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316B1 - 파이테이즈 분비 유산균 - Google Patents

파이테이즈 분비 유산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316B1
KR100284316B1 KR1019980030758A KR19980030758A KR100284316B1 KR 100284316 B1 KR100284316 B1 KR 100284316B1 KR 1019980030758 A KR1019980030758 A KR 1019980030758A KR 19980030758 A KR19980030758 A KR 19980030758A KR 100284316 B1 KR100284316 B1 KR 10028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phytic acid
feed
phosphorus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060A (ko
Inventor
양시용
김창원
강창원
유제현
이낙형
Original Assignee
유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민 filed Critical 유희민
Priority to KR101998003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3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장관 내에서 분리한 피틴산(phytic acid) 분해 및 유산생성이 우수한 신규 유산균에 관한 것이다.
가축 사료의 원료에 함유된 피틴산은 장내에서 피틴산을 이노시톨과 유리인으로 분해하는 파이테이즈(phytase) 효소 활성이 낮은 닭, 돼지와 같은 단위가축의 경우 항영양인자로 작용하여 피틴산에 결합된 인의 이용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피틴산과 결합된 중요한 광물질 및 장관내의 소화효소를 비롯한 단백질과 결합하여 이들의 이용성 및 활성을 저하시키며, 분변으로 배설되는 다량의 인은 환경오염의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산업적으로 가축사료에 이용하기 위하여 피틴산을 분해하는 효소인 파이테이즈를 미생물로부터 생산하여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많은 시설과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LPP)는 이러한 맥락에서 파이테이즈 활성이 높은 균주의 선발과 저렴한 배지를 이용한 대량 생산 조건의 확립 및 파이테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직접 생균제(direct-fed-microbials) 또는 발효사료 제조용 균주로서 이용하기 위한 균주의 선발을 목적으로 어린 가축의 장관내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이다.

Description

파이테이즈 분비 유산균
본 발명은 피틴산(phytic acid) 분해 및 유산 생성이 우수한 유산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의 장관 내에서 분리한 유산을 포함하는 산 생성이 우수하며 닭, 돼지와 같은 단위가축 사료의 항영양인자인 피틴산의 분해능을 나타내는 유산균에 관한 것이다.
피틴산은 이노시톨(Inositol) 1분자에 음이온의 인(Phosphorus) 6분자가 결합된 물질로 가축사료의 원료인 곡물, 종유, 콩과 및 단백질 부산물 등의 종류에 따라 0.14∼7.50중량% 정도로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인의 음이온 성상에 따라 아연, 철, 마그네슘과 같은 가축에 있어 중요한 양이온의 광물질 뿐만 아니라 단백질, 지방, 전분 등의 양이온기와 결합된 상태로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사료원료 내에 함유된 인의 경우 30∼70중량% 가량이 피틴산 형태로 존재한다.
닭, 돼지와 같은 단위 가축의 경우 장내에 위와 같은 피틴산을 분해하는 효소인 파이테이즈 분비가 매우 미약하여 피틴산에 결합된 인의 가축 이용성이 매우 낮아 분변으로 배설되는 인의 함량이 많아 환경오염의 주요인으로 작용하며, 이와함께 주요 광물질 및 단백질 등의 이용성도 낮다.
파이테이즈는 식물과 미생물에 존재하거나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산업적으로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파이테이즈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많이 이용하는 파이테이즈 생산 미생물은 아스퍼질러스 피컴(Aspergillus ficuum)과 같은 아스퍼질러스 속(Aspergillus ssp.) 곰팡이와 바실러스 속(Bacillus ssp.) 세균을 주로 이용하여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효소생산과 마찬가지로 미생물로부터 파이테이즈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설과 인력이 필요하여 가축사료 첨가제로 사용하기에는 비용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산 생성 및 피틴산 분해력을 나타내는 유산균을 가축의 장관내로부터 분리하게 되었으며, 이 유산균을 발효사료 제조용 균주 및 가축 생균제용 균주로서 가축에게 급여할 수 있어 사료효율을 개선하여 경제성을 제고(提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비시피(brom cresol purple:BCP) 및 파이테이즈(phytase) 검색 배지에서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LPP)에 의한 유산 생성(A) 및 피틴산 분해(B)를 나타내는 사진.
