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493B1 - 정보 검출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Information Detec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정보 검출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Information Detec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493B1
KR100282493B1 KR1019940007237A KR19940007237A KR100282493B1 KR 100282493 B1 KR100282493 B1 KR 100282493B1 KR 1019940007237 A KR1019940007237 A KR 1019940007237A KR 19940007237 A KR19940007237 A KR 19940007237A KR 100282493 B1 KR100282493 B1 KR 10028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d
signal
detect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교야 쯔쯔이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493B1/ko

Link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정규화된 신호 정보화와 함께 정규화 계수 정보가 포함되도록 부호화한 부호화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51)로부터 부화화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 회로(52)와, 기록 매체(51)로부터 독출된 부호화 정보를 부호화하는 복호화 회로(53)과, 복호화 전의 부호화 정보중의 정규화 계수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51)에 기록된 일군의 신호 정보의 선두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55)를 갖고 있다.
기록 매체에 기록된 신호가 부호화된 신호가 있어도 두출을 신속하게 행하고, 또한 필요로 하는 곡이나 음성 정보의 두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검출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Information Detec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회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규화 계수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회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의 외관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음(有音) 프레임의 정규화 계수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음(無音) 프레임의 정규화 계수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순방향 두출(頭出)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역방향 두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두출 재생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13도는 선두 위치 정보를 음성 정보의 기록 후에 기록하는 경우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14도는 선두 위치 정보의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5도는 선두 위치 정보의 검출을 정규화 계수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지 않는 경우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16도는 선두 위치 정보의 검출을 정규화 계수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경우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17도는 종래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18도는 종래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의 다른 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61 : 기록 매체
52 : 독출 회로
53 : 복호화 회로
54 : D/A 변환 회로
55,63 : 검출 회로
56 : 제어 회로
62 : 기입 회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오디오, 음성 신호 등을 부호화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와, 부호화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음성 부호 등에서 필요한 부분을 신속하게 검출, 재생하기 위한 정보 검출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음성 신호 등에서 필요한 부분을 신속하게 검출 하여 재생하는 정보 검출 재생 처리의 한 예로서는,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의 기록된 아날로그의 오디오 파형 신호를 재생하여, 이 재생된 신호 파형의 레벨로부터 무음부(無音部)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무음부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곡(曲)의 두출(頭出)을 행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를 샘플링한 PCM 신호를 녹음하는 PCM 기록에 따른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무음부를 검출하여 두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두출 처리를 행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 제17도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나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1)로부터 독출 회로(2)에 의해서 독출된 PCM 신호는 검출 회로(4)로 송출된다. 해당 검출회로(4)에서는 상기 독출 회로(2)로부터의 PCM 신호는 검출 회로(4)로 송출된다. 해당 검출 회로(4)에서 상기 독출 회로(2)로부터의 PCM 신호의 수치 레벨로부터 무음부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이 판정 결과를 독출 회로(2)로 송출 한다.
해당 독출 회로(2)는 상기 판정 결과가 무음부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기록 매체(1)에 대해서 그 무음부의 직전 또는 직후의 곡이나 음성 정보로 이동하여 재생ㅇ르 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 매체(2)로부터 독출된 PCM 신호는 D/A 변환 회로(3)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출력 단자(5)로부터 출력되어 도시를 생략한 신호 증폭 수단으로서의 앰프를 통해서 스피커 등의 방음 수단으로 송출된다.
더욱이, 기록 매체로의 오디오 신호의 녹음 시에는 반드시 샘플링된 오디오 신호를 그대로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면, 예를 들면 Sadaoki Furui, M Mohan Sondhi Advances in Speech Signal Processing 1991 Marcel Dekker, Inc.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여러 종류의 수법을 사용하여 저오량을 압축하도록 부호화하여 기록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두출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있다.
제18도에 있어서, 기록 매체(11)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부호화되어 정보 압축된 신호는 독출 회로(12)에 의해서 독출 된다. 이 독출 회로(12)에 의해서 독출된 신호는 부호화 회로(13)으로 송출되어, 해당 부호화 회로(13)에 의해서 상기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부호가 실시된다. 이 복호화된 신호는 검출 회로(15)로 송출 된다. 해당 검출 회로(15)에서는 상기 복호화 회로(13)로부터의 복호화된 신호의 수치 레벨로부터 무음부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이 판정 결과를 독출 회로(12)로 송출 한다.
해당 독출 회로(12)는 상기 판정 결과가 무으부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기록 매체(11)에 대해서 그 무음부의 직전 또는 직후의 곡이나 음성 정보로 이동하여 재생을 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 매체(11)로부터 독출되어 상기 복호화 회로(13)에서 복호화된 신호는 D/A 변환 회로(14)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 단자(15)에서 출력되고, 도시를 생략한 신호 증폭 수단으로서의 앰프를 통해 스피커 등의 방음 수단으로 송출된다.
