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539B1 - 포스폰산유도체및메타바이설파이트에기초한아스코르빈산안정화용시스템및이를함유하는조성물 - Google Patents

포스폰산유도체및메타바이설파이트에기초한아스코르빈산안정화용시스템및이를함유하는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539B1
KR100282539B1 KR1019980035513A KR19980035513A KR100282539B1 KR 100282539 B1 KR100282539 B1 KR 100282539B1 KR 1019980035513 A KR1019980035513 A KR 1019980035513A KR 19980035513 A KR19980035513 A KR 19980035513A KR 100282539 B1 KR100282539 B1 KR 10028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etabisulfite
phosphonic acid
ascorbic acid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381A (ko
Inventor
쿠앙 란 느귀엥
이사벨 아프리야
당-만 팜
플로렁스 샹벵
Original Assignee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지안느 플로
Publication of KR1999002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04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medical, immunological, body treatment, or diagnosis
    • Y10S977/926Topical chemical, e.g. cosmetic or sunscre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폰산 유도체 및 메타바이설파이트에 기초한 아스코르빈산 안정화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포스폰산 유도체는 특히,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헥사메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또는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또는 상기 산의 염들이다.
메타바이설파이트는 특히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아스코르빈산 및 상기의 안정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조성물 특히 미용학적 및 피부의학적 조성물과, 미용학적 및/또는 피부의학적 분야에 있어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포스폰산 유도체 및 메타바이설파이트에 기초한 아스코르빈산 안정화용 시스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SYSTEM BASED ON A PHOSPHONIC ACID DERIVATIVE AND ON METABISULPHITE, FOR STABILIZING ASCORBIC ACID, AND COMPOSITION CONTAINING SUCH A SYSTEM}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포스폰산 유도체 및 메타바이설파이트에 기초한 시스템과, 특히 미용학적 및/또는 피부의학적 분야에 있어,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한 조성물에서의 상기 시스템의 용도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사람 피부의 미용학적 처리를 위하여, 또한 사람 피부의 피부의학적 처리를 위해 고안된 크림 또는 연고의 제조를 위하여 수득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련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들은 국부적으로, 눈 주위를 포함한 얼굴, 인체 및 인간의 두피(scalp)에 도포할 수 있다.
아스코르빈산 또는 비타민 C는 이들의 유용성으로 인해 적절한 약제학적 조성물 내에서 이들을 안정화시키려는 시도가 오랜동안 지속되어 왔다.
아스코르빈산은 많은 생물학적 기능, 예를 들면 콜라겐 합성의 자극 (stimulation), 외부 공격 요인(UV 조사, 오염)에 대한 피부 조직의 강화, 탈색 (depigmentaion), 상기의 반-자유라디칼 활성(anti-free-radical activity) 및 비타민 E 결핍을 위한 보충 등을 가지고 있다. England 및 Seifter 는 논문 "The biochemical functions of ascorbic acid" [Ann. Rev. Nutri., 1986, Vol 6, pp 365-406에 간행]에서 상기의 유용성 중 몇 가지에 관하여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아스코르빈산은 자신의 화학적 구조(α-케토 락톤)로 인하여 광, 산소 및 물(물의 pH 및 미량의 금속 존재 때문)과 같은 환경적 요소의 영향에 매우 민감하다. 이러한 사실은 용액 형태에 있는 아스코르빈산의 장시간에 걸친 불가피한 분해의 원인이 된다. 상기 분해는 색의 변화 및 이산화탄소의 발생에 의해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존의 기술에서 많은 방법으로 접근되어 왔다.
용액 형태의 아스코르빈산 분해를 감소시키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문헌 US-A-5,140,043은 상기를, 80% 이상의 물로 이루어지고 3.5 미만의 pH를 가진 수성 알콜 용액 내로 도입함으로써 안정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용액의 강한 산성때문에 상기 용액을 미용학적 및/또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사용하는 것을 구현하기는 어려운데, 이는 상기 용액의 반복적 도포가 피부 평형을 방해할 수 있고, 특히 피부를 자극하거나, 심지어 화상을 입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산성 pH에서 색 변화는 안정화될 수 있지만, 이산화탄소(CO2)의 발생은 그렇지 않다.