제2도는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의 파이테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그림.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피틴산 분해 및 유산 생성이 우수하며 신규한 유산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피틴산 분해 및 유산 생성이 우수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인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인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 유산균의 균주는 어린가축의 분변을 채취하여 생리식염수(0.85중량% NaCl)에 희석시킨 후 비시피 배지를 이용하여 노란색으로 변한 균주들을 1차로 분리하고 이를 다시 파이테이즈 스크리닝 배지에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성장 및 파이테이즈 생성을 나타내는 5균주를 2차적으로 선발하여 이를 유청 배지(유당, 10g/L; 유청분말, 10g/L; 아세트산나트륨, 5g/L; 피틴산나트륨, 0.6g/L)를 이용하여 37℃, 150rpm으로 48시간 배양한 다음 측정하여 가장 우수한 pH변화, 성장 및 피틴산 분해도를 가진 최종 1균주를 선발함으로써 얻게 된다.
본 발명의 균주는 1998년 7월 13일자로 한국종균협회에 기탁번호 KFCC-11042로 기탁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① LPP의 파이테이즈 활성측정:
40℃의 진탕수조에서 pH 5.5로 조정한 0.1M 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제(0.1M-sodium acetate buffer)와 최종 농도가 1g/L가 되도록 피틴산을 첨가한 용액에 유산균 배양액을 첨가하여 15분 간격으로 6M-염산을 최종 농도가 1M이 되도록 첨가하여 반응을 시킨 후, 1,8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의 유리 인 함량을 측정하여 파이테이즈 활성으로 하였다.
이 실험에서 배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리되는 인의 양이 증가함을 보였다(제2도).
② 산성 및 담즙성에 대한 내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 시험은 리(Lee)와 노(No)(1997)의 방법(이신호, 노명자. 1997.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인공위액과 담즙에서의 생존특성과 항균성.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5권 6호, p617-622.; Lee, S. H., and M. J. No. 1997, Viability in artificial gastric and bile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한국산업미생물학회) 25: 617.)에 따라 실시하였다.
HCl을 사용하여 pH 2.5로 조정한 엠알에스(MRS) 액상배지에 펩신(1:10,000) 1%(w/v)를 첨가하여 인공 위액으로 사용하였는데, 먼저 균주를 엠알에스 액상배지에서 2회 계대하여 37℃, 170rpm으로 24시간 배양한 후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은 버리고 균체를 회수하여 37℃로 유지된 pH 2.5 용액을 상등액과 동량으로 첨가하여 37℃에서 3시간 배양하였으며, 배양 후 비시피(BCP) 배지상에 도말하여 균수를 측정하여 배양전 균수를 대조구로 하여 비교하였다.
인공 담즙액은 엠알에스 액상배지에 1%(w/v) 판크레아틴을 첨가하여 멸균한 후 멸균 10%(w/v) 옥스갈(oxagall) 용액을 배지의 1%(w/v)를 첨가하여 pH를 6.8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분리 유산균의 인공 담즙에 대한 내성은 인공 위액에서 3시간 동안 배양 후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은 버리고 균체만 회수하여 인공 담즙액을 상등액과 동량으로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 후 비시피 배지에 도말하여 균수를 측정하였으며, 이와 같은 실험 조건하에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시판 요구르트에서 분리한 지지 유산균(Lactobacillus GG.)을 참고구로 비교하였다.
이 실험에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균주와 비교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한 균은 낮은 pH 및 담즙산이 있는 조건하에서도 높은 균수를 유지함을 보여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4).
③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를 이용한 순수 배양:
250ml 삼각 플라스크에 분쇄한 대두박, 쌀겨 및 밀기울 각각 5g과 증류수 45ml을 혼합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시킨 후 24시간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를 스타터로 11%(v/v) 접종한 다음 37℃에서 150rpm으로 24시간 배양하여 pH, 원료사료의 피틴산 함량, 상등액으로 방출된 인 함량 및 상등액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쌀겨의 피틴산 함량만을 제외하고는 원료 사료별로 다소 다르지만 pH 저하와 함께 원료 사료의 피틴산 함량 및 상등액의 무기태 인과 수용성 단백질 함량이 감소하였다(표 5).
