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301B1 - 아세톤의 정제 방법 - Google Patents

아세톤의 정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301B1
KR100283301B1 KR1019960043754A KR19960043754A KR100283301B1 KR 100283301 B1 KR100283301 B1 KR 100283301B1 KR 1019960043754 A KR1019960043754 A KR 1019960043754A KR 19960043754 A KR19960043754 A KR 19960043754A KR 100283301 B1 KR100283301 B1 KR 100283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one
column
cumene
water
triethylene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050A (ko
Inventor
로레노 로렌조니
살바또레 시물라
기우세뻬 메씨나
리까르도 만사니
Original Assignee
마르코 제나리
에니켐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95MI002032A external-priority patent/IT1276823B1/it
Application filed by 마르코 제나리, 에니켐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마르코 제나리
Publication of KR970021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301B1/ko

Links

Landscapes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놀 아세톤 제조 공정 중, 주로 쿠멘, 물, 알데히드 및 메탄올에 기인한 불순물로부터 원아세톤을 정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
- 제 1 증류 컬럼에 페놀/아세톤을 수득하기 위한 플랜트의 1 차 분별기로부터 나오는 원아세톤 스트림을 공급한 후, 2 % 의 수산화나트륨 용액도 공급하고 ;
- 제 1 컬럼 상단의 아세톤, 물 및 쿠멘으로 구성된 스트림을 제 2 컬럼에 보내며 추출 용매인 트리에틸렌글리콜도 공급하고 ;
- 제 2 컬럼 상단으로부터 실질적인 무수 아세톤을 회수하고 ;
- 트리에틸렌글리콜, 물, 쿠멘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제 2 컬럼 하단 생성물을 제 3 증류 컬럼으로 공급하여, 물/쿠멘의 공비 혼합물을 상단에서 회수하고 무수 트리에틸렌글리콜을 하단에서 회수하며 ;
- 분리기에 물/쿠멘의 공비 혼합물을 보내어 아세톤을 포함하는 수상은 분리하여 아세톤을 제 1 컬럼으로 재순환시키고 쿠멘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유기상은 1 차 분별기로 보냄.

Description

아세톤의 정제 방법{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ACETONE}
본 발명의 목적은 페놀-아세톤을 수득하기 위한 공정에서 나오는 원아세톤 스트림에 포함된 아세톤의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페놀-아세톤을 수득하기 위한 공정에서 나오는 원아세톤 스트림에 포함된 아세톤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의 페놀-아세톤을 수득하기 위한 플랜트에서 약알칼리성 환경 하, 쿠멘 스트림을 공기로 산화시킨다. 이에 수득되는 큐밀히드로퍼옥시드를 황산 존재 하에서 연속적으로 가수분해하여 페놀 및 아세톤의 혼합물을 수득하는데, 이로부터 원아세톤 스트림이 정류에 의해 분리된다.
아세톤의 정제는 도 1 에 나와 있는 도식에 따라 수행된다.
실질적으로, 주로 쿠멘, 물, 알데히드 및 메탄올로부터의 불순물이고 1 차 분별 상단에서 나오는 원아세톤 스트림을 350 내지 500 토르의 압력 및 3.5 내지 4.5 의 환류비 하에서 일직선 상에 있는 일련의 한 개 이상의 컬럼 상에 총 70 판(Plate) 동안 증류한다.
원아세톤 (1) 을 컬럼 A'' 의 제 1 판에 공급하거나 70 판이 있는 단 한 개의 컬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10 판에 공급한다. 양이 약 0.2 % 인 물과 300 ppm 의 메탄올 (2) 을 포함하는 명세서 내의 생성물을 A'' 상단에서 회수한다. 동일한 컬럼의 산성을 중화하고 원생성물 내에 존재하는 알데히드 불순물의 응축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진 26。 판에 14 % 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3) 을 공급한다. 또한, 양이 15 % 이상인 공급하는 물의 존재가 소드염의 형성으로 인한 컬럼의 오염을 방지하는데 필요하다. 쿠멘 (4) 은 실질적 양의 아세톤과 함께 제거되는 곳인 컬럼 A'' 하단 상에 축적된다. 물, 폴리알데히드, 메탄올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컬럼 A'' 하단 생성물 (5) 를 컬럼 A' 에 공급한다. 수산화나트륨의 효과로 형성된 폴리알데히드를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 (6) 과 함께 컬럼 A' 으로부터 제거하는 반면, 상단의 아세톤 함유 스트림 (7) 을 컬럼 A'' 에 재공급한다.
