 끝단에 고정 설치된 끝단부재(62)에 슬라이드고정홈(82,82)을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고정홈(80,82)의 내부엔 조절노브(84)를 설치하여, 조절노브(84)를 상승시켜 손잡이(5)측 고정홈(80)에만 위치 하도록 하면 단속해제가 되고, 조절노브(84)를 하강시켜 손잡이(5)측 및 끝단부재(62)측 슬라이드고정홈(80,82)에 동시에 위치하도록 하면 단속결합이 되도록 한 구성을 체택할 수 있다.
물론, 조절노브(84)는 양측에 탄지돌부(86,86)를 형성하고 손잡이(5)측 슬라이드고정홈(80)에도 상응하는 고정요홈(88,88)을 각각 형성하여, 조절노브(84)의 상승시 탄지돌부(86,86)가 상기 고정요홈(88,88)에 끼워 걸려져 조절노브(84)가 손잡이(5)측 슬라이드고정홈(80)으로부터 저절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단속기구(8)의 경우 손잡이(5) 내측에서 우산대(3)가 회전하는 경우를 예로하여 채택한 일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실제로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였으나 제1도, 제2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예와 같이 우산대(3)와 산포부위(1) 또는 우산대(3) 자체사이에 회전부(7)가 설치된 경우에도 이들 상호간 또는 회전이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단속기구를 채택하여 활용할 수 있겠다.
제9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인 우산의 범주에 포함되는 물품으로서 파라솔에 적용하 예를 보여준다.
즉, 파라솔의 산포부위(1)와 우산대(3)사이에 회전부(7)를 구성하되, 산포부위(1)의 산포(14) 표면에 소정간격과 크기로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날개(9)를 세워 설치한 구성을 보여준다.
이는 해안이나 휴양지로서 바람이 많은 곳에 우산대(3) 자체를 땅에 깊숙하게 박아 고정시켜 놓으면, 우산대(3) 자체는 하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산포부위(1)만이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날개(9)에 의하여 바람개비처럼 바람을 더욱 받아 산포부위(1)의 회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물론, 전술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부(7)의 설치위치는 산포부위(1)와 우산대(3)사이, 분리구성되는 우산대(3) 자체 사이, 또는 우산대(3)와 손잡이(5)사이에 국한하여 예시하였으나, 실제로 본 발명의 경우 산포 또는 산포(14)를 포함하는 산포부위(1)가 상기 회전부(7)를 포함하는 가상의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를 채택하여도 활용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 우산, 양산, 파라솔 등에 회전부(7)를 마련하게 되면, 회전부(7)가 설치되는 부위에 따라 다르겠으나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예와 같이, 산포부위(1)에 외력이 작용하면 우산대(3)가 고정되거나 손잡이(5)를 잡고 있는 경우, 우산대(3) 또는 우산대(3)와 손잡이(5)는 동시에 움직이지 아니하나 산포부위(1)는 회전부(7)를 중심으로 부분회전이 되거나 회전방향에 순응하여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경우엔, 우산대(3)와 손잡이(5) 사이에 회전부(7)가 형성되어, 손잡이(5)를 잡고 있는 경우에 산포부위(1)에 외력이 작용하면 산포부위(1)와 우산대(3)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들이 손잡이(5)의 회전부(7)를 중심으로 부분회전이 되거나 회전방향에 순응하여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대(3) 자체사이에 회전부를 형성한 경우엔 우산대(3)의 하부부분 또는 손잡이(5)를 포함하여 움직이지 아니하면 산포부위(1)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산포부위(1)와 고정 설치된 상부 우산대(40)의 결합체인 상부 부분만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산포부위(1)에 외력을 받게되면, 산포부위(1)가 먼저 외력의 가해지는 방향에 순응하여 회전하거나 부분적인 위치변위가 이루어지면서, 우산대(3)나 손잡이(5)에 직접 외력이 곧바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힘이 분산되거나 감쇠한 상태에서 우산대(3) 또는 손잡이(5)를 거쳐 사용자의 손에 간접적으로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우산의 산포부위(1)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순응하여 자연적으로 산포(14)나 산포(14)를 포함하는 산포부위(1)가 회전,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시 우산과 우산이 부딪히거나 비바람이 심한 경우에도 우산대(3)와 손잡이(5)를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의 세기를 감소시켜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부(7)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산포부위(1)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적은 외력에 의해서도 부드럽게 회전이 가능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양산 또는 우산의 겸용으로 사용되는 파라솔과 같은 물품에 있어서, 산포부위(1)의 표면에 다수의 날개(9)를 설치하여 적용하는 경우에 바람이 풍부한 해변가나 휴양지에 설치하여 바람에 의한 산포부위(1)의 회전이 수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주변의 시선을 끌 수 있는 홍보물로도 활용이 가능한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3)