④ 비육돈 사양시험:
비육돈 사료에 0.4%(w/w) 수준으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를 첨가하여 돼지에 급여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는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증체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료 요구율(사료섭취량/증체량)에 있어서는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0.4%(w/w) 제올라이트구는 유산균의 부형제로 쓰였기 때문에 참고구로하여 비교한 것으로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에 있어 대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아 0.4% LPP 처리구의 사료요구율 개선효과는 함유된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ㅇ 균주의 분리 및 동정]
본 균주는 여러 어린 가축에서 얻은 분변을 멸균된 생리 식염수(0.85중량% NaCl)를 이용하여 적당히 희석하여 유산 생성에 의해 배지 색깔이 자주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는 유산균수 측정용 배지인 비시피 배지를 이용하여 유산 생성이 우수한 균주들을 1차적으로 분리한 후 pH 5.5의 파이테이즈 스크리닝 배지(표 1)에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 후 성장 및 파이테이즈 생성(투명 환 보임)을 나타내는 5균주를 2차적으로 선발한 다음, 유청 배지(유당, 10g/L; 유청분말, 10g/L; 아세트산나트륨, 5g/L; 피틴산나트륨, 0.6g/L)를 이용하여 37℃, 150rpm으로 48시간 배양한 다음 pH, 성장 및 피틴산 분해도를 측정하여 최종 1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별 균주의 동정은 형태적,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버기스 메뉴얼(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Kandler와 Weiss, 1986)에 따라서 실시하였고, 균주는 엠알에스(MRS, deMan-Rogosa-Sharpe) 배지에 보관하였으며, 엠알에스 액상배지를 기본 배양배지로 하여 배양하였다.
미생물의 성장은 스펙트로포토미터(Kontron사 제품, 모델번호 922)를 이용하여 535nm에서 흡광도(O.D.)를 측정하여 성장도를 파악하였다.
피틴산 함량은 호그(Haug)와 란쯔(Lantzch)(1983)의 방법(호그와 란쯔. 1983. 곡물과 곡물부산물의 피틴산을 신속하게 측정하기 위한 고감도 방법. 저널 오브 사이언스 엔드 후드 어그리컬쳐지(식품농업학회지). 34권, p1423.; Haug, W., and H. J. Lantzsch. 1983. Sensitive method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phytate in cereals and cereal products. J. Sci. Food Agric. 34: 1423.)에 의하여 분석하였으며, 인(P) 함량은 쉬미즈(Shimizu, 1992)의 방법(쉬미즈. 199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낫또) N-77이 생산하는 파이테이즈의 정제 및 특성. 바이오사이언스, 바이오테크날러지 엔드 바이오케미스트리지(생물과학, 생물기술 및 생화학회지). 56권, p1266.; Shimizu, M. 199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ase from Bacillus subtilis(natto) N-77. Biosci. Biotech. Biochem. 56: 1266.)에 따라 효소 분석시 인함량 분석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1차적으로 비시피 배지를 이용한 유산 생성과 파이테이즈 스크리닝(phytase screening) 배지를 이용한 칼슘-피틴산(Ca-phytate) 함유 배지에서의 성장 및 피틴산 분해능(clear zone)을 나타내는 4균주를 선발한 후 유청 배지에서의 pH변화, 성장 및 피틴산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6-5균주를 최종 균주로 선발하였다(제1도)(표 2).
한편 쉬랄(Shiral) 등(1994)(쉬랄 등. 1994. 피틴산 분해능을 갖는 몇 종류의 유산균, 레터 오브 어플라이드 마이크로바이올로지지(응용미생물학 서한). 19권 p366; Shiral, K., S. Revah-Molseev, M. Garcia-Garlbay, and V. M. Marshall. 1994. Ability of some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to degrade phytic acid. Lett. Appl. Microbiol. 19: 366.)은 유산균에 의한 배지에 함유된 피틴산 함량 감소는 균주의 대사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유산균 대사 결과 저하된 pH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결과에서도 전반적으로 발효 후 pH 값이 낮고 성장이 우수할수록 피틴산 분해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선발된 균주는 현미경 관찰, 비시피 배지상에서의 유사 생성여부, 그람염색, 카탈레이즈(catalase) 시험 등과 표 2와 같은 API 50 CHL 균동정킷(kit, bio Merieux Vitek, Inc.)를 이용한 50종류의 당 이용성 시험을 통해 동정 결과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로 동정되었다.
