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483B1 - 동력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동력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483B1
KR100285483B1 KR1019970043996A KR19970043996A KR100285483B1 KR 100285483 B1 KR100285483 B1 KR 100285483B1 KR 1019970043996 A KR1019970043996 A KR 1019970043996A KR 19970043996 A KR19970043996 A KR 19970043996A KR 100285483 B1 KR100285483 B1 KR 10028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ion
movement
power
dr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534A (ko
Inventor
이명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483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03G3/06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using pendul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에너지에 의한 진동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면서 내연기관을 사용할 때 야기되는 에너지 고갈 및 환경문제, 그리고 구조적인 문제 등을 해결하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 운동을 발생시키는 수정진자; 이 수정진자의 진동 운동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진동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회전 운동 변환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동력발생장치
본 발명은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면서 내연기관이 지니는 제반 문제점들을 저감시키는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력발생장치로 내연기관이 있다.
이 내연기관은 화석 연료의 화학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면서, 그 폭발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폭발력에 의한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동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연기관은 화석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에너지 고갈과, 배기가스에 의한 환경문제를 야기시키며,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 경량화가 곤란하며, 진동, 소음 등을 유발시키는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에너지에 의한 진동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면서 내연기관을 사용할 때 야기되는 에너지 고갈 및 환경문제, 그리고 구조적인 문제 등을 해결하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 운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수단, 이 진동 발생수단의 진동 운동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진동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회전 운동 변환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동력발생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은 진동 발생수단이 진동 운동을 발생시키고, 이 진동 운동이 회전 운동 변환수단에 의하여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면서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하는 동력발생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동력발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수정진자 5:회전 운동 변환기구 7:회전축 9:구동부재 11:피동 휠
13:리턴부재 15:치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력 발생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전기 부하에 따라 진동 운동하는 수정진자로 이루어진 진동 발생수단과; 상기 진동 발생수단의 진동운동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진동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상기 진동 발생수단의 진동운동에 의하여 힌지점을 중심으로 제한된 선회각 범위의 왕복 선회 운동하도록 하는 리턴부재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 선단의 왕복 선회운동에 따른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으로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재와의 동력 전달 효율을 갖도록 그 외주에 치열이 형성된 피동 휠을 구비하는 회전운동 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1)의 전원을 공급하여 진동 발생수단이 진동운동을 발생시키고, 이 진동운동을 회전운동 변환수단이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진동 발생수단은 진동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1)에서 인가되는 전기 부하에 따라 진자 진동운동을 하는 수정진자(3)를 예시한다.
그리고 상기 수정진자(3)로 예시한 진동 발생수단의 진동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회전운동 변환수단으로는 회전운동 변환기구(5)를 적용한다.
이 회전운동 변환기구(5)는 수정진자(3)와 진동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그 회전 동력을 전달할 회전축(7)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재(9)와 피동 휠(11)을 예시하고는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결코 아니고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면 모두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재(9)는 수정진자(3)의 진동운동에 의하여 힌지점(13)을 중심으로 제한된 선회각 범위(a)의 왕복 선회 운동하도록 하는 리턴부재(14)를 개재하여 장착된다.
이 리턴부재(14)는 수정진자(3)의 진동운동시 구동부재(9)를 원래의 상태로 리턴시키는 하나의 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토오션 스프링을 예시한다.
그리고 구동부재(9)의 선단은 이의 왕복 선회운동시, 피동 휠(11)과의 상호 마찰력으로 회전축(7)에 장착된 피동 휠(11)을 회전 운동시킬 수 있도록 피동 휠(11)의 외주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재(9)의 왕복 선회운동이 피동 휠(11)로 전달되면서 회전운동으로 변환됨에 있어서, 이들간에 양호한 동력 전달 효율을 갖도록 피동 휠(11)의 외주에 치열(15)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동력 발생장치에서 밧데리(1)의 전원을 수정진자(3)에 인가시키면, 수정진자(3)는 도 2의 실선 상태(b)와 가상선 상태(c)로 반복적으로 진동운동을 한다.
