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831B1 - 초고속광신호의파장분할광다중/역다중기 - Google Patents

초고속광신호의파장분할광다중/역다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831B1
KR100280831B1 KR1019970046097A KR19970046097A KR100280831B1 KR 100280831 B1 KR100280831 B1 KR 100280831B1 KR 1019970046097 A KR1019970046097 A KR 1019970046097A KR 19970046097 A KR19970046097 A KR 19970046097A KR 100280831 B1 KR100280831 B1 KR 10028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waveguide
waveguides
wavelength
optical wavegu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757A (ko
Inventor
현경숙
이일항
유병수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4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08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8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입력과 출력의 파장 채널로 광 신호의 경로차 없고 작은 손실의 초고속 광신호의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장 분할 광 다중 /역다중기에서 광도파로 격자간의 경로차에 의한 광도파로의 굴곡등에서 벌생되는 빛의 손실을 막기 위한 본 발명은 광 다중역/다중기는 두 개의 동일한 구조의 광커플러가 광도파로 격자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광도파로 격자는 중심 파장에서의 광의 진행 길이가 같아 서로 경로차가 없는 여러 개의 광도파로로 구성된다. 상기 각 광도파로는 파장에 따른 분산 특성이 다른 물질로 구성된 두 개의 광도파로의 결합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다중/역다중기는 광도파로의 길이 차이를 이용하지 않고 광도파로의 분산 특성을 이용하므로 광도파로간의 경로차 없이 초고속 광 다중/역다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고속 광신호의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Wavelength multiplexer/demultiplexer}
본 발명은 여러 입력과 출력의 파장 채널로 광 신호의 경로차 없이 작은 손실로 초고속 광 신호를 다중/역다중 할 수 있는 초고속 광신호의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여러개의 광도파로의 경로차를 이용한 광도파로 격자(arrayed waveguide grating) 구조로서 N x N의 다채널을 다중/역다중하는 방식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로차를 이용한 광도파로 격자 구조는 N개의 광도파로로 이루어져 다채널로 빛을 입력 또는 출력시키는 입력 및 출력단의 광도파로(111~11N, 121~12N)와 광 입력된 빛을 다수의 광도파로로 커플링시키기 위한 제 1 및 2 광커플러(13 및 14)가 대칭적으로 두개씩 있다. 제 1 및 2 광커플러 사이를 서로 일정한 양 만큼의 경로차를 갖도록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광도파로로 구성된 광도파로 격자(151~ 15M)로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광 다중/역다중 구조는 입력단 광도파로(111~11N)로 입력된 빛이 자유공간영역(free space region)인 제 1 광커플러(13)를 통하여 서로 다른 길이의 광도파로로 이루어진 광도파로 격자(151~ 15M)에 커플링 된다. 상기 커플링된 빛은 각각의 광도파로(151~ 15M)로 나누어져 진행한 후 제 2 광커플러(14)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일정한 길이 차이를 갖는 광도파로 격자(151~ 15M)를 진행한 빛은 각각의 광도파로의 끝에 도착하였을 때 서로의 경로차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위상(phase) 차이를 갖게 된다. 상기 위상 차이에 따른 빛은 회절 현상에 의해 제 2 광커플러(14)의 일정한 위치에 모여지게 된다. 제 2 광커플러(14)에 모인 빛은 출력 광도파로(121~12N)의 위치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으로 분리되므로 광 역다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원리로 광 다중은 입력단 광도파로(111~11N)로 각각에 특정 파장의 빛들을 입사하면 반대쪽 출력단 광도파로(121~12N)의 한 광도파로로 모든 파장의 빛이 다중화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 방법은 파장의 효과적인 분할을 위하여 높은 차수의 회절 현상을 이용한다. 만약 m차의 회절 현상을 이용한다면 광도파로 격자(151~15M)에서 근접한 광도파로 15i와 15i+1간의 길이 차이 △L이 mλo/nw로 결정되어야 한다. 여기서λo는 중심 파장이며, nw는 격자를 구성하는 광도파로의 평균 굴절율(effective refractive index)이다. 그러므로 M개의 광도파로로 구성된 광도파로 격자(151~15M)를 이용한다면 광도파로 격자(151~15M)를 통과한 후 제 2 광커플러(14)에 도착하는 빛은 최대 mλoM/c의 시간차이를 갖게 된다. 여기서 c는 빛의 속도이다. 예를들어 1.55 μm의 파장에서 300차의 회절과 30개의 광도파로 격자를 사용하면 약 50 ps의 시간 차이를 갖게된다. 