[표 3a]
[실시예 2]
[ㅇ LPP의 파이테이즈 활성측정]
활성측정은 40℃의 진탕수조에서 측정하였는데 반응은 pH 5.5로 조정한 0.1M 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제(0.1M-sodium acetate buffer)와 최종 농도가 1g/L가 되도록 첨가한 피틴산을 함유한 용액에 유산균 배양액을 첨가하여 15분 간격으로 6M-염산을 최종 농도가 1M이 되도록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후, 1,8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의 유리 인 함량을 측정하여 파이테이즈 활성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제2도에 나타낸다.
[실시예 3]
[ㅇ 내산성 및 내담즙성 시험]
내산성 및 내담즙성 시험은 리(Lee)와 노(No)(1997)의 방법(이신호, 노명자. 1997.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인공위액과 담즙에서의 생존특성과 항균성.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5권 6호, p617-622.; Lee, S. H., and M. J. No. 1997, Viability in artificial gastric and bile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한국산업미생물학회) 25: 617.)에 따라 실시하였다. 인공 위액은 염산(HCl)을 사용하여 pH 2.5로 조정한 엠알에스(MRS) 액상배지에 펩신(시그마사 제품, 1:10,000) 1%(w/v)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는데, 먼저 균주를 엠알에스 액상배지에서 2회 계대하여 37℃, 170rpm으로 24시간 배양한 후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은 버리고 균체를 회수하여 37℃로 유지된 pH 2.5 용액을 상등액과 동량으로 첨가하여 37℃에서 3시간 배양하였으며, 배양 후 비시피 배지상에 도말하여 균수를 측정하여 배양전 균수를 대조구로 하여 비교하였다.
인공 담즙액은 엠알에스 액상배지에 1%(w/v) 판크레아틴을 첨가하여 멸균한 후 멸균 10%(w/v) 옥스갈(oxagall, Difco사 제품) 용액을 배지의 1%(w/v)를 첨가하여 pH를 6.8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분리 유산균의 인공 담즙에 대한 내성은 인공 위액에서 3시간 동안 배양 후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은 버리고 균체만 회수하여 인공 담즙액을 상등액과 동량으로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 후 비시피 배지에 도말하여 균수를 측정하였으며, 이와 같은 실험 조건하에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시판 요구르트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참고구로 비교하였다.
최종 선발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 시험결과, 본 시험조건 하에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균주와 비교한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가축의 장내에서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언급된 리와 노(1997)에 의하면 김치 발효 중 pH 3.0∼4.0범위에서 발견되는 유산균들은 대체로 산에 대한 내성이 강한 균주들이라고 하였는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 및 참고구의 유산균 역시 엠알에스 액상배지(MRS broth) 상에서 37℃에서 170rpm으로 24시간 발효시 pH가 각각 3.76 및 3.80이었으며 이때 균수는 각각 5.1×109및 1.2×1010CFU/ml로서 낮은 pH 조건하에서 높은 균수를 유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산성이 우수한 균주들을 1차적으로 선별하고자 할 때 일정시간(24시간) 배양 후 pH 3.0∼4.0 범위에 도달하는 균주를 선발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라 판단되었다.
a,b상이한 위첨자는 줄간의 평균치가 유의성 있게 차이가 있음을 의미함
1평균치의 표준오차(*, P<0.05; ***, P<0.001)
2LPP-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
3참고구-시판되는 요구르트로부터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지지(Lactobacillus GG.)
