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426B1 - 전화선접근회로 - Google Patents

전화선접근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426B1
KR100284426B1 KR1019980019463A KR19980019463A KR100284426B1 KR 100284426 B1 KR100284426 B1 KR 100284426B1 KR 1019980019463 A KR1019980019463 A KR 1019980019463A KR 19980019463 A KR19980019463 A KR 19980019463A KR 100284426 B1 KR100284426 B1 KR 100284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telephone line
modem
comparator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454A (ko
Inventor
다니엘 제이 리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ublication of KR1998008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1Substation extension arrangements
    • H04M1/715Substation extension arrangements using two or more extensions per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와 관련된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와 모뎀 중에서 항상 전화기에 우선 순위를 주는 전화기와 모뎀(modem)을 위한 전화선 접근(access)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화선 접근 회로는 상기 모뎀을 제어하고 상기 전화기에 대한 오프훅(off hook) 상태를 나타내는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전화기와 상기 모뎀의 특성을 나타내는 전기조건에 따라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논리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화선 접근 회로{TELEPHONE LINE ACCESS ARRANGEMENT}
본 발명은 전화선 접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전화선을 이용하는 전화와 모뎀을 포함하는 전화선 접근(Access)회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모뎀, 팩시밀리 장치, 데이터 전송시스템 등과 같은 정보의 전송 및 수신할 때 이용되는 전화선에 의존하는 장치의 빠른 보급에 따라, 전화선의 통신량(traffic)을 조절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가정 환경에서는 하나의 전화선만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전화선은 긴급한 상황에 대하여 우선권을 가져야만 한다.
최근에, 텔레비젼 수상기와 연결된 이른바 ″세톱박스(set top boxes)″ 라는 장치는, 전화선을 통하여 텔레비젼 서비스 제공자와 데이터통신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전화기와 모뎀과 같은 장치에 의하여 접근 가능한 어떠한 전화선에도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유용성을 찾는 것이나, 상기와 같이 세톱박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도 유용하다. 앞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화기가 먼저 전화선에 접근하고 그 다음에 모뎀이 그 전화선에 접근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전화선 접근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가 전화선에 우선 접근하는 전화선 접근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화선에 전화기와 모뎀의 접근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전화선 접근 회로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전화기
12, 14, 20, 22, 26, 28, 30, 32, 34, 36,
44, 46, 48, 54, 62, 64, 66, 68, 70: 저항기
13: 모뎀
16, 18, 38, 40, 42, 50, 56, 66, 74: 캐패시터
24: 감쇠기
52, 76: 다이오드
60, 80: 비교기
82: 낸드게이트
84: 마이크로프로세서
도 1과 함께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전화선 접근(access) 회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기(10)는 전화선(11)과 연결되고, 그 전화선(11)과 접점(junction)은 알파벳 A와 B로 표시된다. 또한 모뎀(13)은 상기 단자(terminal) A와 B에 연결된다. 단자(terminal) C와 D는, 한 쌍의 분리(isolating) 저항기(12, 14)에 의하여 전화선과 분리되고, 한 쌍의 캐패시터(16, 18)를 통하여 바이패스(bypass) 접지 된다. 또 다른 한 쌍의 분리 저항기(20, 22)는, 상기 각각 접점(junction) C와 D를 감쇠기(24)의 입력단자에 연결한다. 상기 감쇠기(24)의 양의 단자(positive terminal)는, +5.0V의 직류전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한 쌍의 저항기(62, 64)로 구성된 전압분배기(voltage divider)의 접점(junction)에 저항기(68)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양의 전위(positive potential)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저항기(64)는 캐패시터(66)에 의하여 바이패스 접지 된다. 감쇠기(24)는 1이하의 이득을 갖는 단순한 연산증폭기이고, 그 음의 입력단자는 저항기(26)를 통하여 출력단자와 연결된다. 분리 저항기(12, 14, 20 및 22)는 전화선(11)에 연결되고 연산증폭기(24)의 감쇠(attenuation)를 설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감쇠기(24)의 출력단자는, 캐패시터(42)를 통하여 바이패스 접지되고, 저항기(46)를 통하여 제 1비교기(60)의 음의 입력단자에 연결되며, 저항기(34)를 통하여 제 2비교기(80)의 양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다른 기준 전위는 상기 각각의 비교기(60, 80)의 다른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비교기(60)와 관련된 직류전위 +5.0V는 저항기(28)를 통하여, 제 1전압 분배기쌍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 1전압 분배기쌍은, 저항기(44)와 저항기(54)가 직렬연결되어 구성되는 하나의 전압분배기와, 저항기(46)와 저항기(48)가 직렬연결되어 구성되는 다른 전압분배기다. 저항기(54)는 캐패시터(56)에 의하여 바이패스 접지되고, 저항기(48)는 캐패시터(50)에 의하여 바이패스 접지 된다. 