그러므로 초고속의 광 펄스를 역다중화할 경우 광펄스가 시간차이 만큼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조는 광도파로 격자에서 발생되는 경로차이에 의하여 초고속 광 펄스의 광다중/역다중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광도파로 격자가 서로 길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함에 따라 광도파로가 일정하게 굴곡되므로 빛이 광도파로를 진행하는데 손실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 다중/역다중기는 광도파로의 길이 차이를 이용하지 않고 광도파로의 분산 특성을 이용하므로 상기한 문제점이 해소되고, 광도파로 간의 경로차가 없도록 하므로서 초고속 광 펄스의 광다중/역다중이 가능하게 하는 초고속 광신호의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광신호의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는 서로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빛을 커플링하기 위한 제 1 및 2 광커플러와, 상기 제 1 및 2 광커플러에 접합하여 형성되고, 빛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다수의 광도파로와, 상기 제 1 및 2 광커플러 사이에 접합하여 형성되며, 빛의 중심 파장에서 경로차가 없고, 각각 두개의 평균 굴절율을 갖는 다수의 이종 광도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장분할 광 다중/역다중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광신호의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광신호의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의 광도파로 격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광신호의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의 광커플러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1내지 11N및 211내지 21N: 입력단 광도파로
121내지 12N및 221내지 22N: 출력단 광도파로
13 및 23: 제 1 광커플러 14 및 24 : 제 2 광커플러
151내지 15M: 광도파로 격자 261내지 26M: 이종 결합 광도파로 격자
361내지 36M: 제 1 광도파로 371내지 37M: 제 2 광도파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는 빛을 입력 및 출력 시키는 광도파로(211~21N및 221~22N)와 입력된 빛을 광도파로 격자(161~ 16M)와 커플링시키기 위한 제 1 및 2 광커플링(23 및 24)가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2 광커플링(23 및 24) 사이는 중심 파장에서 경로차가 없는 광도파로 격자(261내지 26M)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광신호의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의 광도파로의 격자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경로차가 없는 다수의 광도파로로 구성된 광도파로 격자(261내지 26M)는 각각의 광도파로(26i)가 서로 다른 분산 특성을 지니며 두개의 평균 굴절율 n1w(λ) 및 n2w(λ)을 갖는 제 1 광도파로(36i)와 제 2 광도파로(37i)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광도파로(26i)는 중심 파장을 λo, n1wo)의 광도파로 길이를 l1i, n2wo)의 광도파로 길이를l2i라 할 때 n1wo)*l1i+ n2wo)*l2i가 모든 광도파로(261내지 26M)에서 일정하게 구성되어진다. 또한, 평균 굴절률 n1w(λ) 및 n2w(λ)인 광도파로를 구성하는 물질은 상기 n1w(λ)의 파장에 따른 변화가 상기 n2w(λ)의 파장에 따른 변화에 비하여 충분히 큰 물질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2 광도파로(36i및 37i)의 각각의 굴절율을 갖는 길이의 차이(Δl1ii+1및Δl2ii+1)는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Δl1ii+1= l1i- l1i+1= m'/( n1wo)*((d n1wo)/dλ)/ n1wo) -(d n2wo)/dλ)/ n2wo)))
Δl2ii+1= l2i- l2i+1= -Δl1ii+1 *n1wo)/n2wo)
여기서 m'은 회절 차수로서 파장이 역다중 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광도파로(36i) 각각의 길이 차이는 상기 제 1 광도파로(36i)의 굴절률의 파장에 따른 변화률을 굴절률로 정상화한 값에서 제 2광도파로(37i)의 굴절률의 파장에 따른 변화률을 굴절률로 정상화한 값으로 뺀 후 제 1 광도파로(36i)의 굴절률을 곱한 값으로 일정한 회절 차수(m')를 나눈값이 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광도파로(37i) 각각의 길이 차이는 상기 제 1 광도파로(36i) 길이차이의 수직 값을 상기 제 1 광도파로(36i)의 굴절률을 곱한 후 상기 제 2 광도파로(37i)의 굴절률을 나눈 값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광신호의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기 광커플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 광도파로 격자(261내지 26M)를 통과한 빛은 제 2 광커플러(24)의 입력단에서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위상차이로 인하여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역에 모아지게 된다. 이때 파장에 따른 모여지는 위치의 차이(Δx/Δl)는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Δx/Δl=f*((dn1wo)/dλ)*Δl1ii+1+ (dn2wo)/dλ)*Δl2ii+1))/(ns *d)
여기서 f는 광커플러의 자유공간 영역의 길이이다.
그리고 광도파로 격자(261내지 26M)를 구성하는 인접 광도파로 간(26i및 26i+1)의 길이 차이(Δltii+1)는 다음 수학식 3과 같다.
Δltii+1= Δl1ii+1+ Δl2ii+1= Δl1ii+1 *(1 - n1wo)/n2wo))
수학식 3에 따라 |n2wo) - n1wo)| << n2wo)로 광도파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광도파로 간의 길이 차이가 매우 적게 된다.