[실시예 4]
[ㅇ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를 이용한 순수배양]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를 이용한 순수배양이 원료 사료의 피틴산 함량 및 인 분해량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50ml 삼각 플라스크에 와일리 밀(Wiley mill)을 이용하여 1mm 체로 분쇄한 대두박, 쌀겨 및 밀기울 각각 5g과 증류수 45ml을 혼합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시킨 후 24시간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를 스타터로 11%(v/v) 접종한 다음 37℃에서 150rpm으로 24시간 배양하여 pH, 원료사료의 피틴산 함량, 상등액으로 방출된 인 함량 및 상등액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원료사료의 피틴산 함량은 60℃에서 함량이 될 때까지 건조 후 분쇄한 다음 호그(Haug)와 란쯔(Lantzch)(1983)의 방법(호그와 란쯔. 1983. 곡물과 곡물부산물의 피틴산을 신속하게 측정하기 위한 고감도 방법. 저널 오브 사이언스 엔드 후드 어그리컬쳐지(식품농업학회지). 34권, p1423.; Haug, W., and H. J. Lantzsch. 1983. Sensitive method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phytate in cereals and cereal products. J. Sci. Food Agric. 34: 1423.)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상등액으로 방출된 인 함량은 배양액을 8,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의 인 함량을 쉬미즈(Shimizu, 1992)의 방법(쉬미즈. 199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낫또) N-77이 생산하는 파이테이즈의 정제 및 특성. 바이오사이언스, 바이오테크날러지 엔드 바이오케미스트리지(생물과학, 생물기술 및 생화학회지). 56권, p1266.; Shimizu, M. 199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ase from Bacillus subtilis(natto) N-77. Biosci. Biotech. Biochem. 56: 1266.)에 의해 분석하였고, 상등액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브래드포드(Bradford) 방법(브렛포드. 1976. 단백질과 염색시약의 결합 원리를 이용한 신속하고 감도 높은 단백질 정량법. 어넬리티컬 바이오케미스트리지(분석생화학지), 72권 p248.; Bradford, M. 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1976)에 따라 분석하였다.
멸균한 대두박, 쌀겨 및 밀기울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를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쌀겨의 피틴산 함량만을 제외하고는 원료 사료별로 다소 다르지만 pH 저하와 함께 원료 사료의 피틴산 함량 및 상등액의 무기태 인과 수용성 단백질 함량이 감소하였다(표 5).
케타폴(Khetarpaul)과 차우한(Chauhan)(1989)(케타폴과 차우한. 1989. 효모와 락토바실러스의 순수 배양이 펄-밀렛의 피틴산과 폴리페놀 함량에 미치는 영향. 저널 오브 푸드 사이언스(미국식품학회지). 55권, p1180.; Khetarpaul, N., and B. M. Chauhan. 1989. Effects of fermentation by pure culture of yeasts and lactobacilli on phytic acid and polyphenol content of pearl millet. J. Food Sci. 55: 1180.)에 의하면 유산균을 이용하여 펄 밀렛(pearl millet)을 발효시킨 결과 펄 밀렛의 피틴산 함량 감소 및 무기태 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무기태 인 함량의 증가는 피틴산의 분해에 의한 결과라고 하였다. 