여기에서,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두출하기 위해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신호(부호화된 신호)를 일단 복호화해야 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정보의 압출율을 높이기 위해 복잡한 방법에 의해서 부호화 되어 기록이 행해지도록한 경우에는 이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화를 위한 처리도 복잡해 지므로, 상기 무음부인지의 여부의 판정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특히, 상기 매체로서,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와 같이 고속으로 독출가능한 매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기록 매체로부터의 정보(부호화된 신호)의 독출 그 자체는 고속으로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복호화의처리에 시간이 걸려, 결국 두출을 위해 많은 처리 시간이 필요하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두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음부의 직전 또는 직후의 곡이나 음성 정보로 이동하여 재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들 곡이나 음성 정보가 진짜로 듣고 싶은 것이 아닌 경우에는 그 재생 장치의 사용자는 해당하는 진짜로 듣고 싶은 것이 발견될 때까지 두출하기 위한 입력을 조작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신호가 부호화된 신호가 있어도 두출을 신속하게 행하고, 또한 필요로 하는 곡이나 음성 정보의 두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보 검출 재생 장치, 및 그 기록 매체에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고, 정규화된 신호의 정보와 함께 최소한 당해 정규화 시의 정규화 계수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부호화한 부호화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당해 부호화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부호화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과, 상기 복호화 수단에 의한 복호화 전의 부호화 정보 중에 상기 정규화 계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일군이 상기 신호 정보의 선두를 검출하는 선두 검출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 정보는 오디오나 음성 등의 음 정보이다. 또한, 상기 선두 검출 수단에서의 상기 선두의 검출은 시간축상에서 순방향으로, 또는 시간축상에서 역 방향으로 행해진다. 더욱이, 상기 선두 검출 수단에서의 상기 선두의 검출은 상기 정규화 계수의 주파수 상의 분포에 기초하여 행할 수도 있다.
또 다시, 본 발명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에는 상기 기록 매체의 독출을 속행할 것인지, 다음 선두의 검출을 행하는 일군의 신호 정보의 해당 선두부터 독출을 행할 것인지의 지시 정보를 입력하는 지시 정보 입력 수단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선두가 검출된 상기 일군의 신호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해당 신호의 내용을 판별가능한 속도로 독출하고, 그 사이에 상기 지시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일군의 신호 정보으 독출을 속행하든지, 또는 다음에 선두의 검출을 행하는 일군의 신호 정보의 해당 선두로부터 독출을 행하도록 한다. 또, 상기 독출 수단에서의 상기 신호의 내용을 판별가능한 속도는 통상 재생 속도이다. 또한, 상기 선두 검출 수단은 상기 일군의 신호의 정보의 임의의 부분을 독출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다음에 선두의 검출을 행하는 일군의 신호 정보 이하의 선두 위치의 검출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녹음되어 있는 부호를 완전히 복호화하지 않고, 부호화된 정보의 일부를 사용하여 유효한 음성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고속으로 두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두출된 정보를 어느 시간 재생한 후, 다음 두출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두출을 위한 장치의 사용자의 지시 입력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는 입력 신호 중 일군으로 된 신호의 선두를 검출하여 해당 선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선두 검출 수단과, 최소한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선두 위치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 신호는 최소한 정규화된 신호의 정보와 당해 정규화 시의 정규화 계수의 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두 검출 수단은 상기 정규화 계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두의 검출을 행한다. 또, 상기 선두가 검출되는 신호는 음성 정보이다. 또한, 상기 선두 검출 수단에서의 상기 선두의 검출은 상기 정규화 계수의 정보 주파수 상의 분포에 기초하여 행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선두 위치 정보의 기록 매체로의 기록을 상기 입력 신호의 기록시에 행한다. 또한,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선두 위치 정보의 기록 매체로의 기록을 상기 입력 신호의 기록 후에 행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곡의 두출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이것을 기록함으로써 후의 재생시에 용이하게 두출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에 따르면,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부호화 정보를 완전히 복호화하는 것이 아니라, 부호화된 정보의 일부분인 정규화 계수의 정보를 사용하여 선두를 검출하고, 이로 인해 신속하게 선두를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선두가 검출된 정보를 어느 시간만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한 후, 다음 정보의 선두 검출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따르면,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후의 재생시의 선두 위치 검출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정보 검출 재생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규화된 신호의 정보와 함께 당해 정규화 시의 정규화 계수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부호화된 부호화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51)로부터 당해 부호화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 회로(52)와, 상기 기록매체(51)로부터 독출된 부호화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회로(53)와, 상기 복호화 회로(53)에 의한 복호화 전의 부호화 정보 중의 상기 정규화 계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51)에 기록된 일군의 상기 신호 정보의 선두를 검출하는 선두 검출 수단으로서의 검출 회로(55)[및 제어 회로(56)]을 갖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정보 검출 재생 처리 및 정보 기록 처리는 신호의 부호화 방법과 밀접하게 관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의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먼저 음성 신호의 부호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오디오 또는 음성 등의 신호의 고능률 부호화의 수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예를 들면 시간축 상의 오디오 신호 등을 소정 단위 사간마다 블럭화하지 않고,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부호화하는 비블럭화 주파수 대역 분할 방식인 대역 분할 부호화(서브 밴드 코딩 : SBC)나 시간축의 신호를 소정 단위 시간마다 블럭화하고, 이것을 주파수축 상의 신호로 변환(스펙트럼 변환)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각 대역마다 부호화하는 블럭화 주파수 대역 분할 방식인, 소위 변환 부호화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대역 분할 부호화와 변환 부호화를 조합한 고능률 부호화 수법도 고려되고,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대역 분할 부호화로 대역 분할을 한 후, 각 대역마다 신호를 소정 단위 시간마다 블럭화하여 이것을 주파수축 상의 신호로 스펙트럼 변환하여, 이 스펙트럼 변환된 각 대역마다의 신호로 부호화가 실시된다.
