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123B1 - 세라미드를함유하는수용성화장료에서세라미드를가용화시키는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미드를함유하는수용성화장료에서세라미드를가용화시키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123B1
KR100283123B1 KR1019980002056A KR19980002056A KR100283123B1 KR 100283123 B1 KR100283123 B1 KR 100283123B1 KR 1019980002056 A KR1019980002056 A KR 1019980002056A KR 19980002056 A KR19980002056 A KR 19980002056A KR 100283123 B1 KR100283123 B1 KR 10028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de
water
skin
ceramides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273A (ko
Inventor
김영택
한상훈
김준오
강병영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8000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123B1/ko
Publication of KR1999006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123B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수용성 화장료에서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가용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용성 물질인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수용성 화장료에 함유시키는데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여 세라미드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세라미드가 갖는 손상피부의 회복, 외부자극으로부터 피부보호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수용성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라미드를 함유하는 수용성 화장료에서 세라미드를 가용화시키는 방법{A method of solubilize ceramides in aqueous cosmetics containing ceramides}
본 발명은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수용성 화장료에서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가용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용성 물질인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수용성 화장료에 함유시키는데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여 세라미드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세라미드가 갖는 손상 피부의 회복, 외부자극으로부터 피부보호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수용성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인체 피부의 각질층은 각질화된 세포가 이중 사슬 라멜라 구조를 갖는 세포간 지질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이 세포간 지질 성분은 세라미드, 지방산,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로서, 이들 성분들이 혼합되어 각질세포들의 결합성분으로 작용하여 매끄럽고, 촉촉하며, 탄력성 있고, 외부자극이나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항상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 피부의 노화가 진행될 수록 각질층 지질의 주성분인 세라미드의 함량이 감소되어 각질세포의 결합력이 감소되며, 결국 각질층이 보호받지 못하게 되어 피부수분의 손실과 자외선, 유해물질 등의 외부 자극에의 노출 및 각질세포의 박리현상이 발생하여 피부표면은 건조해지고 탄력을 잃어 거칠어지게 된다.
따라서, 피부가 노화현상 또는 외부의 자극 등에 의하여 각질층이 손상을 받아 각질층내의 세라미드 함량이 감소할 경우 피부의 라멜라구조를 회복시켜 피부를 정상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해서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외부에서 보충해 주어야 한다. 특히, 세라미드와 세라미드 유사물질은 스트레스 받은 피부, 민감성 피부, 거친 피부, 건조한 피부, 노화피부, 햇빛에 의해 손상된 피부나 햇빛, 파마, 염색 등에 의해 손상된 모발, 큐티클 세포의 응집력이 약한 모발 등의 치료와 보호기능을 제공하여 인체의 피부와 모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화장료등에 배합하여 보충하고 있다.
그러나,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은 유용성 물질이므로, 용해력이 좋은 유용성 물질이 다량 함유된 유화형태의 화장료에만 이들을 배합하여 제품화하고 있다. 따라서, 수용성 화장료에서는 세라미드와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세라미드 대신 수용성 비타민류, 동식물 추출물, 해조추출물, 단백질 유도체 등의 수용성 활성 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수용성 활성 물질들은 세라미드나 세라미드 유사물질이 갖는 피부에서의 중요한 특징인 세포간 지질의 기능으로서는 작용하지 못하여 손상된 각질층 회복이나 외부 유해인자로부터 피부의 보호기능이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유화형태의 화장료에서 뿐만 아니라 수용성 물질로 이루어진 수용성 화장료에서도 사용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바,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HLB가 13∼18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함유하여 손상된 피부를 회복할 수 있고, 외부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수용성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는, 수용성 화장료에서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가용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화장료에서 세라미드를 가용화시키는 방법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 0.01∼1.0중량%, 에탄올 1.0∼50.0중량%, HLB가 13∼18인 계면활성제 0.1∼5.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화장료는 에탄올과 물로 구성된 화장료로서, 에탄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5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화장료는, 손상된 피부의 회복, 외부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0.01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이 지닌 손상된 각질층의 회복, 외부자극으로부터 피부보호 등과 같은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으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0.01∼1.0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용성 화장료에 사용된 세라미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천연 동식물 및 미생물 유래의 세라미드로서 하기 화학식 1에서 화학식 7로 표시되는 7종이 있다.