B.R. Hajratwala의 논문, "Stability of ascorbic acid" [Revue Sciences Pharmaceutiques, 1985. 3. 15 간행]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 논문은 특히, 옥시에틸렌화된 솔비탄 에스테르를 계면활성제로서 첨가함에 의해 산성 수용액에서 아스코르빈산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특히, 저자는 상기 문헌에서 pH 3.4 및 25℃에서, 상기 제제의 첨가는 산화 속도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용액 내의 아스코르빈산 분해 속도를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추가로, 상기 문헌은 수용액에서의 아스코르빈산 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와 같은 착화제(Chelating agent)의 사용 및, 빛이 없는 곳에서의 질소 하 컨디셔닝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산성 수용액은,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 수성-알콜성 산성 용액의 경우 언급하였던 것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이렇게 하여 얻어진 안정화는 여전히 불충분하다.
아스코르빈산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들, 특히 코팅에 의한 방법(FR-A-1,600,826 공보에 상술된 기술) 또는 아스코르빈산 과립화에 의한 방법 (농산물(agrifood) 분야의 JP-A-53-127,819 공보에 설명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들은 비용이 많이 드는 한편, 아스코르빈산에, 예를 들면 가열 동안,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있거나, 과립의 경우와 같이, 비미용학적(uncosmetic) 조성물들을 유도할 수 있다.
FR-A-1,489,249의 공보로부터 포스포릴화된 아스코르빈산 금속 염, 특히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를 미용학적 조성물 내에서 사용하는 것 또한 공지되어 있다. 후자의 화합물은, 자신이 유도된, 아스코르빈산의 활성에 가까운 수준의 활성을 지니지만, 피부에서의 상기의 용도를 가망 없게 바꾸는 확실한 단점을 지닌다. 특히,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는 단지 염기성 pH (pH 8 내지 pH 9)에서만 안정하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염기성 조성물(pH값이 약 5.5)에 혼합되어야 한다.
추가로, 문헌 EP-A-670,157은 안정화된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에멀젼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특정 약제학적 형태(워터-인-오일 에멀젼)이며, 따라서 다양한 각종 약제학적 형태의 조성물에서 아스코르빈산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의 제안들을 묶어 보면, 공업적 요구에 부합하는 가격으로서, 미용학적 및/또는 피부 의학적 분야를 위한 임의의 약제학적 형태에 있어 아스코르빈산의 불안정성과 관련된 기술적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특히 미용학적 및/또는 피부 의학적 분야에 있어 사용 가능한 조성물로서, 안정화된 아스코르빈산을 자유로운 형태로 함유하고, 특히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추가의 어떠한 군도 함유하지 않으며, 피부에 도포시 피부 자극을 일으키지 않고, 임의의 약제학적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색깔 및 CO2의 방출에 관하여 모두 안정한 조성물이 필요하다.
출원인들은 포스폰산 유도체 및 메타바이설파이트에 기초한 시스템으로서 아스코르빈산을 안정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최근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상당한 상승 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물론, 비타민 C를 함유한 조성물에 있어 포스폰산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앞서 언급된 EP-A-670,157 참조). 또한 메타바이설파이트를 가지고 비타민 C를 안정화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JP-A-6-247,855 참조). 그러나, 청구된 조성물의 상승 작용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아스코르빈산 안정화용 시스템으로서 이는 1종 이상의 포스폰산 유도체 및 1종 이상의 메타바이설파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포스폰산 유도체 및 메타바이설파이트는 상승 작용을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아스코르빈산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앞서 정의된 시스템의 용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스폰산 유도체들은, 특히,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헥사메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및 이들의 염, 특히, 펜타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과 같은 이들의 나트륨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특히 Monsanto사의 상품명 Dequest 2041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한다. Monsanto사의 상품명 Dequest 2046로 시판되는, 상기 산의 펜타나트륨염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포스폰산 유도체들은 이를 함유한 조성물 안에서 의도하는 결과를 보장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한다. 상기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면 0.005 내지 5% 및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로 존재할 수 있다.