그러면 수정진자(3)의 진동운동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부재(13)는 수정진자(3)의 진동운동과 리턴부재(14)의 리턴력에 의하여 힌지점(13)을 중심으로 선회각 범위(a) 만큼 선회운동을 반복적으로 하게 된다.
이 때 구동부재(13)의 선단은 피동 휠(11)의 외주에 형성된 치열과 마찰되면서 이 피동 휠(11)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이 피동 휠(11)을 장착 지지하고 있는 회전축(7)이 구동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 회전축(7)은 다른 변속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발생된 회전 동력을 사용하기에 적절한 회전수와 토오크로 변환하여 출력하므로 각종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므로, 본 구성은 화석 연료가 연소된 배기가스와 같은 환경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구조 또한 간단하여 소형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은 진동 발생수단이 진동 운동을 발생시키고, 이 진동 운동을 회전 운동 변환수단에 의하여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므로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의 제반 문제점들을 저감 및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동력발생장치는 전기 에너지로 진동 발생수단을 적용하므로 에너지 고갈 및 환경문제, 그리고 내연기관의 구조적인 문제 등을 해결하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전기 부하에 따라 진동 운동하는 수정진자로 이루어진 진동 발생수단과; 상기 진동 발생수단의 진동운동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진동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상기 진동 발생수단의 진동운동에 의하여 힌지점을 중심으로 제한된 선회각 범위의 왕복 선회 운동하도록 하는 리턴부재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 선단의 왕복 선회운동에 따른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으로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재와의 동력 전달 효율을 갖도록 그 외주에 치열이 형성된 피동 휠을 구비하는 회전운동 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발생장치.
KR1019970043996A 1997-08-30 1997-08-30 동력발생장치 KR10028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996A KR100285483B1 (ko) 1997-08-30 1997-08-30 동력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996A KR100285483B1 (ko) 1997-08-30 1997-08-30 동력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534A KR19990020534A (ko) 1999-03-25
KR100285483B1 true KR100285483B1 (ko) 2001-05-02

Family

ID=3751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996A KR100285483B1 (ko) 1997-08-30 1997-08-30 동력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4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355A (ja) * 1992-10-06 1994-04-26 Takahisa Nakayama 往復運動エンジ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355A (ja) * 1992-10-06 1994-04-26 Takahisa Nakayama 往復運動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534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68872A1 (es) Dispositivo amortiguador de oscilaciones de torsion para la amortiguacion de las oscilaciones de torsion en un sistema de transmision.
KR100285483B1 (ko) 동력발생장치
US2578559A (en) Motion converting mechanism
US4295381A (en) Crankless reciprocating engine and gyroscopic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040058062A (ko) 전동모터를 이용한 유압구동장치
US20050235764A1 (en) Linear into rotatory or vice versa motion convertor
JPH0613596Y2 (ja) エンジンへの発電機支持装置
KR20050089552A (ko)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동력전달장치
KR20020004486A (ko) 진자운동을 응용한 동력발생장치
WO2022024786A1 (ja) 回転運動機構
JP3780339B2 (ja) 往復運動/回転運動変換装置
JP2002005003A (ja) エネルギ変換装置
JPH08240176A (ja) 回転軸の回転促進手段を具備した発電装置
KR200210120Y1 (ko) 진자운동을 응용한 동력발생장치
JPH08256470A (ja) 回転力増幅装置とその電動機及びその発電装置。
KR20180004074A (ko) 보조동력 발생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CN2453415Y (zh) 红外热像仪扫描电机
KR20170123357A (ko) 보조동력 발생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KR100778319B1 (ko) 동력전달장치
SU1028871A1 (ru) Роторный вибродвигатель
RU2161709C2 (ru) Роторно-поршневой двигатель
KR100799547B1 (ko) 동력전달장치
JPH0736196Y2 (ja) 内燃機関用バランサ装置
JPH0694096A (ja) Uクランク機構の発生出力還元装置。
FR2356558A1 (fr) Dispositif destine a neutraliser la nutation d'engins spatiau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