여기에서, 상기 대역 분할을 행하기 위해서는 필터가 이용되지만, 이 필터로서는, 예를 들면 소위 QMF 필터가 있다. 이 QMF 필터는 1976 R.E.Crochiere Digital Coding of Speech in Subbands Bell Syst. Tech. J. Vol.55, No.8 1976 등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ICASSP 83 BOSTON Pyiyphase Quadrature Filters-A New Subband Coding Technique Joseph H. Rothweiler에는 동등한 밴드폭의 필터 분할 수법이 기재되어 있다.
더욱이, 상술한 스펙트럼 변환으로서는, 예를 들면 입력오디오 신호를 소정 단위 시간(프레임)으로 블럭화하고, 해당 블럭마다 고속 퓨리에 변환(FFT), 이산 코사인 변환(DCT), 보디파이드 DCT 변환(MDCT) 등을 행함으로써 시간축을 주파수 축으로 변환하도록 한 스펙트럼 변환이 있다. 상기 MDCT에 대해서는 ICASSP 1987 Subband/Transform Coding Using Filter Bank Designs Based on Time Domain Aliasing Cancellation J.P. Princen A.B. Bradley Univ. of Surrey Royal Melbourne Inst. of Tech.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터나 스펙트럼 변환에 의해 대역마다 분할된 신호를 양자화함으로써 양자화 잡음이 발생하는 대역을 제어할 수 있고, 소위 마스킹 효과 등의 성질을 이용하여 청각적으로 보다 고능률적인 부호화를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 양자화를 행하기 전에 각 대역마다에, 예를 들면 그 대역에 있어서의 신호 성분의 절대치를 최대치로 정규화, 즉 제산(除算)을 행하도록 하면, 더욱 고능률적인 부호화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주파수 대역 분할된 각 주파수 성분을 양자화하는 주파수 분할폭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한 대역 분할이 행해진다. 즉, 일반적으로 임계 대역(critical band)이라 칭해지고 있는 고역 정도로 대역폭이 확장되도록한 대역폭에서, 오디오 신호를 복수(예를 들면, 25 밴드)의 대역으로 분할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때의 각 대역마다의 데이타를 부호화할 때에는 각 대역마다 소정의 비트 배분 또는 각 대역마다 적응적인 비트 할당(bit allocation)에 의한 부호화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 MDCT 처리되어 얻어진 계수 데이터를 상기 비트 할당에 의해서 부호화할 때에는 상기 블럭마다의 MDCT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각 대역마다의 MDCT 계수 데이타에 대해서 적응적인 할당으로 비트수에서 부호화가 행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비트 할당 수법으로서는 다음 2가지 수법이 공지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IEEE Transactions of Ac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vol. ASSP-25, No. 4, August 1977에서는 각 대역마다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비트 할당을 행한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양자화 잡음 스펙트럼이 평활하게 되고, 잡음 에너지는 최소로 되지만, 청취 감각적으로는 마스킹 효과가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의 잡음감은 최적이 아니다.