이 컬럼의 기능을 바로잡기 위해 공급 시에 쿠멘의 양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1 차 분별 (원페놀에서 아세톤 분리) 의 고환류비를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원아세톤 스트림 (1) 에서 물은 아세톤 (아세톤 95.6 %, b.p. 54.5 ℃) 과 함께 공비 혼합물을 형성할 때 분별증류로써 제거되지 못하는 임계 불순도를 나타낸다. 아세톤의 상업적 정제 방법에서 감압 하에서 증류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허용가능한 수준까지 물 함량을 줄임으로써 공비 혼합물의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예로써 펌프의 작동 및 고환류비로 작동해야 하는 당위성으로 인한 고에너지소비와 같은 불이익이 있다.
이제 종래에 사용해 온 방법으로 수득된 것들보다 질적으로 우수한 아세톤을 생산할 수 있는 정제 방법이 발견되었고, 또한 이로써 상당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감압에서의 증류 방법의 선택적 방법으로서 대기압에서 트리에틸렌글리콜 (TEG) 로 추출 증류법을 사용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물/아세톤 공비 혼합물을 분리한다.
도 1 는 원아세톤 스트림을 정제하기 위한 제 1 차 및 제 2 차 분별기가 내장된 장치를 나타낸다.
도 2 는 원아세톤 스트림을 정제하기 위한 제 1 차, 제 2 차 및 제 3 차 분별기가 내장된 장치를 나타낸다.
도 3 은 원아세톤 스트림을 정제하기 위한 제 1 차, 제 2 차 및 제 3 차 분별기와 더불어 상분리기가 내장된 벤치 스케일 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의 간단한 부호 설명
- 도 1 -
1 : 원아세톤 스트림, 2 : 메탄올
3 : 14 % 수산화나트륨 용액, 4 : 쿠멘
5 : 물, 폴리알데히드, 메탄올 및 아세톤을 함유하는 컬럼 A' 의 하단 생성물
6 : 물, 7 : 컬럼 A' 의 아세톤 함유 스트림
- 도 2 -
A' : 제 1 차 컬럼, A'' : 제 2 차 컬럼
A''' : 제 3 차 컬럼, B : 상분리기
1 : 원아세톤 스트림, 2 : 2 % 수산화나트륨 용액
3 : 물 및 메탄올을 함유하는 컬럼 A' 의 말단 생성물
4 : 컬럼 A' 의 상단 스트림, 5 : 회수되는 무수 아세톤
6 : TEG, 물, 쿠멘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컬럼 A'' 의 하단 생성물
7 : 물/쿠멘 공비 혼합물, 8 : 아세톤 함유 수상
9 : 쿠멘 및 아세톤 함유 유기상
10 : 무수 트리에틸렌글리콜 (TEG)
- 도 3 -
T1 : 30 개의 판이 있는 컬럼, T2 : 45 개의 판이 있는 컬럼
T3 : 15 개의 판이 있는 컬럼, S1 : 상분리기
1 : 원아세톤 스트림, 2 : 2 % 수산화나트륨 용액
3 : 물 및 메탄올을 함유하는 T1 의 말단 생성물
4 : T1 의 상단 스트림, 5 : 무수 아세톤
6 : TEG, 물, 쿠멘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컬럼 T2 의 하단 생성물
7 : 물/쿠멘 공비 혼합물
8 : 아세톤 함유 수상
9 : 쿠멘 및 아세톤 함유 유기상
10 : 무수 TEG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쿠멘, 물, 알데히드 및 메탄올의 존재로 인해 주로 불순한 페놀-아세톤을 수득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원아세톤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
- 제 1 증류 컬럼에 페놀/아세톤을 수득하기 위한 플랜트의 1 차 분별로부터 나오는 원아세톤 스트림을 공급한 후, 2 % 의 수산화나트륨 용액도 공급하고 ;
- 제 1 컬럼 상단의 아세톤, 물 및 쿠멘으로 구성된 스트림을 제 2 컬럼에 보내며 추출 용매인 트리에틸렌글리콜도 공급하고 ;
- 제 2 컬럼 상단으로부터 실질적인 무수 아세톤을 회수하고 ;
- 트리에틸렌글리콜, 물, 쿠멘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제 2 컬럼 하단 생성물을 제 3 증류 컬럼으로 공급하여, 물/쿠멘의 공비 혼합물을 상단에서 회수하고 무수 트리에틸렌글리콜을 하단에서 회수하며 ;
- 분리기에 물/쿠멘의 공비 혼합물을 보내어 아세톤을 포함하는 수상은 분리하여 아세톤을 제 1 컬럼으로 재순환시키고 쿠멘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유기상은 1 차 분별로 보냄.