메타바이설파이트는 무수 아황산(anhydrosulphurous acid)의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또는 암모늄염일 수 있다. 나트륨 또는 칼륨 메타바이설파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메타바이설파이트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내에 의도하는 결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해야 한다. 상기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05 내지 5% 및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의 범위일 수 있다.
메타바이설파이트 및 포스폰산 유도체 간의 중량비는 1 내지 1000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아스코르빈산의 유효한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은 이를 함유한 조성물이 pH 5.5 내지 7.5 범위, 및 특히 pH 6인 수성상을 가질 때 더욱 향상된다.
이 경우, 아스코르빈산의 우수한 안정성은 색의 변화 및 이산화탄소의 발생 관점 모두에서 관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한 조성물이며, 이는 앞서 언급한 시스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 중량%의 포스폰산 유도체 및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5 중량%의 메타바이설파이트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함유한 조성물은 더욱 특별히는 국부 용도의 조성물, 특히 미용학적 및/또는 피부의학적 조성물을 구성하며,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다시 말해 피부, 두피 및/또는 체모와 상용성이 있는 매질을 함유한다.
아스코르빈산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 구현되는 용도에 따라 적정량으로 존재한다. 상기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0.01 내지 20 중량%, 보다 좋게는 0.5 내지 10중량%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부 용도로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약제학적 형태, 특히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오일성 용액, 오일-인-워터 또는 워터-인-오일 또는 다중 에멀젼, 수성 또는 오일성 겔, 액체, 페이스트성 또는 고체 무수 제품, 2-상 제품, 소구체(spherules)를 사용한 수성상 내의 오일 분산액의 형태일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의 소구체들은 나노스페어 및 나노캡슐과 같은 고분자 나노파티클이거나, 대안으로서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지질 소낭(vesicle)이다.
상기 조성물은 다소 유체성일 수 있고, 백색 또는 착색된 크림, 연고, 유제(milk), 로션, 장액(serum), 페이스트 또는 무쓰(mousse)의 외관을 지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의 형태로서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는 또한, 고체, 예를 들어 스틱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은 미용학적 또는 피부의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보조제를 통상의 농도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들은 특히 지방성 물질, 방부제, 겔화제, 방향제, 유화제 및 계면활성제, 물, 항산화제, 충전제, 용매, 프라겐스(fragance), 활성화제(친수성 또는 친유성), 및 차단제와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지방성 물질로서는 미네랄 오일(액체 석유 젤리), 식물성 오일(apricot 오일), 동물성 오일, 합성 오일, 실리콘 오일(사이클로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및 플루오로 오일을 언급할 수 있다. 지방성 알콜, 지방산, 왁스 및 수지와 이들의 혼합물 또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메티콘코폴리올류 및 알킬디메티콘코폴리올류와 같은 실리콘계 유화제를 언급할 수 있다. 디메티콘코폴리올로서는, Dow Corning사의 상품명 "Q2-3225C"로 시판되는, 디메티콘코폴리올과 사이클로메티콘의 혼합물 및, General Electric사의 상품명 "SF-1228"로 시판되는 제품을 들 수 있다. 알킬디메티콘코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Dow Corning사의 상품명 "Q2-5200"으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라우릴디메티콘코폴리올, 및 Goldschmidt 사의 상품명 "Abil EM 90"으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세틸디메티콘코폴리올을 들 수 있다.
친수성 겔화제로서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카르보머), 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과 같은 아크릴성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류, 폴리사카라이드류, 천연 검 및 클레이(clay)류를 들 수 있고, 친유성 겔화제로서는 벤톤과 같은 개질 클레이류, 지방산의 금속염, 소수성 실리카 및 폴리에틸렌류를 들 수 있다.
활성화제로서는, 특히, 폴리올류(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와 같은 모이스춰라이저류, 비타민, 각질 용해제(keratolytic agent) 및/또는박리제(desquamating agent) [살리실산 및 이들의 유도체들, α-하이드록시산], 소염제(anti-inflammatory agent), 진정화제(calmants)와 상기의 혼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비상용성(incompatibility)이 나타날 경우, 상기 활성화제들을 소구체, 특히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소낭, 및/또는 나노파티클류(나노캡슐 및/또는 나노스피어)내로 통합하여, 조성물내에서 이들을 서로 격리할 수 있다.