또한, ICASSP 1980 The critical band coder--digital encoding of the perceptual requirements of the auditory system M.A. Kransner MIT에서는 청각 마스킹을 이용함으로써, 각 대역마다 필요한 신호 대 잡음비를 얻어서 고정적인 비트 할당을 행하는 수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수법에서는 사인과 입력으로 특성을 측정하는 경우에도 비트 할당이 고정적이기 때문에 특성치가 그 만큼 양호한 값으로 되지 않는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트 할당에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비트가 각각 소블럭마다 미리 정해진 고정 비트 할당 패턴 부분과, 각 블럭 신호의 크기에 의존한 비트 배분을 행하는 정도로 분할 사용되어, 그 분할비를 입력 신호에 관계하는 신호에 의존시키고, 상기 신호의 스펙트럼이 평활해지는 만큼 상기 고정 비트 할당 패턴분으로의 분할 비율을 크게 하는 고능률 부호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사인과 입력과 같이 특정 스펙트럼에 에너지가 집중하는 경우에는 그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블럭에 많은 비트를 할당함으로써, 전체의 신호대 잡음 특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급준한 스펙트럼 성분을 가지는 신호에 대해서 인간의 청각은 상당히 민감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으로써 신호 대 잡음 특성을 개선하는 것은 단순히 측정상의 수치를 향상시킬뿐 아니라, 청취상 음질을 개선하는 데에 유효하다.
또한, 비트 할당 방법에는 이 밖에도 다수의 수법이 제안되어 있고, 더욱이 청취에 관한 모델이 더욱 정교하고 치밀화되어, 보호화 장치의 능력이 향상하면 청각적으로 보아 보다 고능률적인 부호화가 가능해 진다.
제2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오디오 또는 음성 신호의 압축을 행하는 부호화 회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제2도에 있어서, 도시를 생략한 D/A 변환 수단에 의해서 디지탈화된 신호는 단자(20)를 통해 공급되어 대역 분할 회로(21)로 송출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당 대역 분할에 상술한 MDCT에 따른 스펙트럼 변환이 사용되고 있다. 즉, 사기 대역 분할 회로(21)에서는 해당 MDCT의 출력 스펙트럼 신호가 대역마다 통합됨으로써 상기 대역 분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대역 분할 회로(21)로부터 얻어진 신호는 정규화 계수 계산 회로(22) 및 정규화 회로(23)로 송출된다. 상기 정규화 회로(23)에서는 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규화 계수 계산 회로(22)에 의해서 계산되 정규화 계수 정보에 기초하여 각 대역마다 정규화를 행한다. 이 정규화된 신호는 양자화 회로(25)로 송출된다.
또한, 상기 대역 분할 회로(21)로부터의 신호는 양자화 정밀도 결정 회로(24)로 송출된다. 상기 양자화 회로(25)에서는 해당 양자화 정밀도 결정 회로(24)에서 계산된 양자화 정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규화 회로(23)로부터의 신호를 각 대역마다 양자화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대역마다 정규화 및 양자화된 신호는 상기 양자화 정밀도 결정 회로(24)로부터의 양자화 정밀도 정보와, 상기 정규화 계수 계산 회로(22)로부터의 정규화 계수 정보와 함께 부호열 생성 회로(26)로 송출되고, 여기에서 부호열로 변환되어 단자(27)로부터 출력되고 그후, 기록 매체로의 기록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제3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2도의 부호화 회로의 정규화 회로(23) 및 정규화 계수 계산 회로(22)에 의해 상술한 스펙트럼 신호의 정규화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면중 각 종선(VL)은 각 스펙트럼 신호의 절대치를 대수 스케줄로 표시하고 있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펙트럼 신호는 대역마다 정규화 계수(정규화 계수 정보로 됨)(SF1 내지 SF8)에 의해 정규화가 행해지고, 이에 의해 -1에서 +1까지의 범위값으로 변환된다.
또한, 제4도에는 상기 제2도의 부호화 회로의 부호열 생성 회로(26)에서의 데이타열 구체예를 도시한다. 제4도에 있어서, 해당 데이타열은 MDCT가 실시되는 각 프레임마다 양자와 정밀도 정보, 정규화 계수 정보, 신호 성분 정보가 병렬고 배열되어 해당 프레임의 열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제5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회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제5도에 있어서, 단자(30)를 통해 공급된 상기 부호화된 신호로부터는 부호열 복호 회로(31)에 의해서 상기 양자화 정밀도 정보와 정규화 계수 정보와 각 대역 마다 정규화 및 양자화된 신호가 복원된다.
이들 정보 및 신호는 다음 단의 대역 성분 구성 회로(32)로 송출된다. 해당 대역 성분 구성 회로(320에서는 이들 정보로부터 각 대역마다의 스펙트럼 신호가 구성되어 대역 합성 회로(33)로 송출된다.
해당 대역 합성 회로(33)에서는 상기 MDCT의 역변환인 역MDCT에 의해서 상기 스펙트럼 신호가 시간축의 신호로 복원되고, 그 후 대역 합성됨으로써 디지탈의 오디오 또는 음성 신호가 얻어진다. 이 신호가 단자(34)를 통해 후단의 구성으로 송출된다.