본 실험 결과 무기태 인 함량이 유산균 발효에 의해 감소한 것은 배양 상등액의 무기태 인 함량을 측정한 것으로 유산균에 의해 상당부분 이용되었기 때문이며, 수용성 단백질 함량의 감소도 유산균에 의해 분해 및 이용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발효 등에 의한 피틴산 함량의 감소는 처리 방법 외에 원료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드 볼렌드(de Boland) 등(1975)(드볼렌드 등. 1975. 곡물과 착유종자 부산물내 피틴산의 규명 및 특성. 저널 오브 어그리컬춰럴 후드 케미스트리지(농업식품화학회지). 23권, p1186.; de Boland, A., G. B. Garmer, and B. L. O′Dell. 1975. Identification and properties of phytate in cereal grains and oilseed products. J. Agric. Food Chem. 23: 1186.)에 의하면 멸균 시간에 따른 여러 곡물들의 피틴산 감소율을 파악한 결과 2시간 멸균 처리에 의해 대두 및 밀은 각각 17% 및 77%의 피틴산이 감소된 반면 쌀은 5% 밖에 감소되지 않았는데, 결국 원료별 피틴산 감소율이 다른 것은 원료내 단백질 및 양이온 환경의 차이때문이라고 추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대두박, 쌀겨 및 밀기울의 피틴산 감소율이 각각 27.07, 0 및 12.18%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기 언급된 드 볼렌드 등(1975)이 제시한 원료 사료의 단백질과 양이온 상태의 차이뿐만 아니라 피틴산의 원료 사료내 분포 위치 및 원료 사료의 구조적 차이 때문으로 판단되어, 결국 유산균 등을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에 있어 원료 사료에 따라 피틴산 분해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발효에 의한 이용효율 제고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pH, 시험관 내(in vitro)에서의 단백질과 전분 소화율 및 생체내(in vivo) 실험 등을 수행해야 하지만 피틴산 분해에 따라 인 추출(P extractability), 미네랄 이용성 및 단백질과 전분 소화율 등이 개선되는 점을 고려할 때 발효성상을 파악함에 있어 pH 측정과 함께 간접적인 지표(index)로서 피틴산 함량 변화를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실시예 5]
[ㅇ 비육돈 사양시험]
엠알에스 배지상에서 배양시킨 균주를 엠알에스 액상배지에 접종시켜 37℃, 150rpm으로 18시간 진탕배양시킨 것을 스타터로 하여 30L 엠알에스 액상배지(50L 발효기, 용존산소량-2vvm, 37℃, 500rpm)에 1%(v/v)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부형제로 제올라이트와 혼합하여 45℃에서 12시간 송풍 건조시켜 제조하였으며, 이때 유산균 수는 비시피 배지를 이용하여 측정결과 2.0×107CFU/g을 함유하였다.
본 실험은 서울 근교 농장에서 생후 4개월령의 수퇘지 총 30두를 처리별[대조구:시판 비육돈 사료, 처리구:비육돈 사료+제올라이트와 혼합한 LPP 0.4%(w/w), 참고구:비육돈 사료+제올라이트 0.4%(w/w)]로 10두씩 공시하여 총 45일간 실험하였으며, 이때 급여 사료의 배합표와 화학적 성분은 표 5에 제시되어져 있고, 급여 사료는 일일 2회씩(07:00시, 18:00시) 무제한 급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에스에이에스(SAS, 1985)의 지엘엠 프로시듀어(GLM procedure)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처리구에 대한 평균치의 유의성 검정은 던컨스 멀티플 래인지 테스트(Duncan′s multiple range test; Duncan, 1955(던컨. 1955. 복수범위와 복수 F 시험. 바이오메트릭스지. 11권, p1.; 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1kg당 함유량:비타민 A, 4,400 IU; 비타민 E, 44 IU; 판토테닌산, 40mg; 나이아신, 40mg; 리보플라빈, 40mg; 비타민 B12, 0.04mg; 바이오틴, 2.8mg; 피리독신, 4.0mg; 엽산, 0.9mg; 티아민, 3.9mg; 콜린, 600mg, 셀레니움, 0.2mg; 망간, 0.08g; 아연, 0.2g; 철, 0.2g; 구리, 0.02g; 칼륨, 0.43g; 요오드, 0.2mg2계산치.