본 발명의 방법은 생산비 증가와 관계없이 선두하는 양질의 아세톤 (물 함량 〈 300 ppm 및 메탄올 〈 100 ppm) 을 수득하는 것에 부가하여 현재 사용되는 방법에 관한 하기 이점을 제공한다 :
- 대기압 하에서의 작동, 이에 따른 진공 펌프의 사용을 피함으로 인한 궁극적인 에너지 절약, 방출 감소 및 성능 향상 가능성 ;
- 더한 성능 향상 가능성과 함께 정제 상태에서의 환류비의 감소로 인한 에너지 절약 ;
- 1 차 분별에서의 환류비의 감소로 인한 에너지 절약.
제안된 방법에 있어서, 사실상 제 3 층 상단에서 쉽게 분리되는 물/쿠멘의 공비 혼합물의 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원아세톤 내의 일정한 양의 쿠멘의 존재가 허용되고 환류비를 낮춤으로써 1 차 분별의 진전도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정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안이 도 2 에 나와 있으며 이의 주요 부분이 하기되어 있다.
1 차 분별에서 나오는 원아세톤 스트림 (1) 을 판의 수가 16 - 26, 바람직하게 20 개인 컬럼 (A') 의 3°- 10°판 (이론적인 판, 위로 수치가 올라감), 바람직하게는 6°에 공급한다. 0.2 내지 0.5, 바람직하게 0.3의 환류비 및 압력 저하에 따라 102 내지 110 ℃ 로 변화하는 말단 온도 하, 대기압에서 컬럼을 작동한다. 원아세톤에 대한 양이 12 % 내지 17 %, 바람직하게는 15 % 인 2 % 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2) 을 동일한 컬럼의 13°- 23°판, 바람직하게는 19°판에 공급한다. 알데히드 (폴리알데히드 형태), 소다와 함께 공급된 대부분의 물, 및 일부분의 메탄올 (3) 을 이 컬럼의 말단에서 제거한다. 물이 원생성물과 역방향으로 수산화나트륨의 용액으로서 공급될 경우, 컬럼 하단에 있는 이 불순물의 대부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보다 많은 양의 물로써 메탄올의 분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0.4 - 1.5, 바람직하게는 1 의 환류비 및 전형적으로 120 ℃ 이고 컬럼 A''' 말단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 자생 온도 하, 대기압에서 판의 총수가 23 - 36, 바람직하게는 32 개인 컬럼 A'' 의 3°- 10°판, 바람직하게는 6°에 컬럼 A' 상단에서 나오는 스트림 (4) 를 공급한다.
이 컬럼에서, 추출 용매인 컬럼 A' 에 공급되는 원생성물의 0.6/1 의 양의 트리에틸렌글리콜을 25°- 40°판에 접하도록 하는데, 이의 효과로 물-아세톤의 공비 혼합물을 분리하고 물이 컬럼 하단에 생성되는 것을 저지한다. 실질적인 무수 아세톤 (물 함량 〈 300 ppm) 을 상단 (5) 으로부터 회수한다. 추출 용매를 회수하기 위해 TEG, 물, 쿠멘 및 전형적으로 약 3 % 양의 아세톤으로 구성된 컬럼 A'' 하단 생성물 (6) 을 컬럼 A''' 의 6°- 19°판, 바람직하게는 13°에 공급한다.