충전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은 예를 들면 나일론 및 스타치와 이의 유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추가로,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조성물의 수성상 pH는 5.5 내지 7.5의 범위의 값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특히 pH 6으로 조정할 수 있다. pH를 조정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염기성 제제를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데, 상기 제제는 특히 알칼리금속 하이드록사이드(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및 칼륨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와 같은 무기 염기, 및 유기성 염기, 특히 양쪽 이온성 염기, 즉,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관능기를 동시에 가지는 염기로부터 선택한다.
양쪽 이온성 염기는 1차, 2차, 3차 또는 환상 유기 아민 및, 특히 아미노산이다. 양쪽 이온성 염기의 예로서, 글리신, 리신, 아르기닌, 타우린, 히스티딘, 알라닌, 발린, 시스테인, 트리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RISTA)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제제는 조성물의 pH를 5.5 내지 7.5로, 특히 pH 6까지 가져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양은 예를 들어, 에멀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내지 5% 및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의 범위일 수 있다.
소량의 산, 예를 들어 시트르산을 염기성 제제에 첨가하여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산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5 %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얼굴 피부 및/또는 인체, 점액성 막 및/또는 케라틴 섬유, 즉, 털 및/또는 속눈썹을 위한 세정, 보호 처리 또는 보살핌(care)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피부 및/또는 점액성 막 및/또는 케라틴 섬유를 세정(cleansing) 및/또는 처리 및/또는 보호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미용학적 용도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사람 피부의 피부의학적 처리를 위한 크림 또는 연고의 제조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추가로, 피부, 점액성 막 및/또는 케라틴 섬유를 처리하기 위한 미용학적 및/또는 피부 의학적 방법으로, 이는 상기에 정의된 조성물을 피부, 점액성 막 및/또는 케라틴 섬유에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험
본 시험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한 아스코르빈산의 안정화를 나타낸다. 아스코르빈산을 2 중량% 함유한, pH 6의 수용액을 제조한다. 하기를 상기 용액 10ml에 첨가한다.
- 조성물 A (비교예): 0.05 중량%의 Dequest 2046
- 조성물 B (비교예): 0.05 중량%의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
- 조성물 C (본 발명에 따름): 0.05 중량%의 Dequest 2046 + 0.05 중량%의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
마개를 닫은 플라스크에 45℃에서 3일간 유지한 후, 상기 조성물의 색 변화(ΔOD)를, Dequest 2046도 메타바이설파이트도 함유하지 않은 대조 용액에 대한, 405nm에서의 광학 밀도 측정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의 표에 모았다.
조성물 ΔOD
조성물 A (비교예) -13.5%
조성물 B (비교예) +76.06%
조성물 C (본 발명에 따름) -38.54%
상기 표는 조성물 A의 색 변화 감소, 조성물 B의 색 변화 증가 및,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C의 현저한 색 변화 감소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아스코르빈산의 안정화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상승 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하기 실시예는 설명의 방법으로 주어지며, 한정적인 요소는 없다. 여기에서 주어지는 양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이다.
실시예 1: 빛나는 피부색(radiant complexion)을 위한 조성물
A 상 :
- 디메티콘코폴리올 및 사이클로메티콘의 혼합물 20 %
(Dow Corning의 Q2-3225C)
- 페닐트리메티콘 (Dow Corning 556 Fluid) 4 %
- Apricot 오일 3 %
B 상 :
- 나일론 5 %
C 상 :
- 글리세롤 23 %
- 비타민 C 5 %
-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 0.05 %
- Dequest 2041 0.05 %
- 갈락토오스 0.33 %
- 글루코오스 0.33 %
- 만노스 0.33 %
- 프로필렌 글리콜 6 %
-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1.93 %
- 시트르산 1.24 %
- 방부제 0.2 %
- 탈이온수 q.s. 100%
방법: 수성상을 실온에서 준비한다; 오일상 또한 실온에서 제조하고, 나일론을 상기에 첨가한다. 다음, 심한 교반과 함께, 수성상을 오일상으로 천천히 붓는다.