Type 1
... Type 2
... Type 3
...Type 4
... Type 5
...Type 6Ⅰ
...Type 6Ⅱ
본 발명의 수용성 화장료에 사용된 유사세라미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일본 카오사의 스핑고리피드 E(Sphingolipid E)와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본 출원인회사의 세라미드 PC-104등이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화장료는, 수용성 화장료에 배합된 상기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HLB가 13∼18인 계면활성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화장료에 사용된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솔베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화장료는 세라미드 또는 세라미드 유사물질, 에탄올,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여 점성이 거의 없는 액상의 현탁액으로 제조되는데,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다. 본 발명의 수용성 화장료의 제형은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젤 등이 있다. 그리고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물질 이외에 점증제, 방부제, 향료, 착색료, 활성물질 등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3〉 화장수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3. 히아루론산추출물 5.0 5.0 5.0 5.0
4. 녹차추출물 1.0 1.0 1.0 1.0
5. 프라센타추출물 1.0 1.0 1.0 1.0
6. 카보머 0.3 0.3 0.3 0.3
7. 에탄올 10.0 10.0 10.0 10.0
8. 천연세라미드(화학식 3) 0.5 0.5 0.5 -
9. PEG(40)경화피마자유 1.0 - - 1.0
10. PEG(8)디라우레이트 - - 1.0 -
11.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2.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조방법〉
1) 원료 1∼6을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2) 원료 7∼12를 40∼60℃로 가열 혼합한 후, 1)에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4∼6〉 젤
성분 실시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3. 히아루론산추출물 5.0 5.0 5.0 5.0
4. 녹차추출물 1.0 1.0 1.0 1.0
5. 프라센타추출물 1.0 1.0 1.0 1.0
6. 카보머 0.3 0.3 0.3 0.3
7. 에탄올 10.0 10.0 10.0 10.0
8. 천연세라미드(화학식 3) 0.5 0.5 0.5 -
9. PEG(40)경화피마자유 1.0 - - 1.0
10. PEG(8)디라우레이트 - - 1.0 -
11.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2.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 트리에탄올아민 0.3 0.3 0.3 0.3
〈제조방법〉
1) 원료 1∼6을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2) 원료 7∼12를 혼합 용해한 후, 1)에 첨가하면서 교반하였다.
3) 원료 13을 2)에 첨가하면서 젤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손상 피부의 회복력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3∼4에서 제조된 화장수 및 젤에 대하여 피부 회복 효과를 비교하였다.
피부의 회복 효과는 탈모 기니아 피그(Hairless Guinea Pig) 20마리를 4개조로 나누고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수와 젤을 각 조에 나누어 측정하였다.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았다.
핀(Finn) 챔버를 이용하여 아세톤으로 30분간 시험동물들의 옆구리에 패취하여 자극을 유발한 다음, 패취한 자리에 시험물질을 각각 200㎕씩 도포하였다. 자극 유발정도와 회복은 증발량 측정기(Evaporimeter)를 이용하여 각질층을 통한 수분 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기기 측정은 아세톤 처리전 및 처리직 후, 패취제거 후 30분, 1 시간, 2 시간, 4 시간, 8 시간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아세톤 처리전의 정상 피부의 측정치를 0으로 하였으며, 아세톤 처치 직후의 값을 100으로 하여 피부가 점차 정상상태로 회복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단위 : AU
측정시기 아세톤처치직후 시료도포 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비교예 34 100100 9897 9696 9192 8887 8481
실시예 12 100100 9998 9596 8789 6367 4649
(시험예 2 방어력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3∼4에서 제조된 화장수 및 젤에 대하여 방어 효과를 비교하였다.
방어 효과는 탈모 기니아 피그(Hairless Guinea Pig) 20마리를 4개조로 나누고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수 및 젤을 각 조에 나누어 측정하였다.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았다.