비육돈 사료에 0.4%(w/w) 수준으로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를 첨가하여 급여한 결과는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증체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료 요구율(사료섭취량/증체량)에 있어서는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0.4%(w/w) 제올라이트구는 유산균의 부형제로 쓰였기 때문에 참고구로하여 비교한 것으로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에 있어 대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아 0.4% LPP 처리구의 사료요구율 개선효과는 함유된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농장의 특성상 개체관리가 용이하지 않아 개체별 사료접취량 및 분변내의 인 배설량 등을 파악하기가 어려워 처리구별 생산성만을 비교하였고, 사육두수가 적어 개시체중이 처리구별로 유사하지는 않으나 사료요구율 개선효과가 뚜렷하기 때문에 그 처리효과가 인정된다고 할 수 있는데 결국 사료요구율의 개선은 영양소 이용효율이 높아졌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피틴산 분해율 증가에 따른 인을 비롯한 미네랄, 단백질 및 전분 등의 이용효율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이와 함께 장관내 pH 저하에 따른 소화효소 및 장내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의 활성을 높여 소화율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나하숀(Nahashon) 등(1994)(나하숀 등. 1994. 사료내 두가지 수준의 이용가능 인과 생균제의 첨가 급여가 백색레그혼 산란계의 파이테이즈 활성, 인과 칼슘의 축적 및 성적에 미치는 영향. 포울트리 사이언스지(가금학회지). 73권, p1552.; Nahashon, S. N., H. S. Nakaue, and L. W. Mirosh. 1994. Phytase activity, phosphorus and calcium retention, and performance of single comb white leghorn layers fed diets containing two levels of available phosphorus and supplemented with direct-fed microbials. Poultry Sci. 73:1552.)에 의하면 산란계에게 당밀을 부형제로 한 유산균 급여를 통해 저 수준(0.25%)의 인을 함유한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에 있어 인 축적율이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는데 이는 당밀과 유산균의 피탄산 활성 및 소낭과 소장 내용물의 pH 저하에 따라 인의 이온화가 촉진되어 흡수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산균 첨가에 따른 증체 및 사료효율 개선효과는 장내 pH 저하에 따른 소화효소의 활성 촉진 및 정상 균총의 유지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 보고된 유산균의 파이테이즈 활성은 매우 낮은 편으로 상기 언급된 나하숀 등(1994)에 의하면 당밀 및 당밀과 유산균의 혼합물 모두 파이테이즈 활성을 나타내며, 당밀과 유산균 혼합물이 파이테이즈 활성이 더 높다고 하였는데 유리된 인 함량으로 나타낸 파이테이즈 활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측정결과 당밀은 약산성(pH 5.0)이며, 유산균의 경우 균주에 따라 다르지만 배양액의 경우 pH 3.0∼4.5 정도의 pH를 나타나는 점을 고려하면 파이테이즈 활성은 상당부분 낮은 pH(3.0∼5.0) 및 pH 저하에 따른 영향으로 사료되며 본 명세서의 8페이지에서 언급된 쉬랄 등(1994)에 의하면 피틴산을 함유한 유청 배지에 유산균 발효시의 pH 저하와 동일하게 유산으로 pH를 저하시킴에 의해 유청 배지에 함유된 피틴산의 감소효과가 나타나는 점으로 보아 유산균의 피틴산 분해 효과는 상당부분 pH 저하에 따른 영향이라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유산균에 의한 원료 사료의 발효 및 사료 요구율 개선 등의 효과는 상당부분 본 발명의 유산균의 발효에 따른 pH 저하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결국 발효에 따른 pH 저하율이 높으며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의 이용을 통해 생균제 및 파이테이즈 첨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으며, 돼지의 경우 피틴산-인의 이용성에 있어 연령 및 사료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34% 가량의 피틴산-인을 이용할 수 있으며(Anon, 1984(에넌. 1984. 가금영양에 있어 인의 생체이용성. 뉴트리셔널 리뷰(영양 소고). 42권 p387.; Anon. 1984. Phosphorus bioavailability in poultry nutrition. Nutr. Rev. 42: 387.); Fisher, 1983(피셔, 1993. 피틴태-인의 이용성을 증가시키는 저 수준 칼슘사료. 뉴트리셔널 리뷰(영양 소고). 50권, p170.; Fisher, H. 1993. Low-calcium diets enhance phytate-phosphorus availability. Nutr. Rev. 50: 170.), 연령 증가에 따라 이용성이 높아지는 점을 보면 돼지의 경우 위의 산성조건, 장내 파이테이즈 및 사료의 내인성 파이테이즈에 의해 상당부분의 피틴산-인이 분해된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본 발명의 유산균 첨가에 따른 장관내 pH 저하로 인한 피틴산-인 분해 및 사료의 내인성 파이테이즈의 활성 촉진 등으로 인해 양돈사료에 본 발명의 유산균 첨가에 따른 피틴산-인 이용성이 제고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닭의 경우, 돼지에 비해 일반적으로 피틴산-인의 이용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짧은 소화 시간 및 장내 파이테이즈의 활성이 적은 이유로 사료되며, 닭의 경우 본 발명의 유산균 첨가에 따라 소낭 내용물의 pH 저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pH 저하에 따른 피틴산 분해 및 사료의 내인성 파이테이즈의 활성을 촉진시켜 피틴산-인 분해율을 높임으로 인해 피틴산에 의해 활성이 저해되는 소낭내 아밀라아제(amylase) 및 장관내 소화 효소의 활성을 높여 사료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사료효율 및 분변내로의 인 배설량 등을 파이테이즈 처리구와 비교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지만 본 연구결과에서 얻은 가축 분변에서 얻은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고 발효시 pH 저하율이 우수한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의 경우 생균제 및 파이테이즈 첨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는 피틴산 분해 및 유산 생성이 우수한 유산균으로서, 비육돈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함으로써 피틴산 분해율 증가에 따른 인을 비롯한 미네랄, 단백질 및 전분 등의 이용효율을 높이며 이와 함께 장관내 pH 저하에 따른 소화효율 및 장내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의 활성을 높여 소화율이 높아지도록 하여, 가축의 장내 균총의 발란스 유지 및 장관내 pH 저하를 통한 증체, 사료효율 개선 및 질병억제 등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

  1. 산성 pH 및 담즙산에 대한 내성, 피틴산 분해 및 유산 생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페시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기탁번호 KFCC-11042) 유산균.