TEG 를 탈수하기 위한 물/쿠멘 (b.p. 95℃, 쿠멘 56 %) 의 공비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판의 수가 9 - 20 , 바람직하게는 15 개이고 컬럼 A' 에 공급되는 원생성물에 대한 0.1 내지 0.7, 바람직하게는 0.2 의 환류비 하, 대기압에서 작동하는 이 컬럼에 사용한다.
상단에서 회수되는 공비 혼합물 (7) 을 두가지 상이 분리되는 분리기 (B) 에 수집한다. 33 % 이하의 아세톤 함유 수상 (8) 을 컬럼 A'' 에 재순환시킨다. 33 % 이하의 쿠멘 및 21 % 이하의 아세톤 함유 유기상 (9) 을 1 차 분리기에 재순환시킨다.
무수 TEG (10) 를 컬럼 A''' 의 말단에서 회수하고 컬럼 A'' 에 재순환시킨다.
실시예 1
일직선 상에 있는 일련의 컬럼 3 개 및 상 분리기 S1 을 포함하고 도 3 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은 ″벤치 스케일″ 장치에서 시험한다.
컬럼 T1 은 30 개의 판으로, T2 는 45 개의 판으로, 또 T3 는 15 개의 판으로 되어 있다. 판은 구멍이 있고, 유리로 되어 있으며, 직경이 50 mm 이고, NORMSCHLIFT 에 의해 제공되며 총 환류온도에서 효율이 65 % 이다.
1 차 분별에서 나오는 원아세톤 스트림 (1) 을 컬럼 T1 의 12°판에 공급한다. 2 % 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2) 을 동일한 컬럼의 30°판에 공급한다. 알데히드 (폴리알데히드 형태), 탄산나트륨과 함께 공급되는 대부분의 물 및 일부분의 메탄올 (3) 을 이 컬럼의 말단에서 제거한다. 이어서, 컬럼 T1 상단에서 나오는 스트림 (4) 를 컬럼 T2 의 8°판에 공급한다. 또한, 재순환되는 트리에틸렌글리콜 (10) 을 이 컬럼의 25°판에 공급한다. 실질적인 무수 아세톤 (5) 을 T2 상단으로부터 회수하는 반면, TEG, 물, 쿠멘 및 아세톤 (6) 함유 스트림은 말단으로부터 회수한다. 추출 용매를 회수하기 위해 이 스트림을 컬럼 T3 의 10°판에 공급한다.
상단에서 회수된 공비 혼합물 (7) 을 두 가지 상, 즉 아세톤을 포함하고 컬럼 T1 으로 재순환되는 수상 (8) 과 쿠멘 및 아세톤 함유 유기상 (9) 으로 분리하는 분리기 S1 의 컬럼에 수집한다. 무수 TEG (10) 을 컬럼 T3 의 말단으로부터 회수하고 컬럼 T2 에 재순환시킨다.
작동 파라미터
공급 컬럼 T1
- 원아세톤 스트림 3042 cc/h
(H2O 2.5 % ; 쿠멘 150 ppm ; 메탄올 210 ppm)
- S1 으로부터의 수상 104 cc/h
- H2O 형성 -
- NaOH (2 %) 458 cc/h
실행 파라미터
온도
말단 T1 104 ℃ 환류 T1 586 cc/h
상단 T1 62 ℃ 환류 T2 3000 cc/h
말단 T2 112 ℃ 환류 T3 480 cc/h
말단 T3 183 ℃ 재순환되는 TEG 1430 cc/h
상단 T3 106 ℃ 압력 1 atm
주요 분석
아세톤 말단 T1 60 ppm
아세톤 말단 T2 2.3 %
아세톤 유기상 S1 10.7 %
아세톤 수상 S1 18.5 %
H2O 말단 T2 9.9 %
쿠멘 말단 T2 11.1 %
쿠멘 말단 T3 12.7 %
최종 생성물의 특성
H2O 함량 800 ppm
메탄올 함량 150 ppm
과망간산염 시험 ASTM D1363 12 h
실시예 2
방법은 하기의 작동 파라미터를 가지고 실시예 1 에 기재된 대로 수행한다 :
공급 컬럼 T1
- 원아세톤 스트림 3028 cc/h
(H2O 2.5 % ; 쿠멘 150 ppm ; 메탄올 210 ppm)
- S1 으로부터의 수상 133 cc/h