시험동물의 옆구리에 7일간 하루 한 번씩 시험물질을 도포한 다음, 핀 챔버를 이용하여 2.5%의 SDS(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로 30분간 패취한 후 유발되는 자극의 정도를 알아 보았다. 유발된 자극의 정도는 증발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은 패취 직전, 패취 제거 후 1시간, 24시간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단위 : AU
측정시기 패취 직전 패취제거
1시간 후 24시간 후
비교예 34 1010 2527 1818
실시예 12 1010 1819 1213
(시험예 3 안정도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화장수 및 젤을 실온, 5℃ 및 37℃에서 한달간 보관한 후, 제품이 분리되는 상태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온 양호 양호 분리 분리 분리 분리 분리
5℃ 양호 양호 분리 분리 분리 양호 양호
37℃ 양호 양호 분리 분리 분리 분리 분리
이상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성 화장료는 세라미드가 계면활성제에 의해 안정화되므로, 손상피부의 회복, 외부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3)

  1. 세라미드 또는 이의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세라미드 또는 이의 유사물질 0.01∼1.0중량%, 에탄올 1.0∼50.0중량% 및 HLB가 13∼18인 계면활성제 0.1∼5.0중량%를 함유하여 세라미드 또는 이의 유사물질을 가용화시키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미드 유사물질은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스핑고리피드 E(Sphingolipid E)와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세라미드 PC-104 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미드 또는 이의 유사물질을 가용화시키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솔베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미드 또는 이의 유사물질을 가용화시키는 방법.
KR1019980002056A 1998-01-23 1998-01-23 세라미드를함유하는수용성화장료에서세라미드를가용화시키는방법 KR100283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056A KR100283123B1 (ko) 1998-01-23 1998-01-23 세라미드를함유하는수용성화장료에서세라미드를가용화시키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056A KR100283123B1 (ko) 1998-01-23 1998-01-23 세라미드를함유하는수용성화장료에서세라미드를가용화시키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273A KR19990066273A (ko) 1999-08-16
KR100283123B1 true KR100283123B1 (ko) 2001-04-02

Family

ID=6589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056A KR100283123B1 (ko) 1998-01-23 1998-01-23 세라미드를함유하는수용성화장료에서세라미드를가용화시키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701B1 (ko) * 2000-10-06 2004-12-03 주식회사 웰스킨 스핑고리피드 또는 그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643B1 (ko) * 2006-06-30 2007-10-04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세라미드를 함유하는 스킨케어용 섬유가공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4444A (en) * 1990-11-26 1994-03-15 Kao Corporation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cosmetic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4444A (en) * 1990-11-26 1994-03-15 Kao Corporation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cosmetic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701B1 (ko) * 2000-10-06 2004-12-03 주식회사 웰스킨 스핑고리피드 또는 그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273A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4427A1 (en) Cosmetic compositions with long lasting skin moisturizing properties
US20100173027A1 (en) O/w emulsion for hand care
CN102475665A (zh) 含有红藻类提取物的抗老化用化妆品组合物
KR101981696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CN106389234B (zh) 抗衰组合物和化妆品
JP2005330285A (ja) 皮膚保湿用化粧料組成物
CA1092031A (en) Paba, fatty alcohol and non ionic surfactant in sun protective compositions
EP1173145A1 (de) Zusammensetzung für di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pflege der haut
KR20050110720A (ko)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283123B1 (ko) 세라미드를함유하는수용성화장료에서세라미드를가용화시키는방법
CN108653176A (zh) 一种抗皱修复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0558751B1 (ko)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20000055724A (ko)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CA1160958A (en) Cosmetic toner formulation
CN110496065A (zh) 补水组合物
DE3050070C2 (de) Kosmetische Zubereitung
EP3687631B1 (en) Hair styling composition containing vinyl caprolactam/vp/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Krisyanella et al. Formulation of Lotion of Gerga Orange Peel Ethanol Extract with Variation of Extract Concentration
BR102021015915A2 (pt) Composição cosmética, processo para tratamento cosmético das matérias queratínicas e usos da composição cosmética
KR100761643B1 (ko) 세라미드를 함유하는 스킨케어용 섬유가공제
CN115501160A (zh) 一种长效保湿修护润唇膏及其制备方法
KR20040067375A (ko) 흑미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KR20030085343A (ko) 쟈스민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야로우 추출물을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