하얀색의 워터-인-오일 에멀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에멀젼은 피부의 반짝임을 강화하고 얼굴 상의 선들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스폰산 및 메타바이설파이트를 함유함으로써 놀라운 상승 작용을 나타내는 아스코르빈산 안정화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을 사용함에 의해 색 변화 및 이산화탄소 발생의 관점에서 모두 안정한 아스코르빈산-함유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미용학적 및/또는 피부 의학적 분야에서 임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아스코르빈산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1 종 이상의 포스폰산 유도체 및 1 종 이상의 메타바이설파이트를 함유하며, 이 때, 포스폰산 유도체 및 메타바이설파이트는 상승 작용을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메타바이설파이트 및 포스폰산 유도체 간의 중량비는 1 내지 10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포스폰산 유도체가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헥사메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및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 (메틸렌포스폰산), 상기의 염들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포스폰산 유도체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포스폰산 유도체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의 나트륨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메타바이설파이트는 무수 아황산의 알칼리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및 암모늄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메타바이설파이트는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정정) 제 1 항에 따른 시스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빈산 함유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국부 용도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5 중량%의 포스폰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5 중량%의 메타바이설파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의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5.5 내지 7.5 범위의 pH를 가지는 수성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pH 6의 수성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3 항에 있어서, 수성상의 pH는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제제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물, 지방성 물질, 방부제, 겔화제, 계면활성제 및 유화제, 항산화제, 충전제, 용매, 방향제, 색소(dye stuff), 차단제 및 활성화제, 및 상기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피부 및/또는 점액성 막 및/또는 케라틴 섬유를 세정 및/또는 처리 및/또는 보호하기 위해 미용학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사람 피부의 피부 의학적 처리를 위해 의도된 크림 또는 연고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80035513A 1997-09-02 1998-08-31 포스폰산유도체및메타바이설파이트에기초한아스코르빈산안정화용시스템및이를함유하는조성물 KR100282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10903A FR2767694B1 (fr) 1997-09-02 1997-09-02 Systeme a base de derive d'acide phosphonique et de metabisulfite pour stabiliser l'acide ascorbique et composition contenant un tel systeme
FR9710903 1997-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381A KR19990029381A (ko) 1999-04-26
KR100282539B1 true KR100282539B1 (ko) 2001-08-07

Family

ID=951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513A KR100282539B1 (ko) 1997-09-02 1998-08-31 포스폰산유도체및메타바이설파이트에기초한아스코르빈산안정화용시스템및이를함유하는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10476A (ko)
EP (1) EP0913147B1 (ko)
JP (1) JP2993943B2 (ko)
KR (1) KR100282539B1 (ko)
DE (1) DE69800170T2 (ko)
ES (1) ES2149036T3 (ko)
FR (1) FR2767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003166B1 (pt) * 1999-07-16 2015-08-25 Natura Cosmeticos Sa Processo para estabilização de compostos antioxidantes, e composições aquosas
EP1238644A4 (en) * 1999-12-15 2006-04-05 Kyowa Hakko Kogyo Kk STABILIZERS FOR L-ASCORBIC ACID-2-PHOSPHATE TRISODIC
AU2001257566A1 (en) 2000-05-08 2001-11-20 Transilica, Inc. Priority in a portable thread environment
US20050136431A1 (en) * 2000-11-03 2005-06-23 Oakley Robert H. Methods of screening compositions for G protein-coupled receptor desensitization inhibitory activity
JP2004331524A (ja) * 2003-05-01 2004-11-25 Nikko Chemical Co Ltd L−アスコルビン酸脂肪酸エステルの着色及び臭い発生の防止方法及び組成物、及び該方法及び組成物を用いた皮膚外用剤、化粧料、及び入浴剤