여기서, 비교기(60)의 양의 입력단자는, 전압분배기의 저항기(44)와 저항기(54) 사이의 접점과 연결되고, 비교기(60)의 음의 입력단자는 전압분배기의 저항기(46)와 저항기(48) 사이의 접점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비교기(60)의 양의 입력단자는, 캐소드(cathod)가 +3.3V 직류전원에 연결된 다이오드(52)의 애노드(anode)에 연결된다. 비교기(60)의 출력은 임계 낸드게이트(threshold NAND gate)(82)의 하나의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상기와 비슷한 회로가 비교기(80)에도 이용된다. 즉, 제 2전압분배기쌍은 저항기(28)를 통하여 직류전원 +5.0V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제 2전압분배기쌍은, 저항기(30)와 캐패시터(38)를 통하여 바이패스 접지된 저항기(32)로 구성되는 하나의 전압분배기와, 캐패시터(40)를 통하여 바이패스 접지된 저항기(34), (36)로 구성되는 다른 전압분배기다. 비교기(80)의 양의 입력단자는, 저항기(34)와 저항기(36) 사이의 접점과 연결되고, 음의 입력단자는 저항기(30)와 저항기(32) 사이의 접점과 연결된다. 기준전원은 다이오드(76)의 캐소드(cathode)와 연결되어 있어 비교기(80)의 음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다이오드(76)의 애노드(anode)는, 캐패시터(74)에 의하여 바이패스 접지되고 직류전원 +3.3 V와 접지 사이에 있는 한 쌍의 저항기(70), (72)로 구성된 다른 전압분배기와 연결된다. 비교기(80)의 출력은 상기 낸드게이트(82)의 다른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임계 낸드게이트(82)의 출력단자는, 모뎀(13)과 연결되어 그 모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84)의 인터럽트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당업자는 별도의 모뎀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필요없고, 대부분 모뎀 장치는 이 모뎀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논리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고 익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전화선에 있는 복수의 리드선(leads)은 팁지정(TIP designation)과 링지정(RING designation)에 의하여 식별되고, 상기 리드선은 시스템 안의 임의의 지점에서 뒤바뀔 수 있다는 것을 익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특정 전화 리드선쌍의 극성을 모를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전화선 접근 회로는, 어느 극성조합에 대하여도 동작한다. 전화선의 극성이 보장된다면, 앞서 언급한 비교기(80)와 같은 회로를 덧붙일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기나 모뎀 중에서 그 어느 하나는 언제나 이용될 수 있는 상태에 있고, 본 발명에 의한 회로는 그 사실을 결정하여, 전화기가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오프훅(off hook)″ 일 때, 모뎀이 온라인(on-line)이 되지 않게 하는 신호를 발생하거나, 모뎀이 이미 온라인 상태에 있다면, 그 모뎀이 전화선에서 접속을 끊도록, 상기 전화기에 우선권을 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긴급한 상황에 있는 사용자는 언제든지 전화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화기의 오프훅 상태와 모뎀의 온라인 조건을 검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팁(TIP)선은 접점(B)에 연결되고 링(RING)선은 접점(A)에 연결되는 극성을 갖는 전화선(11)에 연결된 모뎀(13)과 외부 전화기(10)가 온훅(on-hook) 즉, 비활성 상태(inactive)에 있으면, 연산증폭기(24)의 출력은 약 4.6V가 된다. 상기 전압은 비교기(60)의 출력을 로우레벨(low)로 하고 비교기(80)의 출력과 낸드게이트(82)의 출력을 하이레벨(high)로 한다. 전화기(10)나 모뎀(13)이 활성상태인 오프훅(off hook)으로 되면, 비교기(60), (80)의 두 출력은 하이레벨(high)로 되고, 낸드게이트(82)의 출력은 로우레벨이 된다. 모뎀(13)이 활성상태인 온라인(낸드게이트(82)의 출력이 하이레벨)이고 전화기(10)가 활성상태이면, 비교기(60)의 출력은 로우레벨이 되고, 비교기(80)의 출력은 하이레벨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캐패시터(56)가 방전될 때까지 낸드게이트(82)의 출력을 하이레벨로 한다. 그러면, 그 결과 펄스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84)에 인터럽트를 걸어서, 그 마이크로프로세서(84)가 모뎀(13)이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는 온훅상태로 되도록 명령한다. 전화기(10)가 오프훅상태로 되면, 낸드게이트(82)의 출력은 하이레벨로 되고, 모뎀(13)은 필요하다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극성 전화 연결 즉, 상기 전화선(11)에 있는, 단자 A에 팁(TIP)선이 연결되고 단자 B에 링(RING)선이 연결되고, 모뎀과 전화가 비활성상태(inactive)인 온훅(on hook)상태에 있으면, 연산증폭기(24)의 출력은 약 5.0V가 된다. 상기 상태는 비교기(80)의 출력을 로우레벨(low)로 하고 비교기(60)와 낸드게이트(82)의 출력을 하이레벨(high)로 한다. 전화기(10)나 모뎀(13)이 활성상태가 된다면, 비교기(60), (80)의 두 출력은 하이레벨로 되고, 그에 따라서 낸드게이트(82)의 출력은 로우레벨로 된다. 모뎀(13)이 온라인(낸드게이트(82)의 출력이 로우레벨 상태)이면, 전화기(10)는 온훅(on hook) 상태가 되며, 비교기(60)의 출력이 하이레벨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 비교기(80)의 출력은 로우레벨로 된다. 이때, 로우레벨 상태의 비교기(80)의 출력은 캐패시터(40)가 방전될 때까지 낸드게이트(82)의 출력을 하이레벨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화선 접근 회로에서 전화는 전화선의 특정 훅업(hook up)의 극성에 상관없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모뎀보다 우선하여 동작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화선 접근 회로는, 전화기와 모뎀 사이에 전화기가 전화선에 연결하는데 우선권을 갖고 있어서, 언제든지 그 전화선에 연결할 수 있도록 전화선 접근을 할당(allocation)하는 새로운 회로로서, 모뎀은 전화기가 오프훅(off hook)상태인 온라인(on line) 상태일 경우에는, 즉시 오프라인(off line)으로 되어 온라인(on line)을 시도하지 않기 때문에 간섭 없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된 기술의 당업자는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으로부터 많은 변경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의 청구항이 정의한 바에 의하여 제한된다.