입력단 광도파로(211내지 21N)에 빛이 입사하게 되면 제 1 광커플러(23)을 통하여 파장 분산 광도파로 격자(261내지 26M)에 커플링된다. 그 후 파장에 따른 분산 특성에 의해 광도파로 격자를 통과한 빛은 다음의 제 2 광커플러(24) 입력단에서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회절격자 역할을 한다. 따라서,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채널에 입사하게 되어 파장이 역다중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파장 분산의 이종 광도파로 격자를 이용하므로 광도파로 격자의 출력단에 도착하는 빛이 서로 경로차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초고속 광펄스를 사용하여도 광의 폭이 넓어지거나 다음 신호와 합쳐지는 에러를 발생하지 않으며 초고속의 광 펄스 신호의 광다중/역다중이 가능하다. 또한, 광도파 간의 길이 차이가 매우 적게되어 광도파로의 굴곡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파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초고속 파장 분할 광 다중/역다중화기에 있어서,
    두 개가 대응되게 인접하여 설치되며 광 커플링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광 커플러와(23,24),
    상기 제1 및 제2광 커플러의 광 입출력단에 각각 접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광 커플러에 대한 광 입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광 도파로와(211~21N, 221~22N)
    상기 제1 및 제2광 커플러 사이에 접합하여 형성된 다수의 광도파로에서, 각각의 광도파로는 광평균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광도파로가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광도파로 각각의 길이는 서로 다르되,
    상기 다수의 광도파로에서 인접한 제1광도파로간의 길이 차이는 제1광도파로의 굴절률의 파장에 따른 변화률을 굴절률로 정상화한 값에서 제2광도파로의 굴절률의 파장에 따른 변화률을 굴절률로 정상화한 값으로 뺀 후 제1광도파로의 굴절률을 곱한 값으로 일정한 회절차수를 나눈 값이 되도록 하며,
    상기 다수의 광도파로에서 인접한 제2광도파로간의 길이차이는 상기 제1광도파로의 인접한 광도파로간의 길이차이를 상기 제1광도파로의 굴절률을 곱한 후 상기 제2광도파로의 굴절률을 나눈 값을 만족하여 구성되어,
    다중/역다중하고자 하는 빛의 중심 파장에서 서로 광경로차가 없는 다수의 이종 광도파로(261~26M)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초고속 파장 분할 광다중/역다중기.
KR1019970046097A 1997-09-08 1997-09-08 초고속광신호의파장분할광다중/역다중기 KR10028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097A KR100280831B1 (ko) 1997-09-08 1997-09-08 초고속광신호의파장분할광다중/역다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097A KR100280831B1 (ko) 1997-09-08 1997-09-08 초고속광신호의파장분할광다중/역다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757A KR19990024757A (ko) 1999-04-06
KR100280831B1 true KR100280831B1 (ko) 2001-02-01

Family

ID=6604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097A KR100280831B1 (ko) 1997-09-08 1997-09-08 초고속광신호의파장분할광다중/역다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8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757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0903B2 (en) Optical wavelength demultiplexer having optical interference filters connected in cascade
JP3448182B2 (ja) 全光ファイバ製光ルータ
US6256433B1 (en) Expandable interleaving optical add/drop filter module
ATE315793T1 (de) Phasar mit flacher durchlasskurve
EP1076248A1 (en) Bidirectional optical wavelength multiplexer/divider
US6526203B1 (en) Arrayed waveguide grating with reduced crosstalk
US5325221A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and demultiplexer
JP3651876B2 (ja) 波長多重光信号の合分波方式
CA2253972A1 (en) Optical wavelength multiplexer/demultiplexer
US20020176660A1 (en) Optical wavelength multiplexer/demultiplexer and use method thereof
KR100474695B1 (ko)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GB2369686A (en) Optical array waveguide grating for power monitor
JPS60172841A (ja) 光スイツチ
KR100280831B1 (ko) 초고속광신호의파장분할광다중/역다중기
US20020081062A1 (en) Optical grating based multi-input demultiplexer for multiple sets of interleaved wavelength channels
US6728447B2 (en) Optical multiplexer/demultiplexer
JP3895480B2 (ja) 光波長合分波器
JPWO2004102266A1 (ja) 光スイッチ装置
EP1243951B1 (en) An optical multiplexer/demultiplexer
JPS63148207A (ja) 光多重分波素子
JP2002330105A (ja) 光デバイス
WO2024047707A1 (ja) 光信号処理装置
EP4202510A1 (en) Integrated optical structure for multiplexing and/or demultiplexing
EP1009112A2 (en) Duplex Optical transmission system
JP4238069B2 (ja) 光波長合分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