다음에, 제6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복호화가 실현되는 본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간단하게 두출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제6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40)에는 기록 대체 삽입부(4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기록 매체 삽입부(41)에 기록 매체를 삽입한다. 또한, 표시부(42)에는 내부의처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재생중인 부분의 기록음의 선두로부터의 시간이 표시된다. 더욱이, 각각 지시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의 스위치 SW1은 재생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스위치 SW2는 재생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스위치 SW3은 순방향 재생에 의한 두출을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스위치 SW4는 역방향 재생에 의한 두출을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현재 청취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순방향 두출을 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 SW4를 누르면, 두출된 부분이, 예를 들면 3초간 재생된다. 이 시점에서, 만약 스위치 SW2가 눌려지면, 희망하는 부분이 두출된 것으로 판단되어, 그대로 재생이 속행된다. 또한, 만약 스위치 SW2가 눌러지지 않으면, 시간축 상에서 순방향으로 다음 두출이 행해지고,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이와 반대로, 예를 들면 현재 청취되고 있는 부분으로부터 역방향으로의 두출을 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순방향의 경우와 동일한 처리가 상기 스위치 SW4 대신에 스위치 SW3을 사용하여 행하여 진다.
또한, 두출하기 위한 지시 방법은 상술한 것 이외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고, 예를 들면 스위치 SW3 또는 스위치 SW4를 계속 누르고 있는 동안, 차례로 두출이 행해지고, 스위치 SW3 또는 스위치 SW4로부터 손을 떼는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재생 모드로 이전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각 기능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정보 검출 재생 장치의 구성이 제1도에 도시된 구성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독출회로(52)는 기록 매체(51)로부터 상기 제4도에서 설명한 부호열을 독출하고, 그 부호열을 검출 회로(55) 또는 상기 제5도에서 설명한 복호화 회로(53)로 송출한다.
여기에서, 두출 처리 동안, 상기 검출 회로(55)에는 상기 부호열 중의 상기 정규화 계수 정보가 송출되고, 해당 검출 회로(55)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두출용 곡이나 음성의 절단을 검출한다. 해당 검출 회로(55)는 곡이나 음성의 절단을 검출하면, 제어 회로(56)에 대해 그 취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제어 회로(5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독출 회로(52)는 상기 복호화 회로(53)의 복호화 속도에 맞추어 기록 매체(51)로부터 정보를 독출하여 복호화 회로(53)에 송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5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복호화 회로(53)는 상술한 복호화 처리를 개시하여 음 신호의 재생을 행한다.
또, 상기 제어 회로(56)에는 단자(50)를 통해 상기 제6도의 장치의 스위치(SW1, SW2, SW3, SW4)로부터의 지시 정보도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두출 처리가 지시되고 있찌 않은 경우에는 상기 독출 회로(52)에서 검출 회로(55)로 정규화 계수 정보는 송출되지 않으므로, 검출 회로(55)는 두출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검출 회로(55)가 행하는 두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7도, 제8도는 각각 음성 신호가 있는 부분(제7도), 없는 부분(제8도)에서의 정규화 계수 정보의 전형적인 패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7도는 음성 신호가 있는 프레임에서의 상기 패턴을 도시하고, 제8도는 음성 신호가 없는 프레임에서의 상기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효한 오디오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부분(프레임)에서는 신호 레벨이 작으므로 각 정규화 계수도 작은 값으로 된다. 그러므로, 해당 검출 회로(55)에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프레임에 있어서 모든 정규화 계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이면, 그 프레임은 무음 프레임이라 볼 수 있고, 더욱이 해당 무음 프레임이 소정 기간 계속된 후, 유음 프레임을 검출한 경우에는 해당 유음 프레임을그들 이후의 일군 오디오 신호 또는 음 신호의 선두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프레임의 모든 정규화 계수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고 있는지 어떤지 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유음 프레임인지 무음 프레임인지를 판정하려면, 예를 들면 배경 잡음이 큰 환경에서 음성 신호를 녹음하도록 한 경우에는 본래의 음성 신호는 기록되어 있지 않은 데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유음 프레임으로 판단하여 올바른 두출을 행하지 않을 위험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모든 정규화 계수의 레벨 분포에 의해서 유음 프레임인 지 무음 프레임인지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의 음성에는 무성음 부분과 유성음 부분이 있고, 유성음은 준 주기적인 파형으로 그 기본 주파수는 약 50Hz 에서 800Hz 정도 쯤이다. 