KR1019980030758A 1998-07-30 1998-07-30 파이테이즈 분비 유산균 KR10028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758A KR100284316B1 (ko) 1998-07-30 1998-07-30 파이테이즈 분비 유산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758A KR100284316B1 (ko) 1998-07-30 1998-07-30 파이테이즈 분비 유산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060A KR20000010060A (ko) 2000-02-15
KR100284316B1 true KR100284316B1 (ko) 2001-04-02

Family

ID=1954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758A KR100284316B1 (ko) 1998-07-30 1998-07-30 파이테이즈 분비 유산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791A (ko) * 2005-03-28 2005-04-29 코바이오텍 (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TWI802194B (zh) * 2021-07-13 2023-05-1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諾麗果發酵物於製備改善體態及肌膚狀況之組合物之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060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briel et al. Effects of whole wheat feed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digestive tract of broiler chickens
Engberg et al. Influence of whole wheat and xylanase on broiler performance and microbial composition and activity in the digestive tract
Wu et al. Effects of Bacillus subtilis KD1 on broiler intestinal flora
JP5872104B2 (ja) 新たなバチルス・サブチルス{novelbacillussubtilis}
US11110134B2 (en) Direct-fed microbials
EP2011858B1 (en) A bile resistant bacillus composition secreting high levels of phytase
AU2006220351A1 (en) Composition
SE511025C2 (sv) Foderprodukt för häst omfattande Lactobacillus plantarum JI:1 samt Lactobacillus plantarum JI:1 och användning därav
CN1997387A (zh) 用于促进肉型家禽生长的方法和组合物
US6436451B1 (en) Method of reducing cholesterol in chicken eggs
Kheravii et al. Effect of oat hulls as a free choice feeding on broiler performance, short chain fatty acids and microflora under a mild necrotic enteritis challenge
US10006073B2 (en) Use of Bacillus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available sugars in animal feed
Zhou et al. Response of goose intestinal microflora to the source and level of dietary fiber
KR100284316B1 (ko) 파이테이즈 분비 유산균
Mahadevamma et al. Resistant starch derived from processed legumes: in vitro and in viv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US20030086959A1 (en) Animal feed containing simple polysaccharides
US11998576B2 (en) Direct-fed microbials
KR102050019B1 (ko) 면역증강용 사료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배합사료
El-Maaty et al. Dietary sugar beet tops and prebiotic effect on nutrient digestibility, caecal activity and organ histology of weaning rabbits
Mairizal et al. The Effect of Giving Probiotics and Palm Kernel Meal Subjected to Enzymatic Hydrolysis with Mannanase on Broiler Growth Performance
KR20020043078A (ko) 올리고당이 포함된 복합생균제
Broderick APPLICATION OF FUNCTIONAL ADDITIVES IN POULTRY PRODUCTION
KR100445292B1 (ko) 다기능 프로바이오틱능력을 가지는 신규 엔테로코카스 페시움 유비티-엠01
CA3227611A1 (en) Methods of treating pododermatitis
KR100518266B1 (ko)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scd 균주(kccm 10104)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