US20050065091A1 (en) * 2003-09-18 2005-03-24 Gholam Peyman Stabilized ocular solutions
JPWO2006106805A1 (ja) * 2005-03-30 2008-09-11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物質の保存安定性向上方法
EP1940816A2 (en) * 2005-09-30 2008-07-09 OMP, Inc. Stable ascorbic acid compositions
US20070269534A1 (en) * 2006-02-02 2007-11-22 Ramirez Jose E Methods of treating skin to enhance therapeutic treatment thereof
US20070178058A1 (en) * 2006-02-02 2007-08-02 Ramirez Jose E Methods of using stable ascorbic acid compositions
UA100841C2 (en) * 2006-02-21 2013-02-11 Мэри Кей, Инк. Normal;heading 1;heading 2;heading 3;STABLE VITAMIN C COMPOSITIONS
KR101639457B1 (ko) * 2008-07-16 2016-07-13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펜타나트륨 (에틸렌다이아민) 테트라메틸렌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FR2940615B1 (fr) * 2008-12-30 2011-12-30 Oreal Association de monosaccharides avec des agents antioxydants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FR2940612B1 (fr) * 2008-12-30 2011-05-06 Oreal Association de monosaccharides avec l'acide ascorbique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FR2940609B1 (fr) * 2008-12-30 2011-05-06 Oreal Association de monosaccharides et d'agents desquamants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FR2968955B1 (fr) * 2010-12-15 2012-12-2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 l'acide ascorbique
JP6017953B2 (ja) * 2012-12-28 2016-11-02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WO2022034874A1 (ja) * 2020-08-11 2022-02-17 ミヨシ油脂株式会社 アスコルビン酸系化合物を含む配合剤又は組成物及びアスコルビン酸系化合物の安定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70157A (fr) * 1928-04-24 1929-11-26 Perfectionnements aux moyens pour sécher, imprégner et traiter similairement le bois
JP3008719B2 (ja) * 1993-02-23 2000-02-14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アスコルビン酸又は/及びその塩を含む溶液の安定化方法
FR2715844B1 (fr) * 1994-02-04 1996-03-29 Oreal Emulsion contenant de l'acide ascorbique stabilisé, procédé de traitement cosmétique la mettant en Óoeuvre, ses utilis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67694B1 (fr) 1999-10-08
DE69800170T2 (de) 2000-09-28
EP0913147A1 (fr) 1999-05-06
US6110476A (en) 2000-08-29
FR2767694A1 (fr) 1999-03-05
DE69800170D1 (de) 2000-07-06
KR19990029381A (ko) 1999-04-26
JP2993943B2 (ja) 1999-12-27
ES2149036T3 (es) 2000-10-16
EP0913147B1 (fr) 2000-05-31
JPH11116423A (ja) 199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539B1 (ko) 포스폰산유도체및메타바이설파이트에기초한아스코르빈산안정화용시스템및이를함유하는조성물
JP3795476B2 (ja) 少なくとも一つのマレイン酸無水物コポリマーによって安定化された少なくとも一つの酸化感受性親水性活性物質を含む組成物の美容用及び/または皮膚科学用の使用
JP3606858B2 (ja) 少なくとも一のn−ビニルイミダゾールポリマー又はコポリマーによって安定化された少なくとも一の酸化感受性親水性活性剤を含む組成物の美容及び/又は皮膚科における使用
JP3108632B2 (ja) アスコルビン酸を含有する安定組成物
KR100345096B1 (ko) 하나 이상의 뽕나무 추출물, 하나 이상의 골무꽃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살리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
KR20000026159A (ko) 국소 적용을 위해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및/또는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JP2001511185A (ja) スキンライトニング組成物
KR100297968B1 (ko) 아스코르브산함유에멀션및이의화장품및피부과학분야에서의용도
US6337077B1 (en) Composition with a continuous aqueous phase containing L-2-oxothiazolidine-4-carboxylic acid
JP2000026274A (ja) サリチル酸誘導体を含む化粧品及び/または皮膚科用組成物及び前記誘導体を水性組成物に導入する方法
US7109237B2 (en) Emulsion containing ascorbic acid and its uses in the cosmetics and dermatological fields
US2001005335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ethyloxycarbonyl-4-amino-phenol and arbutin or its derivatives and/or ellagic acid or its derivatives
US20030149102A1 (en) Composition containing stabilized ascorbic acid, and uses thereof
WO200404778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oumarin derivatives and lipophilic amino acid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