그러므로, 이 주파수대에 대응하는 정규화 계수가 커지는 프레임을 유음 프레임, 그렇지 않은 프레임을 무음 프레임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성음 부분이 무음 프레임으로 판정되는 경우가 있지만, 일반적인 음성 신호에서 무성음 부분이 장시간 계속 되는 것은 아니므로 무음프레임이 소정 기간 계속된 후, 유음 프레임을 검출한 부분의 작은 쪽을 일군의 음성 신호의 선두로 봄으로써 거의 정확하게 두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제9도에는 상술한 순방향으로 두출을 행하는 경우의 제1도의 검출 회로(55)에서의 처리 수순의 예를 도시한다. 또 이 제9도에 있어서,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NOS는 연속적으로 검출된 무음 프레임 수를 나타낸다. 또한, 이 처리에 있어서, 무음 프레임수(MOS)가 NOS1(NOS1은 소정의 임계치)개 보다 많고, 또 연속적으로 무음 프레임이 계곡 된 후에 해당 유음 프레임이 검출된 경우에는 해당 유음 프레임보다 M1 프레임 전(前)을 두출 위치로 한다. 이와 같이 유음 프레임보다 약간 전을 두출 위치로 함으로써 무음 프레임으로 판정된 무성음 부분이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9도에 있어서, 스텝(S1)에서는 NOS=0으로 초기화하고, 스텝(S2)에서는 무음 프레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무음 프레임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3)으로 진행한다. 해당 스텝(S3)에서는 NOS = NOS+1로 하여 무음 프레임수(NOS)를 1증가 시키고, 다음 스텝(S4)에서는 N = N+1로 하여 프레임 번호(N)를 1증가시켜, 스텝(S2)로 복귀한다 해당 스텝(S2)에서 다시 무음 프레임이라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3), 스텝(S4)에서 각각 무음 프레임수(NOS)와 프레임 번호를 1 증가시켜 간다.
또한, 상기 스텝(S2)에서 무음 프레임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50로 진행한다. 해당 스텝(S5)에서는 NOS > NOS1인지의 여부를 판단, 즉 상기 무음 프레임수(NOS)가 NOS1보다도 많게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S5)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느 스텝(S1)로 복귀한다.
한편, 해당 스텝(S5)에서 에(Yes)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6)으로 진행하고, 해당 스텝(S6)에서 N = N - M1로 하여 해당 유음 프레임의 번호(N)에서 M1을 인출하기 전의 프레임을 두출 위치로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0도에는 상술한 역방향으로 두출을 행한 경우의 제1도의 검출 회로(55)에서의 처리 순수의 예를 도시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 역방향으로 프레임열을 주사하여 무음 프레임수(NOR)이 NOR2(NOR2는 소정의 임계치)개 보다 많고, 또 연속적으로 무음 프레임이 검출된 경우에는 해당 무음 프레임보다도 M2 프레임 뒤를 두출 위치로 한다. 해당 M2는 상기 NOS2보다 약간 작은 값을 취하고, NOS2개의 무음 프레임을 대부분 상쇄한다. 물론, NOS2는 제9도의 NOS1과 동일한 값이어도 좋다.
즉, 제10도에 있어서, 스텝(S11)에서는 NOS = 0으로 초기화 하고, 스텝(S12)에서는 무음 프레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스텝(S12)에서 무음 프레임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1)로 복귀한다.
또한 스텝(S12)에서 무음 프레임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3)으로 진행한다. 해당 스텝(S13)에서는 NOS = NOS +1로 하여 무음 프레임 수(NOS)를 1증가시키고, 다음 스텝(S14)에서는 NOS = NOS +1로 하여 무음 프레임 수(NOS)를 1증가시키고, 다음 스텝(S14)에서느느 NOS > NOS2인지 아닌지의 판단, 즉 상기 무음 프레임수(NOS)가 NOS2 보다도 많아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S14)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5)에서 N = N + 1로 하여 프레임 번호(N)를 1 증가시키고 그후, 스텝(S12)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스텝(S14)에서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6)으로 진행한다. 해당 스텝(S16)에서는 N = N + M2 로 하여 해당 유음 프레임의 번호(N)에 M2를 더한 후의 프레임을 두출 위치로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11도에는 제1도의 제어 회로(56)에서의 재생 처리의 제어 처리 수순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처리에 있어서는 검출 회로(55)에 의해 두출이 행해지면 복호 회로(53)는 거기에서 K 프레임의 음 재생 처리를 통상 재생 속도 또는 2배속 정도의 음의 내용을 판별할 수 있는 속도로 행하고, 그 사이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제1도의 단자(50)로부터의 지시 정보에 의해 재생을 속행할 것인지 다음 두출 처리로 이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1도에 있어서, 스텝(S21)에서는 두출 처리를 행하고, 스텝(S22)에서는 K 프레임의 음 재생 처리를 행한다.
다음 스텝(S23)에서는 음 재생 처리를 속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속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S21)로 돌아가고, 속행하는 경우에는 스텝(S24)로 전행한다.