Claims (4)

  1. 전화선 접근 회로에 있어서,
    전화선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전화기와,
    상기 전화선에 연결되게 한 모뎀과, 상기 전화기와 상기 모뎀은 각각 온후크(on-hook), 오프후크(off-hook), 온라인(on-line), 오프라인(off-line)중에서 어느 한 상태를 갖는 다른 전기조건을 가지며, 논리수단과 그 논리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는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화기가 상기 각각 다른 전기조건으로부터 오프훅상태에 있는 시점을 판단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오프 훅 상태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기를 상기 전화선에 연결하고, 상기 모뎀이 상기 전화선에 연결되었을 경우에 상기 모뎀을 오프라인으로 하기 위해서 상기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도록 연결된 상기 모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접근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수단은, 상기 각각 다른 전기 조건과 관련된 전압레벨들을 줄이는 감쇠기와,
    기준전압원과,
    하나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감쇠기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기준전압원이 연결되며, 출력단자에는 상기 게이트에 연결되는 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접근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접근 회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선은 두 극성 중에 하나의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제 2비교기와 제 2기준 전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비교기는, 하나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감쇠기가 연결되고, 다른 입력단자에는 상기 제 2기준 전압이 입력되며, 출력단자에는 상기 게이트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접근 회로.
KR1019980019463A 1997-05-30 1998-05-28 전화선접근회로 KR100284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66,611 US6049605A (en) 1997-05-30 1997-05-30 Telephone line access arrangement
US8/866,611 199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454A KR19980087454A (ko) 1998-12-05
KR100284426B1 true KR100284426B1 (ko) 2001-03-02

Family

ID=2534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463A KR100284426B1 (ko) 1997-05-30 1998-05-28 전화선접근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49605A (ko)
KR (1) KR100284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9205B1 (en) * 1999-05-19 2006-05-02 Siemens Communications, Inc. Techniques for audio transducer switching under programmatic and off hook interrupt control
EP1370213A4 (en) * 2001-03-23 2005-01-26 Milliken & Co ASYMMETRIC BENZALDEHYDE ALDITOL DERIVATIVES,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COMPOSITIONS AND ARTICLES CONTAIN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353A (ko) * 1995-06-14 1997-01-29 김광호 모뎀의 전화선 사용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9579B2 (ja) * 1992-11-12 2004-09-0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カンパニー 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5535265A (en) * 1993-11-15 1996-07-09 Ast Research, Inc. Method and circuitry for controlling voice mail, call logging and call blocking functions using a mod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353A (ko) * 1995-06-14 1997-01-29 김광호 모뎀의 전화선 사용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454A (ko) 1998-12-05
US6049605A (en) 2000-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6454A (en) Direct connect modem deriving power from telephone line
EP0112119B1 (en) Bridge rectifier circuit
US4598173A (en) Interface circuit for a subscriber line circuit
JPS59501239A (ja) 電話機内の電話線電力供給制御装置
US60878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envelope for data signals using CMOS
US4380687A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for subscriber carrier telephone system
US4807278A (en) Telecommunication controller having a telephone line sharing function
US6427183B1 (en) Circuit for the demand-conforming switching on and off of a load
US4560841A (en) Telephone station which is main or remotely supplied
KR100284426B1 (ko) 전화선접근회로
ATE177268T1 (de) Ladesteuerungsschaltung für eine zweitbatterie
US4063045A (en) Telecommunication line switching circuit
US4332983A (en) Telephone privacy controller
US11394195B2 (en) Overvoltage protection
CN210351199U (zh) Poe的自适应供电装置
US6614669B2 (en) Power supply starting system
US20030128837A1 (en) Power switch device utilizing phone loop signals to control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a telephony instrument
EP0986891B1 (en) A method in a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as well as a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US4388497A (en) Telephone power supply arrangement
JPH0213988B2 (ko)
KR100379616B1 (ko) 무선 전화기의 백업 배터리 전원 회로
US4374303A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for subscriber carrier telephone system
US6842520B2 (en) Telephone
JP3075076B2 (ja) 電話回線状況の監視回路
JPS62183635A (ja) デイジタル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