  1. 우산살(12)과 산포(14)를 결합하여 산포부위(1)를 이루고, 산포부위(1)의 중심엔 우산대(3)가 설치되며, 우산대(3)의 하부엔 필요시 손잡이(5)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우산, 양산 또는 파라솔과 같은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산포부위(1)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부(7)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7)가 상기 산포부위(1)와 상기 우산대(3)사이로서 우산살(12)과 산포(14)를 포함하는 산포부위(1)의 중심과 우산대(3)의 결합부위에 마련되어지되, 상기 회전부(7)는 우산살(12)을 고정하기위한 고정부재(10)와 우산대(3)의 상부위치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산포부위(1)만이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7)가 상기 우산대(3)와 손잡이(5)사이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우산대(3)의 하부 끝단부위와 상기 손잡이(5)가 서로 결합되게 되는 내측 설치공간(50)부위에 베어링(72,74)을 끼워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5)에 회전부(7)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기구(8)을 설치하여 이루어져, 손잡이(5)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산포부위(1)와 우산대(3)가 결합된 전체부위가 회전부(7)를 중심으로 회전 또는 회전의 단속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부위(1) 표면에 다수의 날개(9)를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1019980043749A 1998-10-20 1998-10-20 우산 KR100285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749A KR100285661B1 (ko) 1998-10-20 1998-10-20 우산
PCT/KR1999/000608 WO2000022951A1 (en) 1998-10-20 1999-10-11 Umbrella
AU61253/99A AU6125399A (en) 1998-10-20 1999-10-11 Umbrell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749A KR100285661B1 (ko) 1998-10-20 1998-10-20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345A KR19990030345A (ko) 1999-04-26
KR100285661B1 true KR100285661B1 (ko) 2001-04-02

Family

ID=1955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749A KR100285661B1 (ko) 1998-10-20 1998-10-20 우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85661B1 (ko)
AU (1) AU6125399A (ko)
WO (1) WO20000229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92060U (en) 2003-05-14 2004-06-11 Sheng-He Wang Umbrella with rotary face unit
ES2325613T3 (es) * 2003-06-12 2009-09-10 Max Wang Paraguas con estructura de cubierta rotatoria.
GB2451641A (en) * 2007-08-07 2009-02-11 Peter Robert Goodall Energy absorption by rotation
DE102010022889A1 (de) * 2010-06-07 2011-12-08 Dietmar Eisele Regenschirm mit antreibbarem Schirm
NL2008374C2 (nl) * 2012-02-28 2013-09-02 Senz Technologies B V Parasol met asymmetrisch scherm.
MX2022002359A (es) * 2019-08-28 2022-04-06 Solbello Inc Conjunto de parasol autoajustable.
KR102594936B1 (ko) * 2022-05-04 2023-10-26 김중원 이중파라솔의 회전기구 및 그 회전기구를 이용한 이중파라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551A (en) * 1989-01-30 1991-03-12 Winpro Industries Umbrella with canopy rotator joi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0557A (en) * 1990-07-19 1991-06-04 American Holtzkraft, Inc. Rotating canopy umbrell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551A (en) * 1989-01-30 1991-03-12 Winpro Industries Umbrella with canopy rotator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22951A1 (en) 2000-04-27
AU6125399A (en) 2000-05-08
KR19990030345A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336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KR100285661B1 (ko) 우산
EP2851489B1 (en) Umbrella base
US6601597B2 (en) Windbreak and air-ventilating folding umbrella
KR20010051485A (ko) 프리 암 차양막
US6230723B1 (en) Umbrella with fan assembly
US7779849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US20180153270A1 (en) Umbrella with Deployable Curtain
AU2004316976A1 (en) Canopy for a stationary covering device having an asymmetical shape
CN111700060A (zh) 一种绝缘旋转防鸟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384470Y1 (ko) 낚시용 파라솔
JP3187464U (ja) 通風口付傘
KR100593836B1 (ko) 회전 우산
US9301581B1 (en) Automatic umbrella with canopy rotating function
KR101062868B1 (ko) 우산
KR100207340B1 (ko) 우산의 우산포 회전장치
KR20210128152A (ko) 낚시용 가림막
US1387740A (en) Parasol
EP1486136B1 (en) Umbrella with a rotatable canopy
KR200382342Y1 (ko) 회전 우산
KR20230009565A (ko) 낚시용 파라솔
KR200381336Y1 (ko) 회전우산용 하걸쇠
KR200466053Y1 (ko) 바람의 영향을 줄인 파라솔
NL8501905A (nl) In secties te openen groot zonnescherm.
JPH10506306A (ja) 各種気象要素から保護するための折畳み携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129

Effective date: 200512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