해당 스텝(S24)에서는 음 재생 처리를 속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복호화 회로(53)와 검출 회로(55)는 동시에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했지만, 복호화 회로(53)가 음 신호를 재생하고 있는사이에 검출 회로(55)가 다음 이하의 두출 위치의 검출 처리를 병행햐여 진행해 두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결과를 검출 회로(55) 내에 설치한 일시 기억 수단에 일시적으로 기억해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두면, 장치 사용자는 기다리는 일 없이, 차차 두출 결과를 들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본 실시예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에 따르면, 이상과 같이 상기 기록 매체(51)에 기록된 정보로부터 상기 정규화 계수 정보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두출을 행할 수 있지만, 두출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두는 것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12도에는 이와 같이 상기 부호화된 음 정보를 기록 매체(61)에 기록할 때에 두출에 유용한 선두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기록 매체(61)에 기록하는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장치는 단자(60)를 개재한 입력 신호 중의 일군으로 되는 신호의 선두를 검출하여 해당 선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선두 검출 수단인 검출 회로(63)와, 적어도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선두 위치 정보를 기록 매체(61)에 기록하는 기입 회로(62)를 갖고 있는 것이다.
제12도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 처리를 이용하여 부호화되어 단자(60)를 통해 공급된 음 정보(입력 신호)는 기입 회로(62)와 함께 검출 회로(63)로도 보내진다. 해당 검출 회로(63)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각 오디오 신호, 음성 신호의 선두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이것을 상기 기입회로(62)에 보낸다.
해당 기입 회로(62)는 상기 부호화된 음 정보와 함께 상기 선두 위치 정보도 기록 매체(62)에 기록한다.
여기에서, 특히 미리 부호화된 음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그 정보를 음으로서 재생하는 속도와는 관계없이 단시간에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정규화 계수 정보에 의해서만 고속으로 선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은 기록 매체로의 기록 완료까지의 처리를 지체없이 행하는 데에 편리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선두 위치 정보는 반드시 음성 정보의 기록시에 행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일단 기록 매체(71)에 기록된 음성정보를 독출 회로(72)로 독출하여, 이것을 검출 회로(73)로 보내고, 해당 검출 회로(73)가 계산한 선두 위치 정보를 기입 회로(74)가 기록 매체(71)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정규화 계수 정보를 이용하여 선두 위치 정보를 계산함으로써 이상의 처리를 신속하게 종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4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16)에 기록된 정보 내용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4도에서, 선두 위치 정보로서 각 음성 신호의 선두 프레임이 기록되고, 그 후에 각 프레임의 음성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음 정보의 선두 위치 정보를 미리 음 정보의 내용에서 검출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재생시에는 그 선두 위치 정보를 참조하면서 신속하게 두출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선두 위치 정보의 검출은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드시 정규화 계수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지 않아도 좋다.
즉, 제15도에서, 단자(80)에는 아날로그의 오디오 또는 음성 신호가 공급되고, 이 신호는 A/D 변환 회로(81)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해당 디지털 신호는 부호화 회로(82)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되어 기입 회로(84)에 의해 기록 매체(85)에 기록된다.
여기에서, 제15도의 구성에서는 부호화 회로(820의 진단에서 디지탈 신호를 검출 회로(83)로 보내고, 해당 검출 회로(83)에서 선두 위치를 검출하여 이 선두 위치 정보를 상기 기입 회로(84)에 보냄으로써, 상기 기록 매체(85)에 기록 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선두 위치 정보의 검출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정규화 계수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도록 한 경우에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16도에서, 단자(90)에는 아날로그 오디오 또는 음성 신호가 공급되고, 이 신호는 A/D 변환 회로(91)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해당 디지털 신호는 부호화 회로(92)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되고, 기입 회로(94)에 의해 기록 매체(95)에 의해 기록된다.
여기에서, 제16도의 구성에는 부호화 회로(92)에 의한 정규화 계수 정보를 검출 회로(93)에 보내고, 해당 검출 회로(93)에서 선두 위치를 검출하여 이 선두 위치 정보를 상기 기입 회로(94)에 보냄으로써, 상기 기록 매체(95)에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정보 검출 재생 장치, 정보 기록 장치)에서는 전부 음 정보에 응용한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들의 방법을 예를 들면 영상 정보 등에 대해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검출 재생 장치에서는 기록 매체에 대해 정규화라는 복잡한 처리를 이용하여 부호화가 되어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고, 이 독출된 부호화 정보를 완전히 복호화하는 일 없이, 부호화된 정보의 일부분인 정규화 계수의 정보를 사용하여 선두를 검출해두고,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에, 예를 들면 각 곡이나 음성 정보 등의 선두 위치 정보를 특별히 기록해 두지 않아도 신속한 두출이 가능해 지고, 더욱이 선두가 검출된 정보를 어느 시간만큼 기록 매체에서 독출한 후, 다음 정보의 선두 검출에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선두 위치의 직전이나 직후에 기록되어 있는 이외의 정보에 대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두출이 가능해짐에 따라서, 필요없는 정보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따르면, 자동적으로 두출에 유용한,, 예를 들면 곡이나 음성 정보 등의 선두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기록할 수 있게 되므로, 후의 재생시의 선두 위치 검출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되고 있다.