- H2O 형성 736 cc/h
- NaOH (2 %) 467 cc/h
실행 파라미터
온도
말단 T1 105 ℃ 환류 T1 1123 cc/h
상단 T1 60 ℃ 환류 T2 3001 cc/h
말단 T2 120 ℃ 환류 T3 520 cc/h
말단 T3 182 ℃ 재순환되는 TEG 1430 cc/h
상단 T3 110 ℃ 압력 1 atm
주요 분석
아세톤 말단 T1 451 ppm
아세톤 말단 T2 1.6 %
아세톤 유기상 S1 12.0 %
아세톤 수상 S1 21.9 %
H2O 말단 T2 5.9 %
쿠멘 말단 T2 10.8 %
쿠멘 말단 T3 11.7 %
최종 생성물의 특성
H2O 함량 600 ppm
메탄올 함량 60 ppm
과망간산염 시험 20 h
(ASTM D1363)
실시예 3
방법은 하기의 작동 파라미터를 가지고 실시예 1 에 기재된 대로 수행한다 :
공급 컬럼 T1
- 원아세톤 스트림 3033 cc/h
(H2O 2.5 % ; 쿠멘 150 ppm ; 메탄올 210 ppm)
- S1 으로부터의 수상 130 cc/h
- H2O 형성 745 cc/h
- NaOH (2 %) 467 cc/h
실행 파라미터
온도
말단 T1 105 ℃ 환류 T1 1115 cc/h
상단 T1 60 ℃ 환류 T2 3000 cc/h
말단 T2 122 ℃ 환류 T3 510 cc/h
말단 T3 184 ℃ 재순환되는 TEG 1760 cc/h
상단 T3 110 ℃ 압력 1 atm
주요 분석
아세톤 말단 T1 400 ppm
아세톤 말단 T2 1.3 %
아세톤 유기상 S1 13.7 %
아세톤 수상 S1 21.6 %
H2O 말단 T2 4.9 %
쿠멘 말단 T2 11.0 %
쿠멘 말단 T3 11.8 %
최종 생성물의 특성
H2O 함량 307 ppm
메탄올 함량 57 ppm
과망간산염 시험 15 h
(ASTM D1363)
실시예 4
방법은 하기의 작동 파라미터를 가지고 실시예 1 에 기재된 대로 수행한다 :
공급 컬럼 T1
- 원아세톤 스트림 3045 cc/h
(H2O 2.5 % ; 쿠멘 150 ppm ; 메탄올 210 ppm)
- S1 으로부터의 수상 137 cc/h
- H2O 형성 730 cc/h
- NaOH (2 %) 467 cc/h
실행 파라미터
온도
말단 T1 105 ℃ 환류 T1 1117 cc/h
상단 T1 61 ℃ 환류 T2 4000 cc/h
말단 T2 123 ℃ 환류 T3 518 cc/h
말단 T3 183 ℃ 재순환되는 TEG 1760 cc/h
상단 T3 111 ℃ 압력 1 atm
주요 분석
아세톤 말단 T1 432 ppm
아세톤 말단 T2 1.1 %
아세톤 유기상 S1 12.2 %
아세톤 수상 S1 19.3 %
H2O 말단 T2 5.0 %
쿠멘 말단 T2 11.0 %
쿠멘 말단 T3 11.6 %
최종 생성물의 특성
H2O 함량 230 ppm
메탄올 함량 61 ppm
과망간산염 시험 13 h
(ASTM D1363)
실시예 5
방법은 하기의 작동 파라미터를 가지고 실시예 1 에 기재된 대로 수행한다 :
공급 컬럼 T1
- 원아세톤 스트림 3030 cc/h
(H2O 2.5 % ; 쿠멘 150 ppm ; 메탄올 210 ppm)
- S1 으로부터의 수상 133 cc/h
- H2O 형성 741 cc/h
- NaOH (2 %) 467 cc/h
실행 파라미터
온도
말단 T1 104 ℃ 환류 T1 1160 cc/h
상단 T1 60 ℃ 환류 T2 3010 cc/h
말단 T2 120 ℃ 환류 T3 520 cc/h
말단 T3 183 ℃ 재순환되는 TEG 1760 cc/h
상단 T3 113 ℃ 압력 1 atm
주요 분석
아세톤 말단 T1 360 ppm
아세톤 말단 T2 1.2 %
아세톤 유기상 S1 15.0 %
아세톤 수상 S1 22.0 %
H2O 말단 T2 5.1 %
쿠멘 말단 T2 12.8 %