Claims (15)

  1. 정규화된 신호의 정보와 함께 최소한 당해(當該) 정규화 시의 정규화 계수의 정보를 부호화한 부호화 정보가 기록된 매체로부터 당해 부호화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부호화 정보를 복호화 하는 복호화 수단과,
    상기 복호화 수단에 의한 복호화 전의 복호화 정보 중의 상기 정규화 계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일군의 상기 신호 정보의 선두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정보는 음(音)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검출 수단에서의 상기 선두 검출은 상기 정규화 계수의 주파수 상의 분포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검출 수단에서의 상기 선두 검출은 시간축 상에서 순방향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검출 수단에서의 상기 선두 검출은 시간축 상에서 역방향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재생 장치.
  6. 부호화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당해 부호화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부호화와 정보를 내용이 판별가능한 속도로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부호화 정보의 선두를 검출하는 선두 검출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의 독출을 속행할 것인지, 다음 선두부터 독출을 실행할 것인지의 지시 정보를 입력하는 지시 정보 입력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복호화 수단이 소정의 선두부터 상기 부호화 정보를 복호화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다음 선두부터 독출을 실행하는 지시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독출 수단은 상기 선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다음 선두부터 상기 부호화 정보의 독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재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수단에서의 상기 신호의 내용을 판별 가능한 속도는 통상 재생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재생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정보는 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재생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검출 수단은 상기 일군의 신호 정보 중 임의의 부분을 독출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다음 선두의 검출을 행하는 일군의 신호정보 이후의 선두 위치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재생 장치.
  10. 입력 신호 중 일군으로 되는 신호의 선두를 검출하여 당해 선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선두 검출 수단과,
    최소한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선두 위치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입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최소하나 정규화된 신호 정보와 당해 정규화 시의 정규화 계수의 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두 검출 수단은 상기 정규화 계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두 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가 검출되는 신호는 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검출 수단에서의 상기 선두 검출은 상기 정규화 계수의 정보의 주파수 상의 분포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선두 위치 정보의 기록 매체로의 기록을 상기 입력 신호의 기록시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수단은 상기 선두 위치 정보의 기록 매체로의 기록을 상기 입력 신호의 기록 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KR1019940007237A 1993-04-08 1994-04-07 정보 검출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Information Detec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KR100282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210693A JP3341348B2 (ja) 1993-04-08 1993-04-08 情報検出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
JP93-082106 1993-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493B1 true KR100282493B1 (ko) 2001-03-02

Family

ID=1376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237A KR100282493B1 (ko) 1993-04-08 1994-04-07 정보 검출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Information Detec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41348B2 (ko)
KR (1) KR100282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53B1 (ko) * 2003-01-29 2004-04-13 주식회사 텔레칩스 주파수공간 에너지를 이용한 유효구간 검출방법 및 이를이용한 반복재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53B1 (ko) * 2003-01-29 2004-04-13 주식회사 텔레칩스 주파수공간 에너지를 이용한 유효구간 검출방법 및 이를이용한 반복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95490A (ja) 1994-10-21
JP3341348B2 (ja) 200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93685B2 (ja) デジタル信号記録装置
JP3123286B2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又は方法、及び記録媒体
JP3496411B2 (ja) 情報符号化方法及び復号化装置
US5471558A (en) Data com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quantizing bits are allocated to a block in a present frame in response to the block in a past frame
JP3173218B2 (ja) 圧縮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圧縮データ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353807B1 (en) Information coding method and apparatus, code transform method and apparatus, code transfor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US6518891B2 (en)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JP3200851B2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ディジタル信号処理方法及びデータ記録媒体
US6480123B2 (en)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JP3175446B2 (ja) 情報圧縮方法及び装置、圧縮情報伸張方法及び装置、圧縮情報記録/伝送装置、圧縮情報再生装置、圧縮情報受信装置、並びに記録媒体
US6519558B1 (en) Audio signal pitch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US6647063B1 (en) Information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00282493B1 (ko) 정보 검출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 장치(Information Detec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6038369A (en) Signal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EP1150299A2 (en) Play back apparatus
JP2002094385A (ja) 圧縮データ記録装置、記録方法、圧縮データ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175456B2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3561923B2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3141451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
JPH10261964A (ja) 情報信号処理装置
JP3084815B2 (ja) 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
JP3134368B2 (ja) 圧縮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H10260695A (ja) 音声信号符号化装置
KR100317064B1 (ko) 디지털 음악 고속 녹음장치 및 녹음방법
Herget Audio Compre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