쿠멘 말단 T3 12.7 %
최종 생성물의 특성
H2O 함량 309 ppm
메탄올 함량 63 ppm
과망간산염 시험 12 h
(ASTM D1363)
실시예 6
방법은 하기의 작동 파라미터를 가지고 실시예 1 에 기재된 대로 수행한다 :
공급 컬럼 T1
- 원아세톤 스트림 3031 cc/h
(H2O 2.5 % ; 쿠멘 150 ppm ; 메탄올 210 ppm)
- S1 으로부터의 수상 132 cc/h
- H2O 형성 735 cc/h
- NaOH (2 %) 467 cc/h
실행 파라미터
온도
말단 T1 105 ℃ 환류 T1 1160 cc/h
상단 T1 60 ℃ 환류 T2 4000 cc/h
말단 T2 123 ℃ 환류 T3 529 cc/h
말단 T3 184 ℃ 재순환되는 TEG 1760 cc/h
상단 T3 113 ℃ 압력 1 atm
주요 분석
아세톤 말단 T1 250 ppm
아세톤 말단 T2 1.0 %
아세톤 유기상 S1 11.0 %
아세톤 수상 S1 16.8 %
H2O 말단 T2 5.1 %
쿠멘 말단 T2 12.6 %
쿠멘 말단 T3 12.9 %
최종 생성물의 특성
H2O 함량 250 ppm
메탄올 함량 49 ppm
과망간산염 시험 13 h
(ASTM D1363)
또한, 실시예 1 - 6 를 하기 특성을 가지고 산업적 플랜트에서 나오는 원아세톤 스트림을 포함하여 공급한다 :
H2O 함량 4.0 % ;
쿠멘 함량 8400 ppm ;
메탄올 함량 190 ppm
이에 수득되는 결과물은 이미 나와 있는 바와 유사하다.
요즘의 상업적 플랜트에서 사용되는 것들과 같은 정제 방법을 사용하여, 이 스트림으로부터 하기 전형적인 특성을 가지는 명세서 내의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
H2O 함량 0.15 - 0.2 % ;
메탄올 함량 200 - 250 ppm ;
과망간산염 시험 〉 3
(ASTM D1363)
본 발명의 방법은 생산비 증가와 관계없이 선두하는 양질의 아세톤 (물 함량 〈 300 ppm 및 메탄올 〈 100 ppm) 을 수득하는 것에 부가하여 현재 사용되는 방법에 관한 하기 이점을 제공한다 :
- 대기압 하에서의 작동, 이에 따른 진공 펌프의 사용을 피함으로 인한 궁극적인 에너지 절약, 방출 감소 및 성능 향상 가능성 ;
- 더한 성능 향상 가능성과 함께 정제 상태에서의 환류비의 감소로 인한 에너지 절약 ;
- 1 차 분별에서의 환류비의 감소로 인한 에너지 절약.

Claims (9)

  1. 페놀 아세톤의 제조 공정 중, 주로 쿠멘, 물, 알데히드 및 메탄올에 기인하는 나오는 불순물로부터 원아세톤을 정제하는 방법으로서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
    - 제 1 증류 컬럼에 페놀/아세톤을 수득하기 위한 플랜트의 1 차 분별로부터 나오는 원아세톤 스트림을 공급한 후, 2 % 의 수산화나트륨 용액도 공급하고 ;
    - 제 1 컬럼 상단의 아세톤, 물 및 쿠멘으로 구성된 스트림을 제 2 컬럼에 보내며 추출 용매인 트리에틸렌글리콜도 공급하고 ;
    - 제 2 컬럼 상단으로부터 실질적인 무수 아세톤을 회수하고 ;
    - 트리에틸렌글리콜, 물, 쿠멘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제 2 컬럼 하단 생성물을 제 3 증류 컬럼으로 공급하여, 물/쿠멘의 공비 혼합물을 상단에서 회수하고 무수 트리에틸렌글리콜을 하단에서 회수하며 ;
    - 분리기에 물/쿠멘의 공비 혼합물을 보내어 아세톤을 포함하는 수상은 분리하여 아세톤을 제 1 컬럼으로 재순환시키고 쿠멘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유기상은 1 차 분별로 보냄.
  2. 제 1 항에 있어서, 0.2 내지 0.5 의 환류비 및 102 내지 110 ℃ 에서 변화하는 말단온도 하, 대기압에서 제 1 컬럼을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 % 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12 % 내지 17 % 양의 원아세톤을 제 1 컬럼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환류비가 0.5 내지 1.5 의 환류비 및 전형적으로 120 ℃ 인 말단의 자생온도 하의 대기압에서 제 2 컬럼을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함량이 300 ppm 미만인 물과 함께 아세톤을 제 2 컬럼 상단에서 회수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 물, 쿠멘 및 전형적으로 양이 약 3 % 인 아세톤을 말단에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컬럼에서 공급물을 제 1 컬럼에 공급되는 원생성물의 0.6/1 의 양으로 트리에틸렌글리콜과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컬럼에 공급되는 원생성물에 대해 0.1 내지 0.7 인 환류비 하의 대기압에서 제 3 컬럼을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기에 수집되는 물/쿠멘의 공비 혼합물이 제 1 칼럼으로 재순환되는, 33 % 이하의 아세톤을 함유하는 수상 및, 1차 분별로 재순환되는, 33 % 이하의 쿠멘 및 21 % 이하의 아세톤을 함유하는 유기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무수 트리에틸렌글리콜을 제 3 컬럼의 말단에서 회수한 후, 제 2 컬럼에 재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KR1019960043754A 1995-10-06 1996-10-02 아세톤의 정제 방법 KR100283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5/A002032 1995-10-06
IT95MI002032A IT1276823B1 (it) 1995-10-06 1995-10-06 Procedimento per la purificazione dell'acetone
EP95307467.1 1995-10-16
EP95307467 1995-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050A KR970021050A (ko) 1997-05-28
KR100283301B1 true KR100283301B1 (ko) 2001-04-02

Family

ID=6632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754A KR100283301B1 (ko) 1995-10-06 1996-10-02 아세톤의 정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3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050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159B1 (ko) 프로필렌 옥시드의 정제방법
US5788818A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acetone
JPH069589A (ja) エピクロロヒドリンの製造法
JP2001199913A5 (ko)
JPH0239491B2 (ko)
US6500311B1 (en) Propylene oxide purification
US2615901A (en) Process of producing ethylene oxide substantially free of acetaldehyde
KR20050114240A (ko)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프로필렌의 에폭시화로부터 수득되는산화프로필렌의 정제
EA022070B1 (ru) Получение уксусной кислоты
JP2006520821A5 (ko)
KR100670881B1 (ko) 고순도 모노에틸렌 글리콜의 제조 방법
KR102224243B1 (ko)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JP2002526462A5 (ko)
US6605192B1 (en) Method for producing highly pure monoethylene glycol
KR100551461B1 (ko) 미정제 액상 비닐 아세테이트의 후처리방법
EP0571042B1 (en) Procedure for the recovery of phenol from its mixtures containing cumene and alpha-methylstyrene
KR100283301B1 (ko) 아세톤의 정제 방법
JPS6261006B2 (ko)
KR20020070348A (ko) 폐가스 흐름의 세정 방법
JPS63205101A (ja) 炭酸ジメチルの分離方法
JPS5924982B2 (ja) プチレンオキサイドの精製方法
JP2006514087A (ja) 蒸留による1,3−プロパンジオールの精製
JPH10158208A (ja) シクロヘキシルビニルエーテルの分離回収方法
JP3812851B2 (ja) 1−フェニルエタノール、アセトフェノンまたはそれらの混合物からのフェノールの分離方法
JP4352752B2 (ja) 精製アセトフェノ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